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사과배나무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9년 10월 16일 23시 52분  조회:3919  추천:0  작성자: 죽림

96년 된
연변사과배 선조나무
지킴이 되여

북청의 참배와
연변의 돌배가 만나
사과배로

  •  
  • 2017-06-29 
  •  

  •  
  •  

해마다 모아산기슭을 하얗게 덮는 만무과원의 사과배꽃은 연변의 산천을 붉게 물들이는 진달래와 함께 이 고장의 봄을 알리는 메시지다. 특히 사과배는 연변의 명물로, 연변 그리고 중국조선족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졌다.

지난 24일, 룡정시 로투구진 소기촌에 수령이 96년 되는 연변사과배의 선조나무가 자라고 있다는 얘기를 듣고 찾아갔다. 그 곳에서 기자는 연변대학에서 정년퇴직을 하고 고향에 돌아와 나무를 지키고 있는 77세 고령의 리태수선생을 만났으며 그를 통해 연변사과배의 시초에 대해, 90여년 전 이 땅에 처음으로 사과배나무를 심었던 최창호선생에 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사과배는 가접과수(嫁接果树)로 그 개척자는 최창호(1897-1967)이다.

흔히들 사과배는 ‘사과나무 접가지를 돌배나무에 가접하여 키운 것’으로 알고 있다. 실제로 여러 인터넷포털사이트나 일부 서적들에서는 이같이 설명하고 있으며 여러 문예작품들에서도 이 같은 묘사를 통해 디아스포라인 중국조선족의 민족특성을 비유한다.

“사과가 아니라 조선의 북청에서 가져온 배나무 접가지였습니다.”리태수선생은 이렇게 말하며 자신이 알고 있는 사과배나무의 시초에 관해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최창호는 1909년에 조부를 따라 중국 료녕성 안도현 내두산에 이주했으며 1916년에 연길현 로투구진 소기촌에 정착했다. 당시 동생 최범두는 일본에 류학 중이였는데 ‘일본에서도 조선의 배나무가지를 당지 과일나무와 접목해 성공한 사례가 있으니 형님도 한번 해보라’고 제안했다. 1921년, 최범두는 조선 북청에서 우수한 품종의 참배나무가지를 6대 가져왔는데 최창호가 그 것을 김치움에 보관해두었다가 이듬해 4월에 꺼내여 집 뜨락의 돌배나무에 가접했다. 그중 살아남은 것은 세그루, 최창호는 알뜰히 보살펴 1927년에 처음으로 나무에 흰꽃을 피웠다. 달린 과일은 모양이 배 같기도 사과 같기도 했으며 새콤달콤하고 과즙이 풍부해 보통 배들과는 다른 뛰여난 맛이였다.

“그때의 그 세그루에 달린 과일이 바로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연변사과배의 시초였습니다. 지금은 아쉽게도 한그루만 살아남았을 뿐입니다.”

말을 하며 리태수선생은 뜰 한켠에 서서 찬연한 해빛 속에 푸른 잎사귀를 펼친 고고한 자태의 배나무를 가리켰다.

“7년 전 제가 고향에 왔을 때 보니 남아있던 한그루마저도 거의 죽어가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꽃이 피지 않았고 싹이 돋아있는 가지가 몇대 없었습니다.”

문득 리태수선생은 이 나무를 이대로 방치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강렬하게 들었다. 하여 친구에게 부탁해 한국에서 생장소 10통을 사들여 부지런히 나무에 주면서 소진해가는 고목의 생명이 다시 푸르게 피여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랐다.

푸른 산이 병풍처럼 둘러 선 산자락에 비스듬히 서있는 오래된 팔간초가집은 최창호선생의 옛집이다. 오래동안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아 찌그러졌고 흙벽이 부서지는 그 집에 머물면서 리태수선생은 3년을 하루와 같이 매일 선조사과배나무를 돌봤다. 그 노력이 헛되지 않아 지난 2013년부터는 드디여 고목에 다시 꽃이 피기 시작했으며 2015년부터는 과일이 달리기 시작했다. 지난해에는 사과배가 적잖게 열려 수확의 기쁨도 아주 컸다.

사실 배의 이름은 처음부터 ‘사과배’가 아니였다. 시원하고 맛도 좋으며 저장하기에도 까다롭지 않은 이 배를 사람들은 ‘참배’ 혹은 ‘큰배’라고 불렀다. 1952년에 국가에서 과수품종을 전면조사하면서 이 배는 새로운 품종으로 인정됐는데 모양새가 사과 같기도 배 같기도 하여 그 이름을 ‘사과배’라 했다.

지난 80여년 동안 사과배는 연변 각 지에 널리 퍼져 연변경제의 기둥산업의 하나로 되였고 중국 3대 배 가운데 하나로 꼽힐만큼 유명해져 국내외에 이름을 널리 알렸다.

여기에는 당연히 사과배의 창시자 최창호의 로고가 가장 크다. 그는 평생을 바쳐 사과배나무를 지켰으며 전지, 과원관리기술, 병충해예방퇴치, 과일의 한항성 등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해나감으로써 소기촌에 완전한 규모를 갖춘 질좋은 사과배과수원을 꾸려갔다.

“그 분은 저의 이모부였습니다. 인품도 훌륭했고 또 학식도 대단했지요.” 최창호에 대해 리태수선생은 이렇게 회억했다.

과수원을 갖고 있었던 관계로 최창호는 ‘부농’으로 락인이 찍혀 ‘문화대혁명’기간에는 계급투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언제나 아낌없이 자신의 고간의 문을 열어 배 고픈 마을사람들에게 량곡을 나눠주고 또 적잖이 장악하고 있는 의술로 아픈 사람들을 치료해주었으며 사람들에게 글공부도 가르쳤는데 이처럼 후한 인품과 덕으로 마을사람들에게는 항상 존중을 받았고 ‘부농’임에도 불구하고 동란의 년대를 무사히 넘길 수 있었다.

“큰아버지는 다리를 약간 절었고 그때 집에는 말을 못하는 남자가 머슴으로 있었습니다. 큰아버지는 머슴에게 한자(번체자)를 가르쳤지요. 말로 사람과 소통할 수 없으니 글로 소통하라는 뜻이였습니다.”

말을 하며 리태수선생은 후날 자신이 대학에 진학하려는 꿈을 굳히게 된 것도 이모부의 영향이 컸다고 얘기했다.

“큰아버지처럼 이 나무도 정말 파란만장한 세월을 다 겪었지요. 일반 나무가 아닙니다. 우리 민족의 상징이며 령혼 아니겠습니까! 이젠 제가 지켜나가겠습니다.”

앞으로는 자신의 여생을 다 바쳐 나무 지킴이가 되겠다며 리태수선생이 의미심장하게 말했다.

/연변일보 ///글·사진 박진화 기자

==========================/// "구문"이지만...
 

“핑궈리”

                   —김태욱

  •  
  • 2009-05-14 
  •  
 
우리 집 이웃은 산동이 고향인 젊은 부부간이 산다. 중학교를 다니는 아들애를 키우며 과수원을 다루고있는데 그들과 무랍없이 드나드는 사이이다. 남편의 이름은 손덕량이 (孙德亮)이라 부르는데 이름을 부를 때 한어음대로 《더랑아》로 통한다. 

3월 초순에 덕량이가 사과배나무의 전지[剪枝]를 하고 있기에 다가가니 그는 싱글벙글하면서 자기에게 제자가 둘씩이나 생겼다면서 어깨를 살구었다. 반세기나 원예사로 살아온 나의 활발한 인생에는 조선족 젊은 과수업자들이 나를 따르며 《선배님》, 《스승님》이라고 하더니만 모두 과수원을 떠나 외국으로 가버려 제자 하나 없나 서글퍼 했는데 생각밖으로 한족젊으이가 제자로 자리를 잡아 마음의 빈구석을 겨우 달랜다.

득량이 부부는 8년전에 나의 집뒤에 있는 과수원을 임대맡고 늙은 사과배나무의 전지는 골격지를 보호하고 배양해야 질좋은 과일을 생산할수 있다는 나의 훈계를 들으면서부터 열심히 과수기술을 배웠다. 우리들 사이에는 강호에서 술을 마시면서 스승과 제자로 기약한 수준도 없었고 칠판식 기술전수도 없었다. 그저 꿀벌이 붕-붕 날아다니는 과수밑 현장에서 나의 잔소리에 가까운 설교를 듣고 그대로 따르는 소박한 격이였다. 하지만 더랑이는 이제 조선족의 상징이라도 과언의 아닌 연변사과배를 가꾸는 베테랑 원예사로 컸다.

연변 사과배는 여러차례나 우리 나라 북방 과일품종 평의대회에서 《량질과일》이라는 월계관을 안아온 귀중한 품종으로 세상에 이름을 떨쳤다. 룡정시 로투구진 소기촌에 가면 1987년 9월 25일에 세운 《사과배 선조 기념비》가 있다. 비석옆에 서있는 사과배나무는 90년 가까운 년륜을 아로새긴 이 세상의 수천수백만주의 달하는 사과배나무의 《어머니》 나무이시다. 이 사과배나무를 배육하신분은 연변 과수력사에 공훈을 세우신 최창호다. 하기에 최창호라면 연변사과배를 떠올리게 된다. 

최창호는 1916년도에 소기골에 정착하시고 양지바른 뒤산비탈밭에 여러가지 과일나무와 야생종 과일나무를 심어 가꾸다가 1927년봄에 사과배나무에 꽃이 피고 열매가 맺혔다. 최창호가 배육한 새로운 배품종이 저장력이 강한 특점이 있고 맛좋은 배라는 소문이 펴져나가면서 1930년대초반에 소기꼴에 3헥타르에 달하는 과수원이 일떠섰고 로투구는 물론 세린하와 화룡으로 급파되였고 도문까지 재배되여 해방전까지 일정한 규모의 면적을 갖게 되였다.

그런데 해방전까지 이처럼 훌륭한 배품종은 제 이름없이 《큰배》 혹은 《참배》라고 불렀고 어떤 사람들은 《청실》이라 불렀지만 《핑궈리》라 부루게 된데는 이런 일화가 있다. 국내해방전쟁 당시 로투구 《대물리거우》에 길동군구 야전병원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과일이 무르익는 가을에 과수원밑에 난 큰길로 관내에서 온 민주련군 군인들이 지나가다가 하는말이 “아! 여기에 핑궈(苹果)가 많구만” 이들은 사과로 착각한것이다. 그들의 말을 듣고 당지 사람들은 “이건 핑궈가 아니라 배입니다”라고 말하니 그중 한 군인이 “그렇다면 가능하게 핑궈리(苹果梨)겠습니다” 이때로부터 핑궈리라 불렀는데 우리 말로 사과배이다. 그후 1952년도에 전문가들이 모여서 “핑궈리”라 명명하였으니 오늘까지 우리는 연변 사과배라고 정답게 불러왔다

연변에서 대면적 보급에 크게 기여한 사람은 그래도 최일선선생이다. 연변전원공서에 갓 부임한 주덕해동지는 화룡으로 가시는 길에 화룡 서성 명암촌에 자리잡은 최일선선생의 과수원을 몸소 찾으셔 “연변의 과수사업에 크게 기여를 해주십시요” 하면서 굳게 손을 잡으셨다. 그해부터 화룡 서성에는 두개의 과수묘포장을 꾸리고 해마다 수십만주의 과일묘목을 생산하여 연변 각지에다 공급하여 사과배 과수원 건설에 공헌하였다. 

연변 사과배의 창시자이신 최창호님과 수많은 우리 민족의 원예가들이 피타는 노력으로 건설된 사과배 과수원인데 이제 이 사과배나무를 가꿀 후계자가 대를 끊긴것이다. 안타까운 현실다.

외국나들이바람이 일면서 과수원을 남에게 임대해주거나 애당초 매각해버리고 외국으로 떠났다. 이제 누가 최창호의 얼을 지키고 최일선의 정신을 지키랴. 

“핑궈리”의 노래는 아직 끝나지 않았는데…하얀 배꽃속에 부지런한 꿀벌들이 날아드는 새봄을 다시 기약해본다. 
 
======================================/// "구문"이지만...

(선양=연합뉴스) 신민재 특파원 = 중국 연변(延邊)조선족자치주의 명물인 '사과배'를 재배하는 과수농가들이 올해 작황 부진과 판매량 감소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연변일보가 22일 보도했다.

신문은 연변 지역 90% 이상의 사과배 재배농가가 지난봄 서리 피해와 8월에 몰아친 태풍 '볼라벤'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예년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고 전했다.

또 시장 상황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해 판매 초기에 가격을 상자당 70~80위안(1만2천~1만2천원)으로 높게 책정하면서 다른 지역의 저가 상품에 밀렸다고 설명했다.

연변 지역 과수농가들은 뒤늦게 상자당 30위안(5천원)까지 가격을 내렸지만 이미 판매 성수기가 지나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용정(龍井)의 한 농민은 "예년에는 4천상자를 수확했는데 올해는 작황이 나빠 1천상자를 수확하는 데 그쳤다"면서 "그나마도 200상자밖에 팔지 못해 걱정이 크다"고 말했다.

신문은 올해와 같은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소규모 과수농가들이 연합해 공동 생산·판매에 나서고 당국이 유통 구조 개선을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과배는 함경북도 북청에서 배나무 가지를 들여와 용정에서 야생하는 돌배나무에 접목해 탄생한 과일로, 배 맛을 내지만 생김새는 사과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용정에서 재배가 시작돼 점차 연변 전역으로 퍼졌으며 중국의 3대 배 가운데 하나로 꼽힐 만큼 유명하다.
======================================/// 역시 "구문"이지만...

(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 = 중국 연변(延邊)조선족자치주의 명물인 '사과배'가 작황 부진으로 올해 생산량이 크게 줄었다고 연변인민방송이 10일 보도했다.

방송은 현지 과수 농가들을 인용, 올해 극심했던 가뭄의 영향으로 연변 일대 과수원의 사과배 수확량이 40% 이상 감소했다고 전했다.

연길(延吉)에서 2천 그루의 사과배를 재배하는 한 농민은 "올해는 가뭄 탓에 사과 크기도 작고 생산량도 지난해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고 말했다.

사과배는 함경북도 북청에서 배나무 가지를 들여와 용정(龍井)에서 야생하는 돌배나무에 접목해 탄생한 과일로, 배 맛을 내지만 생김새는 사과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용정에서 재배가 시작돼 점차 연변 전역으로 퍼졌으며 중국의 3대 배 가운데 하나로 꼽힐 만큼 명성을 얻었다.

관광객 유치와 사과배 홍보를 위해 용정에서는 2007년부터 매년 4월 사과배꽃 축제를 개최한다. 
===========================///역시 또 "구문"이지만...

(선양=연합뉴스) 신민재 특파원 = 지난해 '관광객 1천만명 시대'를 연 중국 옌볜(延邊)조선족자치주가 본격적인 관광시즌을 맞아 다양한 볼거리, 즐길거리를 마련해 국내외 관광객 유치에 나선다.

15일 연변일보에 따르면 중국 내 조선족 최대 밀집 지역인 옌볜주에서는 이달부터 지역별로 특화한 다양한 축제와 행사가 펼쳐진다.

오는 27일부터 4월4일까지는 옌볜주 주도(州都)인 옌지(延吉)시에서 '중국·러시아 청소년문화관광축제'가 열려 이국의 정취를 만끽할 기회를 제공한다.

윤동주 시인의 고향으로 유명한 룽징(龍井)시에서는 옌볜의 명물인 '사과배꽃 관광축제'가 5월에 개막된다.

사과배는 함경북도 북청에서 배나무 가지를 들여와 룽징에서 야생하는 돌배나무에 접목해 탄생한 과일로, 중국의 3대 배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허룽(和龍)시에서는 4월 말~5월 초 '진달래 문화관광축제'가 열리고 안투(安圖)현에서는 5월에 '중국조선족제일촌 민속문화축제'가 펼쳐진다.

관광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옌볜주는 지난해 전년 대비 18.3% 증가한 1천15만4천명의 관광객(외국인 54만1천명 포함)을 유치했으며 138억2천만위안(약 2조4천억원)의 관광수입을 올렸다.

==========================/// 또 역시 "구문"이지만...


(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 = 중국 연변(延邊)조선족자치주의 봄 축제인 '룽징(龍井) 사과배꽃축제'가 내달 9일부터 11일까지 열린다.

룽징의 명물인 사과배와 조선족 전통 문화 홍보를 위해 2007년 시작해 해마다 열리는 이 축제는 9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사과배꽃 아가씨 선발대회, 조선족 전통 혼례와 전통 소싸움, 조선족 전통음식 시연회, 민속 공연 등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펼쳐진다.

내년 연변조선족자치주 건립 60주년을 앞두고 조선족 주인공들을 내세워 1950년대 이후 연변 조선족들의 변화상과 풍습을 담게 될 TV드라마 '백두산 아래 나의 집(長白山下我的家)' 제작 발표회도 열린다. 연변주 정부와 중국중앙(CC)TV가 30부작으로 공동 제작하는 이 드라마는 CCTV를 통해 중국 전역에 방송된다. 

사과배는 함경북도 북청에서 배나무 가지를 들여와 룽징에서 야생하는 돌배나무에 접목해 탄생한 과일로, 배 맛을 내지만 생김새는 사과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의 3대 배 가운데 하나로 꼽힐 만큼 유명한 룽징의 명물이다.

연변주는 여름철에만 몰리는 관광객을 사시사철 유치하기 위해 ▲봄-룽징 사과배꽃 축제 ▲가을-옌지(延吉)ㆍ룽징ㆍ투먼(圖們) 조선족 민속관광축제 ▲겨울-투먼 두만강 빙설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757 [고향사람] - 조선족과 영화... 2019-10-26 0 2928
2756 [그것이 알고싶다] - 단성사와 "아리랑" 영화와 라(나)운규 2019-10-25 0 3880
2755 [그것이 알고싶다] - 한국영화 100 2019-10-25 0 3828
2754 [그것이 알고싶다] - 한국 최초 영화와 단성사 2019-10-25 0 3770
2753 [고향사람] - 가야금과 "결혼한" 총각선생... 2019-10-25 0 3497
2752 [력사속에서] - 한국 최초의 영화관 - 단성사(團成社) 2019-10-24 0 5037
275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24 0 3626
2750 [그때그때] - "단성사" 100 = 한국영화 100 2019-10-24 0 3454
274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살되는 사과배선조나무 구합시다... 2019-10-24 0 3632
2748 [고향사람] - "중국 조선족의 주시경"... 2019-10-24 0 3289
2747 [고향시단] - 시인들의 명절 - "중국조선족시가절" 고고성... 2019-10-23 0 3332
2746 [그것이 알고싶다] - 돌배나무... 2019-10-17 0 5527
274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사과배나무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16 0 3919
274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16 0 3592
2743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3대 문학상 中 "공쿠르상"... 2019-10-15 0 4260
2742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3대 문학상 中 "맨부커상"... 2019-10-15 0 3840
2741 [세계문학] - "부커상" - 녀성시대... 2019-10-15 0 3562
2740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상은 어떻게 선정?... 2019-10-13 0 3801
2739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문학상 118... 2019-10-13 0 3424
2738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문학상 116... 2019-10-13 0 4183
2737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평화상" 력대 기록... 2019-10-13 0 3755
273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100 = "노벨평화상"... 2019-10-12 0 4463
2735 [그때그시절] - 졸라 졸라 졸라... 2019-10-12 0 3471
2734 [별의별] - "임신한 다이아몬드"... 2019-10-12 0 3690
2733 [별의별] - 38... 2019-10-12 0 3281
2732 문자가 없으면 력사서도 전통 문학도 없다... 2019-10-11 0 3490
2731 문자가 없으면 력사서도 전통 문학도 없다... 2019-10-11 0 3397
2730 한글 띄어쓰기는 외국인이 처음 도입했다?!... 2019-10-11 0 4338
2729 재밋는 한글 배우기 6... 2019-10-11 0 4344
2728 재밋는 한글 배우기 5... 2019-10-11 0 4000
2727 재밋는 한글 배우기 4... 2019-10-11 0 4763
2726 재밋는 한글 배우기 3... 2019-10-11 0 3393
2725 재밋는 한글 배우기 2... 2019-10-11 0 3642
2724 재밋는 한글 배우기... 2019-10-11 0 3730
272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한글보급",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11 0 3733
2722 [그것이 알고싶다] - 2018, 2019,노벨문학상 2019-10-10 0 4113
2721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상주본"은 어디에?... 2019-10-10 0 3974
2720 [그것이 알고싶다] - "訓民正音" 解例本 2019-10-10 0 4066
271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훈민정음 상주본"아, 너 보고싶다... 2019-10-10 0 3302
2718 [그것이 알고싶다]-"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언제면 해빛??? 2019-10-10 0 3480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