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詩作할 때 상징적 시어를 잘 찾아 쓰기
2016년 04월 12일 22시 36분  조회:4949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어의 상징 의미 정리
 

 


*가시덤불 : ⓙ 역경 ② 형극의 길 ③ 험난한 과정

*가시밭 : ① 고난과 애로가 덮친 환경

*가을 : ① 결실, 충만, 보람 ② 소멸, 이별, 상실, 가난, 외로움, 쓸쓸함 등의 음울한 이미지 ③ 영혼의 정화, 맑고 정갈한 이미지

*가을밤 : 쓸쓸한 비애의 정조를 표상

*가을비 : 쓸쓸하고 허무한 정감의 상관물

*간 : ① 생명의 핵심이나 정수 ② 인간적 존엄성의 상징 ③ 자존심, 인간적 고통의 핵심

*갈대 : ① 허무, 고독, 인생을 상징 ② 마음을 쉽게 바꾸는 인간을 비유 ③ 왜유내강의 인간형을 비유

*갈대밭 : 쓸쓸하거나 매마른 심정을 비유

*감람나무 : 가지와 잎은 평화의 상징 일명 올리브

*감옥 : 삶 또는 사랑을 마음의 감옥으로 상징

*감자 : 유년시절의 넉넉함과 따뜻함에 대한 그리움의 표상

*강(江) : 1) 창조의 신비, 죽음과 재생, 정화와 구원, 비옥과 성장, 비옥 등의 원형적 상징성 2) 시간의 흐름 또는 인생에 비유되어 과거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변화와 지속의 표상 3) 고요한 강물은 거울의 역할을 하여 마음의 고요함을 드러냄 4) 경계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이승과 저승, 사랑과 이별, 만남과 떠남, 자아와 세계 등의 단절이나 거리감을 상징

*강물 : 그리움과 만남의 상징

*강아지풀 : 소박하고 전원적인 모습을 암유

*개 : 1) 충성과 용기, 보호와 인도 등을 상징 2) 추잡성, 동물성, 야수성을 상징 3) 보잘 것 없고 천한 인간의 삶을 대유, 일체의 정신적 속성을 상실한 삶의 적나라한 본능을 상징 4) 은어로서 경찰, 적

*개나리 : 영세민을 비유

*거미 :인간의 음흉한 모습을 상징, 위태로운 생존 방식을 의미, 거미집 짓기는 시 쓰기 상징

*거울 : ① 반성, 관조, 자아성찰 ② 사랑의 징표 ③ 미래에 대한 예언 ④ 거울의 깨어짐 → 언약의 파기, 죽음 ⑤ 시인의 자의식

*겨울 : 1)혹독한 추위와 어둠의 이미지 2)시련, 수난, 역경, 고독, 절망 등의 의미 내포 3)겨울과 겨울밤은 어두운 시대상황을 암유 특히 일제 강점하의 탄압이나 군부 독재하의 억압적 상황을 비유

*겨울강 : 1)쓸쓸함과 삭막함의 정서 2) 극복과 인고의 상징성

*겨울나무 : 본질만 남은 모습, 수난과 고독을 참고 있는 모습을 형상

*겨울 바다 : 삭막하고 추운 심정을 의미

*겨울밤 : 농민의 고달픈 삶을 형상화

*겨울비 : 속 깊은 아품이나 슬픔 2) 외로움이나 그리움을 표상

*견고한 고독 : 고독이 깊고 단단하여 하나의 본질에 근접한 상태를 형상

*고독 : 1)공허함, 그리움, 외로움이라는 내포적 의미 2) 삶에 대한 견인주의적 자세로서 내면적 강인성을 상징

*고양이 : 관능적이고 감각적인 모습의 한 상징

*고향 : 1) 순수한 유년시절에 대한 동경과 관련되어 $따뜻하고 자족적인 공간으로 상징 2) 고향의 긍정적 이미지는 현대의 훼손된 삶과 대비되면서 고향에 대한 상실감을 확산 3) 일제하의 고향 상실은 국권 상실로 비유

*공 : 가벼움과 튀어오름이라는 속성으로 인해 운명이나 현실의 한계, 절망이나 육신의 무게를 이겨내려는 상승 의지와 자유 의지를 상징

*과꽃 : 서민적 친숙함을 느끼게 하는 꽃.

*광음 : 빛과 그림자 즉 세월의 의미로 쓰임

*교목 : 소나무나 잣나무 따위

*꽃 : ① 아름다운 여인, 핵심적 존재 ② 봄이나 미(美) ③ 생명의 짧음, 쾌락의 덧없음, 아름다움의 일시성 ④ 사랑과 계절감 ( 소월의 시) ⑤ 절개, 생의 보람, 성숙 ( 서정주의 시 ) ⑥ 존재성 (김춘수의 시 ) ⑦ 우리 민족의 운명성 ( 이용악의 시 )

*꽃말 : 꽃의 분위기나 속성 또는 특징에 따라 상징적 의미를 부여한 뜻말

: 개나리(희망, 깊은 애정) 금잔화(이별의 슬픔) 나팔꽃(숨김없는 사랑) 달맞이꽃(가련한 사랑) 도라지(변함없는 애정) 목련(장엄, 은혜, 순결, 자연사랑) 모란(부귀, 호려, 수오지심) 무궁화(일편단심) 민들레(경솔, 사랑의 신탁) 백합(순결) 등

*꽃뱀 : ① 뱀을 관능적인 모습으로 감각화한 말 ② 존재의 거울(서정주의 花蛇)

*꽃비 : ① 꽃 필 무렵 내리는 비 ② 꽃이 흩날리는 모습을 비오는 모습에 비유

*꿈 : ① 실현시키고 싶은 이상이나 희망 ② 실현 가능성이 없는 공상적인 소망

*꿈하늘 : ① 멀고 아득하며 아름다운 하늘 ② 실현 가능성이 없는 이상 세계

*나(我) : ① 자아 발견에 따르는 자기 발견이나 자기 혐오의 시적 대상 ② 스스로 정체성을 찾고자 할 때의 인식의 대상

*나그네 : ① 고독한 사람 ② 단독자로서의 인생의 근원적 모습 ③ 객지를 떠 다니는 사람

*나룻배 : ① 인간 실존의 표상 ② 남을 위한 수고와 희생을 자신의 성숙한 자양분으로 삼음과 동시에 이웃의 기쁨으로 창조해 내는 보살의 정신, 인욕의 정신(한용운의 나룻배와 행인)

*나무 : ① 상승 지향성 ② 희망과 성취 ③ 자연의 순환적 생명력 ④ 인간에게 다양한 교훈을 주는 성인군자

*나비 : ① 영혼의 가벼움 ② 빛의 세계에 대한 매혹 ③ 봄 ④ 천상의 빛을 갈망하는 영혼이나 남녀간의 사랑 ⑤ 결혼 등으로 대표되는 기쁨이나 환희에 찬 세계 ⑥ ?이 여자를 상징하는 경우 나비는 벌과 함께 남자를 상징

*낙엽 : 쓸쓸하고 허무한 인생

*낙화(落花) : ① 살아져가야 할 삶의 모습 ② 모든 존재의 허무함과 비극적인 아름다움

* 노을 : ① 중년에 접어든 인생 ② 쇠퇴와 쓸쓸함, 비애와 우수의 정조 ③ 피의 이미지와 관련하여 열정과 강렬함

*농무(農舞) : ① 농민들이 추는 춤 ② 민족 정서에 뿌리를 두고 민족 공동체의 삶을 형상화(신경림의 농무)

*날개 : ① 탈속 ② 이 계의 경험(현실과 탈속) ③ 승화된 영혼(이상의 날개)

*눈물 : ① 슬픔, 고통, 시련 ② 참회, 회개 ( 정죄 의식 ) ③ 영혼의 정화

*바람 : ① 인간의 존재성을 일깨워 주는 촉매 ( ← 가변성, 역동성 ) ② 자유와 방황 ③ 수난, 역경, 시련 ④ 이성에 이끌려 들뜬 상태

*별 : ① 고결한 이상 ② 선한 마음 ③ 순수한 소망 ④ 정신의 순결성 ⑤ 도덕적 염결성 ⑥ 도달할 수 없는 거리감 ⑦ 신비감 ⑧ 인간 존재의 한 표상 ⑨ 심오한 인식 ⑩ 순정한 자아의 표상 ⑪ 신의 질서나 섭리 ⑫ 희생과 시련의 의미 ( 피묻은 별 )

*비둘기 ① 평화 ② 길조

*사슴 : ① 연약함 ② 고고함

*새 : ① 자유와 해탈 ② 영혼의 가벼움 ③ 완전한 자유 ④ 자유를 향한 열망 ⑤ 민중적 힘의 표상 ⑥ 저승새 ⑦ 현실적 삶을 초월하는 표상

*유리 : ① 견고 지향성 ② 투명 지향성 ③ 이성 지향성1. 유리 : ① 견고 지향성 ② 투명 지향성 ③ 이성 지향성

*은장도 :① 지조, 정절 ② 품격 ③ 신분, 영혼 수호 ④ 단절, 사랑, 여인

*은하수 : ① 경계 ② 여름밤 ③ 그리움

*진달래(두견화) : ① 민중의 사랑이나 정열 ② 한이나 울분 ③ 북한을 상징

*하느님 : ① 절대자 ② 경외의 대상

*하늘 : ①절대자, 조물주 ( 종교적 ) ② 절대 세계, 이상 세계 ③ 아버지나 남편 ④ 자유나 양심

*해 : ① 의지와 이성 ② 광명과 이상 ③ 생명력의 근원

*흰옷 : ① 우리 민족 ② 죽음, 환상 ③ 순수, 순결, 평화


이 자료는 『시어사전』(고려대학교 출판부 간)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시어의 함축적 및 상징적 의미는 그 시의 전체적 흐름속에서 파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흰 옷'이라는 시어의 함축의미는 ① 순수함, 순결함 ② 죽음 ③ 우리민족(백의민족) ④ 깨끗함 등 매우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

 

325.오동나무 사리 / 홍해리

 

 

 

 

 

 

 

오동나무 사리

 

홍 해 리

 

삼각산 도선사 앞 산록

옛 암자터

백년 된 오동나무 성자가 서 계시다

한때는 까막딱따구리의 집이 되어 주던 나무,

속살로 새끼를 품어 기르던 때

그때가 한때였을까

지금은 사리로 서서 화엄의 경을 펼치고 있다

자연의 조화를 보여 주기 위해

자연의 질서를 설법하기 위해

죽어서도 하늘을 떠받치고 있다

온몸이 하나의 흰 뼈다

천년의 자연은 이런 것이라고, 그리고

천년의 순환을 보여 주기 위해

평생 단벌로 살다 가신 스님

죽어서도 환하게 웃고 계시다.

 

 

홍해리 시집 <비밀> 중에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3 한국 문학상들 모음 2015-02-12 0 4995
32 수수께끼 유머 100선 2015-02-11 0 4429
31 하늘이 주는 세번의 기회... 2015-02-11 0 4593
30 하루에 한가지씩... 2015-02-08 0 3891
29 연변방언 모음 2015-02-08 2 6936
28 방언, 그 재미... 2015-02-08 2 5633
27 방언詩 모음 2015-02-08 0 7505
26 영상시 제작 방법 2015-02-07 0 5831
25 시어록편 ㅡ 최룡관 정리 2015-02-04 3 4410
24 <<동방문학>>에 실린 하이퍼시 한수 2015-02-04 0 3541
23 이육사문학제 유치를 위해 뛰다 2015-02-03 0 6144
22 한국 교보문고 시집 광고 2015-02-03 0 4866
21 두만강여울소리 시탐구상 2015-02-03 0 5323
20 시;- 나의 새 일기장 2015-02-03 0 4835
19 가사와 시;- 다시 만납시다... 2015-02-03 0 5035
18 시;- 새벽(건), 새벽(곤). 2015-02-03 0 4867
17 가사;ㅡ <<하늘, 그리고 죽림동 아버님>>, 자웅편;- <<새벽, 그리고 죽림동 어머님>> 2015-02-03 0 4779
16 가사;ㅡ 두만강아가씨 2015-02-03 0 5289
15 흑룡강신문 윤운걸 보도 2015-02-03 0 5506
14 연변일보 해란강문학상 2015-02-03 0 3966
13 시;- 빛의 하루 2015-02-03 0 4845
12 시;- 나는 두만강 하얀 물새 2015-02-03 0 3748
11 가야하문학상 2015-02-02 0 4103
10 조글로 보도 2015-02-02 0 3754
9 길림신문 김태국 보도 2015-02-02 0 4631
8 한국 경북매일 기사 2015-02-02 0 3900
7 <<연변모이자>>기사 2015-02-02 0 5086
6 대구시인학교에서 2015-02-02 0 4775
5 흥천사에서 2015-02-02 0 3575
4 삼합 두만강역에서 2015-02-02 0 4566
3 시;- 8월의 그 어느날 2015-02-02 0 3836
2 시;- 새해를 위하여 2015-02-02 0 3692
1 그때 그시절... 2015-02-02 0 5433
‹처음  이전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