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곽재구 - 사평역에서
2016년 05월 01일 18시 48분  조회:4912  추천:0  작성자: 죽림

 

사평역(沙平驛)에서

 

곽재구


 

 

 

막차는 좀처럼 오지 않았다 

대합실 밖에는 밤새 송이눈이 쌓이고 

흰 보라 수수꽃 눈시린 유리창마다 

톱밥난로가 지펴지고 있었다 

그믐처럼 몇은 졸고 

몇은 감기에 쿨럭이고 

그리웠던 순간들을 생각하며 나는 

한줌의 톱밥을 불빛 속에 던져주었다 

내면 깊숙이 할 말들은 가득해도 

청색의 손바닥을 불빛 속에 적셔두고 

모두들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산다는 것이 때론 술에 취한 듯 

한 두릅의 굴비 한 광주리의 사과를 

만지작거리며 귀향하는 기분으로 
 

침묵해야 한다는 것을 

모두들 알고 있었다 

오래 앓은 기침소리와 

쓴 약 같은 입술담배 연기 속에서 

싸륵싸륵 눈꽃은 쌓이고 

그래 지금은 모두들 

눈꽃의 화음에 귀를 적신다 

자정 넘으면 

낯설음도 뼈아픔도 다 설원인데 

단풍잎 같은 몇 잎의 차창을 달고 

밤열차는 또 어디로 흘러가는지 

그리웠던 순간을 호명하며 나는 

한줌의 눈물을 불빛 속에 던져 주었다. 

<1981년>
 

▲ 일러스트=권신아
조그만 간이역에 눈은 푹푹 내려 쌓이고, 푹푹 내려 쌓이는 눈 때문에 막차는 오지 않는다. 사람들은 대합실에서 오지 않는 막차를 기다리고 있다. 부려둔 보따리나 꾸러미에 기대 누군가는 졸고, 누군가는 담배를 피우고, 누군가는 웅크린 채 쿨럭이기도 한다. 털모자에 잠바를 입은 사내는 간간이 난로에 톱밥을 던져 넣으며 깊은 생각에 빠져 있다. 난로 위 주전자는 그렁그렁 끓는 소리를 내며 수증기를 내뿜고, 시계는 자정을 넘어서고….

시대적 아픔을 서정적으로 그려냈다고 평가되는 곽재구 시인의 데뷔작 '사평역에서'(1981)를 읽을 때마다 나는 울컥한다. 아름다우면서 서럽고, 힘들지만 따뜻했던 그때 그 시절의 풍경을 소중한 흑백사진처럼 남기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에는 지난 시절의 희망과 절망이 눈보라로 흩날리고 있다, 모래처럼 톱밥처럼. 그 울컥함이 소설(임철우 '사평역에서'), 드라마(TV문학관 '사평역', '길 위의 날들'), 노래(김현성 '사평역에서')로 장르를 달리하며 독자들의 공감을 얻게 했으리라.

이십대에 쓴 시답게 감각과 묘사가 풋풋하다. 깜깜한 유리창에 쌓였다 녹는 눈송이들은 흰 보라 수수꽃(라일락꽃)빛이다. 사람들이 그믐처럼 졸고 있다는 표현은 절묘하다. 확 타올랐다 사그라지는 난로 속 불빛은 톱밥을 던져 넣는 청색의 손바닥과 대조를 이룬다. 간헐적으로 내뱉는 기침 소리는 '눈꽃의 화음'을 강조하고, 뿌옇게 피어올랐다 사라지는 담배 연기는 회억(回憶)처럼 떠올랐다 가라앉곤 한다. 

한줌의 톱밥을 던지는 '나'는 무슨 사연을 간직한 걸까? 기다리는 막차는 올까? 모든 역들은 어디론가 흘러가기 위한 지나감이고 경계이다. 하여 모든 역들이 고향을 꿈꾸는 것이리라. 사평은 나주 근처에 있는 조그만 마을이다. 그 사평에 사평역이 없다니, 그토록 울컥하게 했던 사평역이 어디에도 없다니, 그래서 더욱 우리를 울컥하게 하는 것이겠지만.[정끝별 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63 [안녕?- 아침 詩 한송이]- 미친 약속 2016-03-10 0 4215
1162 <노을> 시모음 2016-03-10 0 5048
1161 詩作初心 - 시의 제목 잘 선별하기 2016-03-10 0 5224
1160 詩作初心 - 시는 두겹으로 그림을 그려라 2016-03-09 0 5737
1159 詩作初心 - 시는 20행이하로... 2016-03-09 1 7055
1158 <개> 시모음 2016-03-08 0 4525
1157 [안녕?- 아침 詩 한송이]ㅡ 봄소동 2016-03-08 0 4143
1156 "나는 단어를 찾는다"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 2016-03-07 0 3839
1155 [동시야 놀자]- 지각 대장 싸움 대장 2016-03-07 0 4263
1154 [동시야 놀자]- 쫑마리 2016-03-07 0 3838
1153 [동시야 놀자]- 오줌싸개 지도 2016-03-07 0 4297
1152 [동시야 놀자]- 아름다운 국수 2016-03-07 0 4436
1151 [동시야 놀자]- 까만 밤 2016-03-07 1 4378
1150 [동시야 놀자]- 봉숭아 2016-03-07 0 4344
1149 [안녕?- 아침 詩 두송이]- 들깨를 터는 저녁 / 뜨개질 2016-03-07 0 4573
1148 {안녕? - 아침 詩 한송이} - 白石 詩 2016-03-06 0 5507
1147 詩作初心 - 좋은 시를 모방하되 자기 색갈 만들기 2016-03-06 0 8024
1146 詩에서 상상은 허구, 가공이다... 2016-03-04 0 5188
1145 {안녕?- 아침 詩 두송이} - 나무들의 목소리 2016-03-04 0 4465
1144 詩는 그 어디까지나 상상의 산물 2016-03-04 0 4748
1143 [아침 詩 두수] - 황지우 시 두수 2016-03-03 0 4650
1142 산문시가 산문이 아니다라 詩이다 2016-03-03 0 4800
1141 산문과 산문시의 차이 알아보기 2016-03-03 0 4937
1140 산문시와 산문을 구별해보자 2016-03-03 0 4533
1139 "시의 본질" 이라는 거울앞에 서보자 2016-03-03 0 4343
1138 독자가 없으면 詩는 존재할수 있다... 없다... 2016-03-03 0 4826
1137 밀핵시(密核詩)란? 2016-03-02 0 4798
1136 [아침 詩 한수] - 내가 뜯는 이 빵 2016-03-02 0 4275
1135 눈물보다 독한 술은 없다... 있다... 2016-03-02 0 4158
1134 詩의 천하루밤 2016-03-02 0 4236
1133 詩作初心 - 독자 없는 시대를 독자 있는 시대로... 2016-03-02 0 4619
1132 詩作初心 - 詩를 읽는다는것은... 2016-03-01 0 4497
1131 詩作初心 - 한편의 시를 탈고하기 위하여... 2016-03-01 0 5351
1130 [아침 詩 한수] - 어떤 평화 2016-02-29 0 4818
1129 詩作初心 - 좋은 詩 없다... 있다... 2016-02-26 0 4461
1128 詩作初心 - "詩의 본질"이라는 거울앞에서ㅡ 2016-02-26 0 4514
1127 [아침 詩 두수] - 늙은 꽃 / 기적 2016-02-26 0 4420
1126 [아침 詩 한수] - 가벼운 농담 2016-02-25 0 4492
1125 민족시인들을 찾아서... 2016-02-25 0 5108
1124 詩作初心 - 詩의 출발은 사춘기, 고정관념 벗어나기 2016-02-24 0 4607
‹처음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