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가수는 청중이 들은것을 믿게 만들어야...
2016년 11월 01일 23시 32분  조회:4825  추천:1  작성자: 죽림
"나는 세상에 대해 느낀 것을 정의하기 위해 노래하고 있었다." (밥 딜런 자서전 '바람만이 아는 대답' 중에서)

'포크록의 거장'이자 음유시인인 밥 딜런(75)이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될 줄 누가 알았을까. 관련 신간을 출간하고 발표만을 기다리던 출판사들도 예상치 못한 결과에 시쳇말로 '멘붕'에 빠졌다. 

이번 노벨문학상 발표를 앞두고 수많은 유력 후보들의 저서가 번역 출간됐지만, 그 가운데 밥 딜런과 관련된 책은 단 한 권도 없었다. 지금까지 출간된 밥 딜런 관련 국내 서적은 단 세 권. 서점에서 만나볼 수 있는 책은 두 권뿐이다. 

밥 딜런 자서전 '바람만이 아는 대답(원제 크로니클스)'

'노벨문학상' 밥 딜런, 자서전에
많은 사람들의 반응과 달리, 밥 딜런은 수년 간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돼온 인물이다. 삶을 통찰하는 그의 가사는 그 자체만으로도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05년 국내 출간된 밥 딜런의 자서전은 연대기라는 뜻의 원제 '크로니클스(Chronicles)'와는 달리 그의 대표곡인 '바람만이 아는 대답(Blowin' In The Wind)'라는 제목으로 세상에 나왔다. 

이 책에는 어릴 적부터 뉴욕에 입성해 클럽을 전전하며 노래를 부르고, 성공한 포크 가수로 승승장구하다 돌연 '포크 락'으로 장르를 변환하는 등 밥 딜런이라는 인간의 인생 이야기가 담겨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음악에 영향을 미친 사건들과 예술을 소개한다. 가사를 쓰기 위해 뉴욕 공공도서관에 드나들며 신문기사를 읽었던 사연, 프랑스 상징파 시인 아르튀르 랭보의 시를 소개받고 머릿속에 '종이 울리던' 일 등 에피소드가 펼쳐진다. 

"가수가 모두 설득력있게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가수는 청중이 들은 것을 믿게 만들어야 한다. 포크뮤직은 다름 아닌 바로 당신을 납득시키는 음악이다." (273쪽)

"우리는 삶보다 위대한 노래를 만들고 싶어한다. 자신에게 일어났고 자신이 보았던 이상한 일들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것들을 이해해야 하고 고유의 언어로 나타내야 한다. 옛 사람들이 노래를 부를 때 그 안에는 대단한 절실함이 들어 있었다. 가끔 노래를 들을 때 마음이 앞서서 뛴다." (61쪽)

밥 딜런의 삶 객관적으로 보기 '밥 딜런 자서전'

'노벨문학상' 밥 딜런, 자서전에
안타깝게도 절판돼 지금은 서점에서 만나볼 수 없는 '밥 딜런 자서전'은 정치학과 대중문화에 관한 선구적인 책을 여러 권 펴낸 저술가인 마이크 마퀴쓰가 쓴 책이다.

밥 딜런을 '1960년대 미국 민주화운동의 한가운데 서 있던 저항의 아이콘'이라고 평가하는 저자는 밥 딜런의 삶과 그에게 영향을 주고, 또 받았던 이들을 책을 통해 조명한다. 1963년 '프리윌링(The Freewheelin')' 앨범으로 대중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돌연 포크 페스티벌에서 포크를 배신하고 일렉기타를 들고 나온 그의 사연이 펼쳐진다. 

그는 멈추지 않는 밥 딜런의 변신을 소개한다. 유대인 출신인 그가 포크에서 락으로 전향한 것으로 모자라, 1969년에는 백인들의 전유물인 컨트리를 들고 나왔으며, 이후 포크와 블루스 근본주의자로 자신의 역할을 바꾸며 최근까지 끊임없이 왕성하게 활동해 올 수 있었던 이유를 찾는다. 

"'바람만이 아는 대답'은 시간을 초월한, 추상적이고 소박한 노래였다. 그러나 청중은 딜런이 얼마나 더 많은 시간이 흘러야 '포탄'이 영원히 금지되고, '어떤 사람들이 자유를 허락하게' 될 때가 오는지 묻고 있다는 사실을 의심치 않았다." (74쪽)

"아마도 딜런은 자신이 저항가수의 상징으로 정형화되는 것을 두려워했는지 모른다. 바로, 그의 내부에서 꿈틀거리고 있는 예술에 대한 야심이 그를 변화시켰을 것이다. (중략) 딜런의 운동 거부는 그래서 자기 해방을 위한 행동으로 비치기도 했다." (112쪽)

국내 밥 딜런 연구자가 쓴 '음유시인 밥 딜런'

'노벨문학상' 밥 딜런, 자서전에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을 함께 전공한 한 국내 문학 연구자가 쓴 '음유시인 밥 딜런'은 밥 딜런의 노벨문학상 수상 가능성을 내다보며 쓴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책 속에는 밥 딜런이 노벨 문학상 후보로 처음 추천된 시점이 1997년이었으며, 그 추천서에 "그의 언어와 음악은 시와 음악 간의 핵심적이며 오랜 기간 존중되어 온 관계가 회복되도록 도왔고, 세계 역사를 변화시킬 만큼 세계로 스며들었다"는 글이 쓰여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이 책은 밥 딜런의 가사가 왜 시적이며, 많은 팬들이 왜 그를 '시인'이라고 명명하는지 그 이유를 찾는다. "노래는 그를 정치로 이끌었고 정치는 그가 노래 창작 재능을 펼치게 해 주었다"(마이크 마퀴스), "딜런은 반복해서 자신을 탈바꿈해왔으며 이 때문에 항상 새로운 딜런이 진정한 하나의 딜런이라는 인상을 준다"(데이비드 셤웨이) 등 해외 연구자들을 인용한다. 

이 책은 무엇보다도 밥 딜런의 음악과 삶이 지니는 정치적 저항성 면모를 다룬다. 사람들이 흔히 1960년대 밥 딜런을 두고 그가 포크에서 일렉트릭으로 전향한 사건을 두고 마치 변절처럼 이야기하지만, 이는 대중음악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만 이를 이해한 것일 뿐이라는 설명이다.

"초현실주의적이고 일관된 서사가 없으며, 의미를 파악하기 힘든 파편적 언어들이 흩뿌려진다. 그런데 이 난해한 가사는 열정적이고 활기찬 로큰롤 사운드와 뒤섞인다. 이 때문에 이 노래들은 팝음악을 듣는 주류 대중에게도 의식있는 포크 음악 애호가층에게도 매우 낯설고 이질적인 결과물이었다. 난해한 시와 격렬한 로큰롤 사운드의 결합 말이다." (243쪽)

◇바람만이 아는 대답(원제 크로니클스)= 밥 딜런 지음. 양은모 번역. 문학세계사 펴냄. 320쪽/ 
◇밥 딜런 평전= 마이크 마퀴스 지음. 김백리 번역. 실천문학사 펴냄. 334쪽/ 
◇음유시인 밥 딜런= 손광수, 백선아 지음. 한걸음더 펴냄. 380쪽/ 

'노벨문학상' 밥 딜런, 자서전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757 [고향사람] - 조선족과 영화... 2019-10-26 0 3404
2756 [그것이 알고싶다] - 단성사와 "아리랑" 영화와 라(나)운규 2019-10-25 0 4243
2755 [그것이 알고싶다] - 한국영화 100 2019-10-25 0 4318
2754 [그것이 알고싶다] - 한국 최초 영화와 단성사 2019-10-25 0 4165
2753 [고향사람] - 가야금과 "결혼한" 총각선생... 2019-10-25 0 3868
2752 [력사속에서] - 한국 최초의 영화관 - 단성사(團成社) 2019-10-24 0 5433
275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24 0 3956
2750 [그때그때] - "단성사" 100 = 한국영화 100 2019-10-24 0 3789
274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살되는 사과배선조나무 구합시다... 2019-10-24 0 3986
2748 [고향사람] - "중국 조선족의 주시경"... 2019-10-24 0 3572
2747 [고향시단] - 시인들의 명절 - "중국조선족시가절" 고고성... 2019-10-23 0 3575
2746 [그것이 알고싶다] - 돌배나무... 2019-10-17 0 5822
274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사과배나무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16 0 4241
274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16 0 3847
2743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3대 문학상 中 "공쿠르상"... 2019-10-15 0 4531
2742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3대 문학상 中 "맨부커상"... 2019-10-15 0 4047
2741 [세계문학] - "부커상" - 녀성시대... 2019-10-15 0 3750
2740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상은 어떻게 선정?... 2019-10-13 0 4094
2739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문학상 118... 2019-10-13 0 3757
2738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문학상 116... 2019-10-13 0 4451
2737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평화상" 력대 기록... 2019-10-13 0 3956
273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100 = "노벨평화상"... 2019-10-12 0 4644
2735 [그때그시절] - 졸라 졸라 졸라... 2019-10-12 0 3632
2734 [별의별] - "임신한 다이아몬드"... 2019-10-12 0 4007
2733 [별의별] - 38... 2019-10-12 0 3490
2732 문자가 없으면 력사서도 전통 문학도 없다... 2019-10-11 0 3678
2731 문자가 없으면 력사서도 전통 문학도 없다... 2019-10-11 0 3598
2730 한글 띄어쓰기는 외국인이 처음 도입했다?!... 2019-10-11 0 4593
2729 재밋는 한글 배우기 6... 2019-10-11 0 4543
2728 재밋는 한글 배우기 5... 2019-10-11 0 4408
2727 재밋는 한글 배우기 4... 2019-10-11 0 4942
2726 재밋는 한글 배우기 3... 2019-10-11 0 3488
2725 재밋는 한글 배우기 2... 2019-10-11 0 4015
2724 재밋는 한글 배우기... 2019-10-11 0 3844
272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한글보급",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11 0 3873
2722 [그것이 알고싶다] - 2018, 2019,노벨문학상 2019-10-10 0 4260
2721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상주본"은 어디에?... 2019-10-10 0 4074
2720 [그것이 알고싶다] - "訓民正音" 解例本 2019-10-10 0 4200
271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훈민정음 상주본"아, 너 보고싶다... 2019-10-10 0 3557
2718 [그것이 알고싶다]-"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언제면 해빛??? 2019-10-10 0 3688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