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프랑스 시인 -보들레르
2017년 05월 24일 23시 33분  조회:10046  추천:0  작성자: 죽림
 
저작자 보들레르
창작/발표시기 1862년
국가 프랑스
원제 Le Spleen de Paris

요약 프랑스의 작가이자 시인, 미술평론가였던 보들레르의 산문시(1862). 시인 스스로 “리듬과 각운이 없으면서도 충분히 음악적이며, 영혼의 서정적 움직임과 상념의 물결침과 의식의 경련에 걸맞을 만큼 충분히 유연하면서 동시에 거친 시적 산문”이라고 정의한 이 작품에 대해 테오도르 방빌은 ‘진정한 문학적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이 새로운 문학형식은 로트레아몽, 랭보, 말라르메, 베를렌 등 근대 상징파 시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Charles(-Pierre) Baudelaire)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Charles(-Pierre) Baudelaire)

파리의 우울(Le Spleen de Paris)의 저자인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1855년)

작품 해설

<파리의 우울>은 산문시 50편과 헌사, 그리고 에필로그인 운문시로 구성돼 있다. <파리의 우울>을 통해 보들레르는 화려한 외양의 파리가 아니라 뒷골목과 변두리에 숨은 은밀하고 고독한 파리의 뒤안길을 보여준다. 그는 도시를 묘사하기 위해 유곽이나 병원, 연옥, 지옥, 도형장과 같은 거대한 건축물을 나열하는데 이는 파리라는 도시를 표현하는 알레고리이다. 그는 누구보다도 파리에 대해 잘 알았을 뿐만 아니라 애착을 갖고 있었다.

파리에 대한 그의 우울한 시선은 이러한 애착과 등가관계에 있다. 그는 파리에서 천국을 열망했지만 그의 몸이 발 딛고 있는 땅은 그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가 술과 마약, 섹스에 탐닉하며 인위적인 천국을 꿈꾸었던 것의 한편에 탄식하듯 누워 있는 영혼, <파리의 우울>은 그렇게 태어났다. 시인 자신은 이에 대해 ‘보다 많은 자유와 디테일, 영혼의 폐부를 찌르는 날카로움을 얻은 악의 꽃’이라고 말한다.

작가 소개

스물네 살에 <1845년의 살롱>을 출판하면서 미술평론가로 등장한 보들레르는 이후 단편소설, 비평, 시를 잇달아 발표하면서 프랑스 문학에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을 번역해 소개하는 등 번역가로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1857년 젊은 시절부터 다듬어온 시를 정리해 <악의 꽃 Les Fleurs du Ma>을 펴냈으나 미풍양속을 해친다는 이유로 당국으로부터 벌금과 함께 수록된 시 6편을 삭제하라는 판결을 받았다. 이 사건으로 그는 프랑스에서 공공의 적이자 저주받은 시인이 되었지만 문인들은 그가 ‘시에 새로운 전율을 부여했다’며 높이 평가했다.

명석한 두뇌와 날카로운 감수성을 지녔으나 심약했던 보들레르는 아버지에게 받은 유산을 방탕한 생활로 날려버리고 평생을 빚과 병에 시달리며 고통스럽게 살았다. 마흔 여섯에 파리에서 사망했으며 몽파르나스 묘지에 있는 오피크 가(家)의 무덤에 묻혔다. 죽은 지 10년 뒤 비로소 그의 문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었으며, 이후 현대시의 아버지로 추앙받고 있다.



[Daum백과] 파리의 우울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23 詩작법 휘호호.. 2016-01-09 0 4167
922 詩작법 둥기당... 2016-01-09 0 5589
921 詩작법 닐리리... 2016-01-09 0 4808
920 詩작법 옹헤야... 2016-01-09 0 4326
919 詩작법 지화쟈... 2016-01-09 0 3717
918 詩작법 절씨구... 2016-01-09 0 3954
917 詩작법 얼씨구... 2016-01-09 0 4246
916 詩작법 찌찌찌... 2016-01-09 0 5069
915 좋은 詩를 쓰는 비법 2016-01-09 0 4290
914 詩는 언어에 옷을 입히는 행위 2016-01-09 0 4216
913 詩습작자들을 위한 提言 2016-01-09 0 3976
912 詩공부하지 않고서는 말할것 없다... 2016-01-09 1 4504
911 詩쓰기 그리기... 2016-01-09 0 3814
910 ...해답일뿐, 정답은 아닙니다... 2016-01-09 0 4166
909 詩작법 구구구... 2016-01-09 0 3722
908 詩人되기 힘들다, 詩쓰기는 더더욱 힘들다... 2016-01-09 0 4258
907 詩작법에서 詩를 많이 읽어라 2016-01-09 0 3890
906 만약 詩 한줄이라도 에너지가 있다면... 2016-01-09 0 3321
905 詩에 뭐라고 제목을 붙일가... 2016-01-09 0 4093
904 그러나, 누구나 좋은 詩를 쓰는것은 아니다... 2016-01-09 1 4257
903 현대詩史에 수많은 활구(活句)를 낳다... 2016-01-09 0 4574
902 詩는 몇개의 징검돌로 건너가는 것... 2016-01-09 0 3867
901 詩에서 어떻게 표현할것인가 2016-01-09 0 4329
900 詩에서 새로운 화제 찾기 2016-01-09 0 3988
899 詩에서 어떤 어법으로 말할가 2016-01-09 0 3966
898 詩의 서정적줄거리 만들기 2016-01-09 0 4783
897 자아,- 씁시다... 詩자악!... 2016-01-09 0 4834
896 詩의 정의는 없다... 2016-01-09 0 4745
895 詩는 여러 문학쟝르 中 가장 핵심 쟝르 2016-01-09 0 4223
894 詩짓기에서 수사법 2016-01-09 0 4525
893 詩의 술잔속에는 바다가 출렁출렁... 2016-01-09 0 4425
892 우리 모두 詩와 함께 웃어 버립시다... 2016-01-09 0 3906
891 그녀만은 없었습니다... 2016-01-09 0 4112
890 아름다움이란 모든 것 몫, 몫, 몫... 2016-01-09 0 3913
889 뭇 벗님들의 하늘이 늘 함께 푸르기만을... 2016-01-09 0 4017
888 詩의 旅行을 떠나며... 2016-01-09 0 4056
887 詩적 발견, 그 새로운 눈 2016-01-09 0 4368
886 詩는 묘사로 시작해서 진술로 끝나다... 2016-01-09 0 4569
885 詩야,- 너 어디서 오느냐... 2016-01-08 0 5035
884 詩人을 만드는 9가지 비망록 2016-01-08 0 4859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