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인이여, 단순하고 엉뚱한 상상력으로 놀아라...
2017년 02월 21일 00시 30분  조회:3573  추천:0  작성자: 죽림

상투성의 그물

 

 

상투성은 시의 가장 큰 적이다.
시인의 미적 인식에 의해 사물을 재발견하는 게 중요하다.
절대 죽은 인식을 되풀이 하지 말라(남들이 많이 써먹은 비유는 하지 말것)
-> 죽은 언어를 구별하여 과감히 버리고 살아있는 언어와 사투를 벌여라.






 

똥누듯이 쓰라. '무엇'을 쓰려고 하지 말라

 

가까운 곳에 있는 것을 써라. "오래 들여다봐라. 오래 들여다보면 주변의 것들이 모두 시가 된다."
-> 사과를 예로 들면 사과를 오래 바라보고 사과에 스민 햇빛을 상상해보고 (중략) 사과를 완전히 잊어버려라.(p. 61)
큰 것이 아니라 작은 것을 써라.
이론이나 세계관이 시를 낳는 게 아니다. 당신의 시가 당신의 이론과 세계관을 형성한다고 믿어라.
화려한 것이 아니라 하찮은 것을 써라

책으로 얻은 지식과 지혜를 말로 옮겨 쓰려 하지 말라. 현학이나 지적 허영의 늪에 빠질 수 있다.
어깨와 팬 끝에 힘을 주지 말고 자연스럽게 써라.






 

상처를 통해 이야기하고 
흉터를 감추지 말고 말하며 
자신이 미쳤음을 부끄러워 하지 말라

 

시를 쓰는 동안은 당신이 받은 훈장과 상장을 반납하고
행운과 행복과 영광을 외면하라
당신이 자랑하고 싶은 것들과는 이별하고
당신이 부끄러워하는 것들과 손을 잡고 결혼하라.
당신이 두고두고 치욕스럽게 여기는 것, 감춰두고 싶은 것, 그래, 그것을 꺼내 써라






 

무엇을 위해서, 누구를 위해서 쓰지 말라

 

무엇을 위해서, 누구를 위해서 쓰지 말라
시가 천박해진다.
그래도 부처와 예수와 부모와 아내를 시에 쓰고 싶어 못 견디겠다면?
-> 부처의 말씀을 관념의 테두리 안에 가둬버리고 실천할 줄 모르는 자들에 대해 써라
예수를 팔아 제 잇속을 챙기는 자들을 꾸짖는 시를 써라
부모의 비겁함과 치부와 죄를 찾아 써라
아내의 째째함과 실수와 과욕에 대해 써라






 

묘사

 

묘사는 개념을 해체한다.
고정관념이 만든 개념을 쓰지 말라.
묘사는 개념을 구체화하거나 해체하는 데 기여한다. 예를 들면
"시장에는 여러가지 채소가 많다"라고 쓰면 죽은 문장이다.
"가락시장에는 배추, 시금치, 상추가 많다"라고 쓰기 시작해야 문장에 조금이라도 생기가 돌기 시작한다.

 




[창작강의]
단순하고 엉뚱한 상상력으로 놀아라



비유는 일상적 언어 규범에서 일탈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 언어 용법이다.

은유·직유·제유·환유의 뒷글자인 ‘유’(喩)는 ‘말하다’는 뜻의 ‘구’(口)와 ‘옮기다’라는 뜻을 가진 ‘유’(兪)의 결합이다.

즉 비유란 말의 원래 뜻을 옮겨 다르게 표현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개나리꽃은 노랗다”는 일상 언어를 “개나리꽃은 병아리 부리다”라는 비유적 표현으로 바꿔보자.

이 ‘병아리 부리’ 속에는 노란 색깔 이외에도 개나리꽃의 모양, 꽃잎의 연약함, 봄의 이미지 등이 첨가된다.

‘노랗다’는 일상 언어의 평이함이 전면 확장되어 의미의 전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대상과 대상 연결하는 ‘은유’ 
비틀고 꼬며 덧칠해야 할까 

여러 가지 비유 중에 은유는 차별성 속에서 동일성을 찾는 수사법 중의 하나다.

옥타비오 파스는 “시는 대립적인 것들의 역동적이고 필연적인 공존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의 최종적인 동일성을 선언한다”(<활과 리라>)고 말했다.

누가 뭐래도 시는 은유의 덩어리다.

은유적 표현을 한정해서 말하는 게 아니라 시라는 양식이 은유에 기대어 태어났고 성장하고 있는 존재다. 

그런데 때로 은유의 폐해를 지적하는 연구도 우리의 흥미를 끌어당긴다.

구모룡의 <제유의 시학>에 따르면 시는 근대적 개념인 세계의 자아화나 동일성으로 설명할 수 없다.

“은유는 다른 대상을 자기화하는 수사학이다.

다시 말해서 은유는 대상과 대상을 강제적으로 연결한다.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억압하는 논리이다.

” 이러한 은유적 욕망이 근대에 와서 주체중심주의, 이성중심주의, 남성중심주의를 낳았다는 진단이다.

이처럼 “타자에게 폭력적”인 은유에 대한 대안으로

유기론을 바탕으로 하는 제유 시학의 가능성을 제시하기에 이른다. 

말을 비틀고 교묘한 표현을 일삼는 이들에 대한 비판에 일찍이 허균도 가세했다.

“<서경>에 실려 있는 여러 편의 명문장을 보라. 모두 문장으로 최고의 경지에 이르렀지만,

어려운 말로 교묘하게 꾸민 구절이 있는가?

(중략) 제자백가서만 보더라도 모두 자신들의 도리를 논했기 때문에 그 글은 쉽고 간결했다.

그런데 후대에 와서는 문장과 도리가 둘로 쪼개져 마침내 어렵고 교묘한 말로 글을 꾸미는 일이 생겨났다.

이것이야말로 문장의 재앙이다.”(허균 <성소부부고>) 


나도 땅을 가지고 싶다. 
내가 좋아하는 민병하 선생님도 
수원 근처에 오천평이나 가졌는데…… 

싼 땅이라도 좋으니 
한 평이라도 땅을 가지고 싶다. 
땅을 가졌다는 것은 얼마나 좋으랴…… 

땅을 가지고 싶지만, 
돈이 있어야 한다. 
돈을 많이 벌어야겠다. 

땅을 가지고 있으면, 
초목을 가꾸고, 
꽃을 심겠다. 


천상병의 시 <땅>이다.

시인은 가진 땅이 한 평도 없어 “나도 땅을 가지고 싶다”고 직설적으로 욕망을 드러낸다.

땅을 가지기 위해 “돈을 많이 벌어야겠다”는 소유욕을 숨기지 않는다.

그것은 인간의 보편적인 욕망이라 할 만하다.

어떤 이들은 도대체 이런 게 무슨 시인가, 되묻고 싶을 것이다.

이 시에는 시적인 비유도 없고 시적인 발견도 없다고, 이런 시라면 하룻밤에도 수십 편을 쓰겠다고 투덜댈지도 모르겠다.

천상병이라는 유명한 시인이 쓴 것이니까 좋은 시라고 추어올리는 게 아니냐고 볼멘소리를 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땅을 소유하고자 하는 시인의 욕망은 “초목을 가꾸고,/ 꽃을 심겠다”는 아주 작지만 근원적인 꿈을 이루기 위해서다.

땅을 가진 뒤에 땅값이 오르기를 기다리거나 거기에 부동산을 짓겠다는 투기 욕망 따위는 일절 없다.

오히려 그런 심리를 비웃기라도 하듯 시인은 그저 초목과 꽃을 심겠다고 한다

(그러다 보면 땅값이 오르겠지, 하고 의심한다면 당신은 정말 속물이다).

이러한 단순성의 미학이 천상병이라는 시인을 만들었다. 

이 시에서 무욕의 욕망을 읽고 은유 아닌 은유를 읽을 줄 아는 사람이라면 그가 바로 은유의 성채 입구에 도달한 사람이다.

그러니 시를 쓰기 위해 책을 뒤져 은유를 배우지 마라.

은유를 잘못 배우면 말을 요리조리 비틀고 무슨 문장이든 꾸미려 하고 교묘하게 꼬는 일이 시의 전부인 줄 알게 된다.

나는 그것을 ‘비유의 덧칠’이라고 부른다.

비유를 덧칠하지 않고 단순한 상상력의 깊이를 아는 사람은 저녁에 술 마시러 나갈 때

천상병의 이런 시 구절을 흥얼거릴지도 모른다.

“저녁 어스름은 가난한 시인의 보람인 것을……”(<주막에서> 일부분) 


내 늙은 아내는 
아침저녁으로 
내 담배 재떨이를 부시어다가 주는데, 
내가 
“야 이건 
양귀비 얼굴보다도 곱네. 
양귀비 얼굴엔 분때라도 묻었을 텐데?” 
하면, 
꼭 대여섯 살 먹은 계집아이처럼 
좋아라고 소리쳐 웃는다. 
그래 나는 
천국이나 극락에 가더라도 
그녀와 함께 
가 볼 생각이다. 


미당이 작고하기 두 해 전, <현대문학> 1998년 1월호에 발표한 시 <내 늙은 아내>다.

그 한 해 전에 나온 마지막 시집 <80소년 떠돌이의 시>(시와시학사)도 그렇지만 말년에 미당은 여든을 훨씬 넘은 나이에

놀랍게도 소년의 목소리를 얻었다.

어른은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세상사에 대해 이것저것 따지고 분석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소년은 단순하게 세상을 읽으려고 한다.

삶의 갈등과 고뇌에 물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당의 시에 나타나는 이 단순성은 이 세상을 한 바퀴 휘휘 돌아본 뒤에 마침내 다다른 시선(詩仙)의 경지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문학과 인생의 산전수전 끝에 미당은 천진성이라는 새로운 문학적 눈을 갖게 된 것이다. 


*특정한 틀에 갇히지 말고 
천진난만한 상상 표현하길 


내 아내는 여기 등장하는 ‘늙은 아내’와 달리 내 담배 재떨이를 아침저녁으로 비워본 적이 별로 없었다.

집에서 내 재떨이는 담배꽁초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버린 휴지 조각, 방바닥에서 집어낸 머리카락, 손톱 따위들을 담는 쓰레기통쯤으로 취급되어 왔었다.

나는 이 시를 아내에게 보여주었다.

아내는 시를 보고 뭔가 찔리는 게 있었던 모양이다.

그 다음날부터는 정말 내 재떨이도 확연히 달라졌다.

아침저녁으로 담뱃재 하나 묻어 있지 않은 재떨이를 보면서 나는 아내에게 말했다.

“야 이건 양귀비 얼굴보다도 곱네. 양귀비 얼굴엔 분때라도 묻었을 텐데?” 

담배 재떨이는 대체로 둥글다.

그 둥근 모양과 부부 관계가 알맞게 버무려진 이 시를 읽으면서 나는 보름달을 떠올린다.

모자라는 것도, 더 채워야 할 것도 없는 보름달의 원형은 우리가 궁극적으로 가 닿아야 할 사랑의 종착지를 상징한다.

 “아 내곁에 누어있는 여자여./ 네 손톱 속에 떠오르는 초생달에/ 내 戀人(연인)의 꿈은 또 한 번 비친다.”

(<눈 오시는 날> 일부분) 그동안 미당의 시에 숱하게 등장하던 초생달의 이미지는

이 시에 이르러 비로소 환한 보름달로 가득 차올랐다.

미당은 자연스럽게 보름달의 세계를 갖게 되었다. 단순함의 힘이다. 


나주 들판에서 
정말 소가 웃더라니까 
꽃이 소를 웃긴 것이지 
풀을 뜯는 
소의 발밑에서 
마침 꽃이 핀 거야 
소는 간지러웠던 것이지 
그것만이 아니라 
피는 꽃이 소를 살짝 들어 올린 거야 
그래서, 
소가 꽃 위에 잠깐 뜬 셈이지 
하마터면, 
소가 중심을 잃고 
쓰러질 뻔한 것이지 



윤희상의 <소를 웃긴 꽃>이다.

근래 이 시를 잃고 한참 동안 행복했다.

특정한 개념과 틀에 갇히지 않은 상상력이 이런 유쾌한 시를 생산했다.

엉뚱함의 힘이다.

꽃이 소를 웃겼다고, 소의 발바닥을 간질였다고, 연약한 꽃이 육중한 소를 살짝 들어 올렸다고 한다.

정말 소가 웃을 일이다.

세상에 시인이 아니면 누가 이런 엉뚱한 발언을 하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0 [시문학소사전] - "블랙리스트"이란?... 2017-01-01 0 4071
89 시인은 모든 리익과 다툼에서 손해보는 사람이다... 2016-12-31 0 3450
88 문학과 비평은 쌍두마차... 2016-12-31 0 2539
87 여보게 친구,분위기가 얼쑤인데 한잔 안할수가 없잖은가... 2016-12-31 0 3199
86 술과 시와 삶은 잘 삭혀야 제맛!~~~ 2016-12-31 0 2484
8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학생들께 론문쓰는법 가르치자 2016-12-31 0 2744
84 "전설의 편집자", 53, 그리고 외길 인생 2016-12-31 0 3033
83 안중근 유묵 106년만에 해빛 보다... 2016-12-30 0 3150
8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뜻뜨미지근", "뜨뜻미지근" 2016-12-30 0 2713
81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임대"냐? "임차"냐?... 2016-12-30 0 2612
80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우리말 애정 표현은?... 2016-12-30 0 2720
79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달이다", "다리다","졸이다", "조리다" 2016-12-30 0 2988
78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치어"를 쓸때, "치여"를 쓸때... 2016-12-30 0 2770
77 소리로 날려 보내던 생각을 그 소리를 붙잡아 시로 남기기... 2016-12-29 0 2299
76 세기의 혁신가 10인 2016-12-29 0 2900
75 [시문학소사전] - 추상표현주의란?... 2016-12-29 0 2848
74 [쉼터] - 작문써클선생님들께; 작문평정과 평어쓰기 2016-12-28 0 2640
73 시는 추상적관능과 비평정신을 고도의 음악성과 결부해야... 2016-12-28 0 2746
72 말안장에서 용사를 가려내고 달빛아래에서 미인을 보다... 2016-12-28 0 2675
71 시를 쓴다는것은 인생의 마지막역을 잘 인테리한다는것... 2016-12-27 0 2881
70 진리를 멀리서 구하지 말고 자기 자신속에서 구하라... 2016-12-27 0 2748
6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소나무와 첫락엽 2016-12-27 0 2270
68 [시문학소사전] - "퓨전"이란?... 2016-12-27 0 2822
67 시의 건초더미에서 겨우겨우 찾을수 있을가말가 하는 시를 쓰라... 2016-12-26 0 2585
66 시인이 시 한수를 빵으로 바꿀수 있을까?... 2016-12-26 0 2625
65 술, 가슴에서 터져나오는 시, 머리에서 짜여져 나오는 시... 2016-12-26 0 2706
64 대만 현대시의 흐름을 알아보다... 2016-12-26 0 2922
63 대만 녀성시인 - 수샤오리엔 2016-12-26 0 2643
62 리백 음주시 관련하여 2016-12-25 0 2606
61 로신과 겨레의 문인들 2016-12-25 0 2739
60 李陸史는 魯迅을 만나 보았을까? 2016-12-25 0 2756
59 력사, 문학, 그리고 미래... 2016-12-25 0 2791
58 영웅이 없는 시대에 그저 하나의 사람이 되고싶을 뿐... 2016-12-25 0 3110
57 몽롱시와 그 "찬란한 빛" 2016-12-25 0 2475
56 시는 최소한의 언어로 최대한의 세계를 담아야... 2016-12-25 0 2668
55 진정으로 뛰여난 담시(譚詩) 한수라도 보고지고... 2016-12-23 0 2623
54 시인은 정화가 된 "저체온의 성스러운 언어"로 시를 써야... 2016-12-22 0 2792
53 시인, 석류, 그리고 파렬, 분출, 문여는 소리... 2016-12-22 0 2757
52 [쉼터] - 작문써클선생님들께; 마구잡이로 쓰는 "~의 대하여" 2016-12-22 0 2555
51 "종소리를 더 멀리 보내기"+"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2016-12-22 0 2489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