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요즘 청춘들이 아무리 아프다 한들, 윤동주만 하겠나...
2016년 02월 16일 21시 33분  조회:5001  추천:0  작성자: 죽림
 
기사 이미지

영화 `동주` 강하늘, 박정민. [사진=전소윤(STUDIO 706)]

이것은 부끄러움의 기록이다.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했던’ 시인(詩人)의 고백처럼.
어두운 시대를 살았던 청년의 초상이자, 그 시대의 순결한 영혼들에 바치는 진혼곡이다.

‘동주’(2월 18일 개봉, 이준익 감독)는 시인 윤동주와, 그의 벗이자 사촌이던 독립운동가 송몽규 열사의 삶을 따른다. 두 사람은 약속이나 한 듯 1917년 같은 해에 태어나, 스물여덟 살이 되던 45년 일본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나란히 삶을 마감했다. 2016년, 윤동주와 송몽규 그리고 시(詩)가 우리에게 다시 말을 건다.

이준익(57) 감독과 두 젊은 배우 강하늘(26)·박정민(29)은 흑백 화면의 정제되고 담백한화면 속에 그 시절 두 청년의 치열했던 고민과 아픔을 담았다. 한 자 한 자 신중하게 눌러쓴 손글씨처럼, 그 속에는 두 인물에 바치는 제작진의 진심이 오롯이 담겼다. 이 영화는 ‘쉽게 쓰여지지’ 않았다.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영화 `동주` 강하늘. [사진=전소윤(STUDIO 706)]

강하늘은 ‘동주’ 촬영을 앞두고 잠을 이룰 수 없었다. 윤동주 역을 맡았다는 소식을 처음 접했을 때만 해도 흥분과 기대가 솟구쳤는데, 그것은 하루가 다르게 불안과 고민으로 바뀌었다.

시인 윤동주는 이런 사람이었다고 그려줘야 하는데, 내가 생각하는 방향이 맞는 걸까 점점 자신이 없어지더라고요. 실존 인물을 연기하는 게 이렇게 부담스러운 거구나 싶었죠.”

시인 윤동주는 이런 사람이었다고 그려줘야 하는데, 내가 생각하는 방향이 맞는 걸까 점점 자신이 없어지더라고요. 실존 인물을 연기하는 게 이렇게 부담스러운 거구나 싶었죠.”

70년 전 세상을 떠난 역사 속 인물, 아름다운 시를 남긴 천재 시인…. 윤동주를 설명하는 교과서의 거창한 말 대신, 강하늘은 그를 이 영화에서 ‘한 사람’으로 숨 쉬게 하고 싶었다. “윤동주도 누군가를 사랑하고 질투하고 미워하면서 순간순간 흔들리지 않았을까요. 시나리오가 윤동주의 그런 감정을 잘 드러내고 있어 좋았어요.”

그건 ‘동주’가 그리는 윤동주와 송몽규의 관계만 봐도 알 수 있다. 동갑내기 사촌으로 어릴 적부터 친형제처럼 붙어 지낸 두 사람. 강하늘의 표현을 빌리자면 “서로 함께해야 완벽한 동그라미가 되는” 반쪽 같은 사이다.

윤동주에게 송몽규는 애증의 존재였어요. 작가가 되고 싶은 건 윤동주였는데, 신춘 문예에 덜컥 당선된 건 송몽규였어요. 그래놓고 송몽규는 일제강점기라는 시대가 요구하는 혁명가가 되려 했어요. 윤동주에게 생애 첫 열등감과 질투를 불러일으킨 존재가 바로 송몽규인 거예요. 그 미운 정까지 쌓여 서로에 대한 애정이 더 커진 거고요. 그렇게 윤동주는 평생 송몽규에게서 벗어날 수 없었죠.”

윤동주에게 송몽규는 애증의 존재였어요. 작가가 되고 싶은 건 윤동주였는데, 신춘 문예에 덜컥 당선된 건 송몽규였어요. 그래놓고 송몽규는 일제강점기라는 시대가 요구하는 혁명가가 되려 했어요. 윤동주에게 생애 첫 열등감과 질투를 불러일으킨 존재가 바로 송몽규인 거예요. 그 미운 정까지 쌓여 서로에 대한 애정이 더 커진 거고요. 그렇게 윤동주는 평생 송몽규에게서 벗어날 수 없었죠.”

서로에게 각별했던 두 인물을 연기한 강하늘과 박정민도 그런 사이가 됐다.
정민 형과는 다른 작품에서 다시 만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정민 형은 내게 송몽규 그 자체예요. 다른 작품에서 다른 역할로 양복 빼입고 만나면 안 될 것 같아요. 형과는 ‘동주’라는 이 아름다운 영화 한 편만 우리 둘의 트로피로 남겨두고 싶어요. 그만큼 이 영화를, 윤동주와 송몽규라는 역할을 사랑해요.”

정민 형과는 다른 작품에서 다시 만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정민 형은 내게 송몽규 그 자체예요. 다른 작품에서 다른 역할로 양복 빼입고 만나면 안 될 것 같아요. 형과는 ‘동주’라는 이 아름다운 영화 한 편만 우리 둘의 트로피로 남겨두고 싶어요. 그만큼 이 영화를, 윤동주와 송몽규라는 역할을 사랑해요.”

윤동주가 송몽규에게 그러했듯, 송몽규란 인물을 온몸으로 끌어안은 채 연기하는 박정민에게서 그가 자극을 받았음은 물론이다. “그렇게까지 치열하게 연기하는 배우는 처음 봤어요. 그 우직함이 엄청 멋있어요. 아무것도 모르고 그저 직진만 하는 게 아니라, 이 영화와 송몽규라는 인물을 너무 사랑해 앞뒤 안 가리고 빠져들더라고요. 얼마나 감정을 실었으면 송몽규가 우는 장면을 찍다 실제로 안압이 올라 눈에 핏줄이 터졌겠어요.”

누구 하나 빠짐없이 치열하게 소중한 작품을 만들어 가고 있다는 그 각별한 행복 속에서 강하늘은 윤동주라는 큰 이름을 연기한다는 불안을 이겨낼 수 있었다.

그럼에도 “80쪽 남짓한 시나리오가 대체 뭐라고 돌덩이처럼 무겁게 느껴질” 때면 그는 윤동주의 유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몇 번이고 다시 읽었다.

윤동주의 시 세계를 가리켜 ‘부끄러움의 미학’이라 설명하잖아요. 윤동주를 연기하면서 보니 그 특유의 부끄러움은 자신을 못난 존재로 여겼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충만한 자기애에서 비롯된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자신에 대한 기준이 높기 때문에 그에 미치지 못하는 걸 부끄러워한다고 할까. 그만큼 자신을 솔직하게 돌아볼 수 있는 건, 자신을 굉장히 사랑하기 때문 아닐까요.”

윤동주의 시 세계를 가리켜 ‘부끄러움의 미학’이라 설명하잖아요. 윤동주를 연기하면서 보니 그 특유의 부끄러움은 자신을 못난 존재로 여겼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충만한 자기애에서 비롯된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자신에 대한 기준이 높기 때문에 그에 미치지 못하는 걸 부끄러워한다고 할까. 그만큼 자신을 솔직하게 돌아볼 수 있는 건, 자신을 굉장히 사랑하기 때문 아닐까요.”

그건 강하늘도 마찬가지다. “나를 깎아내려야만 올라갈 힘이 생겨요. 스스로 빈틈을 느껴야 한 번이라도 더 움직이고 뭔가 하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그는 열등감과 부담까지도 기꺼이 끌어안으려 한다. “솔직히 말하면 저는 연기하는 게 재미있어서, 연기 자체를 사랑해서 하는 건 아니에요. 나보다 훨씬 뛰어난 배우들을 만났을 때 느끼는 열등감, 주변 사람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말아야겠다는 부담이 지금껏 제게 가장 큰 힘이 됐던 것 같아요.” 강하늘은 이렇게 말하더니 자신이 아주 재미없는 사람처럼 느껴진다는 듯 허허 웃는다.

‘서시(序詩)’에서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노래했던 윤동주처럼, 강하늘에게 가치 있는 것이란 자신을 몰아쳐서 도달할 수 있는, 극기(克己)의 그 무엇은 아닐까. “한 작품 한 작품 할 때마다 한계를 느껴요. 연기가 참 어려운 게, 감정에는 정답이란 게 없잖아요. 그런데 관객이 보기에 그 인물의 정답처럼 느껴지게 뭔가를 해내야 한단 말이에요. 그게… 참(웃음).”

돌이켜보면 강하늘은 순수함으로 똘똘 뭉친 인물을 연기했을 때 가장 빛났다.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2009)의 여린 소년 에른스트, 영화 ‘스물’(2015, 이병헌 감독)의 숙맥 모범생 경재 그리고 ‘동주’의 윤동주까지. 특히 ‘동주’에서 그는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번번이 소리쳐 말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 순간 그의 얼굴에 피어오르는 표정과 눈빛에서, 시를 너무 사랑해 쓰지 않을 수 없었던 젊은 청년의 온갖 감정이 형형하게 읽힌다.
제가 생각하는 순수함이란 자기 안에 어떤 기준이 튼튼히 서 있고, 목에 칼이 들어와도 그 기준을 바꿀 수 없는 올곧음 같은 거예요. 반대로 요령을 부리거나 머리 굴리는 역을 맡으면 연기가 잘 안 되고 고민이 많아져요. 제가 그런 걸 잘 못하거든요. 사실 전 그렇게 다양한 면면을 지닌 사람이 아니에요(웃음).”

제가 생각하는 순수함이란 자기 안에 어떤 기준이 튼튼히 서 있고, 목에 칼이 들어와도 그 기준을 바꿀 수 없는 올곧음 같은 거예요. 반대로 요령을 부리거나 머리 굴리는 역을 맡으면 연기가 잘 안 되고 고민이 많아져요. 제가 그런 걸 잘 못하거든요. 사실 전 그렇게 다양한 면면을 지닌 사람이 아니에요(웃음).”

맞다. 한창 방영 중인 TV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꽃보다 청춘 ICELAND’(tvN)에서 하루아침에 아이슬란드로 납치돼 정상훈·정우·조정석 등 세 선배 배우들과 여행을 즐기는 그의 모습만 봐도 착하고 밝은 스물일곱 살 청년의 얼굴 그대로다. “그게 딱 실제 저예요. 사실 자기 전에 형들한테 떼쓰고 심한 장난도 쳤는데, 그건 방송에 안 나왔어요. 여행 마지막 날에는 ‘야자 타임’도 했는데, 방송에 내보내지 못할 것 같아요. 하도 욕을 많이 해서. 하하하.”

강하늘에게 좀 더 다양한 역할을 잘 소화하기 위해서는 평소 다양한 감정이나 생각을 직접 품어 봐야 하는 게 아니냐고 물었다가 훨씬 큰 대답을 돌려받았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좋은 배우가 되고 싶었는데, 지금은 좋은 사람이 되고 싶어졌어요. 좋은 사람이란 그저 착해 빠지기만 해서는 안 되고,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치사하고 속 좁은 감정까지 다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것 같아요. 주변 사람들에게 그런 좋은 사람으로 남는 게 목표예요. 삶 전체를 봤을 때 그게 좋은 배우가 되는 것보다 더 값진 것 같아요(웃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좋은 배우가 되고 싶었는데, 지금은 좋은 사람이 되고 싶어졌어요. 좋은 사람이란 그저 착해 빠지기만 해서는 안 되고,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치사하고 속 좁은 감정까지 다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것 같아요. 주변 사람들에게 그런 좋은 사람으로 남는 게 목표예요. 삶 전체를 봤을 때 그게 좋은 배우가 되는 것보다 더 값진 것 같아요(웃음).”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영화 `동주` 박정민. [사진=전소윤(STUDIO 706)]

박정민에게 물었다. ‘동주’에서 시인 윤동주를 아우르는 테마가 ‘부끄러움’이라면, 송몽규 열사의 테마는 무엇이라 생각하냐고.

그는 “정의”라고 답했다. 일제강점기 시절, 『윤동주 평전』(송우혜 지음, 푸른역사)에 묘사된 송 열사의 모습은 한 치 망설임 없이 “불 속으로 달려드는 불나방” 같았다면서. 1년째 휴대전화 배경 화면에 송 열사의 사진을 담고 있는 그가 말을 이었다.

 
시나리오를 읽으며 윤동주에 대한 송몽규의 마음이 뭘까 생각해 봤어요. 결론은 ‘형의 마음’이더라고요. ‘너는 시를 써라. 총은 내가 들게’란 송몽규의 대사처럼, 자신을 위험으로 내몰면서도 윤동주만큼은 끝까지 보호하고 싶어하니까요.”

시나리오를 읽으며 윤동주에 대한 송몽규의 마음이 뭘까 생각해 봤어요. 결론은 ‘형의 마음’이더라고요. ‘너는 시를 써라. 총은 내가 들게’란 송몽규의 대사처럼, 자신을 위험으로 내몰면서도 윤동주만큼은 끝까지 보호하고 싶어하니까요.”

함께 연기한 강하늘에 대해 물었다. “참 부러워요. 자기가 준비한 연기가 정답이 아니란 걸 알면 ‘멘붕’이 오게 마련인데, 늘 유연하게 정답을 찾아내더라고요. 연기를 잘한다는 건 알았지만 이제 그 이유를 알게 됐어요.”

이준익 감독이 박정민을 송몽규 역에 캐스팅한 데는 소속사(샘 컴퍼니) 선배 황정민의 추천이 큰 역할을 했다. ‘전설의 주먹’(2013, 강우석 감독)에서 황정민의 아역으로 출연했던 그는 ‘태양을 쏴라’(2015, 김태식 감독)를 비롯, TV 드라마 ‘너희들은 포위됐다’(2014, SBS) ‘일리 있는 사랑’(2014~2015, tvN) 등에서 주로 반항적이거나 유머러스한 캐릭터를 맡아왔다. 하지만 캐스팅 제의를 받고도 “왜 이준익 감독님 같은 분이 나처럼 검증 안 된 신인을 원하겠나” 하는 생각에 한동안 믿지 못했단다. 그 이야기가 진짜란 걸 알게 됐을 때, 기쁨도 그만큼 컸다.

그러나 실존 독립운동가의 삶을 연기하는 건 큰 부담이었다. “잘못된 해석으로 그분들의 숭고한 삶을 훼손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두 달간 치열하게 공부했다. 카페와 서점을 오가며 책과 대본에 매달렸다. 그 고민이 빼곡하게 기록된 대본과 노트는 이제 “나태해질 때 한 번씩 들춰보며 자신을 다독이는” 보물이 됐다.

그게 다가 아니다. 크랭크인을 두 달 앞둔 지난해 설 연휴, 박정민은 홀로 중국 용정에 있는 윤동주·송몽규의 생가와 묘소를 방문했다. “제가 원래 역사 의식이 투철하거나, 뛰어난 공감 능력이 있었더라면 가지 않았을 거예요. 그분들이 어떤 풍경을 보면서 자랐고 무슨 생각을 했는지 궁금해서 떠난 여행이었어요.”

윤동주와 송몽규의 묘소는 나란히 붙어 있다. 박정민은 비교적 잘 관리된 윤동주 시인의 묘소에 비해, 초라하고 풀이 바싹 마른 송 열사의 묘소에 마음이 아팠다고 했다. 독립을 위해 누구보다 치열하게 살았던 그가, 이렇게 잊혀져 버렸다는 사실이 슬퍼서. 면세점에서 산 소주로 소박하게 인사를 드렸다.

“그 앞에 선 순간, 설명할 수 없는 감정이 속에서 훅 밀려왔어요. 제가 너무 무례하게 느껴지더라고요. ‘넌 기껏 연기를 잘하고 싶다고 이분들 앞에 온 거야? 그렇게 연기를 잘하고 싶었어?’ 이런 생각이 머리를 세게 쳤어요. 그래서 소리 내 말씀드렸죠. ‘송구합니다. 두 분께 무엇을 바라고 여기에 왔는지 모르겠습니다. 두 분의 이름에 누가 되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멍하니 한두 시간 앉아 있는데, 까마귀 수십 마리가 제 주위를 돌며 까악 울어대더라고요. 불길하잖아요(웃음). 한국에 돌아와 감독님께 말씀드렸더니, ‘중국에선 까마귀가 길조니 좋은 징조’라고 하셨어요.”

그날의 경험은 박정민을 촬영 마지막 날까지 붙들었다. 송몽규가 일본 형사 앞에서 자신의 죄목을 시인하는 클라이맥스 장면까지.

갑자기 머릿속에 송 열사의 묘소가 스쳐갔어요. 순간… 가슴이 사무치게 억울하더라고요(그는 이 이야기를 하면서 목이 메었다). 묘소에 다녀오길 잘했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면목 없지만, 그분이 날 도와주셨다는 생각에 오케이 사인이 났는데도 울음이 멎질 않았죠. 그런데 감독님이 제 곁에 오셔서 엉엉 우시는 거예요. 고마움과 후련함이 교차했던 순간이었어요.”

갑자기 머릿속에 송 열사의 묘소가 스쳐갔어요. 순간… 가슴이 사무치게 억울하더라고요(그는 이 이야기를 하면서 목이 메었다). 묘소에 다녀오길 잘했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면목 없지만, 그분이 날 도와주셨다는 생각에 오케이 사인이 났는데도 울음이 멎질 않았죠. 그런데 감독님이 제 곁에 오셔서 엉엉 우시는 거예요. 고마움과 후련함이 교차했던 순간이었어요.”

장편 데뷔작 ‘파수꾼’(2011, 윤성현 감독) 이후 4년 만에 만난 ‘동주’는 인간 박정민을 재충전시킨 작품이었다. 연기를 포기해야 하나 고민하던 시기에 찾아온 ‘동주’는 그를 “오랜만에 에너지를 끓게 만들어준” 작품이었다.

“영화를 상업적인 가치로 평가할 수 없다는 강한 확신을 얻었어요. 만드는 과정 자체가 아주 아름다웠으니까요. 송 열사의 삶과도 닮았죠. 뚜렷한 ‘결실’이 없어 많은 이들이 기억해주지 않을지언정, 그 치열한 ‘과정’을 계속했던 사람들이 존재했기에 세상이 조금씩 변해온 것 같아요.”

박정민은 한때 영화감독을 꿈꿨다. 2006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영화과에 입학했지만, 연극 무대에 이끌려 2009년 학교 최초로 연기과에 전과했다. 연기과 동기인 변요한과는 단짝으로 유명하다. 두 사람은 ‘들개’(2014, 김정훈 감독)에서 호흡을 맞추기도 했다. 얼마 전 종영한 TV 드라마 ‘응답하라 1988’(tvN)에선 성보라(류혜영)의 나쁜 남자친구로 잠깐 얼굴을 비췄다. “한 차례 등장해 욕 먹고 퇴장할 걸 알면서도, 보다 입체적인 인물을 만들고 싶어” 류혜영에게 문자로 전후 맥락을 취재, 캐릭터의 살을 붙였다. 짧은 등장에도 매번 강한 인상을 남기는 이유는 바로 이런 노력의 산물이 아니었을까.

박정민은 트렌드 잡지 『탑클래스』에 ‘배우 박정민의 언희(言喜)’라는 제목으로 매월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솔직하게 일상 이야기를 전하는 그의 글엔 이미 고정 독자가 많다. “사실 일기 수준인데…. 사람들이 읽고 싶은 글을 쓰고 싶었어요. ‘직업만 배우지, 나도 당신들과 같아요. 내가 어떻게 사는지 볼래요? 아마 당신들보다 더 바보 같을 걸요?’ 이런 느낌이랄까(웃음).”

‘도광양회’(韜光養晦·자신의 재능이나 명성을 드러내지 않고 참고 기다린다). 얼마 전 박정민이 칼럼에서 언급한 사자성어다. ‘동주’가 그에게 그런 결실을 맺어줄 첫 작품이 아닐까. “그런 기대에 집착하기보다는 흔들리지 않고 마음을 다잡으려 노력 중이죠. (잘 안 되면) 상처가 될 수도 있겠죠. 원 밖에 있다가 순식간에 중심으로 떠오르는 배우들이 얼마나 많아요. 같은 배우로서 앞으로 달려나가는 그들의 등을 바라보는 게 참 힘들어요. 그런데 한편으론 하루아침에 유명해지는 게 무섭기도 해요. 독이 될 것 같아서요. 늘 있는 듯 없는 듯 평범하게 살아온 제 인생처럼, 원의 중심을 향해 조금씩 나갈 수 있다면 전 그걸 택하겠어요. 그 편이 제겐 더 어울려요.” 진중한 그의 말에 연신 고개를 끄덕이다 보니, “잘만 키우면 ‘한국 영화계의 더스틴 호프먼’이 될 것”이란 이준익 감독의 칭찬이 새삼 가볍게 들리지 않았다.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영화 `동주` 이준익. [사진=전소윤(STUDIO 706)]

‘사도’(2015)에서 사도(유아인)와 영조(송강호)의 부자 관계에 집중해 파국의 드라마를 그려냈던 이준익 감독. 그가 또다시 두 인물의 관계를 치밀하게 파고든, 비극의 서사 ‘동주’를 내놓았다. 윤동주와 송몽규, 서로에게 거울 같은 존재이자 라이벌이었던 두 사람의 뜨거웠던 미완(未完)의 청춘에 시대의 아픔을 녹여냈다. 지금껏 한 번도 영화화되지 않았던 윤동주의 삶을 흑백 화면에 담아낸 과정은 분명 의미 있는 도전이었다. 이준익 감독에게 도전의 이유를 물었다.
질의 :이 영화에 유독 애착을 보였다고 들었다.
응답 :“저예산에다, 흑백으로 찍었다. 그간 찍어 왔던 상업영화와는 전혀 다른 시도다. 각별할 수밖에 없지.”
질의 :형식적인 차별화를 시도한 이유는 뭔가.
응답 :“2011년 일본 교토국제사극영화제에 참가한 김에 도시샤 대학의 윤동주 기념비를 찾았다. 그 기념비가 남의 땅에 서 있는 뜻에 대해 영화로 풀어볼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교복을 입은 윤동주의 흑백 사진을 보며, 나의 중·고교생 시절 자화상을 보는 듯했다. 다들 윤동주 시(詩)에 비친 자신을 사랑하는 게 아닐까. 모두가 사랑하는 윤동주를 상업적 강박과 부담 속에서 소환하는 건 예의가 아니라 생각했다. 그래서 비(非)상업적인 방식으로 의미를 부여했다.”
질의 :한 달간 19회차 촬영은 너무 무리한 일정 아니었나.
응답 :“신나고 재미있었다. 상업적 부담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게 얼마나 행복한 일인데(웃음).”
질의 :시나리오를 제작자인 신연식 감독이 썼다.
응답 : “윤동주 영화를 저예산으로 찍고 싶은데 시나리오를 쓸 수 있겠냐고 물었더니, 좋다고 하더라. 그에게 윤동주와 송몽규, 둘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드라마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꽃다운 나이에 청춘을 유린당한 그들이 남긴 의미를 자세히 들여다보고 싶었다. 물론 ‘일본 군국주의여, 통렬히 반성하라’는 의미도 있다.”
질의 :윤동주와 송몽규의 비중이 비슷하다.
응답 :“일부러 그렇게 했다. 송몽규 없이 윤동주만으론 영화를 만들 수 없다. 드라마틱한 요소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70년간 그를 다룬 영화가 나오지 않은 거다. 송몽규가 동물적인 행동주의자라면, 윤동주는 강인한 식물 같은 관념주의자다. ‘참회록’ 같은 시도 쓸 줄 아는, 결단력 있는 상남자이기도 하다.”
질의 :‘사도’에 이어, 또다시 두 인물의 관계를 파고 들었다.
응답 :“어떤 사람의 진실은 동시대를 같이 살아왔던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나오는 것이다. 송몽규의 일련의 선택과 행동에 대해 열등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윤동주의 심경이 ‘자화상’이란 시에 녹아 있다. 송몽규가 교토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는 클라이맥스 장면에 그 시를 넣은 건, 일심이체 같은 둘의 관계에 대한 영화적 해석이다. 송몽규가 없었다면 윤동주는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질의 :윤동주는 알아도, 송몽규는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응답 :“윤동주는 과정은 대단하진 않지만 결과가 아름다워 누구나 기억한다. 하지만 송몽규는 과정은 아름답지만 결과가 없어서 아무도 기억 못한다. 실패한 사람들의 아름다운 과정을 소홀히 여기는 건 건강한 사회가 아니다. 나 또한 송몽규를 잘 몰랐다. 그게 부끄러워 이 영화를 찍었다. 이 영화를 통해 송몽규의 존재를 부각시키고 싶었다.”
질의 :부끄러움이야말로 윤동주 시의 미학이 아닌가.
응답 :“자신을 찾아온 윤동주에게 정지용 시인은 ‘부끄러움을 아는 건 부끄러운 게 아니네. 부끄러움을 모르는 게 부끄러운 것이지’라고 한다. 윤동주 시엔 부끄러움의 미학이 담겨 있다. 시대적 배경과 내면의 갈등, 어찌할 수 없음에 대한 자조적 한탄이 ‘참회록’ ‘서시’ ‘쉽게 씌어진 시’에 점철돼 있다. 정약용은 ‘시대를 아파하지 않는 건 시가 아니다’라고 했다. 윤동주는 그 말에 한 치도 어긋나지 않는 시를 썼다. 그의 시는 몸으로 쓴 것이지, 추상적인 관념이 아니다.”
질의 :강하늘과 박정민을 캐스팅한 이유는.
응답 :“강하늘은 내가 연출한 영화 ‘평양성’(2011)으로 데뷔한 배우여서 잘 안다. 외모와 목소리, 내면이 내가 생각한 윤동주와 흡사했다. 박정민 또한 송몽규와 많이 닮았다. 그가 출연한 영화를 보고, 박정민이 행동주의자의 면모를 갖고 있다고 확신했다.”
질의 :일제시대의 거리와 공간을 만들어내는 게 만만치 않았을 것 같다.
응답 :“윤동주와 송몽규가 자라난 북간도 용정마을과 비슷한 곳을 찾는 게 힘들었다. 기적적으로 강원도 고성에서 북방식 한옥이 보존된 왕곡 마을을 찾아냈다. 일제시대 건물이 남아 있는 소록도에선 두 주인공의 학창 시절 정취를 담아낼 수 있었다. 남원 서도역에는 일제시대에 지은 역장 관사가 그대로 남아 있는데, 거기서 윤동주의 하숙방 장면을 찍었다. 윤동주가 부산항에서 일본 시모노세키로 가는 관부 연락선을 타는데, 그 배 이름이 ‘경복환(景福丸)’이다. 일제가 조선의 궁 이름을 격하하기 위해 그렇게 이름 붙인 거다. 일제의 만행을 알리기 위해 일부러 넣은, 숨은 코드다.”
질의 :영화적 허구는 어떤 게 있나.
응답 :“동주를 설레게 하는 여대생 이여진(신윤주), 동주의 시를 사랑하는 일본 여인 쿠미(최희서)는 허구의 인물이다. 후쿠오카 감옥에서 일본 고등 형사(김인우)가 윤동주와 송몽규를 심문해 내란 음모죄로 엮으려는 것도 허구다. 그들은 이미 심문을 거쳐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2년형을 선고받고 투옥됐기 때문이다. 그런 영화적 재구성을 통해 본질을 더욱 명료하게 전달하려 했다.”
질의 :가장 좋아하는 윤동주의 시를 꼽는다면.
응답 :“시에 서열을 매기는 건 불손한 태도다. 그럼에도 하나를 꼽는다면, ‘아우의 인상화’다. ‘사람이 되지’라니, 얼마나 멋진 시인가. 요즘처럼 짐승 같은 사람이 넘쳐나는 세상에선 더욱 의미가 크다. 영화에 그 시와 관련한 장면이 나오는데,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신이다.”
질의 :고등 형사의 심문을 받던 윤동주와 송몽규가 피 토하듯 울분을 터뜨리는 신을 찍을 때 눈물을 흘렸다고 들었다.
응답 :“내가 펑펑 우는 게 메이킹 필름에도 담겼다. 형사가 사인하라고 들이미는 조서 앞에서 둘은 슬픔이 아닌, 통한의 눈물을 흘린다. 그리고 피눈물 나는 자기 고백의 대사를 토해낸다. 강하늘, 박정민의 혼신의 연기가 압권이었다. 두 인물의 영혼이 보이는 듯했다.”
질의 :윤동주·송몽규의 비극적인 삶에서 요즘 젊은이들은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응답 :“요즘 청춘이 아무리 아프다 한들, 윤동주와 송몽규만 하겠나. 고통스럽고 괴로운 순간에도 끝까지 자신에게 솔직하려고 노력하며 죽어갔던 둘의 삶을 온몸으로 맞이하면, 지금 나의 아픔과 고통은 이겨낼 수 있다는 위안을 받지 않을까. 사도세자의 비극도, 윤동주의 비극도 모두 아름답게 승화시켜야 한다. 젊은이들뿐만 아니라, 중장년도 이 영화를 통해 자기 안 어딘가에 남아 있거나 숨어 있는 청춘을 끄집어냈으면 좋겠다.”
질의 :윤동주가 만약 젊은 나이에 죽지 않았다면, 어떤 일을 했을까.
응답 :“안 그래도 그런 상상을 한 적 있다. 그가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 국어 선생님이 됐으면 좋았을 것 같다. 잃어버린 자신의 아름다운 청춘에 대해 학생들에게 얘기해주고, 더 아름다운 시를 쓰려고 고민하는 윤동주 선생님, 얼마나 멋있나.”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영화 `동주` 감독 이준익 배우 강하늘, 박정민.



[ 중앙일보] [하늘과 바람과 세 남자와 詩] ‘동주’ 강하늘·박정민 그리고 이준익 감독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57 영화 "동주"에서 나오는 노래 2016-02-27 0 5779
356 영화 <<귀향>> 보다... 2016-02-26 0 7129
355 "동주"에서 나오는 두 녀자의 대사와 동주의 시 2016-02-23 0 7054
354 "동주" 에서 삭제된 영상 보고싶다... 2016-02-23 0 5138
353 윤동주와 그를 빛내게 해준 <<흰 그림자>>들 2016-02-23 0 5989
352 두번 다시 본 영화 "동주" 2016-02-23 0 5148
351 <<368>>,ㅡ 그는 누구인가... 2016-02-21 0 4982
350 큰 어른이 그립다... 2016-02-21 0 4851
349 어제, 영화 "동주" 보다... 2016-02-21 0 4627
348 말은 사라지지만 글자는 영원히 남는다... 2016-02-20 0 4471
347 <<475>>는 바닷물 주사로 생체실험 당하다... 2016-02-19 0 5732
346 기억해야 할 죽음을 위하여 2016-02-19 0 6039
345 바로 지금, 동주를 기억해야 하는 까닭은... 2016-02-19 0 4730
344 역시 잊지 말아야 할 청년문사 - 송몽규 2016-02-19 0 5957
343 윤동주 친구들... 2016-02-19 0 4630
342 영화 <동주>를 보면서 가슴을 정화하기 2016-02-19 0 4848
341 <동주>, 청춘은 언제나 아파왔다... 2016-02-19 0 6236
340 흑백 저비용 영화 <동주> 는 상업성 영화가 아니다... 2016-02-19 0 5546
339 <동주>를 찍기 위해, 동주 묘소 다녀오다... 2016-02-19 0 6926
338 동주에 다 담지 못한 장면;우리가 맞고 있는 주사가 뭡니까... 2016-02-18 0 5047
337 <동주>가 개봉 되다... 2016-02-18 0 4727
336 2월 16일, 오늘, 윤동주 옥사 70번째 기일... 2016-02-16 0 4990
335 빛나던 미완성의 청춘 우리가 기억해야 할 별... 2016-02-16 0 7526
334 땡- <<우표학교>> - 윤동주 우표에 오르다 2016-02-16 0 6663
333 요즘 청춘들이 아무리 아프다 한들, 윤동주만 하겠나... 2016-02-16 0 5001
332 별을 노래한 영원한 청년 시인 윤동주 2016-02-16 0 6171
331 신화가 된 윤동주 2016-02-16 0 4908
330 땡땡!!- 국어시간; - 아이고 머리가 아찔... 2016-02-16 0 4557
329 땡!- 생활상식 93 2016-02-16 0 4924
328 진정한 친구가 그립다... 2016-02-15 0 5320
327 "등대'같은 친구 그립다... 2016-02-14 0 4860
326 땡~ 미술시간 - 색이미지 2016-02-14 0 6048
325 땡! 땡! 땡!- 축구는 서민 스포츠, 축구를 돌려 달라... 2016-02-12 0 4903
324 땡! 땡!- 생일축하의 노래의 어제와 오늘... 2016-02-11 0 4872
323 땡!- 1억파운드짜리 "피의 다이아몬드" 돌려달라!!! 2016-02-11 0 5020
322 영화로 배우는 윤동주 시인 2016-02-10 0 5563
321 영화 '동주'에 시 13편 흐르다... 2016-02-10 0 4948
320 영화 '동주' 이어, 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 예막... 2016-02-10 0 5566
319 영화 '동주'를 기다리며 2016-02-08 0 6405
318 전라도 사투리모음 2016-02-07 1 7635
‹처음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