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문예소식] - 중국조선족무용의 창시자의 한사람인 박용원
2017년 11월 05일 00시 24분  조회:3910  추천:0  작성자: 죽림
박용원 조각상
연변대학예술학원에 경립
(ZOGLO) 2017년10월3일 
 

박용원선생의 조각상앞에서 묵도하고 있는 참가자들.

9월 30일 오전, 전설의 무희 최승희의 수제자로 연변가무단과 연변예술학교, 북경무용학원에서 조선족무용을 가르쳤던 박용원(1930-1992)선생의 조각상 제막식이 연변대학예술학원에서 있었다.

연변대학예술학원 원장 리훈이 개막사를, 당위서기 김홍룡이 축사를, 연변예술학원 무용계주임 김영화, 원 연변대학 인사처 처장 로동문, 통달외국학교 교장 리정자, 연변가무단 국가1급 연출 송미라, 북경무용학원 연출계 교수 손룡규, 연변대학예술학원 교수 최미선 등이 다양한 각도에서 박용원선생의 일생과 업적을 회억하였다.

중국조선족무용의 창시자의 한사람으로 조선족무용보급과 전파에 마멸할 수 없는 공헌을 한 박용원선생의 반신 조각상은 그의 제자인 북경무용학원 손룡규교수의 창의하에 십시일반으로 모금되여 제작되였으며 생전에 그가 사업하였던 연변대학예술학원에 영구 전시된다.

박용원선생의 조각상.

1930년 11월 24일 조선 함경북도 김천군에서 태여난 박용원선생은 19세 나던 해에 소학교 교원직을 버리고 조선으로 가서 최승희무용연구소에서 5년간 무용을 배웠으며 귀국하여서는 연변가무단, 연변예술학교, 룡정중학교(문화대혁명시기)에서 무용교원으로 사업하였다. 특히 그는 무희 최승희로부터 남성춤과 녀성춤을 모두 배운 무용가로 소문 높은데 손(벽)치기, 무릎치기 등 남성춤은 천하제일이라는 평을 받았고 수백명의 명성이 뜨르르한 무용인재를 배양하였다.

오늘날의 손룡규, 최미선, 한룡길 등 교수들은 물론 창단 70년을 넘긴 연변가무단의 대부분 안무가와 무용가들도 그의 제자 혹은 제자들의 제자들로서 조선족춤의 성씨는 박씨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생전에 무용저서 《조선족무용 기본동작》(조, 한문)을 펴냈고 <봄맞이>, <장고춤>, <도라지꽃>, <칼춤> 등 무용(극)을 창작하여 국가, 성, 주급의 상을 수차 수상하였으며 1953년 9월에는 조선족무용 보급사업에서 거둔 공로가 인정되여 조선최고인민상임위원회로부터 공훈상을 수상한바 있다.  

최미선 교수는 발언에서 《저의 무용 삶에는 스승인 박용원선생의 영향이 아주 컸습니다. 그는 당시의 사범학교 졸업생이였고 최승희무용연구소에서 5년간이나 연수를 받고 그 춤을 연변땅에 토착화시킨 분입니다. 아주 지성의 춤을 추셨던 분이지요. 평생을 그 어떤 명예나 권위주의를 외면한채 오로지 춤 하나에만 삶 전체를 바쳐온 그 진실과 인간다움이 오늘의 저를 있게 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고 말하였다.

부분적 참가자들이 기념사진을 남겼다.

연변대학 전임 교장들인 박문일, 박영호 등 교수들과 박용원선생의 제자들 그리고 연변예술학원 사생 등 200여명이 이날 제막식에 참석하였다. 

///길림신문 김태국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57 영화 "동주"에서 나오는 노래 2016-02-27 0 5784
356 영화 <<귀향>> 보다... 2016-02-26 0 7134
355 "동주"에서 나오는 두 녀자의 대사와 동주의 시 2016-02-23 0 7068
354 "동주" 에서 삭제된 영상 보고싶다... 2016-02-23 0 5151
353 윤동주와 그를 빛내게 해준 <<흰 그림자>>들 2016-02-23 0 6002
352 두번 다시 본 영화 "동주" 2016-02-23 0 5159
351 <<368>>,ㅡ 그는 누구인가... 2016-02-21 0 5006
350 큰 어른이 그립다... 2016-02-21 0 4860
349 어제, 영화 "동주" 보다... 2016-02-21 0 4636
348 말은 사라지지만 글자는 영원히 남는다... 2016-02-20 0 4482
347 <<475>>는 바닷물 주사로 생체실험 당하다... 2016-02-19 0 5747
346 기억해야 할 죽음을 위하여 2016-02-19 0 6054
345 바로 지금, 동주를 기억해야 하는 까닭은... 2016-02-19 0 4736
344 역시 잊지 말아야 할 청년문사 - 송몽규 2016-02-19 0 5961
343 윤동주 친구들... 2016-02-19 0 4643
342 영화 <동주>를 보면서 가슴을 정화하기 2016-02-19 0 4860
341 <동주>, 청춘은 언제나 아파왔다... 2016-02-19 0 6254
340 흑백 저비용 영화 <동주> 는 상업성 영화가 아니다... 2016-02-19 0 5559
339 <동주>를 찍기 위해, 동주 묘소 다녀오다... 2016-02-19 0 6941
338 동주에 다 담지 못한 장면;우리가 맞고 있는 주사가 뭡니까... 2016-02-18 0 5055
337 <동주>가 개봉 되다... 2016-02-18 0 4738
336 2월 16일, 오늘, 윤동주 옥사 70번째 기일... 2016-02-16 0 5008
335 빛나던 미완성의 청춘 우리가 기억해야 할 별... 2016-02-16 0 7543
334 땡- <<우표학교>> - 윤동주 우표에 오르다 2016-02-16 0 6676
333 요즘 청춘들이 아무리 아프다 한들, 윤동주만 하겠나... 2016-02-16 0 5017
332 별을 노래한 영원한 청년 시인 윤동주 2016-02-16 0 6182
331 신화가 된 윤동주 2016-02-16 0 4908
330 땡땡!!- 국어시간; - 아이고 머리가 아찔... 2016-02-16 0 4573
329 땡!- 생활상식 93 2016-02-16 0 4932
328 진정한 친구가 그립다... 2016-02-15 0 5330
327 "등대'같은 친구 그립다... 2016-02-14 0 4869
326 땡~ 미술시간 - 색이미지 2016-02-14 0 6070
325 땡! 땡! 땡!- 축구는 서민 스포츠, 축구를 돌려 달라... 2016-02-12 0 4923
324 땡! 땡!- 생일축하의 노래의 어제와 오늘... 2016-02-11 0 4886
323 땡!- 1억파운드짜리 "피의 다이아몬드" 돌려달라!!! 2016-02-11 0 5033
322 영화로 배우는 윤동주 시인 2016-02-10 0 5578
321 영화 '동주'에 시 13편 흐르다... 2016-02-10 0 4953
320 영화 '동주' 이어, 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 예막... 2016-02-10 0 5582
319 영화 '동주'를 기다리며 2016-02-08 0 6423
318 전라도 사투리모음 2016-02-07 1 7648
‹처음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