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프랑스 시인 -보들레르
2017년 05월 24일 23시 33분  조회:10038  추천:0  작성자: 죽림
 
저작자 보들레르
창작/발표시기 1862년
국가 프랑스
원제 Le Spleen de Paris

요약 프랑스의 작가이자 시인, 미술평론가였던 보들레르의 산문시(1862). 시인 스스로 “리듬과 각운이 없으면서도 충분히 음악적이며, 영혼의 서정적 움직임과 상념의 물결침과 의식의 경련에 걸맞을 만큼 충분히 유연하면서 동시에 거친 시적 산문”이라고 정의한 이 작품에 대해 테오도르 방빌은 ‘진정한 문학적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이 새로운 문학형식은 로트레아몽, 랭보, 말라르메, 베를렌 등 근대 상징파 시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Charles(-Pierre) Baudelaire)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Charles(-Pierre) Baudelaire)

파리의 우울(Le Spleen de Paris)의 저자인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1855년)

작품 해설

<파리의 우울>은 산문시 50편과 헌사, 그리고 에필로그인 운문시로 구성돼 있다. <파리의 우울>을 통해 보들레르는 화려한 외양의 파리가 아니라 뒷골목과 변두리에 숨은 은밀하고 고독한 파리의 뒤안길을 보여준다. 그는 도시를 묘사하기 위해 유곽이나 병원, 연옥, 지옥, 도형장과 같은 거대한 건축물을 나열하는데 이는 파리라는 도시를 표현하는 알레고리이다. 그는 누구보다도 파리에 대해 잘 알았을 뿐만 아니라 애착을 갖고 있었다.

파리에 대한 그의 우울한 시선은 이러한 애착과 등가관계에 있다. 그는 파리에서 천국을 열망했지만 그의 몸이 발 딛고 있는 땅은 그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가 술과 마약, 섹스에 탐닉하며 인위적인 천국을 꿈꾸었던 것의 한편에 탄식하듯 누워 있는 영혼, <파리의 우울>은 그렇게 태어났다. 시인 자신은 이에 대해 ‘보다 많은 자유와 디테일, 영혼의 폐부를 찌르는 날카로움을 얻은 악의 꽃’이라고 말한다.

작가 소개

스물네 살에 <1845년의 살롱>을 출판하면서 미술평론가로 등장한 보들레르는 이후 단편소설, 비평, 시를 잇달아 발표하면서 프랑스 문학에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을 번역해 소개하는 등 번역가로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1857년 젊은 시절부터 다듬어온 시를 정리해 <악의 꽃 Les Fleurs du Ma>을 펴냈으나 미풍양속을 해친다는 이유로 당국으로부터 벌금과 함께 수록된 시 6편을 삭제하라는 판결을 받았다. 이 사건으로 그는 프랑스에서 공공의 적이자 저주받은 시인이 되었지만 문인들은 그가 ‘시에 새로운 전율을 부여했다’며 높이 평가했다.

명석한 두뇌와 날카로운 감수성을 지녔으나 심약했던 보들레르는 아버지에게 받은 유산을 방탕한 생활로 날려버리고 평생을 빚과 병에 시달리며 고통스럽게 살았다. 마흔 여섯에 파리에서 사망했으며 몽파르나스 묘지에 있는 오피크 가(家)의 무덤에 묻혔다. 죽은 지 10년 뒤 비로소 그의 문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었으며, 이후 현대시의 아버지로 추앙받고 있다.



[Daum백과] 파리의 우울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83 <오체투지> 시모음 2015-05-10 0 4321
482 <봄날> 시모음 2015-05-10 0 3820
481 <<家庭의 月>> 特輯 시모음 2015-05-07 0 4655
480 尹東柱論 2015-05-06 0 4485
479 詩를 論하다 / 李奎報 2015-05-05 0 4576
478 詩法을 爲하여... 2015-05-05 0 3967
477 詩作 語錄 2015-05-05 0 3868
476 詩作 16法 2015-05-05 0 4411
475 독자와 시인 그리고... 2015-05-05 0 4297
474 詩는 다만 詩다워야 한다... 2015-05-05 0 4372
473 詩人 - 언어를 버려 詩를 얻는 者 2015-05-05 0 4748
472 재미나는 시 몇수 2015-05-03 0 4279
471 식칼론 / 竹兄 2015-05-03 0 4243
470 민중시인 竹兄 - 조태일 2015-05-02 1 5647
469 현대 과학 시 - 실험 시 2015-05-02 0 4040
468 <폭포> 시모음 2015-04-27 0 4524
467 가사의 대가 - 송강 정철 2015-04-26 0 4654
466 <발바닥> 시모음 2015-04-26 0 3897
465 시와 술, 술과 시... 2015-04-26 0 4252
464 <신발> 시모음 2015-04-26 0 4569
463 현대 그리스문학 대표 시인 - 니코스 카잔차키스 2015-04-26 0 4802
462 <<삼류 트로트 통속 야매 련애시인>> 2015-04-26 0 5026
461 詩여, 침을 뱉어라! 2015-04-25 0 4447
460 공자 시 어록 2015-04-23 0 5237
459 詩란 惡魔의 酒... 2015-04-23 0 4775
458 詩란 삶의 파편쪼가리... 2015-04-23 0 4085
457 <소리> 시모음 2015-04-23 0 4424
456 천지꽃과 백두산 2015-04-23 0 4665
455 영국 시인 - 드라이든 2015-04-20 0 5362
454 詩論하면 論字만 봐도 머리가 지끈지끈... 하지만... 2015-04-20 0 3794
453 영국 시인 - 알렉산더 포프 2015-04-20 1 5157
452 프랑스 초현실주의 대표시인 - 앙드레 브르통 2015-04-20 0 8719
451 프랑스 시인 - 자크 프레베르 2015-04-20 0 4788
450 詩歌란?... 2015-04-20 0 4120
449 프랑스 시인 - 앙리 미쇼 2015-04-20 0 5001
448 시문학의 미래를 생각하며 2015-04-20 0 4143
447 웃음을 터뜨리게 하는 시를 써보기 2015-04-20 0 4710
446 해체시에 관하여 2015-04-20 0 5120
445 브레히트 시의 리해 2015-04-20 0 4205
444 詩的 變容에 對하여 2015-04-20 0 4189
‹처음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