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프랑스 시인 -보들레르
2017년 05월 24일 23시 33분  조회:10087  추천:0  작성자: 죽림
 
저작자 보들레르
창작/발표시기 1862년
국가 프랑스
원제 Le Spleen de Paris

요약 프랑스의 작가이자 시인, 미술평론가였던 보들레르의 산문시(1862). 시인 스스로 “리듬과 각운이 없으면서도 충분히 음악적이며, 영혼의 서정적 움직임과 상념의 물결침과 의식의 경련에 걸맞을 만큼 충분히 유연하면서 동시에 거친 시적 산문”이라고 정의한 이 작품에 대해 테오도르 방빌은 ‘진정한 문학적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이 새로운 문학형식은 로트레아몽, 랭보, 말라르메, 베를렌 등 근대 상징파 시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Charles(-Pierre) Baudelaire)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Charles(-Pierre) Baudelaire)

파리의 우울(Le Spleen de Paris)의 저자인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1855년)

작품 해설

<파리의 우울>은 산문시 50편과 헌사, 그리고 에필로그인 운문시로 구성돼 있다. <파리의 우울>을 통해 보들레르는 화려한 외양의 파리가 아니라 뒷골목과 변두리에 숨은 은밀하고 고독한 파리의 뒤안길을 보여준다. 그는 도시를 묘사하기 위해 유곽이나 병원, 연옥, 지옥, 도형장과 같은 거대한 건축물을 나열하는데 이는 파리라는 도시를 표현하는 알레고리이다. 그는 누구보다도 파리에 대해 잘 알았을 뿐만 아니라 애착을 갖고 있었다.

파리에 대한 그의 우울한 시선은 이러한 애착과 등가관계에 있다. 그는 파리에서 천국을 열망했지만 그의 몸이 발 딛고 있는 땅은 그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가 술과 마약, 섹스에 탐닉하며 인위적인 천국을 꿈꾸었던 것의 한편에 탄식하듯 누워 있는 영혼, <파리의 우울>은 그렇게 태어났다. 시인 자신은 이에 대해 ‘보다 많은 자유와 디테일, 영혼의 폐부를 찌르는 날카로움을 얻은 악의 꽃’이라고 말한다.

작가 소개

스물네 살에 <1845년의 살롱>을 출판하면서 미술평론가로 등장한 보들레르는 이후 단편소설, 비평, 시를 잇달아 발표하면서 프랑스 문학에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을 번역해 소개하는 등 번역가로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1857년 젊은 시절부터 다듬어온 시를 정리해 <악의 꽃 Les Fleurs du Ma>을 펴냈으나 미풍양속을 해친다는 이유로 당국으로부터 벌금과 함께 수록된 시 6편을 삭제하라는 판결을 받았다. 이 사건으로 그는 프랑스에서 공공의 적이자 저주받은 시인이 되었지만 문인들은 그가 ‘시에 새로운 전율을 부여했다’며 높이 평가했다.

명석한 두뇌와 날카로운 감수성을 지녔으나 심약했던 보들레르는 아버지에게 받은 유산을 방탕한 생활로 날려버리고 평생을 빚과 병에 시달리며 고통스럽게 살았다. 마흔 여섯에 파리에서 사망했으며 몽파르나스 묘지에 있는 오피크 가(家)의 무덤에 묻혔다. 죽은 지 10년 뒤 비로소 그의 문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었으며, 이후 현대시의 아버지로 추앙받고 있다.



[Daum백과] 파리의 우울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43 아버지를 좀 안아 드려야 할것같은 가을이다... 2016-10-12 0 3919
1642 굴레가 되고 싶지 않다... 2016-10-10 0 4394
1641 김수영 시인을 다시 떠올리면서... 2016-10-10 0 4738
1640 풀의 시인 김수영 非발표작 詩 공개되다... 2016-10-10 0 4510
1639 저항시인 이육사 미발표 詩 발굴되다... 2016-10-10 0 4988
1638 윤동주 미발표작 詩 발굴되다... 2016-10-10 0 3621
1637 "윤동주 미발표 詩 더 있다" 2016-10-10 0 4549
1636 詩란 사모곡(思母曲)이다... 2016-10-10 0 3949
1635 詩는 리태백과 두보와 같다...처..ㄹ... 썩... 2016-10-09 0 4148
1634 詩는 무지개의 빛갈과 같다... 아니 같다... 2016-10-09 0 4134
1633 현대시사상 가장 다양한 시형의 개척자 - 김수영 2016-10-06 0 4803
1632 詩란 무구(無垢)한 존재이며 무구한 국가이다... 2016-10-06 0 4472
1631 詩는 추상의 반죽 덩어리... 2016-10-06 0 4161
1630 詩는 시골이다... 2016-10-03 0 3977
1629 詩란 주사위 던지기와 같다... 2016-10-02 0 4005
1628 詩란 100년의 앞을 보는 망원경이다... 2016-10-01 0 4145
1627 詩는 가장 거대한 백일몽 2016-10-01 0 4304
1626 詩人은 존재하지 않는 詩의 마을의 촌장 2016-10-01 0 4434
1625 詩人은 오늘도 詩作을 위해 뻐꾹새처럼 울고지고... 2016-10-01 0 4532
1624 詩作에서 구어체 편지형식을 리용할수도 있다... 2016-10-01 0 4428
1623 詩人은 약초 캐는 감약초군이다... 2016-10-01 0 4545
1622 詩人는 언어란 감옥의 감옥장이다... 2016-10-01 0 4427
1621 詩人은 추상화와 결혼해야... 2016-10-01 0 4612
1620 詩란 섬과 섬을 잇어놓는 섶징검다리이다... 2016-10-01 0 4100
1619 詩란 돌과 물과 바람들의 침묵을 읽는것... 2016-10-01 0 4256
1618 詩란 사라진 시간을 찾아 떠나는 려행객이다... 2016-10-01 0 4584
1617 詩作란 황새의 외다리서기이다... 2016-10-01 0 5226
1616 詩란 한잔 2루피 찻집의 호롱불이다... 2016-10-01 0 4272
1615 詩란 사라진 길을 찾는 광란이다.... 2016-10-01 0 4686
1614 詩는 한해살이풀씨를 퍼뜨리듯 질퍽해야... 2016-10-01 0 4361
1613 나는 다른 시인이 될수 없다... 2016-10-01 0 5340
1612 詩는 국밥집 할매의 맛있는 롱담짓거리이다... 2016-10-01 0 4146
1611 詩란 심야를 지키는 민간인이다... 2016-10-01 0 4446
1610 詩는 한매의 아름다운 수묵화 2016-10-01 0 4726
1609 詩는 신비한 혼혈아이다... 2016-10-01 0 4711
1608 詩作에는 그 어떠한 격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2016-10-01 0 4406
1607 詩는 길위에서 길찾기... 2016-10-01 0 4542
1606 詩에는 정착역이란 없다... 2016-10-01 0 4464
1605 詩와 윤동주 <<서시>> 2016-10-01 0 4499
1604 詩는 리별의 노래 2016-10-01 0 4011
‹처음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