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재래식 서정시의 혁신파 시인 - 정현종
2017년 12월 14일 22시 37분  조회:5914  추천:0  작성자: 죽림
 
출생 1939년 12월 17일
국적 대한민국
대표작 견딜 수 없네, 광휘의 속삭임, 섬, 날아라 버스야
수상 2001년 제1회 미당문학상

시인 정현종은 물질화된 사회 속에서 매몰되어 가는 인간의 순수한 영혼에 대해 노래하며, 아픈 사람의 외로움을 따뜻하게 위로한다.

 

1939년 12월 17일 서울시 용산구에서 3남 1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3세 때 아버지의 근무지를 따라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으로 이사 가서 청소년기를 이곳에서 보냈다. 중 · 고등학교 시절부터 문학과 음악, 발레, 철학 등에 심취했다. 1959년 연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으며, 재학 시절 대학신문인 <연세춘추>에 발표한 시가 연세대 국문과 박두진 교수의 눈에 띄어 1984년 5월 <현대문학>의 추천을 받았다. 1965년 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해 3월과 8월에 각각 「독무」와 「여름과 겨울의 노래」로 <현대문학>에서 3회 추천을 완료하고 문단에 등단했다.

1966년에는 황동규, 박이도, 김화영, 김주연, 김현 등과 함께 동인지 <사계>를 결성하여 활동했다. 1970∼1973년 <서울신문> 문화부 기자로, 1975∼1977년에는 <중앙일보> 월간부에서 일했으며, 1977년 신문사를 퇴직한 뒤 서울예술전문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부임해서 시 창작 강의를 했다. 1982년부터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2005년에 정년 퇴임했다.

2001년 제1회 미당문학상 수상 작가 '정현종'
2001년 제1회 미당문학상 수상 작가 '정현종'

1965년 <현대문학>을 통해 시단에 오르고, 1972년 첫 시집 『사물의 꿈』을 출간한 이후 지금까지 쉼 없는 창작열과 언제나 자신의 시 세계를 갱신하는 열정으로 꾸준한 작품 활동을 했다. 초기의 시는 관념적인 특징을 지니면서 사물의 존재 의의를 그려내는 데 치중한 반면, 1980년대 이후로는 구체적인 생명 현상에 대한 공감을 다룬 시를 발표했다. 2008년 내놓은 아홉 번째 시집 『광휘의 속삭임』 역시 사물의 바깥에서 사물을 해석하고 그에 대한 복잡한 의미의 얼개를 부여하는 대신, 사물들과 한 몸으로 움직이는 시를 갈망하게 된 시인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사물의 있음 그 자체, 움직임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시적 화자의 자세에 저절로 주목하게 되는 작품집이다.

1990년 「사람으로 붐비는 앎은 슬픔이니」 외 6편의 시로 ‘제3회 연암문학상’을 수상하였고, 1992년 「한 꽃송이」로 ‘제4회 이산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또 1995년 「내 어깨 위의 호랑이」로 ‘제40회 현대문학상’, 1996년 「세상의 나무들」로 ‘제4회 대산문학상’, 2001년 「견딜 수 없네」로 ‘제1회 미당문학상’ 시 부문을 수상하였으며. 『사물의 꿈』, 『나는 별아저씨』,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 『한 꽃송이』, 『세상의 나무들』, 『갈증이며 샘물인』 등의 시집과 『고통의 축제』,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사람으로 붐비는 앎은 슬픔이니』,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이슬』 등의 시선집을 상자했다. 또한 독특한 시론과 탁월한 산문을 모은 『날자, 우울한 영혼이여』, 『숨과 꿈』, 『생명의 황홀』 등을 펴냈으며, 시 번역에도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여 예이츠, 네루다, 로르카의 시선집을 번역 출간했다.

대표작

견딜 수 없네

정현종의 초기 시가 전후의 허무주의와 토착적 서정시를 극복하고 현실의 고통을 초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했다면 2000년대를 기점으로 현실과 꿈의 갈등보다는 생명과의 내적 교감, 자연의 경이감, 생명의 황홀 등에 천착한 새로운 시 세계를 펼쳐 보인다. 그런 점에서 2001년 '제1회 미당문학상' 수상작을 표제작으로 한 시집 『견딜 수 없네』는 정현종의 시력에 그어진 새 획을 가늠해볼 수 있는 핵심적인 시들이 묶여 있다고 할 수 있다. "시집 『견딜 수 없네』를 관류하는 정서는 변화하고 소멸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과 동시에 그것을 끌어안는 거대한 포용, 자연과 합일된 경지다. 정현종은 시간의 흐름에 마모되는 존재들을 민감하게 발견해내며, 고요하게 바라본다"(우찬제, 신판 해설 「어스름의 시학」) 시인은 모든 감각을 망라하는 관음의 눈으로 세계를 보며, 자연의 생리를 왜곡하지 않고 자체의 숨결과 교감을 시도한다.

광휘의 속삭임

"한국 현대시가 이룬 가장 중요한 성취" 중 하나인 정현종 시인의 아홉 번째 시집이다. 정현종의 시들은 삶 자체의 근원을 탐색하려는 의욕과 열정으로, 때로는 지극한 찬탄으로 때로는 유머러스한 능청스러움으로 독자를 즐겁게 한다. 이번 시집 『광휘의 속삭임』 역시, 의식세계를 가득 채우고 있는 복잡한 의미의 거미줄을 걷어내고 사물의 있음 그 자체, 움직임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시적 화자의 자세에 주목하게 된다. 시인은 이제 사물의 바깥에서 사물을 해석하고 그에 대한 복잡한 의미의 얼개를 부여하는 대신, 사물들과 한 몸으로 움직이는 시를 갈망한다. "파동이나 숨결로 시인에게 무언의 전언을 보내오는 사물들의 숨겨진 비의를 받아들이기 위해 자신의 몸 전체를 텅 비워"내고 있다는 평론가 박혜경의 지적대로, 정현종 시인은 사물에 의미를 들씌우려는 해석적 권위를 버리고, 사물의 천진한 유희자가 되어 사물들 속으로 잠입하고 있다.

정현종 시인의 등단 50주년을 기념하여 시선집 『섬』이 '정현종 문학 에디션' 시리즈로 새롭게 출간됐다. 시인이 만년필로 쓴 육필, 직접 그린 그림들과 함께 '자유로운 언어'로 표현한 34편의 시가 채워져 있다. 투박하지만 정감 넘치는 터치와 필치가 독자들에게 너울 깊은 파동을 전한다. 고통의 무게가 클수록 오히려 인간의 날아오르려는, 상승의 의지는 클 수 있다는 역설을 보여준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은 정현종 시인의 자유 혹은 자유인의 삶 또한 결국 고통스러운 하강의 시련을 뼈저리게 느낀 후에야 영혼의 상승과 비상의 행위가 수반된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이러한 삶의 의지는 「고통의 축제 2」에서 "무슨 힘이 우리를 살게 하냐구요? / 마음의 잡동사니의 힘!"으로 표현된다. 시인은 근원적으로 마음의 힘에 대한 믿음이 있다. 또한 시인은 변화하고 소멸되는 시간의 법칙에 연연하지 않고, 과거를 그리워하거나 추억에 잠기는 회한의 탄식 대신 인생의 모든 순간이 소중하고 아름다운 순간(「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임을 일깨우기 위해 목소리를 돋운다.

날아라 버스야

삶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하는 인문 정신의 치열함 속에 언어의 아름다움을 드러내고 있는 산문집이다. 시인이 30년 넘게 써온 글들 중에서 정수만 가려 뽑은 산문들은 시간이 흘러도 변함없이 묵직한 존재감을 드러내며 우리의 삶에 유연하게 스며든다. 『날아라 버스야』는 세상의 무거움을 통과해 날아오르는 경쾌하고 자유로운 언어들이 곳곳에서 빛을 발한다. 철학적인 사유와 무한한 상상력, 생동감 넘치는 시어로 우리 현대 시사(詩史)에서 의미 있는 작업을 해온 정현종 시인의 시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는 한 권의 시론집으로도 손색없을 만큼 탄탄한 사유와 밀도 높은 문장들로 가득하다. 예술과 인문 정신이 결합된 산문의 한 진경을 보여 주는 이번 산문집은 육중한 바윗덩어리를 비집고 나오는 샘물처럼 가볍고 맑다. 시론이 곧 인생론이고 시와 삶이 하나로 합쳐진 것이 좋은 시라고 생각하는 시인의 글들은 어둠 속의 별처럼 환하게 빛난다.
=====================덤으로 더...

「사물의 꿈」

문단에 갓 나온 김현이 젊은 시인 정현종(鄭玄宗, 1939~ )을 포장도 채 되지 않은 서울 신촌 거리에서 처음 만난 것은 1965년께의 일이다. 첫 만남을 통해 김현은 ‘춤’을 사랑하고 ‘형이상학적 초월’을 꿈꾸는 ‘에피큐리언’쯤으로 정현종을 이해한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리게 이해한 것이다. 김현이 정현종에게서 본 것은 “미식취(美食趣), 멋냄, 연애 취미, 재치있는 담화”였고, 이런 대목은 그의 이해를 정당화시킨다. 그러나 김현은 머지않아 젊은 시인의 가볍고 날렵해 보이는 쾌락주의 밑에 깔려 있는 ‘고통의 축제’를 보고 자신이 이해한 바를 수정한다. 젊은 시인이 지닌 의식의 맨 밑바닥에 깔려 있던 것은 다름아니라 ‘죽음’이었고, ‘바람’에 대한 시인의 탐닉은 그것으로부터 멀리 달아나고자 하는 의식의 반작용에서 비롯된 것으로 밝혀진다. 시인은 ‘고통의 축제’를 주관하는 꿈의 사제다.

고통의 현실을 뛰어넘어 초월의 가능성을 모색해온 시인 정현종
고통의 현실을 뛰어넘어 초월의 가능성을 모색해온 시인 정현종

정현종은 1939년 서울 용산구 원효로에서 태어난다. 그의 아버지는 관청 병참계 판임관이라는 공직에 있었다. 그는 천주교를 믿는 부모들에 의해 갓난아기 때 부근의 약현성당에서 영세를 받는다. 아버지의 근무지가 바뀜에 따라 그가 세 살 나던 해에 그의 가족은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화전으로 이사한다. 그는 1946년 덕은국민학교에 입학하고, 5학년 때 6·25를 겪는다. 그는 전란 때 모래밭에서 죽은 사람의 뼈를 치켜 들거나 막대기에 해골을 꿰어 든 채 마을 아이들과 함께 벌거벗고 괴상한 소리를 지르며 놀던 기억을 갖고 있다.

1953년 기독교 재단에서 설립한 대광중학교에 입학하면서 그는 화전에서 서울로 기차 통학을 한다. 이 무렵부터 그는 책읽기에 깊이 빠져드는데, 김내성의 『마인(魔人)』이나 방인근의 『벌레 먹은 장미』 같은 대중 소설부터 학생 잡지 『학원』에 이르기까지 가리지 않고 읽어 치운다. 왕성한 책읽기를 통해 그는 답답하게 닫혀 있는 듯한 현실을 뛰어넘어 자신만의 ‘몽상의 천국’을 맛본다.

그는 사춘기에 그 나이 때면 자연스럽게 갖게 되는 육체의 욕망과 그것을 억압하는 종교적 계율 사이에서 강박 관념에 시달리기도 한다. 이런 강박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을 즈음 그는 서양 고전 무용을 소재로 한 「로얄 발레」라는 영화를 중앙극장에서 관람한 뒤 전율과 함께 육체의 정화를 체험한다. 그는 영화 속의 춤을 통해 “비로소 육체의 아름다움에 눈떴고 육체의 빛”을 보며 “육체에 대한 경멸로부터 일시에 벗어”나 자신을 짓누르고 있던 칙칙한 성적 억압을 떨쳐낸다. 그것은 ‘육체의 발견’이라고 할 수 있는 사건이었다. 김현은 그것을 이렇게 정리한 바 있다.

그때 그는 기이한 체험을 한다. 고등학교 때면 막 성에 눈뜰 때이고, 수음(手淫)을 배워 육체에 대한 혐오감을 갖게 될 때이다. 그 영화 속에서 그는 거의 전라에 가깝도록 엷은 옷을 걸친 여성이 춤을 추는 것을 보면서 거의 성욕을 느끼지 못한다. 오히려 육체의 아름다움과 동작의 율동감이 그에게 부여해주는 쾌감만을 느낀다. 지나가는 여자만 봐도 성욕을 느낄 사춘기의 한 소년은 그 무희들의 춤을 보면서, 성욕을 느끼는 대신 그 율동의 아름다움에 너무나 감격을 한 나머지 눈물을 흘린다. 거의 벌거벗은 듯한 여자의 육체를 보고 눈물을 터뜨린 그는 그때 육체에 대한 혐오감을 완전히 떨쳐버리고 살의 아름다움을 실감한다.
김현, 「정현종을 찾아서」, 『김현 문학 전집 3권』(문학과지성사, 1991)

발레와 만나며 욕망과 금기 사이에서 싹튼 강박 관념을 털어버린 그는 고등 학교에 올라가서는 『사상계』를 애독하고 함석헌의 글들을 읽으며 감동하기도 한다. 1959년 진로 선택에 따르는 고뇌 없이 그는 아주 자연스럽게 연세대학교 철학과에 들어간다. 이듬해인 1960년 6월 그는 1년 6개월 동안 복무하는 학보병으로 자원 입대한다. 근무지는 경기도 양평이었는데, 그는 행정병 비슷한 보직을 맡아 비교적 편하게 군대 생활을 한다.

1962년 군에서 제대한 뒤 복학한 그는 『연세춘추』의 기자들과 어울리며 학교 신문에 시와 산문을 발표하고, 실존주의 사상가들과 보들레르 · 도스토예프스키 등의 책을 읽으며 지낸다. 『연세춘추』에 실린 시들이 연세대 국문과 교수로 있던 박두진의 눈에 띄어, 정현종은 대학 4학년 때인 1964년 5월에 『현대문학』의 1회 추천을 받는다. 이 때 추천받은 작품이 「화음(和音)」과 「주검에게」다. 우아한 곡선을 그으며 하늘로 솟구치는 춤의 아름다운 동작을 떠오르게 하는 이미지들로 가득 차 있는 그의 초기 시에는 시인이 청소년기에 몰입한 고전 발레의 영향이 짙게 나타난다. 이것은 순수한 초월을 꿈꾸는 그의 시 공간에 펼쳐지는 비상의 세계에 대한 깊은 열망을 암시한다.

그대 불붙는 눈썹 속에서 일광(日光) / 은 저의 머나먼 항해(航海)를 접고 / 화염(火焰)은 타올라 용약(踊躍)의 발끝은 당당히 / 내려오는 별빛의 서늘한 승전(勝戰) 속으로 달려간다. / 그대 발바닥의 화조(火鳥)들은 끽끽거리며 / 수풀의 침상(寢床)에 상심(傷心)하는 제. // 나는 그동안 뜨락에 가안(家雁)을 키웠으니 / 그 울음이 내 아침의 꿈을 적시고 / 뒤뚱거리며 가브리엘에게 갈 적에 / 시간(時間)은 문득 곤두서 단면(斷面)을 보이며 / 물소리처럼 시원한 내 뼈들의 풍산(風散)을 보았다. // 그 뒤에 댕기는 음식(飮食)과 어둠은 / 왼 바다의 고기떼처럼 살 속에서 놀아 / 아픔으로 환히 밝기도 하며 / 오감(五感)의 현금(弦琴)들은 타오르고 떨리어 / 아픈 혼(魂)만큼이나 싸움을 익혀 가느니. // 그대의 숨긴 극치(極致)의 웃음 속에 / 지금 다시 좋은 일이 더 있을리야 / 그대의 질주(疾走)에 대해 궁금하고 궁금한 그 외에는 / 그대가 끊임없이 마루짱에서 새들을 꺼내듯이 / 살이 뿜고 있는 빛의 갑옷의 / 그대의 서늘한 승전(勝戰) 속으로 / 망명(亡命)하고 싶은 그 외에는.

위의 시는 『현대문학』 추천 작품 가운데 하나인 「화음」이다. 정현종은 이렇게 처음부터 한국 시의 주류로 대접받던 서정주 · 박재삼의 토속적 미학의 세계나 허무주의, 그리고 1960년대에 한국 시의 큰 흐름을 이룬 채 사물의 외관을 통해 내면 탐구의 이미지를 추구하던 시인들과 다른 제 나름의 길을 개척한다. “연애와 무모(無謀), 알코올과 피의 속도, 어리석음과 시간”에 취해 고통스런 현실을 뛰어넘을 수 있는 길을 탐색하던 시인은 유추에 의해 서로 암시하고 환기하는 이미지를 중첩시키며 서구적 조사법(措辭法)으로 그것을 독특하게 끌어낸다. 그를 시단에 소개한 박두진은 이런 것을 “특이한 지적 예리성”으로 받아들인다.

정군의 시는 느닷없이 대상의 본질에 육박하여 그 내적인 존재의 질서와 의미를 새로이 발견, 해석해내는 특이한 지적 예리성을 가지고 있다. 시 전체를 감싸는 현대적인 신비성과 황홀하게 축제화된 미적 감동의 세련된 형상화 작업은 이 작가가 이미 지(知), 감(感) 양성의 훌륭한 통솔과 조화를 이루어가고 있는 유력한 증표가 아닐 수 없다. 시 형태에 보이는 약간의 무리와 이미지의 언어적 연결상의 다소의 지나친 비약성은 그 내적인 생명력의 팽창과 긴장이 가져오는 필연적인 결과의 테두리 안에서 충분히 유의되어야 할 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박두진, 「추천 소감」, 『현대문학』(1964. 5.)

1965년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한 그는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던 ‘신태양사’에 정식으로 들어간다. 정현종은 같은 해 『현대문학』 3월호에 「독무(獨舞)」라는 시로 완료 추천을 받아 정식으로 문단에 나온다. 그는 「독무」에서 “지금은 율동(律動)의 방법(方法)만을 생각하는 때, / 생각은 없고 움직임이 온통 / 춤의 풍미(風味)에 몰입(沒入)하는 / 영혼(靈魂)은 밝은 한 색채(色彩)이며 대공(大空)일 때!”라고 춤의 풍미에 온통 빠져든 영혼의 찬란한 상태를 노래한다. 여기서 시인은 목표가 따로 없는 순수한 도약의 몸짓을 마룻장에서 새들이 가볍게 날아오르는 이미지로 묘사하고, 발레리나의 율동에 도취된 상태를 “살이 뿜고 있는 빛의 갑옷”으로 파악한다.

시인은 「화음」과 「독무」에서 비상하는 영혼의 환희를 드러내며, 그 “서늘한 승전” 속으로 망명하고 싶은 욕망을 고백한다. 이런 욕망은 그가 발 딛고 있는 대지가 궁극적 구원의 세계가 아니라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시인의 대지에 대한 초월 의지는 춤으로 표출되고, 초월의 상태인 무도에 취해 있을 때 영혼은 환희로 가득 찬다.

도봉산 망월사에서 동료 교수들과 함께
도봉산 망월사에서 동료 교수들과 함께

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정현종

1966년 정현종은 황동규 · 박이도 · 김화영 · 김주연 · 김현 등과 함께 동인지 『사계』에 참여한다. 『사계』는 5집까지 나온 뒤 『68문학』으로 바뀌면서 발전적으로 해체된다. 1970년 그는 신태양사에서 나와 『서울신문』 문화부 기자로 자리를 옮긴다. 드디어 1972년에 들어, 선배와 동료 문인들이 제작비를 부담해 펴낸 그의 첫 시집 『사물의 꿈』이 ‘민음사’에서 나온다.

이 시집이 나에게 커다란 기쁨이며 감격이 되는 까닭은, 지금 알 수 있는 바로는 김병익, 김주연, 김치수, 김현, 이청준, 홍성원, 황동규, 황인철 등의 친구들과 그 동안 내통해 마지 않았던 고은 선배가 어느덧 돈을 모아 제작비를 부담함으로써 나올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 출판 기념회도 해주었다.
정현종, 「작가 연보」, 김병익 · 김현 편, 『우리 시대의 작가 연구 총서 ― 정현종』(은애, 1979)

『사물의 꿈』의 세계는 두 가지 상반된 이미지, 즉 존재의 상승과 하강을 표상하는 ‘춤’과 ‘죽음’의 대립 구도 위에 서 있다. 그는 삶의 자리인 대지를 어둠과 죽음의 장소로 보고 있다. 따라서 그는 언제나 대지를 초월할 방법을 꿈꾼다.

선배와 동료 문인들이 제작비를 부담해 빛을 본 첫 시집 〈사물의 꿈〉
선배와 동료 문인들이 제작비를 부담해 빛을 본 첫 시집 〈사물의 꿈〉

한 사람이 죽음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가 중요한 까닭은 그것이 삶을 어떻게 살 것인지 하는 문제와 깊이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 사회가 보편적으로 죽음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따라 그 사회의 문화적 특성이 달라진다. 한 사회의 집단 무의식과 죽음 또는 삶의 일회성에 대한 그 사회 구성원들의 보편적 이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것은 사회 구성원들의 생활 방식과 그들이 향유하는 삶의 패턴에 공통적인 힘으로 작용하며, 그 사회가 만들어내는 문화의 기초를 이룬다.

“의식의 맨 끝은 항상 / 죽음이었네.”라고 선언한 시인은 삶의 불가항력적 조건인 죽음을 삶의 한계이자 절망과 좌절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역설적으로 삶의 밝음과 환희를 더욱 극명하게 표출시키는 능동적인 것으로 받아들인다. 이것은 삶을 ‘고통의 축제’로 파악하고 있는 그의 인식론의 바탕을 이룬다. 그는 인간의 도덕적 본능으로서의 고통과 유희적 본능으로서의 축제가 결합된 삶에 대해 허무주의적 낙관론을 갖고 있다. 죽음을 긍정하면서 이룩한 이런 낙관적 세계 인식은 자연스럽게 그를 에피큐리언적인 상상력의 세계로 이끈다. 초월 또는 존재의 극치에 이르기 위한 도취의 방법으로 시인은 무도와 술과 관능적 쾌락에 몰입한다.

물방울들은 마침내 / 비껴오는 햇빛에 취해 / 공중에서 가장 좋은 색채를 / 빛나게 입고 있는가. / 낮은 데로 떨어진 운명을 잊어버리기를 / 마치 우리가 마침내 / 가장 낮은 어둔 땅으로 / 떨어질 일을 잊어버리며 있듯이 / 자기의 색채에 취해 물방울들은 / 연애와 무모(無謀)에 취해 / 알코올에, 피의 속도에 / 어리석음과 시간에 취해 물방울들은 / 떠 있는 것인가. / 악마의 열정 또는 / 천사의 열정 사이의 / 걸려 있는 다채로운 물방울들은.

「무지개 나라의 물방울」은 시인이 왜 도취에 그토록 몰입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시인은 이미 「사물의 정다움」에서 “허나 구원은 또 항상 / 가장 가볍게 / 순간 가장 빠르게 왔으므로”라고 노래한 바 있다. 시인에게 구원 또는 삶의 극치는 언제나 순간에만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삶의 대부분의 시간은 권태로운 일상으로 채워져 있다. 그것은 “취하지 않으면 흘러가지 못하는” 시간이다. 그만큼 일상은 따분하고 권태롭고 무미 건조하다. 시인에게 ‘물방울’이란 존재의 빛나는 상태 또는 상승의 극치를 보여주는 이미지다. 물방울은 연애, 무모함, 알코올, 피의 속도, 어리석음에 취해 있다. 시인이 죽음이라는 거대한 심연 앞에서도 태연하게 낙관적인 태도를 취할 수 있는 것은 바로 그 ‘도취’ 덕분이다. 물방울들은 취해 있는 순간 하강해 소멸될 제 운명을 잊은 채 존재의 정상에서 눈부신 형상으로 떠 있다. 마치 우리가 “마침내 가장 낮은 어둔 땅”으로 떨어질 비극을 잊어버리고 있듯이.

시인의 초기 시 세계에서 ‘춤’과 함께 자주 나타나는 또 하나의 이미지는 ‘바람’이다. 바람은 “숨을 번쩍이며 끓게” 하고, “불의 심장에 기름을 부어”주는 어떤 것이다. 숨과 불은 생명력 또는 존재의 상승을 추진하는 원동력을 상징한다. 바람은 뜻없이 되풀이하는 일상을 넘어서도록 의식을 부추기고 원초적인 생명력으로 치열하게 타오르도록 만드는 역동적 힘의 표상이다. 이와 대립되는 것이 모래와 사막, 밤의 이미지다. 이런 것은 건조하고 척박하며 불모적인 삶의 조건을 표상하는 이미지다. 따라서 ‘바람’은 원초적 생명력, 불멸 상태, 절대 자유, 무한, 초월을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는 시인의 역동적 의식을 보여준다.

1974년 정현종은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와 국무부가 함께 주관하는 국제 창작 프로그램에 참가한다. 이 때 그의 시 15편을 고려대학교 영문과 교수로 있던 김우창이 영역해주는데, 이 인연은 1974년 ‘민음사’에서 출간된 『고통의 축제』에 붙인 김우창의 뛰어난 해설로 이어진다. 『서울신문』에서 나와 1975년 『중앙일보』 월간부 기자로 자리를 옮긴 그는 1977년 서울예술전문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임용된다. 그는 1982년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갈 때까지 이 학교에서 재직하며 예비 작가와 시인들을 길러낸다.

김우창의 뛰어난 해설이 곁들여진 두 번째 시집 〈고통의 축제〉
김우창의 뛰어난 해설이 곁들여진 두 번째 시집 〈고통의 축제〉

정현종은 『사물의 꿈』과 『고통의 축제』 이후 『나는 별아저씨』(1978) ·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1984) ·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1989) 같은 시집을 펴내며 중견 시인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진다. 그의 시 세계가 변화의 낌새를 보인 것은 1980년 광주항쟁의 전개 양상과 관련이 깊다. 세상의 거칢과 반생명적 폭력에 질린 그는 이 무렵부터 ‘초록 풀잎’의 생명성을 눈여겨보고, 생명 현상에 고여 있는 기쁨을 노래하는 시편들을 내놓는다.

정현종의 시집 〈나는 별아저씨〉와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정현종의 시집 〈나는 별아저씨〉와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이런 시집을 내놓으며 그는 중견 시인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진다.

세월이 흐를수록 점점 더 나는 생명 현상들에 감동합니다. 모든 생명의 움직임에 감동하지 않고는 시가 나오지 않는 것이니까 옛날이라고 해서 그렇지 않았을리 없겠습니다만, 근년에 한결 더 그렇습니다. 숲에 가서 초록 나뭇잎과 풀들을 보면 어떤 때는 거의 광희(狂喜)에 가까운 기쁨으로 부풀어 오르고, 날으는 새들, 꽃들, 풀벌레들 같은 것들이 너무 사랑스러워 감탄하며 혼자 웃기도 하는 것입니다만, 사실 생명의 기쁨은 무슨 추상적인 이념이나 거창한 철학 속에 들어 있는 게 아니라 이렇게 작은 것들 속에 들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생명에 대한 감각이 날로 민감해지는 것은 세상의 거칠음과 비례해서 그렇게 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니까 가령 초록 풀잎들에 대한 감동의 배경에는 거치른 세상, 죽음이 떠도는 세상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다시 말하면 반생명적인 문명 속에서 거의 본능적인 생명에의 편집(偏執)이겠지요. 그러니 사람이 부당하게 죽는다거나 특히 비참하게 죽는다거나 그야말로 자기 고유의 죽음을 죽지 못할 때 우리는 다 같이 참담해질 수밖에 없습니다.1)

막 나가는 ‘반생명적 문명’의 속도와 광포함에 질린 시인은 부쩍 ‘자연’ 쪽으로 기울어간다. 시인의 마음은 이내, 자연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 관습과 제도가 억압할 수 없는 것, 이를테면 사랑 · 생명 · 자유 같은 것과 연애에 빠지며 한껏 고양된다. 자연에 든 그 마음은 다름아니라 선적(禪的) 자유의 경지에 든 마음이다. 이런 마음만이 따뜻한 달걀 하나를 손에 쥐고 「새로 낳은 달걀」에서처럼 감격할 수 있는 것이다.

새로 낳은 달걀, / 따뜻한 기운, / 생명의 이 신성감(神聖感), / 우주를 손에 쥔 나는 / 거룩하구나 / 지금처럼 / 내 발걸음을 땅이 / 떠받든 때도 없거니!

시인의 우주를 품어 안는 관능적 서정성 속에 무르녹아 있는 생명의 외경감에 대한 거듭되는 새로운 각성의 시편들은 ‘죽임의 행위’에 의해 열린 1980년대의 제도와 관습을, 그 속에 깃들여 있는 독과 같은 그 모든 ‘죽임의 문화’를 외설과 추문으로 낙인찍는다. 물론 이런 것은 드러내놓고 말하지 않은, 숨어 있는 부분이다. 이처럼 정현종의 시들은 정치적 메시지를 따로 담고 있지 않으면서도 때로는 아주 극적으로 정치적 메시지를 전한다. 그의 ‘생명 시편’들을 읽으면 “살아남음의 가장 야비한 형태는 죽임의 행위이다.”라는 말을 실감하게 된다.

1980년대 초반 최인훈(가운데) · 김병익(왼쪽)과 함께
1980년대 초반 최인훈(가운데) · 김병익(왼쪽)과 함께

1990년대에 접어들어서도 시인은 고통의 현실을 뛰어넘어 초월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상상력의 샘이 마를 줄 몰라, 『한 꽃송이』(1992) · 『세상의 나무들』(1995) · 『갈증이며 샘물인』(1999) 같은 시집을 잇달아 내놓는다. 이런 시집에 빈번하게 나오는 것은 나무 · 꽃 · 새 · 구름 · 시골 · 기운 · 숨 · 길 · 바람 · 공기 · 하늘 · 산 등이다. 정현종의 시적 화두가 ‘죽음’에서 ‘자연’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이 한결 분명해진 것이다. 생태학적 관심이 꾸준히 부풀어올라 그는 마침내 “인간은 만물과 더불어 인간이며, 더구나 시인은 만물과 더불어 시인이다.”라고 선언하게 되며, “시인이, 생물권(生物圈) 안에서의 인간의 인간 중심주의나 인간 우월주의와 결별하는 첫 번째 사람이어야 한다는 것”을 새긴다.2) 자연에 깃들인 뭇 생명에 대한 외경심은 날로 깊어지고, 이와 같은 자세는 시인을 생태 근본주의자로 거듭나게 만든다.

시인의 이런 관심의 범주와 세계관의 변모에 대해 김주연은 “사물신(事物神)으로부터 자연신(自然神)으로의 귀환”이라고 말한다.3) 정현종은 뛰어난 시인일 뿐 아니라 자기 이론을 확고하게 정립한 시론가이며, 빼어난 시 번역가이기도 하다. 그는 시론가로서 『날자 우울한 영혼이여』(1975) · 『숨과 꿈』(1982) · 『관심과 시각』(1983) · 『생명의 황홀』(1989) 같은 책을 내며, 시 번역가로서 파블로 네루다의 시집 『스무 편의 사랑의 시와 한 편의 절망의 노래』와 로르카의 시집 『강의 백일몽』 등을 옮겨 펴낸다.

『문학사상』 창간사

이들을 위하여
분노의 주먹을 쥐다가도 결국은 자기 가슴이나 치며 애통해 하는 무력자들을 위하여, 지하실처럼 어두운 병실에서 5월의 푸른 잎을 기다리는 환자들을 위하여, 눈물 없이는 한 술의 밥숟가락을 뜨지 못하는 헐벗은 사람들을 위하여, 위선에 지치고 허위의 지식에 하품을 하고 사는 권태자를 위하여, 돈이나 권력보다 더 소중한 사랑이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하는 수 없이 사람들의 뒷전을 쫓아가는 소시민들을 위하여, 폭력을 거부하며 불의를 향해서 ‘아니’라고 고개를 흔드는 사람들을 위하여, 요한처럼 광야에서 홀로 외치는 예언자들을 위하여, 쓰레기터에 살면서도 아름다운 것을 참으로 아름다운 것을 목마르게 갈구하는 미의 순교자들을 위하여,

무기고나 식량 창고보다는 영혼의 언어가 담긴 한 줄의 시를 더 두렵게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개를 개라 부르고 구름을 구름이라고 명백하게 부를 줄 아는 대중들을 위하여, 텅빈 공허가 깔려 있는 월급 봉투와 아내의 시장 바구니 속에서도 내일의 꿈을 찾는 사람들을 위하여, 민들레와 진달래와 도라지, 박꽃, 냉이꽃들이 매연 속에서 시들어 가는 것을 고향처럼 지켜보고 있는 이들을 위하여, 오늘보다는 내일을 위해 허리띠를 조르는 사람들을 위하여, 나날이 무거워지는 저금통처럼 자기 머리속에 지식을 축적해 가려는 사람들을 위하여, 사람들이 다 기진 맥진하여 절망의 흙구덩 속에 무릎을 꿇을 때 뜻밖에 나타난 기병대의 그 나팔수 같은 사람들을 위하여,

그리고 또한 미래의 입법자(立法者), 심야에도 눈을 뜬 불침번, 도굴자를 막는 묘지의 파수군, 소돔성의 롯과, 7백의총(七百義塚)에 묻힌 의병―이렇게 남과 다른 생을 살고자 하는 이웃들을 위하여―

우리는 역사의 새로운 언어와 문법을 만들어 가는 이 작은 잡지를 펴낸다. 그리하여 상처진 자에게는 붕대와 같은 언어가 될 것이며, 폐(肺)를 앓고 있는 자에게는 신선한 초원의 바람 같은 언어가 될 것이며, 역사와 생을 배반하는 자들에겐 창끝 같은 도전의 언어, 불의 언어가 될 것이다. 종(鐘)의 언어가 될 것이다. 지루한 밤이 가고 새벽이 어떻게 오는가를 알려주는 종(鐘)의 언어가 될 것이다.

〈문학사상〉
〈문학사상〉

1972년에 이어령이 창간한 월간 문예지 『문학사상』은 새로운 감각의 편집과 대담한 기획으로 젊은 독자들의 사랑을 크게 받는다. 이 문예지는 한때 발행 부수가 5만여 부를 넘어선 적도 있지만, 잡지에 실린 오영수의 「특질고」가 특정 지역 주민을 폄하하고 모독했다고 해서 불매 운동의 대상이 된 적도 있다. 이어령이 쓴 창간사는 그 특유의 화려한 수사가 두드러진다.

발행인 김봉규 / 주간 이어령

\\


김정숙 여사, 정현종 시인의 <방문객> 낭독해 中에 전파

시 낭독하는 김정숙 영상 /출처=청와대 공식 페이스북

청와대는 페이스북 공식 계정을 통해 김정숙 여사의 시 낭독 모습을 공개했습니다. 

김 여사의 시 낭독은 중국 국빈방문에 맞춰 지난 13일(2017년 12월), 중국 '웨이니두스'를 통해 중국인들에게 소개됐습니다. 

중국의 '웨이니두스'는 시를 음성과 텍스트로 소개하는 중국의 유명 시 전문 플랫폼입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펑리위안 여사, 영화배우 장쯔이 등이 출연하기도 했습니다.

김정숙 여사 정현종 방문객 / 사진= 청와대 페이스북
↑ 김정숙 여사 정현종 방문객 / 사진= 청와대 페이스북

한국과 중국의 시 문화에 대해 알고 있냐는 질문에 김 여사는 "중국의 그러한 시조, 창가를 아직까지도 많은 분들이 각 도시에서 경연대회처럼 하고 즐기고 참가하는 것을 봤고, 알고 있습니다"라며 "굉장히 놀라웠고 (우리나라 시조에도) 그렇게 운율을 음과 가락으로 노래로 하는 전통창법이 있습니다"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김 여사는 "여기는 웨이니두스입니다. 저는 대한민국의 대통령 부인 김정숙입니다"라며 정현종 시인의 <방문객>을 낭독했습니다.

김 여사는 이 시를 택하게 된 이유를 "한국과 중국의 인연도 과거, 현재, 미래 그리고 오랜 인연으로 함께 이어진다는 생각으로 이 시를 택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두 나라의 관계, 아니면 두 나라 국민과의 관계가 마음을 다하고 진심을 다하고 그런 마음을 가졌을 때 진정한 의미가 있고 그것이 '미래를 함께 한다'라는 그런 생각에 이 시를 택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방문객> /정현종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는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부서지기 쉬운
그래서 부서지기도 했을
마음이 오는 것이다- 그 갈피를 
아마 바람은 더듬어볼 수 있을
마음,
내 마음이 그런 바람을 흉내낸다면
필경 환대가 될 것이다.

[MBN 뉴스센터]

(서울=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지난 1일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중국 최대 시낭송 사이트 '웨이니두스'(爲爾讀詩·너를 위해 시를 읽는다)와 함께 한국 정현종 시인의 시 '방문객' 낭송을 녹음하고 있다.

20171214101417605_72279.jpg▲ 영부인 김정숙 여사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3일부터 취임후 첫 중국 국빈방문을 시작했다. ‘영부인’ 김정숙 여사는  중국 시낭송 플랫폼을 통해 중국 인민들에게 한국 시가 낭송을 선보이고 양국 국민들이 서로 진심으로 대하고 함께 미래로 나아갈 것을 희망했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의 4일간 중국 국빈방문 기간 중국 시낭송 플랫폼 "웨이니두스(爲爾讀詩·The Poem For You)"가 한국 주요 인사들이 한국 시를 낭송하는 '한국 문화 주간' 특집을 송출해 중국 청취자들에게 한국의 시를 전하게 된다. 제1회는 바로 김정숙 여사가 전하는 한국 당대 유명 시인 정현종의 시 '방문객'이다.
 
이 시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김정숙 여사는 한국과 중국의 인연은 예전이나 현재, 그리고 미래에도 계속 지속될 것이며 또한 양국의 관계와 두 나라 국민들 간의 관계 역시 그러하다고 말했다.
 
20171214101542248_67275.jpg▲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정숙 여사에 이어 시인 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도종환, 여러번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오른 한국의 유명 시인 고은 선생, 그리고 중국 바둑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이창호 바둑 9단 기사도 시를 낭송해 중국 청취자들에게 한국 시가의 정취를 전하게 된다
 
이번 '한국 문화 주간' 특집은 웨이니두스와 한국 문화체육관광부·주중한국문화원이 공동 기획 추진했다. "웨이니두스" 공동 창시인 장현(張炫)총재는 한국은 우수한 대중 문화를 갖고 있으며 이번 한국 문화 주간은 시 낭송을 통한 문화와 마음의 교류를 시도했다고 밝혔다.
 
전문가는 한국 주요 인사들이 중국 청취자들에게 시를 낭송하는 것은 한국 각계가 문재인 대통령의 이번 방문에 큰 기대를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그 기대는 바로 중한 양국이 상호 신뢰를 회복하고 양국 민중들의 우호적인 감정을 더 깊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23 조숙한 동성련애자 천재 시인 - 랭보 2017-12-27 0 7955
2122 빈민굴 하숙방에서 쓸쓸하게 운명한 "시의 왕" - 폴 베를렌느 2017-12-26 0 4305
2121 영국 시인 - 월터 드 라 메어 2017-12-21 1 4011
2120 재래식 서정시의 혁신파 시인 - 정현종 2017-12-14 0 5914
2119 100세 할머니 일본 시인 - 시바타 도요 2017-12-12 0 4548
2118 어학교사, 번역가, 유대계 시인 - 파울 첼란 2017-11-19 0 5591
2117 [타삼지석] - "세계평화와 인간의 존엄성을 확인하는 발신지"... 2017-10-28 0 3856
2116 시창작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시를 쓰겠다는 의지이다... 2017-08-28 2 3693
2115 문단에 숱한 화제를 뿌린 "괴짜 문인들"- "감방" 2017-08-22 0 3641
2114 윤동주는 내성적으로 유한 사람이지만 내면은 강한 사람... 2017-06-09 0 3660
2113 터키 리론가 작가 - 에크렘 2017-05-31 0 4142
2112 터키 혁명가 시인 - 나짐 히크메트 2017-05-31 1 4194
2111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 - 말라르메 2017-05-24 0 6772
2110 프랑스 시인 - 로트레아몽 2017-05-24 0 5330
2109 프랑스 시인 - 아폴리네르 2017-05-24 0 5155
2108 프랑스 시인 -보들레르 2017-05-24 0 9602
2107 아르헨티나 시인, 20세기 중남미문학 대표자 - 보르헤스 2017-05-13 0 5101
2106 시인 윤동주 "생체실험"의 진실은?... 2017-05-08 0 5785
2105 스웨덴 국민시인 - 토마스 트란스 트뢰메르 2017-05-07 0 5189
2104 모택동 시가 심원춘. 눈 2017-05-07 0 3880
2103 꾸청, 모자, 시, 자살, 그리고 인생... 2017-05-07 0 4574
2102 중국 현대시인 - 고성(꾸청) 2017-05-07 0 4538
2101 리백, 술, 낚시, 시, 그리고 인생... 2017-05-07 0 4208
2100 중국 현대시인 - 여광중 2017-05-07 0 5174
2099 중국 현대시인 - 변지림 2017-05-07 0 4697
2098 중국 현대시인 - 대망서 2017-05-07 0 4084
2097 중국 현대시인 - 서지마 2017-05-07 0 3505
2096 중국 현대시인 - 문일다 2017-05-07 0 4847
2095 중국 명나라 시인 - 당인 2017-05-06 0 4511
2094 러시아 국민시인 - 푸슈킨 2017-05-05 0 4503
2093 미국 시인 - 로웰 2017-05-01 0 4512
2092 미국 시인 - 프로스트 2017-05-01 0 4233
2091 미국 시인 - 윌리엄스 2017-05-01 0 5218
2090 시법과 글쓰기 2017-05-01 0 3424
2089 미국 녀류시인 - 힐다 둘리틀 2017-05-01 1 4811
2088 영국 시인 - 크리스토퍼 말로 2017-05-01 0 5018
2087 아이랜드 시인 - 잉그럼 2017-05-01 0 4491
2086 프랑스 시인 - 장 드 라 퐁텐 2017-04-24 0 5164
2085 [고향문단소식]-화룡출신 "허씨 3형제" 유명작가로 등록되다... 2017-04-24 0 4147
2084 중국 북송 시인 - 황정견 2017-04-21 0 4388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