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 |
주요내용 |
1889년
|
이탈리아의 식민지가 됨
|
1952년
|
영국이 통치개시 후, 미국정부 압력. UN 제안에 따라 에티오피아와 연방을 형성 자치주로 편입
|
1961년
|
에리트리아인민해방전선(EPLF) 결성, 무력투쟁 개시
|
1962년
|
에티오피아의 셀라시에(Selasie) 황제가 에리트리아를 강제 합병
|
1989년
|
EPLF, 반정부 연합인 에티오피아인민혁명민주전선(EPRDF) 참여
|
1991년
|
에티오피아의 좌파 멩기스투(Mengitsu) 정권 붕괴, 에리트리아 독립기반 마련
|
1993년 5월
|
에리트리아 독립
|
1997년 9월
|
에티오피아 제나위(Zenawi) 수상, 에리트리아 방문 관계 회복 협의, 결렬됨
|
1997년 11월
|
에리트리아 경제주권 선언, 에티오피아 달러화 결재 개시로 긴장 증대
|
1998년 5월 6일
|
에리트리아군, 이르가(Yirga) 삼각지를 점령
|
1998년 5월 12일
|
티그레(Tigre,Tigray)주 바드메(Badme) 지역 점령
|
1998년 6월 1일
|
에리트리아가 아쌈(Assam)항에 군대 진주. 에리트리아는 메켈레(Mekele) 북부 알리트나(Alitena)를 공격. 미국과 르완다는 중재 노력 계속(르완다의 투치족은 종족상 에티오피아와 관련). 동 분쟁에서 최대의 피해국은 분쟁 양 당사국과 우호관계에 있던 이스라엘이며, 이스라엘은 하니쉬(Hanish) 섬을 점령하려는 에리트리아를 지원해 옴
|
1998년 6월 2일
|
아이가(Aiga), 인달게다(Indalgeda), 알리트나(Alitena) 격전에서 100명 이상의 군인이 사망. 교황 바울 2세는 아프리카 지역에서 유일하게 기독교 신자가 지도자로 있는 양국에 대해 정전을 촉구
|
1998년 6월 3일
|
에티오피아는 남부지역 암베세트 겔레바(Ambesete Geleba)를 공격, 에리트리아는 아이가 재탈환에 실패하는 등 양군 간 격전 지속. 미국은 평화봉사단의 철수 개시, 에리트리아의 철군과 국경협상 재개를 제시한 르완다의 평화안을 지지. 에리트리아는 이를 거부하면서 자국영토 고수를 주장,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리아의 영유권 주장을 거부
|
1998년 6월 4일
|
에티오피아는 미-르완다 평화안 수락. 국경논쟁에 군사력 사용은 현대사회에서 수용할 수 없다는 EU의 입장과 대조적으로 OAU는 양국에 평화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요구
|
1998년 6월 5일~6일
|
에티오피아군 에리트리아 수도(아스마라-Asmara)와 공항, 항만에 대해 수회에 걸쳐 전격 보복 공습(5일 에리트리아 공격으로 에티오피아군 5명 사망)
|
1998년 6월 10일
|
에티오피아 정부는 에리트리아가 국경부근에서 공습을 개시하였다고 발표. 에리트리아는 이집트에 중재를 요청. 6월 10일 아프리카 통일기구(OAU) 수뇌회담에서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양국에 대표단 파견할 것을 결정. 전쟁 확산을 우려하는 지부티는 국경지역에 전군을 배치
|
1998년 6월 14일
|
에리트리아는 비무장 국경지대를 통제하기 위해 미군과 UN군을 포함한 평화유지군의 파견을 요청.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 수뇌급 대표단은 양국을 방문 분쟁 조정에 진전 없음을 발표. 이유는 국경지역으로부터 양국군의 철수를 포함한 미국과 르완다가 제시한 '4개 항목 제안'에 대해 에리트리아가 거부
|
1998년 6월 26일
|
UN 안보리는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분쟁을 비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수단을 강구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
* 6월 11일 이후 전투 소강 상태, 3만 명에 이르는 에티오피아인들이 에리트리아의 아사브(Assab)항에 억류. 에리트리아 항으로부터 차단되어 있는 에티오피아는 지부티에 자유무역지대 설치. 에티오피아는 이스라엘에 전투기 구매 요청(이스라엘은 결정 보류)
|
1998년 7월
|
양국 주재 상대방 국민 추방
|
1998년 8월 1일
|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 주재 외국 공관은 부루키나파소에서 협력단국(ContactGroup Nation)과 각각 회동하였으나, 성과 무
|
1998년 8월
|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는 부르키나파소에서 열린 중재회담에서 국경 긴장 해소에 실패. 에리트리아는 5∼6월에 발생한 에티오피아와의 전투에서 생포한 71명의 에티오피아군을 석방. 에티오피아는 UN 직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30명의 에리트리아인의 출국을 명령
|
1998년 12월 6월~7월
|
에티오피아 정부는 에리트리아가 양국 간 국경 분쟁 이후 총 39,075명의 에티오피아인을 강제 추방하였다고 발표. 미국은 레이크 특사를 이 지역에 3번째 파견하였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함. OAU는 양국의 자제력 발휘를 요구
|
1999년 1월 5일
|
에티오피아는 제3국에 의해 에리트리아 군이 국경지대에서 철수되지 않으면 전쟁을 재개할 것이라고 발표. 에리트리아는 자국군은 정당한 국경선에 배치되어 있으며, 결코 철수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거부
|
1999년 1월 24일
|
미국은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에 거주하고 있는 자국민에 대해 철수하도록 통고, 주요 인사를 제외한 민간인 철수 개시
|
1999년 1월 29일
|
OAU와 UN 새로운 전쟁 발발 방지를 위해 경쟁
|
1999년 2월 4일
|
에리트리아는 에티오피아군의 기동을 제압하기 위해 아디그라(Adigrat)에 소재한 연료창을 폭격, 실패
|
1999년 2월 6일
|
양국군간 대격전 재발
|
1999년 2월 7일
|
에티오피아의 제2차 에리트리아 중부지역에 대한 공격 개시
|
1999년 2월 9일
|
에리트리아는 1,500명의 에티오피아인을 사살했다고 발표. 이집트, 미국, UN안보리는 정전을 요구
|
1999년 2월 10일
|
UN안보리 교전상태에 있는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에 즉각적인 정전을 요구, 양국에 대한 회원국의 무기 금수를 만장일치로 채택
|
1999년 2월 11일
|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리아가 OAU가 제시한 평화안을 수용하도록 국제적 압력이 필요하다고 주장. 에리트리아는 UN이 에티오피아를 침략자로 보지 않는 것이 놀랍다고 주장. 소말리아는 에티오피아가 자국 항구를 통한 전쟁물자의 반임을 불허한다고 발표
|
1999년 2월 12일
|
에티오피아는 전쟁 재발 이후 7,000명의 에리트리아군들이 사망 혹은 부상하였다고 발표
|
1999년 2월 14일~16일
|
양국은 각각 포격 지속
|
1999년 2월 20일
|
에리트리아는 정전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전선에 대한 국제감시가 필요하다고 시사
|
1999년 2월 21일
|
에티오피아 정부군은 에리트리아의 아사브 공항을 폭격, 공적을 거두었다고 발표. 2월 6일 분쟁 재연 후 공항 폭격은 처음
|
1999년 2월 25일
|
에리트리아는 우크라이나, 러시아, 벨라루스, 불가리아인 용병이 에티오피아군에 고용되어 전투에 참가하고 있다고 발표
|
1999년 2월 27일
|
에리트리아 대통령은 아난 UN사무총장과 안보리 의장에 서한을 보내 아프리카 통일기구(OAU)의 평화안 수락 의사 표명
|
1999년 2월 28일
|
에티오피아 정부는 에리트리아 점령지(바드메-Badme) 탈환 전투에서 전면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발표
|
1999년 3월 3일
|
에티오피아는 정전협상에 관심이 없다고 선언
|
1999년 3월 6일
|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리아군이 OAU가 제시한 평화안에서 요구한 철군지역에서 철수하지 않고 있다고 불평
* 에티오피아는 정전과 협상 개시 이전에 영유권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전 영토에서 에리트리아군의 철수를 주장
|
1999년 3월 14일
|
에티오피아군은 일라자모(Ilazamo) 평원에 대한 공격을 개시, 적어도 10,000명의 에리트리아인을 사살하고 57대의 탱크를 파괴, 2대의 Mig 23, Mi‐35 소총을 노획했다고 주장. 에티오피아는 자국의 피해는 경미했으며, 에리트리아는 무모한 전쟁으로 고통 받고 있다고 주장. 양국 간 전투는 서부전선지역인 메라브(Merab) 강을 따라 3월 17∼18일까지 지속되고 있다고 보도
|
1999년 3월 29일
|
전투는 다소 진정. 양국은 상대국이 무기를 수입하고 민간인을 추방하고 있다고 주장. OAU는 분쟁이 더 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중재 노력 지속
* 양국 간 전선을 따라 산발적 전투 지속. 미국은 자국민의 에티오피아 여행 자제 촉구, 핵심 요원을 제외한 대사관 직원의 귀국 허용. UN 사절단 산훈(Sanhoun)은 정전 방법 모색
|
1999년 4월 6일
|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리아군이 에티오피아영토에서 철수하지 않는 한 평화대화는 있을 수 없다고 선언
|
1999년 4월 16일
|
에티오피아 공군기는 중부전선의 목표물을 폭격. 에티오피아 공군기, 사와(Sawa)에 있는 에리트리아 훈련소를 폭격
|
1999년 4월 28일
|
에리트리아는 에티오피아 항공기가 폭격을 개시했다고 발표
|
1999년 5월 6일
|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 간 제2차 연도 전투 개시. 이집트의 중재 무산
|
1999년 5월 15일~17일
|
에리트리아는 에티오피아 군용기가 5월 15일 잘라 안베사(Zala Anbesa)와 16일에는 마사와(Masawa)를 폭격, 17일에는 포병부대가 비비나(Bibina)를 공격했다고 발표.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리아가 분쟁 지역에서 철수하지 않는 한 평화 대화나 정전은 있을 수 없으며, 에리트리아가 자발적으로 철군하지 않을 경우, 계속해서 압력을 가할 것이라고 선언
|
1999년 6월 9일
|
국경선 획정 문제로 마찰을 빚고 있는 에리트리아와 에티오피아군간의 전투 재개, 에리트리아군 8,200명 이상이 죽거나 부상 또는 생포(에티오피아 정부 발표). 이에 맞서 에리트리아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5일째 계속되고 있는 동부전선 전투에서 에티오피아군 2,300명을 사살했다고 주장. 인접국 사이인 양국은 지난해 5월 국경선 획정 문제로 갈등을 빚으면서 전쟁 상태에 돌입한 이래 간헐적으로 전투를 벌이고 있음. 에리트리아는 지난 62년 에티오피아에 합병된 이래 무장 독립 투쟁을 벌인 끝에 지난 93년 독립을 쟁취
|
1999년 7월 15일
|
소규모의 에티오피아 군이 소말리아에 진군, 파솔레이(Farsoley) 마을을 점령. 그러나 소말리아 지방군은 무 대응
|
1999년 7월 16일
|
에리트리아와 에티오피아는 효과적인 정전 개시일, 평화유지군 설치 장소 등 대화를 통해 평화 조건 설정할 것에 동의
|
1999년 7월 17일
|
에티오피아군과 OLF(Oromo Liberation Front) 및 ONLF 간에 2시간여에 걸친 전투 발생. 반군들은 정부군 500명을 사살하고 200명의 정부군이 부상당했다고 주장
|
1999년 7월 26일
|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는 평화조건을 수용할 준비가 되었다고 발표. 그러나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음
|
1999년 7월 30일
|
미국의 중재 노력에도 불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는 정전 합의에 도달하지 못함. 국경지역에서 전투 지속, 양측 모두 낮은 수준이긴 하나 국경 경계 계속
|
1999년 8월 12일
|
최근 3개월 동안 에티오피아군은 소말리아를 이탈한 OLF와 격전, OLF군 700명을 사살하고 300명이상을 생포.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리아가 에티오피아의 오로모(Oromo)지역 독립 투쟁 단체인 OLF를 지원하고 있다고 비난
|
1999년 8월 19일
|
에티오피아는 최근 1주일간 OLF와의 전투에서 OLF의 리더인 보레다 비루(BoredaBirru)를 사살하고 고위 간부들을 생포함으로써 동 독립단체는 붕괴되었다고 주장
|
1999년 8월 24일~5일
|
소말리아 민족전선(Somali Nationa Front: SNF)은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국경지역 소재 에티오피아 용병 수백명이 루크(Luuq)와 돌로우(Dolow)시에 잠입하였다고 발표
|
1999년 8월 26일
|
에리트리아는 에티오피아가 국경분쟁 종식을 위한 평화협정에 분명한 태도를 취하도록 강조
|
1999년 8월 28일
|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리아가 국경지역 인근의 잘라 안베사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난
|
1999년 9월 2일
|
에티오피아는 잘라 안베사 전선내의 친 케렌(Chin Keren)에 있던 에티오피아인들을 공격했다고 비난
|
1999년 9월 6일
|
영토의 격전지인 잘라 안베사 지역에서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간의 접전이 보도됨
|
1999년 9월 7일
|
소말리아 소식통은 RRA(Somali Rahanwein Army)와 DSAL(Digil Salvation Army)의 지원을 받고 있는 에티오피아군이 샤벨레(Shabelle)의 저지대에 위치한 도시를 공격했다고 보도. RRA와 DSAL은 모가디쉬에 기지를 둔 후세인 모하메드 아디드(HusseinMohamed Aidid) 장군에 반대하는 세력
|
1999년 9월 10일
|
에리트리아군은 1,000㎞에 이르는 국경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수개 도시에 대한 에티오피아군의 공격에 대비 고도의 경계태세 유지
|
1999년 9월 13일
|
에티오피아정부는 에티오피아와의 에리트리아 간의 분쟁을 종식시키는 길은 개전 이전의 국경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라는 성명서를 발표. 영토분쟁의 대상지역은 잘라 안베사-아가(Zala Anbesa‐Aiga), 에갈라(Egala), 바두바두(Badu‐Badu) 등임
|
1999년 9월 15일
|
에티오피아는 쿠바와 기술협력 협정을 체결하였다고 발표. 쿠바군은 에티오피아 막시스트 멩기스투 체제를 지원 중
|
1999년 9월 28일
|
미 외교 당국은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간 분쟁 종식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발표
|
1999년 10월 1일
|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리아가 여전히 영토 확장에 대한 야망을 버리지 않고 있으며, 에티오피아는 결코 이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에리트리아와의 전쟁 협정 서명을 거부
|
1999년 10월 5일
|
에티오피아는 에티오피아가 국경지역에 대한 새로운 공격을 준비하고 있다는 에리트리아의 주장을 부정
|
1999년 10월 24일
|
UN 고등 난민위원회는 25만 명이 동원된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간의 전쟁에서 60,000명의 난민 등을 포함하여 수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발표
|
1999년 10월 25일
|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는 상호 비방과 침략행동 중지에 노력. 에티오피아는 65,000명의 에티오피아내 에리트리아 노동자를 추방하고 자국내 항만 창고에서 에티오피아인 소유 재산 1억 3,000만 달러어치를 약탈했다고 비난한 바 있음(에리트리아는 이를 부인)
|
1999년 10월 30일
|
에티오피아는 자국군이 10월 23일과 24일 제베르트(Jerbert) 강 근처에서 공격을 감행해 오던 에리트리아군을 격퇴시켰으며, 이 전투에서 300명의 에리트리아군을 사살하였다고 주장. 에리트리아는 이같은 에티오피아의 주장을 부인하면서, 에티오피아는 1998년 5월에 발효된 전쟁종식을 위한 중재노력을 방해하기 위해 에리트리아가 전투를 유발했다고 있다고 주장. OAU(Organization for African Unity)가 제시한 평화계획에 대해, 에티오피아 정부 대변인은 어떠한 평화협정도 에리트리안인을 태도를 바꿀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주장을 되풀이
|
1999년 11월 8일
|
프랑스는 에리트리아가 프랑스군 2,500명이 주둔하고 있는 지부티(Djibouti)를 침략하려하고 있다고 우려 표명. 지부티는 내륙국 에티오피아에 해안접안을 위한 통과권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복으로 에리트리아는 지부티 정부를 전복시키려는 FRUD(Front for the Restoration of Unity and Democracy) 반군을 지원하고 있음
|
1999년 11월 9일
|
에티오피아의 반정부 세력들은 2년 전부터 새로운 언어법의 채택을 요구하고 있음
|
1999년 11월 17일
|
에티오피아 정부 소식통은 에리트리아가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와 지부티간을 운항중인 기차를 파괴하기 위해 에티오피아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반군세력을 지원하고 있다고 주장
|
1999년 11월 18일
|
에티오피아와 예멘은 외국의 반군세력의 공격에 공동대처하며, 외국에 거주하고 있는 양국국민의 보호를 상호 지원한다는 안보협정에 서명
|
1999년 12월 3일
|
에리트리아 해방전선(Eritria Liberation Front)의 게릴라들은 12월초 1주일 사이에 26명의 에리트리아군 52사단 소속요원을 포함하여 총 56명의 에리트리아 정부군들이 투항해왔다고 발표
|
1999년 12월 20일
|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리아가 에티오피아 국적을 가진 17명의 아파즈(Afars)족을 살해했다고 비난. 이들 아파즈족들은 보킬라(Bokila)근교에서 살해되었음
|
1999년 12월 27일
|
OAU, 평화계획안에 대한 에리트리아의 우려(충돌국경선에의 평화유지군 배치 문제 등) 검토
|
2000년 1월 18일
|
에티오피아는 수단과 140㎞에 이르는 고속도로 개방협정에 서명하였다고 발표. 동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경우, 에티오피아는 수단항을 통해 물자를 신속하게 거래할 수 있다고 함
|
2000년 1월 21일
|
평화 및 인권 네트워크(The Peace and Human Rights Network)은 소말리아에 대한 무기와 군수물자의 제공을 금지한다는 UN헌장 제733조를 위배하고 에티오피아가 소말리아내 무사 수디 얄라호우(Musa Sudi Yalahow)가 이끄는 부족 군대인 아바갈(Abagal)에 물자와 무기를 제공하고 있다고 비난. 에티오피아는 이를 부인
|
2000년 1월 22일
|
에리트리아와 수단간 국경 재개방. 양국은 완전한 외교관계 수립에 합의하였는데 이는 수단이 에리트리아 항만에의 접근이 필요하였기 때문으로 해석되고 있음(FYEO 분석)
|
2000년 2월 18일
|
에리트리아, 에티오피아의 침입에 대비, 전군에 비상경계령
|
2000년 2월 23일
|
에리트리아는 에티오피아가 아사브(Assab)항(港) 부근의 부리에(Burie) 전선에 1개여단(3천명) 공격을 감행했다고 주장. 이로써 8개월간의 정전상태가 깨어짐
|
2000년 4월 8일
|
양국간의 국경분쟁에도 불구하고 에리트리아는 에티오피아로 지원되는 물품의 조루트를 제공하겠다고 발표
|
2000년 4월 16일
|
에리트리아, 18세∼40세 사이의 남자에 대한 징집령 발표
|
2000년 4월 29일
|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국경분쟁을 종결시키기 위한 평화협상이 알제리에서 개최됨
|
2000년 5월 12일
|
에티오피아가 잘라 안베사(Zala Anbesa) 전선, 바드메(Badme) 지역에서 전면공격 개시
|
2000년 5월 15일
|
에티오피아가 메레브‐세딧(Mereb‐Sedit) 강을 건너서 진격. 남동지역에서는 다스(Das), 바렌투(Barentu) 지역으로 진격
|
2000년 5월 17일
|
에티오피아군이 다스와 바렌투지역에서 에리트리아군을 포위
|
2000년 5월 18일
|
에티오피아군이 바렌투, 다스를 점령
|
2000년 5월 19일
|
에티오피아는 에르트리아와 OAU에게 평화회담을 가질 의사가 있음을 표명. 에티오피아는 팽창정책에 의한 전쟁이 아니라, 중부전선의 잘라 안베사지역, 동부지역의 부리에지역의 영토를 "회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힘. 에리트리아는 멘데페라(Mendefera)로부터 50km 떨어진 군사적 요충지 마이디마(Maidima)도 포기
|
2000년 5월 20일
|
에티오피아 서부지역에서도 공격 개시
|
2000년 5월 23일
|
잘라안베사‐에갈라(Egala)전선에서 치열한 전투. 에리트리아는 "조건없이" 평화협상을 재개하겠다고 발표. 에티오피아는 아스마라, 아싸브를 점령할 의도는 없으며, 에티오피아가 바렌투에서 철수하는 조건으로 에리트리아는 잘라안베사에서 철수해야 한다고 주장
|
2000년 5월 25일
|
에리트리아는 1998년의 전쟁 개시 이전의 상태로 군대를 철수할 의사를 표명
|
2000년 5월 26일
|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리아와의 평화교섭 재개에 동의.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리아의 군사력을 완전히 무력화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밝힘. 에티오피아군은 세나페(Senafe) 점령
|
2000년 6월 6일
|
테세네이(Teseney) 지역에서 치열한 전투. 에티오피아는 1개사단과 2개여단을 투입
|
2000년 6월 9일
|
에티오피아 수상(Meles Zenawi), 에리트리아가 재침하지 않도록 분쟁지대에 대한 평화유지군 개입 요청
|
2000년 6월 10일
|
에티오피아는 부리에 전선(에리트리아는 아싸브 전선이라고 부름)에서 전략적 요충지를 점령했다고 발표. 또한 테세네이 전선에서도 성공적으로 작전을 수행중이라고 발표. 에리트리아는 아프리카단결기구(OAU)의 "즉각적인 적대행위 중지"를 요청하는 정전안을 수락
|
2000년 6월 11일
|
알제리에서의 정전협상이 진전을 보임. OAU의 지휘하에 유엔이 평화유지활동을 하는 안을 포함한 평화계획이 검토되고 있음
|
2000년 6월 14일
|
에티오피아가 OAU의 정전안을 수락
|
2000년 6월 18일
|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가 알제리에서 평화협정에 조인. 정전협정의 내용은 ①1998년 5월 6일 이전 에티오피아 영역이 아닌 지역으로부터 에티오피아가 철수, ② 1000㎞에 달하는 국경이 정해질 때까지 평화유지군이 "일시적 안전보장지대"(에리트리아 영내의 25㎞의 완충지대)에 전개, ③ 평화유지군이 전개된 뒤 2주 후까지 에티오피아군은 에리트리아 점령지대에 체재 가능, ④ 이후 평화협정의 체결을 위해, 식민지시대의 조약, 국제법 등에 기반하여 국경선을 획정지을 예정
|
2000년 6월 19일
|
에티오피아군 테세네이 지역에서 철수 시작
|
2000년 6월 25일
|
에리트리아는 에티오피아가 정전협정에 새로운 조건을 추가하려 한다고 비난.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리아군의 규모를 감축할 것을 요구
|
2000년 7월 13일
|
워싱턴에서 양국간의 평화협상 개시
|
2000년 7월 31일
|
유엔 안보리는 100명의 국경감시단을 파견하겠다고 발표
|
2000년 9월 11일
|
유엔안보리는 4,200명의 평화유지군 파견을 결정(UNMEE: United Nations Mission inEthiopia and Eritrea)
|
2000년 9월 15일
|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간의 전투로 총 7만명 사망하고 80만명의 난민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
|
2000년 11월 27일
|
네덜란드가 UNMEE에 700명을 파병하는 데 동의
|
2002년 11월 17일
|
에티오피아의 최악의 가뭄에 대한 원조 노력을 위해 항구를 개방하기로 약속
|
2004년 11월 25일
|
멜레스 제나위 에티오피아 총리는 의회에서 국제사법재판소 국경위원회의 에리트리아와의 국경분쟁에 대한 중재 결정을 이행하기 위한 '에티오피아 5개안'이 표결을 통해 통과된 직후 행한 연설에서 "원칙적으로 에리트리아와의 국경 분쟁에 대한 국제적 중재 결정을 수용할 것이며 에리트리아와의 협상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힘. 또한 5개안에 따라 국제사법재판소 국경위원회 요원들이 에티오피아 국경에서 활동하는 것을 허락하며 그 같은 활동에 대한 자국 부담 경비도 지급할 것임을 천명
|
2005년 10월 4일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 사이 국경전쟁 재발 가능성을 경고하고 에리트리아에 대해 유엔 평화 유지군의 헬리콥터 비행금지 조치를 철회할 것을 촉구
|
2005년 10월 10일
|
유엔대표부는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 사이 국경지대를 감시하는 평화유지군의 가족과 친구들에게 철수 명령을 내림
|
2005년 11월 3일
|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가 최근 국경지대에 병력을 증파하고 부대를 전진배치하는 등 국경지대 긴장이 고조되고 있어 지난 2000년 종식된 양국 간의 국경분쟁이 재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음
|
2005년 11월 4일
|
아프리카연합(AU)은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간 국경 부근의 군사적 행동으로 야기된 긴장이 자칫 전쟁으로 비화될 수 있다며 양국의 자제를 촉구
|
2005년 12월 23일
|
유엔 평화유지군 사령부는 에리트리아와 에티오피아 간 국경분쟁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에티오피아 군 병력이 국경에서 철수하고 있다고 밝힘
|
2007년 2월 1일
|
에티오피아 정부는 지난달 29‐30일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아프리카연합(AU) 정상회의를 겨냥한 에리트리아의 폭탄공격 음모를 분쇄했다고 밝힘
|
2007년 4월 25일
|
에티오피아 정부는 동부 유전에서 반군 공격으로 74명이 피살된 것과 관련해 에리트리아 정부가 이 사건의 배후에 있다고 비난. 이에 대해 에리트리아 정부는 "근거 없는 것"이라고 일축하면서 이와 같은 주장은 "에티오피아 정부가 호전적 행위를 취하기 위한 구실을 삼기 위한 것"이라고 반박
|
2008년 7월 30일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에리트리아와 에티오피아 국경지대에 배치된 평화유지군을 철수시키기로 만장일치로 의결
|
2009년 8월 18일
|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는 지난 1998년부터 2년간 이어진 에리트리아와 에티오피아 간 국경 분쟁과 관련해 에리트리아와 에티오피아에 대해 각각 1억7천 400만 달러, 1억 6천 300만 달러를 각각 상대방에 배상하라고 판결.
|
2011년
|
2000년 6월 18일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국제상설중재재판소에 의해 배상 판결이 난후 별다른 직접적인 분쟁상황은 있지 않으나, 기본적으로 적대적인 관계(감정)를 유지하고 있음.
|
2012년 3월 15일
|
Shimelis Kemald 에티오피아 정부 대변인은 자국군이 에리트레아 국경을 16-18km가량 진격해 에리트레아의 3개 군기지를 공격했다고 발표함. Kemald 대변인은 에리트레아가 동 군사시설에서 에티오피아 반군을 양성하고 있어 사전 공격하였다고 발표. 특히 최근 아파르 지역에서 외국인 관광객 피살 등 에티오피아 내에서 에리트레아가 자행한 일련의 테러 행위가 금번 군사작전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설명함. 이에 에리트레아 외교부는 에리트레아는 에티오피아와 더 이상 전쟁을 치를 생각이 없다고 발표하는 등 금번 주재국측 도발에 대해 보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시사함. 에리트레아 정부는 또한 에티오피아가 △에티오피아의 에리트레아 일부 영토에 대한 불법 점령 및 △에티오피아 국내 문제 등으로 부터 주재국 국민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금번 도발을 자행하였다고 주장함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