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名詩 공화국

다시 보는 현대시 100
2016년 05월 01일 19시 31분  조회:3783  추천:0  작성자: 죽림
@@ = 클릭해보기...

[애송시 100편-제100편] 모란이 피기까지는-김영랑

[애송시 100편-제99편] 저문 강에 삽을 씻고-정희성

[애송시 100편-제98편] 오산 인터체인지-조병화

[애송시 100편-제97편] 맨발 - 문태준

[애송시 100편-제96편] 비망록-김경미

[애송시 100편-제95편] 인파이터 - 코끼리군의 엽서, ...

[애송시 100편-제94편] 가지가 담을 넘을 때-정끝별

[애송시 100편-제93편] 감나무-이재무

[애송시 100편-제92편] 참깨를 털면서-김준태

[애송시 100편-제91편] 거짓말을 타전하다-안현미

[애송시 100편-제90편] 추일서정(秋日抒情)-김광균

[애송시 100편-제89편] 철길-김정환

[애송시 100편-제88편] 낙화-이형기

[애송시 100편-제87편] 껍데기는 가라-신동엽

[애송시 100편-제86편] 서시-이시영

[애송시 100편-제85편] 낙화-조지훈

[애송시 100편-제84편]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김광규...

[애송시 100편-제83편] 솟구쳐 오르기 2-김승희

[애송시 100편-제82편] 해바라기의 비명(碑銘)-함형수...

[애송시 100편-제81편] 보리피리-한하운

[애송시 100편-제80편] 갈대 등본-신용목

[애송시 100편-제79편] 투명한 속-이하석

[애송시 100편-제78편] 일찌기 나는-최승자

[애송시 100편-제77편] 국토서시(國土序詩)-조태일

[애송시 100편-제76편] 조국(祖國)-정완영

[애송시 100편-제75편] 성북동 비둘기-김광섭

[애송시 100편-제74편] 절벽-이상

[애송시 100편-제73편] 반성 704 - 김영승

[애송시 100편-제72편] 마음의 수수밭 - 천양희
[애송시 100편-제71편] 진달래꽃-김소월

[애송시 100편-제70편] 방심(放心) - 손택수

[애송시 100편-제69편] 농무-신경림

[애송시 100편-제68편] 이탈한 자가 문득 - 김중식

[애송시 100편-제67편] 칼로 사과를 먹다-황인숙

[애송시 100편-제66편] 의자-이정록

[애송시 100편-제65편] 생명의 서(書)-유치환

[애송시 100편-제64편] 섬진강1 - 김용택

[애송시 100편-제63편] 그리스도 폴의 강(江) 1 - 구상...

[애송시 100편-제62편] 눈물-김현승

[애송시 100편-제61편] 노동의 새벽-박노해

[애송시 100편-제60편] 울음이 타는 가을강(江)-박재삼...

[애송시 100편-제59편] 사철나무 그늘 아래 쉴 때는-장...

[애송시 100편-제58편]수묵(水墨) 정원9-번짐-장석남

[애송시 100편-제57편] 달은 추억의 반죽 덩어리-송찬...

[애송시 100편-제56편] 상한 영혼을 위하여 - 고정희

[애송시 100편-제55편] 봄바다 - 김사인

[애송시 100편-제54편] 나그네-박목월

[애송시 100편-제53편] 바다와 나비 - 김기림

[애송시 100편-제52편] 내 몸속에 잠든 이 누구신가 -...

[애송시 100편-제51편] 타는 목마름으로-김지하

[애송시 100편-제50편] 봄 - 이성부

[애송시 100편-제49편] 바람의 말 - 마종기

[애송시 100편-제48편] 서시 - 윤동주

[애송시 100편-제47편]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

[애송시 100편-제46편] 어디로? - 최하림

[애송시 100편-제45편] 향수 - 정지용

[애송시 100편-제44편] 너와집 한 채 - 김명인

[애송시 100편-제43편] 쉬 - 문인수

[애송시 100편-제42편]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

[애송시 100편-제41편] 6은 나무 7은 돌고래 - 박상순...

[애송시 100편-제40편] 박꽃 - 신대철

[애송시 100편-제39편] 전라도 가시내 - 이용악

[애송시 100편-제38편] 긍정적인 밥 - 함민복

[애송시 100편-제37편] 문의(文義)마을에 가서 - 고은...

[애송시 100편-제36편] 우리 오빠와 화로 - 임화

[애송시 100편-제35편] 그릇1 - 오세영

[애송시 100편-제34편] 어떤 적막 - 정현종

[애송시 100편-제33편] 저녁의 염전 - 김경주

[애송시 100편-제32편] 소 - 김기택

[애송시 100편-제31편] 혼자 가는 먼 집 - 허수경

[애송시 100편-제30편] 사라진 손바닥 - 나희덕

[애송시 100편-제29편] 성탄제 - 김종길

[애송시 100편-제28편] 순은(純銀)이 빛나는 이 아침에...

[애송시 100편-제27편] 광야 - 이육사

[애송시 100편-제26편] 산정 묘지 - 조정권

[애송시 100편-제25편] 잘 익은 사과 - 김혜순

[애송시 100편-제24편] 산문(山門)에 기대어 - 송수권...

[애송시 100편-제23편]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백석...

[애송시 100편-제22편] 푸른 곰팡이-산책시1, 이문재

[애송시 100편-제21편] 귀천 - 천상병

 

[애송시 100편-제20편] 삽, 정진규

[애송시 100편-제19편] 겨울 바다,김남조

[애송시 100편-제18편] 님의 침묵 - 한용운

[애송시 100편-제17편] 별들은 따뜻하다 , 정호승

[애송시 100편-제16편] 우리가 물이 되어, 강은교

[애송시 100편-제15편] 목마와 숙녀, 박인환

[애송시 100편-제14편] 한계령을 위한 연가, 문정희

[애송시 100편-제13편] 빈집, 기형도

[애송시 100편-제12편] 저녁눈, 박용래

[애송시 100편-제11편] 대설주의보, 최승호

[애송시 100편-제10편] 사슴, 노천명

[애송시 100편-제9편] 한잎의 여자, 오규원

[애송시 100편-제8편] 묵화, 김종삼

[애송시 100편-제7편] 사평역에서, 곽재구

[애송시 100편-제6편] 동천, 서정주

[애송시 100편-제5편] 꽃, 김춘수

[애송시 100편-제4편] 즐거운 편지, 황동규

[애송시 100편-제3편] 남해금산, 이성복

[애송시 100편-제2편] 풀, 김수영

[애송시 100편-제1편] 해, 박두진

 
 

국 현대시 100년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시 100편"

 

시시지락(詩詩之樂)을 꿈꾸며 시의 부활을 노래하다

 

1908년에 발표된 육당 최남선의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효시로 한국 현대시가 100주년을 맞았다. 이를 기념하여 조선일보에서는 ‘한국 현대시 100년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시 100편’이라는 타이틀로 1월 1일부터 5월 4일까지 연재하였고, 시 연재의 새 바람을 일으키며 문단과 독자들에게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전국의 시 애호가들 사이에 신문 스크랩 열풍을 불러일으켰으며, 개인 홈페이지와 블로그에 시를 퍼 나르는 ‘사이버 스크랩족(族)’들도 생겨났다. 이를 책으로 엮어 달라는 독자들의 열화와 같은 성원에 힘입어 마침내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베스트 시 100편’이 아닌 ‘애송시 100편’인 만큼 문학사적 의미를 따지기보다는 입에 착착 붙는 시들이 많다. 해설자들이 개인적인 취향으로 시를 고른 것이 아니라 100명의 시인들이 시를 추천했기 때문에 다양한 시가 소개됐다. 김소월, 한용운부터 김수영, 기형도를 거쳐 안현미, 김경주 같은 젊은 시인들의 시가 나란히 소개된 것이 참신하다. 여기에 정끝별·문태준 시인의 깊이와 재미를 아우르는 맛깔스러운 해설과 인기 일러스트레이터 권신아․잠산의 감각적인 그림이 어우러져 시의 감동을 더했다.

해설자들은 연재할 시들의 정본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이 가장 힘들었다고 한다. 맞춤법조차 확립되지 않았을 때 쓰인 시들이 다수였고, 개정판을 낼 때 시인 스스로 작품을 고친 경우도 있었기 때문이다. 사투리 처리 문제도 늘 고민거리였다. 고민 끝에, 시의 맞춤법과 띄어쓰기는 현행 맞춤법 규정을 따랐으나, 단, 어감이 현저하게 달라질 경우를 고려하여 고어, 사투리, 뉘앙스가 있는 것들은 그대로 두었다.

해설을 맡은 정끝별 시인은 “전통적인 애송시와 함께 최근 발표된 시들이 골고루 포함돼 있기 때문에 독자들이 풍성함과 신선한 느낌을 함께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으며, 문태준 시인은 “예전에는 시집이 서점에서 독자를 기다렸지만, 지금은 시를 소개할 다양한 무대와 장치를 고안해서 시가 독자를 찾아가야 한다.”라고 말하며 시단의 적극적인 대응을 강조했다.

오세영 서울대 명예교수는 “신문에서 시를 연재하며 이렇게 많은 시인을 참여시킨 전례가 없다. 기획에서부터 시인들과 국민이 동참하도록 해 시 연재를 국민적 축제로 격상시켰다.”라고 평가했으며, 최동호 고려대 국문과 교수는 일러스트에 주목하며 “젊은 영상 세대들까지 끌어들인 멋진 발상이다. 함께 소개된 일러스트는 시라는 장르가 원래 그림이나 노래와 함께 하나로 향유되던 예술이었다는 점을 새삼 일깨워 주었고, 디지털 시대에 시와 다른 장르의 성공적인 합일 가능성까지 엿보게 한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 애송시 100편 어떻게 골랐나

 

100편의 시를 선정하기 위해 현역 시인 100명에게 각자 10편씩 추천을 의뢰했다. 그 결과 156명의 시인이 쓴 작품 429편이 1회 이상 추천을 받았다. 현대시 100년이 이룬 다양한 성과를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다수 추천작 순으로 시를 선정하는 대신 2회 이상 추천을 받은 시인 89명과, 1회 추천 시인 가운데 11명을 추가해 100명의 시인을 확정했고, 시인마다 1편씩 소개하는 방식으로 연재 대상 시를 골랐다.

설문 결과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시는 김수영의 「풀」이었다. 이 밖에 한용운 「님의 침묵」, 백석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김소월 「진달래꽃」, 김춘수 「꽃」, 윤동주 「서시」, 서정주 「동천」, 신경림 「농무」, 정지용 「향수」, 박목월 「나그네」가 ‘추천 횟수 베스트 10’에 포함됐다. 작가별로는 서정주 시인이 62회 추천을 받아 이 부문 수위를 기록했으며, 김수영 시인은 58회로 2위에 올랐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464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4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박남수 - 새 2015-12-18 0 3283
343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김현승 - 가을의 기도 2015-12-17 0 3918
342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김춘수 - 꽃을 위한 序詩 2015-12-17 0 4253
34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김수영 - 풀 2015-12-16 0 6498
34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휴전선 시인" - 박봉우 - 휴전선 2015-12-15 0 3435
33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구상 - 초토(焦土)의 시 8 2015-12-15 0 3955
33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문둥이" - 보리피리 시인 한하운 - 보리피리 2015-12-15 0 4420
33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李壽福 - 봄비 2015-12-15 0 2710
33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박인환 - 목마와 숙녀 2015-12-15 0 4281
33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서정주 - 국화옆에서 2015-12-14 0 4234
33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박두진 - 靑山道 2015-12-14 0 2742
333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함형수 - 해바라기 碑銘(비명) 2015-12-14 0 2491
332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윤동주 - 서시 2015-12-14 0 2989
33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李陸史(264) - 청포도 2015-12-14 0 5241
33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심훈 - 그날이 오면 2015-12-12 0 3355
32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박목월 - 청노루 2015-12-12 0 4616
32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조지훈 - 승무(僧舞) 2015-12-12 0 5080
32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김기림 - 바다와 나비 2015-12-11 0 3358
32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오장환 - 고향 앞에서 2015-12-11 0 4822
32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류치환 - 깃발 2015-12-11 1 2577
32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이용악 - 전라도 가시내 2015-12-11 1 4145
323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김영랑 -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내 마음을 아실 이 2015-12-11 0 4139
322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김광균 - 外人村 2015-12-11 0 2877
32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李箱 - 오감도 / 거울 2015-12-11 1 5257
32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신석정 -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2015-12-11 0 3004
31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백석 - 고향 2015-12-11 0 4441
31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정지용 - 향수 2015-12-10 0 3641
31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한용운 - 님의 침묵 2015-12-10 0 3071
31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리상화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2015-12-10 0 2812
31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김동환 - 국경의 밤 2015-12-10 0 2469
31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김소월 - 가는 길 / 진달래꽃 2015-12-10 0 4524
313 소식 前后적벽부 2015-10-13 0 2832
312 70년대 김지하 시 <<五賊>> 2015-10-08 0 2387
311 李陸史 청포도 2015-09-16 0 3919
310 영국 명시인 - 테드 휴즈 2015-08-03 0 2827
309 향수 原本 詩 2015-07-31 0 2191
308 녀류시인 - 김남조 시모음 2015-07-23 0 4206
307 가나다라 순으로 된 시인 클릭해 보기 2015-07-21 0 3853
306 일본 천재시인 - 테라야마 슈우시 2015-07-18 0 3793
305 명시인 - 주요한 2015-07-17 1 4042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