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쌍둥밤은 엄마하고 냠냠"...
2018년 05월 30일 21시 36분  조회:2427  추천:0  작성자: 죽림

<음식에 관한 동시 모음>   

+ 비빔밥은 왜 4천원인가 

강원도에 와서 먹는 
산나물 비빔밥은 왜 4천원인가? 

나물 뜯은 아가씨 수고 값이겠지. 
바구니 차고 오대산 산허릴 오르내렸거든 
(그뿐 아니야.) 

산굽이 오르며 구성지게 부른 노래 값인가? 
(그것만도 아니야.) 

나물 뜯던 산마루에 뭉게구름이 일었지. 
산새소리도 들렸지, 물소리까지 
그것이 산나물 맛이 됐거든 

꽃 냄새 바람 냄새도 산나물 맛이 됐지. 
여기에 
참기름, 고추장 한 숟갈씩 
곁들여 
차림표에 4천원! 
(신현득·아동문학가, 1933-) 


+ 남긴 밥 

강아지가 먹고 남긴 
밥은 

참새가 와서 
먹고, 

참새가 먹고 남긴 
밥은 

쥐가 와서 먹고, 

쥐가 먹고 남긴 
밥은 

개미가 와서 물고 간다 
쏠쏠쏠 물고 간다 
(이상교·아동문학가, 1949-) 


+ 고추  

할머님이 보내주신 
빨간 고추 

아침 햇살 
가득 담아 보냈어요. 

텃밭의 흙내음도 
함께 담아 보냈어요. 

방학 내내 
같이 놀던 
짱아의 발자국도 
곱게 담아 보냈어요. 
(김재용·아동문학가) 


+ 검은 콩 

고 작은 몸이 뭐라고 
우리 집 식탁 위에 앉아 있다 

밭의 고기라고 불리는 넌 
도대체 어디에 그런 
힘이 숨어 있는 거니? 

까맣고 작은 몸뚱이로 
고기의 맛을 보여 준다니 
내 입이 다 벌어진다 

우리 엄마 나더러 
몸에 좋은 콩 좀 먹어라, 
매일 노래 부르신다 
나는 그 콩 골라내는 데 
도사가 다 되었다 

마침 콩을 만났으니 
담판을 져 보자고 
뚫어져라 콩을 노려보았다 
고 작은 콩도 나를 노려보았다 

콩이 내게 말했다 
어쩔 건데? 어쩔 건데? 
(한선자·아동문학가) 


+ 떡 

곱고 고운 무지개, 
무지개가 떠 있는 무지개 떡. 

반달 모양에 밤과 콩, 
추석에 먹는 송편. 

쿵덕 쿵덕 떡메로 친, 
쫄깃쫄깃 인절미. 

날씬하고 가는 흰색, 
떡국에 넣어 먹는 가래떡! 

색도 다르고 
모양도 다르고 
맛도 다른 우리의 떡! 
(안미정·아동문학가) 


+ 참깨 

"밥맛 없을 때 
참기름에 
밥 비벼 줘라." 
고소한 냄새 
시골 할머니 마음 짠 
참기름. 
엄마도 아끼는 한 방울. 

"나물 무침 때 
깨소금을 
듬뿍 넣어 줘라." 
짭조름하고 
고소한 
깨소금. 
할머니 사랑 담긴 
한 숟갈. 

올해도 
나눠주신다. 
깨 한 되와 
땀방울과 
할머니 
참음을. 
(김성규·아동문학가) 


+ 군밤 

울잖고 
잘 놀면 
양반이라면서 

삯바느질 
들고 나간 
엄마가 올 때까지 

집 보면서 있으라고 
엄마가 화롯불에 
묻고 간 밤 세 톨. 

엄마가 
성황당쯤 
한 톨만 먹고 

동구 앞 
돌다리 
또 한 톨 먹고 

막내둥이 쌍둥밤은 
그냥 두었다 
사립문 소리 나면, 
엄마하고 
냠 
냠.  
(강청삼·아동문학가) 


+ 다이어트 한 달팽이 

-난 너무 뚱뚱해. 

달팽이가 
다이어트를 시작했대요. 

한 달이 지나고 
두 달이 지난 어느 날 
거울 앞에 선 달팽인 
기절을 하고 말았대요. 

살을 너무 많이 뺀 
달팽인 그만 
높은음자리표가 되고 말았거든요. 
(김미영·아동문학가, 1964-) 

 

‘쌍둥이마을’의 즐거운 동년
(ZOGLO) 2018년5월30일
 
‘쌍둥이마을’의 즐거운 동년
 

쇄룡촌의 일부 쌍둥이가 마을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5월 23일 촬영).
쇄룡촌은 강서성 우도현에 위치한 경치가 수려하고 기후가 알맞는 마을이다.
이 마을의 천여명 촌민중에 29쌍의 쌍둥이(다둥이)가 있는데 ‘쌍둥이마을’로 소문이 자자하다. 아이들은 푸른 산, 푸른 물과 함께 성장하면서 즐거운 동년을 보내고 있다(신화사).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0 [시문학소사전] - "블랙리스트"이란?... 2017-01-01 0 4071
89 시인은 모든 리익과 다툼에서 손해보는 사람이다... 2016-12-31 0 3450
88 문학과 비평은 쌍두마차... 2016-12-31 0 2533
87 여보게 친구,분위기가 얼쑤인데 한잔 안할수가 없잖은가... 2016-12-31 0 3199
86 술과 시와 삶은 잘 삭혀야 제맛!~~~ 2016-12-31 0 2484
8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학생들께 론문쓰는법 가르치자 2016-12-31 0 2739
84 "전설의 편집자", 53, 그리고 외길 인생 2016-12-31 0 3033
83 안중근 유묵 106년만에 해빛 보다... 2016-12-30 0 3150
8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뜻뜨미지근", "뜨뜻미지근" 2016-12-30 0 2710
81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임대"냐? "임차"냐?... 2016-12-30 0 2610
80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우리말 애정 표현은?... 2016-12-30 0 2720
79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달이다", "다리다","졸이다", "조리다" 2016-12-30 0 2985
78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치어"를 쓸때, "치여"를 쓸때... 2016-12-30 0 2770
77 소리로 날려 보내던 생각을 그 소리를 붙잡아 시로 남기기... 2016-12-29 0 2299
76 세기의 혁신가 10인 2016-12-29 0 2900
75 [시문학소사전] - 추상표현주의란?... 2016-12-29 0 2848
74 [쉼터] - 작문써클선생님들께; 작문평정과 평어쓰기 2016-12-28 0 2640
73 시는 추상적관능과 비평정신을 고도의 음악성과 결부해야... 2016-12-28 0 2746
72 말안장에서 용사를 가려내고 달빛아래에서 미인을 보다... 2016-12-28 0 2675
71 시를 쓴다는것은 인생의 마지막역을 잘 인테리한다는것... 2016-12-27 0 2881
70 진리를 멀리서 구하지 말고 자기 자신속에서 구하라... 2016-12-27 0 2748
6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소나무와 첫락엽 2016-12-27 0 2270
68 [시문학소사전] - "퓨전"이란?... 2016-12-27 0 2817
67 시의 건초더미에서 겨우겨우 찾을수 있을가말가 하는 시를 쓰라... 2016-12-26 0 2585
66 시인이 시 한수를 빵으로 바꿀수 있을까?... 2016-12-26 0 2625
65 술, 가슴에서 터져나오는 시, 머리에서 짜여져 나오는 시... 2016-12-26 0 2706
64 대만 현대시의 흐름을 알아보다... 2016-12-26 0 2918
63 대만 녀성시인 - 수샤오리엔 2016-12-26 0 2643
62 리백 음주시 관련하여 2016-12-25 0 2606
61 로신과 겨레의 문인들 2016-12-25 0 2738
60 李陸史는 魯迅을 만나 보았을까? 2016-12-25 0 2756
59 력사, 문학, 그리고 미래... 2016-12-25 0 2791
58 영웅이 없는 시대에 그저 하나의 사람이 되고싶을 뿐... 2016-12-25 0 3110
57 몽롱시와 그 "찬란한 빛" 2016-12-25 0 2475
56 시는 최소한의 언어로 최대한의 세계를 담아야... 2016-12-25 0 2668
55 진정으로 뛰여난 담시(譚詩) 한수라도 보고지고... 2016-12-23 0 2623
54 시인은 정화가 된 "저체온의 성스러운 언어"로 시를 써야... 2016-12-22 0 2785
53 시인, 석류, 그리고 파렬, 분출, 문여는 소리... 2016-12-22 0 2757
52 [쉼터] - 작문써클선생님들께; 마구잡이로 쓰는 "~의 대하여" 2016-12-22 0 2552
51 "종소리를 더 멀리 보내기"+"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2016-12-22 0 2488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