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칠월칠석"의 유래?...
2017년 07월 25일 01시 31분  조회:6709  추천:0  작성자: 죽림

칠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칠석
칠석
견우직녀가 만나는 그림
(베이징 여름궁전 회랑 천정)
공식이름 칠석(七夕)
장소 동아시아(중국, 한국, 대만, 일본)
중요도 견우직녀 전설, 오작교
날짜 음력 7월 7일 (중국, 한국, 대만)
양력 7월 7일 (일본)
2016년 8월 9일 (화)
2017년 8월 28일 (월)
2018년 8월 17일 (금)
2019년 8월 7일 (수)
행사 백설기, 밀국수, 호박부침

칠석(七夕)은 중국, 한국, 대만, 일본 민간전설의 견우와 직녀 전설에서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 번 만나는 날로, 칠석날로도 불린다. 중국한국대만 등에서는 음력 7월 7일이지만, 일본은 양력 7월 7일이다.

 

 

내용[편집]

이날은 은하수 동쪽에 있는 견우와 서쪽에 있는 직녀가 까마귀와 까치가 놓은 오작교(烏鵲橋)에서 1년에 한 번 만나는 날이라고 전하여진다. 이날 민간에서는 명절 음식으로 밀국수, 밀전병, 호박부침, 백설기 등을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1] 처녀들은 견우와 직녀 두 별을 보고 절하며 바느질 솜씨가 늘기를 기원하고, 많은 사람이 이날 밤 견우와 직녀를 소재로 삼아 시를 짓기도 한다.

기원[편집]

‘칠석’의 명칭이 시경(詩經)에 처음 등장하여, 춘추전국시대 이전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견우직녀에 관한 전설은 한국중국일본 모두 비슷하다.

전설[편집]

옛날 하늘의 목동인 견우(牽牛)와 옥황상제의 손녀인 직녀(織女)가 서로 사랑에 빠져 일은 않고 게으름을 피우자, 화가 난 옥황상제는 그들 두 사람을 은하수 동쪽과 서쪽으로 갈라 놓았다. 두 남녀가 애타게 그리워하는 모습을 보다 못한 까치와 까마귀들이 매년 7월 7일 밤(칠석)이 되면 옥황상제 몰래 하늘로 날아가 서로작멀교를烏맞대는 다리를 놓아 두 사람을 만나게 해 주었다. 그래서 까치와 까마귀는 모두 머리가 벗겨고, 이날 저녁 에 사람이 흘린 눈물이 은 되어 내리며, 다음날에는 이별을 슬퍼하는 눈물이 비가 되어 내린다고 한다.[2]

한국의 칠석[편집]


  • 평안남도 대안시 덕흥리의 5세기초 고구려 광개토왕 시대의 고분 안쪽 벽화에 견우와 직녀가 그려졌다.
  • 여자들은 직녀성에 바느질 솜씨가 늘기를 빌었다.
  • 아이들은 견우와 직녀를 소재로 를 지었다.
  • 옷과 책을 볕에 말린다.
  • 칠석날 새벽에는 참외오이 등의 1년생 과일을 상에 놓고 절하며 솜씨가 늘기를 빈다.
  • 북두칠성에 장수와 복을 빌기도 했다.
  • 경상북도 영일에서는 바닷물이 약수가 된다고 여겨 멱을 감는다.
  • 칠석날은 신이 내려와서 수확량을 정해준다고 여겨 아침 일찍 들에 나가지 않거나 집안에서 근신한다.
  • 민간에서는 명절음식으로 밀국수·호박부침 등을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

절식[편집]

관련 문화[편집]


  • 광한루 : 15세기에 남원 광한루에 칠석에서 유래한 오작교가 세워졌다. 춘향전에서는 춘향과 이몽룡이 사랑을 속삭이는 장소로 이 오작교가 등장하였다.광한루(廣寒樓)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누각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81호로 지정되었다.
  • 칠석의 여름 : 칠석 때 열리는 부관육상경기대회에서 만나는 일본인 여학생과 한국인 남학생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 情人节 : 중국에서는 칠석을 연인의 날(情人节)로 정해 선물을 하거나 데이트를 하는등 연인과 함께 보내는 날로 보내기도 한다.
=====================

요약 음력 7월 7일. 중국 주나라에서 발생한 견우와 직녀 설화가 한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 각국에서 전승되어 유래되었다. 목동인 견우와 베를 짜는 직녀가 일에 게을렀던 까닭에 옥황상제가 노하여 은하수를 사이로 놓고 갈라놓았는데, 해마다 칠석날이면 까치와 까마귀가 머리를 모아 다리를 만들어 두 사람을 만나게 했다는 설화이다. 술과 떡을 준비하여 일꾼들을 격려하는 풍속이 있다.

개요

칠석
칠석

칠월 칠석 오작교에서 만나는 견우와 직녀의 모습을 표현한 그림.

중국, 한국, 일본, 대만 등에서 전승되는 설화에서 비롯된 날로 음력 7월 7일. 일본은 양력 7월 7일을 칠석이라고 한다.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까마귀와 까치들이 놓은 오작교에서 1년에 1번씩 만났다는 설화에 근거를 두고 있다.(→ 〈견우직녀설화〉).

기원

견우와 직녀의 설화 모티프는 중국 주(周)나라에서 발생하여 한대(漢代)를 거쳐 한국에도 전해져서 구비전승되었다. 목동인 견우와 베를 짜는 직녀가 사랑에 빠져 소를 치는 일과 베를 짜는 일을 소홀히 하자 화가 난 옥황상제가 두 사람을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갈라 놓았다. 이 두 사람이 서로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안타깝게 여긴 까치와 까마귀가 매년 음력 7월 7일 밤인 칠석날 머리를 모아 은하수를 가로지르는 다리를 만들어 두 사람을 만나게 한다는 설화이다. 이날 두 사람의 발에 밟혀서 까치와 까마귀는 머리가 벗겨진다고 하며, 이날 내리는 비는 견우와 직녀가 만나서 흘리는 눈물이라고 전한다.

풍속

이날 풍습으로는 걸교라 하여 처녀들이 견우성과 직녀성을 보고 바느질 솜씨가 늘기를 빌고, 선비와 학동들은 두 별을 제목으로 시를 지으면 문장을 잘 짓게 된다고 하여 시를 지었다. 농사 절기상으로는 세벌 김매기가 끝나고 '어정 칠월 건들 팔월'이라 하여 한여름철의 휴한기에 접어드는 탓으로 호미걸이 등을 놀면서 휴식을 취했다. 술과 떡, 안주를 준비하여 놀고 풍물 판굿이 꾸려지는 마을축제를 벌인 것이다. 호남지역에서는 '술멕이날'이라 하여 두레꾼들이 술푸념을 하는 날이기도 했다.

지역에 따라서는 여름 장마비에 흙탕이 된 우물을 청소하여 마을민들이 마실 우물이 깨끗하고 잘 솟아나오게 해달라며 소머리를 받쳐 우물고사를 올렸다. 아낙들은 아기의 수명장수를 기원하면서 백설기를 쪄서 칠성제를 올리기도 했는데, 칠성제는 정갈하게 지내는 것이라 소찬으로 준비하고 흰무리를 빚는 것이 원칙이었다.
=========================

 

견우는 하늘나라의 목동이었고 직녀는 옥황상제의 손녀였습니다.

직녀는 부지런하고 길쌈도 잘하여 옥황상제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옥황상제는 직녀를 견우와 결혼시켰습니다.

 

그런데 결혼한 후 견우와 직녀는 사랑에 빠져 게으름만 피우고 일을 하지 않았습니다.

옥황상제는 화가나서 견우와 직녀를 은하수강 양편으로 멀리 떨어져 지내게 했으며, 일년에 한 번만 만나게 했습니다.

그러나 일년에 한 번 만나는 것도 은하수강을 건널 수가 없어 발만 동동구르고 있었습니다.

 

안타까운 소식을 들은 까마귀들이 하늘나라로 올라가 자신들의 머리를 잇대어 다리를 놓아주었고,

견우와 직녀는 일년만에 감격의 해후를 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까마귀 머리로 만들어준 다리를 오작교라 했으며, 칠월칠석이 지나면 까마귀 머리가 하얗게 되었다고 합니다.

 

7월7석은 절기상 비가 자주 내린다고 합니다. 그래서 칠석에 견우직녀별을 보기가 쉽지 않다고 합니다.

그리고 비가 저녁에 내리면 상봉하는 기쁨의 눈물이고, 아침에 내리면 이별의 슬픈 눈물이라고도 한답니다.

 

 

 

견우성과 직녀성은 항도 운행상 가을에는 서쪽에, 겨울에는 낮에, 봄에는 초저녁 동쪽에 떠있어 보이지 않는데,

여름의 음력 7월7일에는 하늘 천정에 떠서 우리가 볼 수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일년에 딱 한 번 만나는 것처럼 보여 견우직녀의 설화가 생겨났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설화는 원래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생겨난 것이라고 합니다.

 

 

칠워칠석 풍속으로는 처녀들은 견우직녀성에게 절을 하며 길쌈을 잘 하게 해달라고 빌었으며,

라에서는 궁중에서 잔치를 베풀고 성균관 유생들에게는 과거를 실시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또 고려 공민왕 때는 몽고인 황후와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제 바야흐로 휴가철입니다.

깊은 산 은하수가 보이는 곳에 가게 되면 재미삼아 아이들과 견우와 직녀성을 찾아보는 것도

아이들에게 아름다운 추억이 될 수도 있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이미지상 견우성은 남쪽 방향이며, 직녀성은 북쪽 방향에 있는 것 같습니다.

 

--- 까마귀야 우리님들에게도 오작교를 놓아다오~~^^~~~

 
 


 

 
     
 
 
     
 


“밤한울 구만리엔 은하수가 흘은다오 / 구비치는 강가에는 남녀 두 별 있엇다오 / 사랑에 타는 두 별 밤과 낯을 몰으것다 / 한울이 성이 나서 별하나를 쪼치시다 / 물건너 한편바다 떠러저 사는 두 별 / 秋夜長 밤이길다 견듸기 어려워라 / 칠석날 하로만을 청드러 만나보니 / 원수의 닭의소리 지새는날 재촉하네”

위는 《삼천리》 잡지 1934년 11월호에 실린 월탄 박종화의 <견우직녀> 시입니다. 오늘은 칠월칠석인데 흔히 칠석이면 내리던 비는 오지 않고 무더위만 기승을 부립니다. 흔히 칠석 전날에 비가 내리면 견우와 직녀가 타고 갈 수레를 씻는 '세거우(洗車雨)'라고 하고, 칠석 당일에 내리면 만나서 기뻐 흘린 눈물의 비라고 하며, 다음 날 새벽에 내리면 헤어짐의 슬픔 때문에 '쇄루우(灑淚雨)'가 내린다고 합니다. 또 칠석에는 까마귀와 까치가 오작교를 만들려고 하늘로 올라갔기 때문에 한 마리도 보이지 않는다고 하지요.   

칠월칠석 여인네들은 장독대 위에 정화수를 떠놓거나 우물을 퍼내어 깨끗이 한 다음 시루떡을 놓고 식구들이 병 없이 오래 살고 집안이 평안하게 해달라고 칠성신에게 빌었습니다. 또 처녀들은 견우성와 직녀성을 바라보며 바느질을 잘하게 해달라고 빌었는데 이것을 “걸교(乞巧)”라 했지요. 장독대 위에다 정화수를 떠놓은 다음 그 위에 고운 재를 평평하게 담은 쟁반을 놓고 다음날 재 위에 무엇이 지나간 흔적이 있으면 바느질 솜씨가 좋아진다고 믿었습니다. 이제 정화수를 떠놓고 빌 일은 없지만 어머니들의 그런 마음은 변치 않을 것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97 [쉼터] - 장래의 건축가들의 솜씨자랑 화이팅!... 2017-11-20 0 3591
1596 [쟁명] - 중국 연변, 조선, 한국 "조선말통일안"은 언제?... 2017-11-20 0 3863
1595 [문단유사] - "문예부흥"을 위한 문학도들을 잘 보듬기... 2017-11-19 0 3994
1594 [고향사람] - 한글 서체 개발자 = 조선족 김성진 2017-11-19 0 4093
1593 [그것이 알고싶다] - 잊지말자, 문자를 발명한 사람들을!... 2017-11-19 0 5259
1592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의 각 "나라꽃"?... 2017-11-19 0 8127
159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비닐쓰레기로 지구는 체증에 걸리다... 2017-11-18 0 3614
1590 [고향의 력사] - "연집"이냐... "연길"이냐... 2017-11-18 0 3664
1589 [고향의 자랑] - 중국 "연변 브랜드" = 중국조선족농악무 2017-11-18 0 3734
158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사자들아, 나와 놀쟈... 2017-11-18 0 4479
158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애먼"?... 2017-11-18 0 3994
1586 [쉼터] - '미술치료기법"으로 치유?... 치유될수 있다!(2)... 2017-11-17 0 3739
1585 [쉼터] - "미술치료기법"으로 치유?... 치유될수 있다!... 2017-11-17 0 4815
1584 [그것이 알고싶다] - "만다라"란?(2)... 2017-11-17 1 8733
1583 [그것이 알고싶다] - "만다라"란?... 2017-11-17 0 7978
1582 [그것이 알고싶다] - "글자"와 "문자"?... 2017-11-16 0 3832
158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아이들에게 상상의 세계를 주자... 2017-11-16 0 5096
1580 [고향소식] - 조선언어문화수집보존연구를 하루빨리 했어야... 2017-11-16 0 3302
1579 [고향의 자랑] - 첫 아기의 울음소리 듣고싶다... 2017-11-16 0 4155
157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자연의 조화... 2017-11-16 0 4694
1577 "은유는 폭력적 언어, 환유는 저항적 언어" 2017-11-15 0 3717
1576 [시문학소사전] - "구조주의"란?... 2017-11-15 0 4080
1575 [시문학소사전] - "은유"란?... "환유"란?... 2017-11-15 0 6965
1574 [타산지석] - 우리 연변문단도 인터넷문학을 부흥시켜야... 2017-11-15 0 3378
1573 [고향문단소식] - 훈춘벌에 "고문학작가상" 서다... 2017-11-15 0 3755
1572 [그것이 알고싶다]-"최초의 한글 띄여쓰기"?/한글본 지리서?... 2017-11-15 0 5603
1571 "나는 사원보다 한반도 땅에 묻히기를 원한다"... 2017-11-15 0 4921
1570 [쉼터] - 모형기차의 달인 외길인생 빛난다... 2017-11-14 0 5357
1569 [쉼터] - 모델 의상으로 나라를 상징 표현하다... 2017-11-14 0 3350
1568 [타산지석]-점점 늘어나는 대를 잇어가는 가게들... "돼지부자" 2017-11-14 0 4430
1567 [이런저런] - 50년동안 땅속불길로 물 끓이고 밥 짓다... 2017-11-14 0 3395
1566 [이런저런] - 두 얼굴 가진 "야옹이"... 2017-11-14 0 4788
1565 [이런저런] - 이색적인 혼례 촬영/절벽 꼭대기 외딴 마을... 2017-11-14 0 4657
1564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우리 고운 말 알고 쓰기... 2017-11-14 0 4452
1563 [이런저런] - 연길 연신교에서 승용차 날다... 2017-11-13 0 3251
1562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토닭곰"축제가 있었으면... 2017-11-13 0 3583
156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고운 말 미운 말"... 2017-11-13 0 4875
1560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무화과(無花果)를 재배했으면... 2017-11-12 0 5428
1559 [그것이 알고싶다] - "뽀뽀"의 유래?... 2017-11-12 0 3331
1558 [쟁명] - "조선족"이냐, "고구려족", "고려족"이냐... 2017-11-12 1 4343
‹처음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