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는 "나만의 스타일"로 쓰라...
2016년 12월 12일 00시 43분  조회:2658  추천:0  작성자: 죽림
9) 나만의 스타일로 쓴다
 
예술은 모방에서 시작된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시를 배우는 사람들의 시를 보면 그 스승냄새를 물씬 풍긴다.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 모방으로 시작하였더라도 끝내는 자기 자신만의 것을 내놓아야한다.
 
작가 이름을 명시하지 않은 시를 보고도 이건 누구 시다! 할 수 있도록 그런 자기만의 스타일을 만들어내야 시인으로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사람 머리 위에 똥을 싼다고
말 못하는 새한테 욕하지 마세요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이
사람 머리 위에 똥을 누며 산다는 걸
새들도 이미 다 알고 있어요
 
신천희 동시 -『공중변소』전문
 
여자가
꽃 중에 꽃이라는
할머니가
방귀를 뽕 뀌었다
 
냄새가
아주 고약했다
 
시든 꽃에는
향기가 없다는 말
누가 했는지
순전히 거짓말이다
 
신천희 동시 -『시든 꽃에도 향기가 있다』전문
 
화장실에 갔는데 똥이
나올까말까 망설이는 거야
 
나온다고 했으면
후딱 나오지 미적대기는
 
내 성질에
그 꼴을 어떻게 보고 있어
 
나오든 말든 네
맘대로 해 하고 나와 버렸지
 
보나마나 지금쯤
똥이 후회하고 있을 거야
 
신천희 동시 -『네 맘대로 해』전문
 
이렇게 나는 똥을 소재로 한 시를 많이 빚는다. 그래서 나는 내가 빚은 동시를 똥시라고 한다. 사람들도 나를 똥시인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내 똥시는 이름을 명시하지 않아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신천희의 시란 것을 안다. 이것도 내가 정해놓고 빚는 나만의 스타일이다.
 
 
10) 이론에 매이지 않는다
 
시에서는 직유든 은유든 비유가 많다. 그렇지만 나는 직유가 무언지 환유가 무언지 알면서도 잘 모른다. 시를 빚으면서 이론에 매이지 않으려고 노력하기 때문이다.
 
국문학박사나 국어교사들 중에 시를 잘 빚는 사람이 드물다. 이론을 너무 잘 알아서 그 이론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대목은 치환을 해야 돼! 여기서는 직유를 해야지! 이렇게 이론을 내세워 의도적인 비유를 하는 까닭이이다.
 
그래서 시는 국문학박사가 빚는 것도 아니요, 국어교사가 빚는 것도 아니요, 시인이 빚는 것이라 한다. 시인이 시를 빚으면 굳이 이론을 따지지 않아도 자동으로 은유가 되고 치환이 되어 있다.
 
그리고 시 공간성 같은 이론을 따지며 짜인 틀에 갖다 넣으려고 하면 시는 건조해져 무말랭이처럼 말라비틀어지고 만다.
 
 
11) 자가당착에 빠지지 않는다
 
시는 나를 위해 빚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독자를 위해 빚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는 주관적이어서는 안 된다. 나의 이야기 또는 내가 경험한 것을 소재로 빚는다 하드라도 객관성을 회복해야 한다. 객관성을 회복하지 못하면 자가당착에 빠지고 마는 것이다.
 
미숫가루를 실컷 먹고 싶었다
 
부엌 찬장에서 미숫가루통 훔쳐다가
동네 우물에 부었다
 
사카린이랑 슈거도 몽땅 털어넣었다
 
두레박을 들었다 놓았다하며 미숫가루 저었다
 
뺨따귀를 첨으로 맞았다
 
박성우 동시 -『삼학년』전문
 
이 시는 객관성을 회복하지 못해 자가당착에 빠진 시다. 미숫가루가 실컷 먹고 싶다고 미숫가루를 우물에 쏟아 붓는 사람이 있을까? 그것도 사카린이랑 슈가까지. 이것은 말도 안 되는 이야기다. 이 시를 읽고 맞아! 그랬지! 하고 공감하는 사람이 몇 명이나 있을까?
 
제목이 ‘삼학년’ 인 걸 보면 작가가 삼학년 때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을 벌인 적이 있나보다. 그러니까 이 시는 작가가 자가당착에 빠져 빚은 시로 작가 자신만이 알 수 있는 시다. 사건 자체가 객관성을 회복하기엔 너무 엄청나 엄두가 나지 않는다.
 
우리 동네는
이장님이 마을사람들에게
소식을 알릴 때 쓰는
방송장치가 있으나마나다
 
어떤 소식이든
칠구네 할머니가 알면
이장님이 방송도 하기 전에
동네사람들이 다 안다
 
신천희 동시 -『동네방송』전문
 
위의 시 ‘삼학년’ 과 같이 어떤 사건을 주제로 한 시다. 작가가 겪은 사건을 시로 빚었지만 독자들과 함께 공감할 수 있는 객관성을 회복했다. 그랬을 때 시가 성립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시인의 연인이 교통사고로 갑자기 두 발을 가지런히 했다고 치자. 그 시인이 연인과 함께 나누었었던 추억을 더듬어 시로 빚는다. 그 시인은 생각만 해도 눈물이 줄줄 흘러나오도록 슬픈 이야기들을 적나라하게 적고 있다. 아무리 읽어봐도 세상에 이 보다 더 슬픈 시는 없다.
 
그런데 어떤가? 연인이 멀쩡하게 살아 있고 지금도 사랑하고 있는 사람들이 읽으면 아무 감흥도 못 느낀다. 자기의 감정에 치우쳐, 자기만이 가진 이야기를, 자기에게 늘어놓았는데 타인이 어떻게 그 감정에 이입되겠는가. 이런 것이 바로 자가당착이다.
 
 
12) 기승전결로 시를 전개해 나간다
 
13) 시제와 시점을 정확하게 한다
 
14) 탈고를 위한 나만의 체크리스트를 만든다
 
시인은 말이 필요없다. 단지 작품으로 말할 뿐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0 [시문학소사전] - "블랙리스트"이란?... 2017-01-01 0 4071
89 시인은 모든 리익과 다툼에서 손해보는 사람이다... 2016-12-31 0 3450
88 문학과 비평은 쌍두마차... 2016-12-31 0 2533
87 여보게 친구,분위기가 얼쑤인데 한잔 안할수가 없잖은가... 2016-12-31 0 3198
86 술과 시와 삶은 잘 삭혀야 제맛!~~~ 2016-12-31 0 2483
8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학생들께 론문쓰는법 가르치자 2016-12-31 0 2738
84 "전설의 편집자", 53, 그리고 외길 인생 2016-12-31 0 3033
83 안중근 유묵 106년만에 해빛 보다... 2016-12-30 0 3150
8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뜻뜨미지근", "뜨뜻미지근" 2016-12-30 0 2704
81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임대"냐? "임차"냐?... 2016-12-30 0 2607
80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우리말 애정 표현은?... 2016-12-30 0 2720
79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달이다", "다리다","졸이다", "조리다" 2016-12-30 0 2984
78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치어"를 쓸때, "치여"를 쓸때... 2016-12-30 0 2770
77 소리로 날려 보내던 생각을 그 소리를 붙잡아 시로 남기기... 2016-12-29 0 2298
76 세기의 혁신가 10인 2016-12-29 0 2900
75 [시문학소사전] - 추상표현주의란?... 2016-12-29 0 2848
74 [쉼터] - 작문써클선생님들께; 작문평정과 평어쓰기 2016-12-28 0 2640
73 시는 추상적관능과 비평정신을 고도의 음악성과 결부해야... 2016-12-28 0 2746
72 말안장에서 용사를 가려내고 달빛아래에서 미인을 보다... 2016-12-28 0 2675
71 시를 쓴다는것은 인생의 마지막역을 잘 인테리한다는것... 2016-12-27 0 2880
70 진리를 멀리서 구하지 말고 자기 자신속에서 구하라... 2016-12-27 0 2745
6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소나무와 첫락엽 2016-12-27 0 2270
68 [시문학소사전] - "퓨전"이란?... 2016-12-27 0 2816
67 시의 건초더미에서 겨우겨우 찾을수 있을가말가 하는 시를 쓰라... 2016-12-26 0 2585
66 시인이 시 한수를 빵으로 바꿀수 있을까?... 2016-12-26 0 2624
65 술, 가슴에서 터져나오는 시, 머리에서 짜여져 나오는 시... 2016-12-26 0 2706
64 대만 현대시의 흐름을 알아보다... 2016-12-26 0 2917
63 대만 녀성시인 - 수샤오리엔 2016-12-26 0 2643
62 리백 음주시 관련하여 2016-12-25 0 2606
61 로신과 겨레의 문인들 2016-12-25 0 2737
60 李陸史는 魯迅을 만나 보았을까? 2016-12-25 0 2756
59 력사, 문학, 그리고 미래... 2016-12-25 0 2791
58 영웅이 없는 시대에 그저 하나의 사람이 되고싶을 뿐... 2016-12-25 0 3110
57 몽롱시와 그 "찬란한 빛" 2016-12-25 0 2475
56 시는 최소한의 언어로 최대한의 세계를 담아야... 2016-12-25 0 2668
55 진정으로 뛰여난 담시(譚詩) 한수라도 보고지고... 2016-12-23 0 2622
54 시인은 정화가 된 "저체온의 성스러운 언어"로 시를 써야... 2016-12-22 0 2784
53 시인, 석류, 그리고 파렬, 분출, 문여는 소리... 2016-12-22 0 2757
52 [쉼터] - 작문써클선생님들께; 마구잡이로 쓰는 "~의 대하여" 2016-12-22 0 2551
51 "종소리를 더 멀리 보내기"+"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2016-12-22 0 2487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