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윤동주 미발표작 詩 발굴되다...
2016년 10월 10일 18시 41분  조회:2835  추천:0  작성자: 죽림
윤동주 시 발굴
----------------------------------------------------------------------

[별헤는 밤]과 [서시]의 민족시인 윤동주(1917∼1945)의 작품 중 그동안 전
혀 알려지지 않았던 시-동시 육필원고 8편이 새로 공개됐다. 이와 함께 [죽
는날까지 하늘을 우러러/한 점 부끄럼 없기를…]로 시작되는 유명한 [서시]
를 비롯, 그가 생전에 남긴 육필 원고 1백50점, 소장 도서와 메모, 신문 
스크랩 등이 처음으로 일괄공개돼 일제 암흑기 비운의 요절 시인 윤동주의 
모든 것을 알 수 있게 됐다.

미공개 시들은 윤동주의 조카 윤인석(윤동주 동생 일주씨 장남·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씨가 윤동주와 관련된 모든 기록을 컬러 사진으로 담아 학계
에 자료집으로 내놓기로 결심함에 따라 21일 공개됐다.

새로 공개된 작품은 시 [가슴 2]와 [울적] [야행] [비삥뒤] [어머니] [가로
수], 동시 [개], 동요 [창구멍] 등 8편이다. 1934∼1939년(18∼23세), 간도 
은진-광명학교와 평양숭실중학교 연희전문 등을 다니며 시인의 꿈을 키우던 
문학 습작기를 반영한 작품들이다. 이들 작품은 윤동주의 제1습작시집 [나
의 습작기의 시 아닌 시]와 제2습작시집 [창]에 각각 실렸으나 그가 1941년 
자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낼 때 빠졌으며, 광복후 윤동주 시집
을 내는 과정에서도 후손들이 공개하지 않아 실리지 못했다. {새로 공개된 
작품들은 윤동주 자신이 마음에 들지않아 ×표를 한 것들이지만, 이중 [비
삥뒤]나 [어머니]같은 좋은 작품에 그가 왜 ×표를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
고 검토한 오오무라(와세다대·한국문학)교수는 말했다.

윤인석씨는 {50년 넘게 집안에서 보관해 왔으나 분실 훼손의 염려가 항상 
있어 더 늦기 전에 모든 자료를 컬러 사진 판으로 세상에 공개하기로 했다}
고 말했다. 이 자료집은 [사진판 윤동주 육필 시고 전집]이란 제목으로
맞춰 민음사에서 발간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62 詩속에 음악성을 듬뿍듬뿍 띄워야... 2016-07-27 0 3373
1561 흑룡강의 시혼과 함께...강효삼론/허인 2016-07-26 0 3360
1560 詩의 文脈은 山脈, 血脈 등과 간통해야 한다... 2016-07-26 0 3688
1559 보리피리 시인=파랑새 시인 2016-07-25 0 3218
1558 詩의 리론을 깨끗이 잊는것도 공부이다... 2016-07-25 0 3547
1557 詩의 언어는 암시성을 강하게 장치해야 한다... 2016-07-25 0 3648
1556 詩作은 도자기를 만드는것과 같다... 2016-07-23 0 3203
1555 詩作을 할때 詩적 은유를 많이 리용하라... 2016-07-21 0 3750
1554 詩란 진부한 표현을 말살하는 작업이다... 2016-07-20 0 3795
1553 詩란 內美之象적 언어를 뿜어내는 것... 2016-07-19 0 3593
1552 詩作은 그림을 그리는 것... 2016-07-18 0 3532
1551 詩란 의미전달목적과 론리설명언어표현도 아닌 정서적 울림! 2016-07-17 0 3657
1550 시어의 운률미/최균선//방순애시집평론/허인//김금용... 2016-07-15 0 3987
1549 詩란 전례를 타파하는것, 고로 쓰기가 힘든것... 2016-07-15 0 3481
1548 詩作은 풍부한 사유를 많이 하는 것... 2016-07-14 0 3576
1547 詩에 상상의 날개를 달아주자... 2016-07-14 0 3235
1546 詩란 나와의 싸움의 결과물이다... 2016-07-12 0 3410
1545 詩作는 날마다 숙제를 하듯 쓰는 습관을 가져야... 2016-07-11 5 3518
1544 詩는 예리한 눈에서 탄생한다... 2016-07-11 0 3454
1543 詩作은 많은 문학적 경험에서 나온다... 2016-07-11 0 3522
1542 詩란 언어와의 사랑이다... 2016-07-07 0 3345
1541 詩란 고정관념틀을 깨고 그속의 비밀, 맘의 눈으로 보기 2016-07-06 0 3865
1540 [재미있는 詩뒷이야기]-杜牧 唐代詩人의 詩 <淸明>과 련관되여 2016-07-05 0 4653
1539 詩는 제천의식(祭天儀式)에서 유래 2016-07-05 0 3095
1538 李相和와 李陸史 2016-07-04 0 3944
1537 詩는 문학의 정점, 곧 시작과 끝... 2016-07-04 0 3493
1536 名詩들 앞에 선 초라하고 불쌍한 자아의 詩여!!! 2016-07-02 0 3062
1535 詩란 유산균이 풍부한 잘 곰삭은 맛깔스러운 국물! 2016-07-01 0 3445
1534 詩는 안이 밖이 되고 밖이 안이 되는 것... 2016-06-30 0 3452
1533 가짜 詩人과 진짜 詩人 2016-06-29 0 3182
1532 [생각하는 詩 여러 컷] - 탁발 / 소금 ... ... 2016-06-27 0 3809
1531 사람과 사람 사이에 섬이 없다? 있다!... 2016-06-27 0 3499
1530 <조문(弔問)과 죽음 묵상> 시모음 2016-06-26 0 3572
1529 詩적 상상력을 키워야... 2016-06-25 0 4264
1528 詩作은 금기를 풀고 틀을 깨는것... 2016-06-25 0 3924
1527 詩는 時와 空을 초월해야... 2016-06-23 0 4460
1526 詩는 광고정보 전달 수단이 아니다... 2016-06-23 0 3929
1525 [장마전, 한무더운 아침 詩 둬컷] - 밥 / 산경 2016-06-23 0 3386
1524 詩란 천장을 뚫고 하늘의 높이를 재보는것... 2016-06-21 0 3847
1523 詩의 꽃을 피우기 위해 詩의 씨앗이 있어야... 2016-06-20 0 3820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