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동주>, 청춘은 언제나 아파왔다...
2016년 02월 19일 00시 32분  조회:6237  추천:0  작성자: 죽림
동주’, 청춘은 예나 지금이나 시대 때문에 아파왔다...
[엔터미디어=]
 오랜만에 좋은 영화를 봤다. 사실 요즘 멀티플렉스에서 방영하는 영화들을 볼라치면 그 화려한 색감과 입체적인 연출 그리고 몇 초도 지나지 않아 시간과 공간을 점핑하듯 널뛰는 편집 속에서 영화를 본 것인지 롤러코스터를 탄 것인지 알 수 없어질 때가 있다. 그런데 영화 <동주>는 정반대다. 흑백 영화이고 영화의 흐름도 유려할 정도로 천천히 움직인다. 본래 인물을 염두에 두고 그려낸 것이겠지만 동주(강하늘)의 어딘지 어눌할 정도로 느린 말투까지도 지금의 속사포로 쏟아내는 영화 속 대사와는 너무나 다르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이 정반대로 가는 영화가 마음을 뒤흔든다. 그것은 물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윤동주 시인의 청춘과 죽음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화는 마치 윤동주 시인에게 후대로서의 예우를 보내듯 지극히 절제된 영상으로 그 얼굴에 비춰지는 정조와 생각들을 담아낸다. 영화는 그래서 지나칠 정도로 담담하지만 영화를 보는 이들의 가슴은 이내 먹먹해진다. 영화가 앞질러가며 우리의 눈과 귀를 자극으로 가리지 않으니, 그 정지된 듯한 화면 속에 동주의 눈빛 하나, 물기하나 없이 마른 입술, 흑백으로 처리되어 핏기는 알 수 없으나 투명해질 정도로 창백한 얼굴의 음영은 그대로 우리의 가슴을 서늘하게 파고든다.

강하늘의 목소리로 다시 읽혀지는 윤동주의 시는 영화를 통해 다시 생생하게 살아난다. 너무 유명해 흔해져버린 ‘서시’의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같은 구절이 영화 속에서 되살아난 동주의 시선과 겹쳐지면서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새삼 의미를 전해준다. 영화가 지금의 우리에게 던지는 두 가지 화두는 ‘청춘’과 ‘부끄러움’이다.

영화 속 윤동주는 그의 평생의 지기이자 경쟁자이자 사촌이었던 송몽규(박정민)와는 사뭇 다르다. 몽규가 당대 일제에 대항하던 행동파였다면 동주는 스스로 회고하듯 그의 ‘그림자’ 같은 존재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가 현실을 회피하기 위해 시로 숨어들었다는 얘기는 아니다. 시란 본래 현실과 무관할 수 없다. 진실 된 시를 쓴다는 건 그가 ‘서시’를 통해 다짐하듯 한 점 부끄럼이 없이 자신에게 주어진 길을 걸어가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래서 시인 동주는 어쩌면 시인으로서의 자신의 삶을 걸어간 것뿐이다. 다만 부끄러운 삶을 살지 않기 위해 노력했을 뿐이다. 하지만 이것이 어찌 쉬운 일일까. 부끄럽지 않게 살아간다는 것은 부끄러운 현실과 마주쳤을 때 첨예한 갈등과 마찰을 만들어내기 마련이다. 동주가 살았던 일제 강점기는 그래서 일본의 제국주의라는 현실이 그에게 부끄러운 삶을 용납하지 않게 했을 것이다.

“어느 시대나 청춘은 있었고, 청춘은 언제나 시대 때문에 아파왔다. 지금의 세대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준익 감독의 말처럼 <동주>는 그래서 지금 우리 시대에도 작지 않은 울림으로 다가온다. 이 땅의 무고한 청춘들은 모두가 그저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길 바라고 있을 뿐이다. 다만 부끄러운 현실이 그들을 바람에 스치우게 하고 있을 뿐.

바람에 맞서 서 있는 나무의 그 격렬한 고통은 스스로 항변해서가 아니라 그 자리에 오롯이 서 있음으로 해서 바람의 존재를 알린다. 동주라는 존재가 그렇다. 그는 당대의 현실 앞에 오롯이 부끄럽지 않게 서 있었기 때문에 그 혹독했던 현실의 부조리를 우리 앞에 드러냈다. 그리고 동주는 그 한 세기를 건너 힘겨운 현실 앞에 괜찮다는 듯 짐짓 무표정한 얼굴로 버텨내고 있는 지금의 청춘들과 겹쳐진다. 비록 힘겨워졌지만 부끄러워 할 필요는 없다. 현실이 부끄러운 것이니. <동주>가 지금의 청춘들에게 전하는 말이다.
///////////////////////////////////////////////////////

한 청년은 시를 사랑했고, 다른 청년은 세상을 사랑했다. 시대와 불화를 겪었던 청년들은 각자의 방식대로 자신을 사랑했다. 이준익 감독의 '동주'(18일 개봉)는 스물여덟, 청년인 채 삶을 마감한 시인 윤동주(강하늘)와 그의 사촌 송몽규(박정민) 이야기다. 소박하지만 가볍지 않고, 조용하지만 울림이 작지 않다.


이준익 감독은“저예산 영화를 또 찍을 수도 있다, 확신이 생기는 작품만 만난다면. 확신이 의심으로 변하는 영화는 망한다. 원래 인생은 확신과 의심 사이의 줄타기 같은 거니까”라고 했다.

지난 3일 서울 삼청동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대뜸 "윤동주의 시 좋아해요?"라고 물었다. 고개를 끄덕이자, "한국인은 윤동주의 시를 좋아하지만, 그의 삶과 죽음은 잘 모른다"고 했다. 이준익 감독은 4년 전 영화제 참석차 교토에 갔다. 그는 도시샤(同志社)대학에 들러 윤동주 시비를 보고 정지용 시에 등장하는 압천(鴨川)을 걸었다. 일본에 윤동주의 시를 사랑하는 이들의 모임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됐다. 이준익 감독은 이때 윤동주에 대한 영화를 만들기로 다짐했다.

▶관련기사 : 윤동주 70주기… 후쿠오카에 詩碑(시비) 추진

'러시안 소설' '프랑스 소설처럼'을 연출한 신연식 감독이 각본과 제작을 맡았다. 영화는 흑백으로 만들었다. 이준익 감독은 "사도가 250년 전 이야기, 왕의 남자는 500년 전 이야기다. 그땐 사진이 없으니까 컬러로 찍으면 그 시대 사람을 현재로 데려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72년 전 윤동주의 흑백사진을 봤다. 그걸 컬러로 살려내면 오히려 사실성이 떨어질 것 같았다"고 했다. 영화 제작비는 5억원. 그는 "이렇게 제작비가 적은 영화는 난생처음이다"고 했다. 전작(前作) 사도(2015)의 총제작비는 약 95억원이었다. "상업적 부담감이 없다는 게 어찌나 어마어마한 장점이 되던지. 자유분방했고, 본질에 몰입할 수 있었죠. 제작비가 많이 들어가면 성공과 실패에 대한 부담이 얼마나 큰데요. 그래서 '평양성' 망했을 때 은퇴 선언까지 안 했습니까, 하하!"


이 영화는 윤동주의 전기라기보다는 비극적인 시대를 다른 방식으로 살아간 윤동주, 송몽규 두 청년을 그렸다. 3개월 차이로 만주 명동촌의 같은 집에서 태어난 두 사람은 사촌 형제이자 친구, 라이벌로 자랐다. 영화에서 윤동주에게 '그림자'란 표현을 썼듯이 그는 언제나 송몽규보다 한발 뒤처졌다. 송몽규는 19세에 신춘문예에 당선이 됐고, 10대에 이미 독립운동단체에 가입했다. 윤동주는 송몽규를 따라 연희전문학교와 교토제국대학 시험을 봤지만, 교토제국대학 입시에는 낙방했다. 윤동주가 '남의 나라 육첩방'에서 시인의 천명(天命)을 다하고 있을 때, 송몽규는 유학생들을 규합해 혁명(革命)을 도모했다. 두 사람은 한 달 차이로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죽었다.

어두운 시대, 가볍지 않은 삶을 다루면서도 '동주'는 투명할 정도로 말갛다. 감정이나 사건이 고조될 때마다 그 상황에 어울리는 윤동주의 시가 내레이션으로 삽입된다. 시를 읊는 강하늘의 단정한 목소리가 영화 밖으로 흘러넘칠 뻔한 감정을 주워 담는다.

"모든 인간에겐 열등감이 있습니다. 윤동주는 그런 감정을 과대 포장하거나 왜곡하지 않고 부끄러움의 미학으로 승화시킨 거고. 그런 시인을 주인공으로 영화를 찍는 감독이 영화에 멋대로 의미 부여를 하고 감정 과잉을 하면 그건 (영화) 끝장나는 거예요. 윤동주를 영화적 도구로 사용해서 과도한 신파나 주의(主義)를 강조하지 않으려고 했죠. 그것이 그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했어요."

/영화 '동주'

이준익 감독은 "영화 30%는 상상력을 바탕으로 만들었다"고 했다. 극 중에서 윤동주가 호감을 갖는 '여진'이란 여학생도 허구의 인물이다. 스물여덟에 죽은 윤동주가 연애를 했거나 여자를 만났다는 기록은 없다. "윤동주가 소풍 가서 찍은 사진을 봤어요. 두 명의 여자 사이에 윤동주가 있는 걸 보고 거기에 상상의 여지를 넣었죠. 그가 여진을 이화학당의 기숙사에 데려다 주는 길에 묘한 감정이 싹트는 정도까지만 그렸어요. 스물여덟에 세상을 떠난 그에게, 그런 삶의 순간, 청춘의 순간을 선물해 주고 싶었습니다."

 

이 영화로 윤동주와 송몽규의 젊음은 거기 오래 남아 있을 것이다.

윤동주 序詩(서시) 읽다가… 고개 떨군 일본인들

"육첩방은 남의 나라/ 창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

2015년 2월 22일 오후 일본 도쿄(東京) 릿쿄(立敎)대학교 예배당. '윤동주 시인 70주기 추모 낭독회'에 참석한 일본 시민과 한국인 유학생 등 400여명은 일본어와 한국어로 번갈아 낭독되는 '쉽게 씌여진 시'를 지긋이 눈을 감고 경청했다. 이 시는 윤 시인이 릿쿄대 영문과 유학 시절 썼던 작품이다.


윤동주 70주기 추모 낭독회에서 김대원 릿쿄대성공회 주임사제가 '쉽게 씌어진 시'를 한국어로 낭독하고 있다. /양지혜 특파원

이날 낭독회에서는 초등학생부터 원로 배우에 이르기까지 국적과 세대를 초월한 이들이 '햇비' '풍경' '십자가' '참회록' '쉽게 씌여진 시' '서시' 등 윤 시인의 시 6편을 낭독했다. 섬유 예술가 가와이 미쓰코씨는 곱게 차려입은 한복에 쪽진 머리를 하고 '풍경'을 암송했다. 이 밖에도 '윤동주 장학생'으로 선정된 릿쿄대 유학생, 직장인, 배우 등이 낭독자로 나섰다. 대표작 '서시'는 참석자 전원이 한국어와 일본어로 함께 낭독했다.

박춘희(19)양은 "재일교포로 자라면서 윤동주 시인의 시는 많은 위로가 됐다"며 "오늘 낭독회에서 다시 용기를 얻었다"고 말했다. 요네무라 쇼지(米村正治·69)씨는 "종전(終戰)을 몇 달 앞두고 유명을 달리한 시인의 작품을 보며, 요즘 전쟁을 향해 치달아가고 있는 듯한 일본 사회 분위기를 반성하고 싶다"고 했다.

이 행사는 '시인 윤동주를 기념하는 릿쿄의 모임'이 주최했다. 야나기하라 야스코(楊原泰子·68)씨를 주축으로 릿쿄대를 졸업한 일본인들이 결성한 단체로 매년 2월 윤 시인의 기일에 맞춰 추모 낭독회를 열고 있다. 야나기하라씨는 "나 같은 전후 세대는 일본이 과거에 저지른 만행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윤 시인의 작품을 통해 일본의 역사 교육을 바로잡고, 생명과 평화의 메시지가 널리 알려지길 염원한다"고 말했다.

윤동주 生家 비석엔… '중국 조선족 애국시인'

중국이 중국 옌볜에 있는 시인 윤동주 생가(生家)를 관광지로 개발하며 '중국 조선족 애국 시인'이라고 소개하고 윤동주 시를 중국어로 번역해 홍보하고 있다.


윤동주 생가 주변 곳곳에는 중국어로 번역된 윤동주의 시비(詩碑)가 놓여 있다. 중국어로 번역돼 돌에 새겨진 윤동주의 시 ‘십자가’. 윤동주가 짓고, 리융이 번역했다고 적혀 있다.

중국 옌볜 조선족자치주 룽징(龍井)시 밍둥촌(明東村)에 있는 윤동주의 생가에는 그전에 없던 시멘트 벽과 문이 생겼고, 가로 약 4m, 세로 약 2m 크기의 경계석에 '중국 조선족 애국 시인 윤동주 생가'라고 적혀 있었다. 윤동주 생가는 룽징시가 우리 돈 9억여원을 들여 4개월간 공사해 정비했으며 2012년 8월 준공식을 열었다. 윤동주의 외숙인 김약연이 세운 명동교회에서부터 윤동주 생가까지의 흙길이 대리석으로 바뀌어 말끔해졌지만, 이 과정에서 명동교회 옆 십자가가 옮겨지고 곳곳에 중국어로 번역한 시비(詩碑)가 세워졌다.


룽징시는 2012년 8월 준공식을 열고 윤동주 생가를 관광지로 개발했다. 시멘트로 된 담벼락과 문이 생겼고, 경계석엔‘중국 조선족 애국시인 윤동주 생가’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윤동주는 모든 작품을 한글로 썼으며, 대부분의 작품은 그가 평양 숭실중학교에 다니던 시기와 서울 연희전문학교에 다니던 시기, 일본 교토에서 유학 생활을 하던 시기에 썼다. 윤동주의 육촌 동생으로 매년 이곳을 찾는다는 가수 윤형주씨는 "윤동주 시인의 원적은 함경북도 회령이며, 북간도로 이주한 것..."라고 말했다.

연세대 사회학과 류석춘 교수는 "'패, 경, 옥 이런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라는 구절이 있는 윤동주의 시 '별 헤는 밤'... "한글로만 시를 쓰는 등 정체성을 확고하게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옌지(延吉) 시내에서 차로 약 1시간 거리인 룽징(龍井)시 동산교회 기독교인 묘지에 있는 윤동주 묘지, 승용차로는 쉽게 접근하기 힘들 정도로 노면의 요철이 심하던 길은 최근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길의 초입까지만 시멘트로 포장됐다. 하지만 포장 도로가 끝난 지점부터 30여분 정도 광활한 옥수수밭 사이에 난 흙길을 걸어가야 한다. 최근 내린 비로 흙길은 뻘밭이 돼 있었다.

묘지 위치를 알고 있다는 근처 마을 노인과 윤동주 묘지를 찾아 나섰다. 차에서 내려 한참을 걸어 들어가고 난 후 오른쪽 풀밭 사이에서 '시인 윤동주 묘지'라는 작은 팻말을 발견했다. 풀밭을 헤치고 5분 정도 걸어가자 윤동주 묘지가 나타났다.

윤동주 묘지는 1984년 유족과 윤동주 연구가인 일본인 오무라 마스오 와세다대 명예교수가 20여 차례 중국을 오가며 묘지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을 탐사해 발견했다. 1945년 사망 당시 유족들이 세워둔 '詩人 尹東柱之墓(시인 윤동주지묘)'라는 비석 덕분이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57 영화 "동주"에서 나오는 노래 2016-02-27 0 5779
356 영화 <<귀향>> 보다... 2016-02-26 0 7129
355 "동주"에서 나오는 두 녀자의 대사와 동주의 시 2016-02-23 0 7055
354 "동주" 에서 삭제된 영상 보고싶다... 2016-02-23 0 5139
353 윤동주와 그를 빛내게 해준 <<흰 그림자>>들 2016-02-23 0 5989
352 두번 다시 본 영화 "동주" 2016-02-23 0 5149
351 <<368>>,ㅡ 그는 누구인가... 2016-02-21 0 4982
350 큰 어른이 그립다... 2016-02-21 0 4851
349 어제, 영화 "동주" 보다... 2016-02-21 0 4627
348 말은 사라지지만 글자는 영원히 남는다... 2016-02-20 0 4471
347 <<475>>는 바닷물 주사로 생체실험 당하다... 2016-02-19 0 5732
346 기억해야 할 죽음을 위하여 2016-02-19 0 6039
345 바로 지금, 동주를 기억해야 하는 까닭은... 2016-02-19 0 4730
344 역시 잊지 말아야 할 청년문사 - 송몽규 2016-02-19 0 5957
343 윤동주 친구들... 2016-02-19 0 4630
342 영화 <동주>를 보면서 가슴을 정화하기 2016-02-19 0 4848
341 <동주>, 청춘은 언제나 아파왔다... 2016-02-19 0 6237
340 흑백 저비용 영화 <동주> 는 상업성 영화가 아니다... 2016-02-19 0 5547
339 <동주>를 찍기 위해, 동주 묘소 다녀오다... 2016-02-19 0 6926
338 동주에 다 담지 못한 장면;우리가 맞고 있는 주사가 뭡니까... 2016-02-18 0 5047
337 <동주>가 개봉 되다... 2016-02-18 0 4728
336 2월 16일, 오늘, 윤동주 옥사 70번째 기일... 2016-02-16 0 4990
335 빛나던 미완성의 청춘 우리가 기억해야 할 별... 2016-02-16 0 7526
334 땡- <<우표학교>> - 윤동주 우표에 오르다 2016-02-16 0 6663
333 요즘 청춘들이 아무리 아프다 한들, 윤동주만 하겠나... 2016-02-16 0 5001
332 별을 노래한 영원한 청년 시인 윤동주 2016-02-16 0 6171
331 신화가 된 윤동주 2016-02-16 0 4908
330 땡땡!!- 국어시간; - 아이고 머리가 아찔... 2016-02-16 0 4558
329 땡!- 생활상식 93 2016-02-16 0 4925
328 진정한 친구가 그립다... 2016-02-15 0 5320
327 "등대'같은 친구 그립다... 2016-02-14 0 4860
326 땡~ 미술시간 - 색이미지 2016-02-14 0 6048
325 땡! 땡! 땡!- 축구는 서민 스포츠, 축구를 돌려 달라... 2016-02-12 0 4903
324 땡! 땡!- 생일축하의 노래의 어제와 오늘... 2016-02-11 0 4873
323 땡!- 1억파운드짜리 "피의 다이아몬드" 돌려달라!!! 2016-02-11 0 5020
322 영화로 배우는 윤동주 시인 2016-02-10 0 5564
321 영화 '동주'에 시 13편 흐르다... 2016-02-10 0 4948
320 영화 '동주' 이어, 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 예막... 2016-02-10 0 5566
319 영화 '동주'를 기다리며 2016-02-08 0 6405
318 전라도 사투리모음 2016-02-07 1 7636
‹처음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