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성화
http://www.zoglo.net/blog/zhushenghua 블로그홈 | 로그인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홈 > 전체

전체 [ 92 ]

92    중국조선족이주사 - 차례 댓글:  조회:2213  추천:0  2014-02-05
1. 차  례   제1편 만주지방   제1장 만주의 일반상황                                              23 제1절 자연상황                                                      23 1. 개  황                                                               23 2. 지  세                                                               23 3. 하  천                                                               24 4. 토  양                                                               25 5. 기  후                                                               25 6. 강우량                                                               27 7. 지하자원                                                             28 제2절 산업 및 교통                                                       28 1. 산  업                                                               28 2. 교  통                                                               29 1) 육상운수                                                           29 2) 수상운수                                                           29 3) 항공운수                                                            30 제3절 연  혁                                                             31 제4절 행정구역의 변화                                                     34 제5절 타민족의 만주 진출                                                  36 1. 한(漢)족                                                             36 2. 러시아인                                                             38 3. 일본인                                                               39   제2장 청나라 이전의 조선유이민                                             45 제1절 당․송시기 조선유이민                                               45 제2절 요․원시기 조선유이민                                               48 제3절 명․청시기 조선이주민                                               50 1. 이주민 상황                                                          50 2. 조선인 포로속환                                                      54 3. 철령 이씨 가족                                                       55 4. 이주조선민의 후예                                                    57 1) 요녕 개현(蓋縣) 진툰향(陳屯鄕) 박씨촌                               57 2) 요녕 본계현(本溪縣) 산성자향(山城子鄕) 박씨촌                      58 3) 하북 청용(靑龍), 평천(平泉), 승덕(承德)현의 박씨 가족                58 4) 요녕 봉성현(鳳城縣) 문․서씨 족보                                   59   제3장 ‘한일합병’전 조선이주민                                            61 제1절 백두산정계비                                                        61 제2절 간도사건                                                            64 1. 간도의 연혁                                                          64 2. 간도 명칭의 유래                                                     66 3. 간도문제의 기원                                                      67 4. 간도협약                                                             68 제3절 1644-1840년 조선유이민                                             71 제4절 1840-1910년 조선이주민                                             74 1. 사회배경                                                             74 2. 이주민                                                               75 1) 북간도지방                                                         75 2) 서간도지방                                                         92 3) 북만지방                                                            97 제5절 조선이주민의 생활                                                   98 제6절 조선이주민에 대한 차별 대우                                        100 제7절 조선이주민 지주                                                    102 제8절 청나라조선이주민 명인                                              105   제4장 1910-1931년 조선이주민                                             108 제1절 원인과 동기                                                       108 1. 사회배경                                                            108 2. 이주원인                                                            110 1) 경제적 원인                                                        110 2) 정치적 원인                                                        113 3) 사회적 원인                                                        113 4) 지리적 원인                                                        114 3. 동기와 경로                                                         114 제2절 이주상황                                                           115 1. 개  론                                                              115 2. 지방별 이주민                                                       125 1) 간도지방                                                           125 2) 압록강 대안 지방                                                   134 3) 남만주지방                                                         137 (1) 봉천지방                                                         137 (2) 영구지방                                                         139 (3) 송수 및 요양 지방                                                141 (4) 대련 및 사하구 지방                                              142 (5) 철령지방                                                         142 (6) 장춘지방                                                         145 (7) 길림지방                                                         146 4) 북만지방                                                           148 (1) 할빈지방                                                         149 (2) 일면파지방                                                       149 (3) 횡도하자지방                                                     150 (4) 해림, 영고탑, 목릉지방                                            150 (5) 동부우수리강 연안지방                                            152 (6) 치치할지방                                                       152 (7) 만주리지방                                                       153 5) 동몽골지방                                                         154 6) 열하성지방                                                         154 제3절 인구변동                                                           155 1. 자연변동                                                            155 2. 기계변동                                                            156 제4절 시가지인구                                                         159 제5절 조선이주민 직업                                                    162 1. 간도지방                                                            162 2. 압록강 대안                                                         163 3. 봉천(奉天)지방                                                      164 4. 길림지방                                                            165 5. 할빈지방                                                            165 6. 동몽골지방                                                          166 제6절 사회관계                                                           166 1. 계급관계                                                            166 2. 조선이주민에 대한 박해                                              173 3. 조선이주민의 귀화입적                                               181 4. 조선이주민의 동화                                                   185 제7절 조선이주민 생활                                                   186 1. 의  류                                                              187 2. 식  류                                                              187 3. 거  주                                                              187 4. 생활정도                                                            188 5. 가족관계                                                            189 제8절 중공조직체계의 건립                                                189 1.지방조직                                                            189 2. 정권조직                                                            190 3. 군사조직                                                            191 4. 군중조직                                                            191 제9절 조선이주민 여성운동                                                192   제5장 1931-1945년 조선이주민                                             195 제1절 위만주국 설치와 개척정책                                           195 1. 만보산사건                                                          195 2. 나까무라사건                                                        197 3. 9․18사변과 위만주국                                                198 4. 개척정책과 개척민                                                   200 1) 정책의 확립                                                        200 2) 개척기구                                                           204 3) 일본인개척민                                                       205 4) 조선이주개척민                                                     206 (1) 실시방침의 변화                                                  206 (2) 개척민 종류                                                      208 (3) 조선농민개척훈련소                                               210 5. 개척정책의 성질                                                     211 제2절 이주상황                                                           213 1. 개  론                                                              213 2. 지방별인구                                                          214 1) 간도지방                                                           214 2) 관동주 및 만철부속지                                               216 3) 돈화지방                                                           217 3. 원적지별인구                                                          220 제3절 인구변동                                                           222 1. 자연변동                                                            222 2. 기계변동                                                            225 1) 이주 및 귀환                                                       225 2) 이  동                                                            226 제4절 시가지인구                                                         228 제5절 인구자연구조                                                       232 1. 연령구조                                                            232 2. 성비례                                                              239 제6절 조선이주민 직업                                                    242 1. 개  론                                                              242 2. 지방별 직업인구                                                     244 제7절 조선이주민집단부락                                                 249 1.역사배경과 건설과정                                                 249 2. 집단부락 상황 및 내부기구                                           252 제8절 조선이주민 안전농촌                                                263 제9절 조선이주민 농장 개황                                               265 제10절 조선이주민의 생활                                                 268   제6장 조선이주민의 농업                                                   270 제1절 조선이주민의 초기벼농사                                            270 제2절 1910-1931년 조선이주민의 농업                                     274 1. 토지소유권문제                                                      274 2. 농업 개황                                                           277 3. 벼농사                                                              279 4. 사과배 재배                                                         289 제3절 1931-1945년 조선이주민의 농업                                     290 제4절 조선이주민의 부업                                                  292   제7장 조선이주민의 교육                                                   295 제1절 ‘한일합병’ 전 조선이주민 교육                                       295 제2절 1910-1931년 조선이주민 교육                                       303 1. 개  론                                                              303 2. 조선이주민학교 종류                                                 316 3. 조선이주민 사립학교의 이념과 특점                                   321 4. 지방별 조선이주민 사립학교                                          322 5. 조선이주민의 문맹도와 입학률                                        324 6. 일본 측의 간섭과 탄압                                               325 7. 중국 측의 간섭                                                      325 8. 주요한 조선이주민학교 연혁                                          326 제3절 1931-1945년 조선이주민 교육                                       335 1. 노화교육방침                                                        335 2. 1931-1937년 식민지노예교육                                         336 3. 1938-1945년 식민지노예교육                                         338 4. 항일유격구의 조선이주민 교육                                        341 제4절 1945-1949년 조선이주민 교육                                       342   제8장 조선이주민의 종교                                                   344 제1절 개  론                                                            344 제2절 종교 각파                                                         347 1. 기독교                                                              347 1) 장로교회                                                           347 2) 감리교회                                                           349 3) 동아기독교                                                         351 4) 복림안식일교회                                                     351 5) 성결교회                                                           352 2. 천주교                                                              352 3. 천도교                                                              354 4. 시천교                                                              355 5. 청림교                                                              356 6. 대종교                                                              357 7. 원종교                                                              358 8. 유  교                                                              359 9. 불  교                                                              360 10. 사만교                                                             361 제3절 지방별 종교 상황                                                  361 제4절 종교단체의 역사작용                                                368   제9장 조선이주민의 문화예술 및 의료위생, 체육                             370 제1절 조선이주민의 문학                                                  370 1. 문학단체                                                            370 2. 구두문학                                                            371 3. 소  설                                                              371 4. 시                                                                  372 5. 산  문                                                              374 6. 가  요                                                              374 7. 극  본                                                              374 제2절 조선이주민의 예술                                                  375 1. 예술단체                                                            375 2. 희  곡                                                              375 3. 음  악                                                              376 4. 무  용                                                              378 5. 미  술                                                              380 제3절 조선이주민의 신문, 잡지, 출판, 발행 및 기타                         381 1. 신  문                                                              381 2. 잡  지                                                              384 3. 출판 발행 및 기타                                                   385 제4절 조선이주민의 의료위생                                              386 1. 개  황                                                              386 2. 지역별상황                                                          388 1) 간도지방                                                           388 2) 남만지방                                                           389 3) 북만지방                                                           390 제5절 조선이주민의 체육                                                  390   제10장 조선이주민의 산업, 금융, 무역 및 교통운수                          396 제1절 산  업                                                            396 1. 공  업                                                              396 2. 광산업                                                              402 3. 목축업                                                              405 제2절 금  융                                                            406 제3절 상업과 무역                                                       411 제4절 교통운수                                                           419   제11장 조선이주민의 투쟁                                                  426 제1절 반제반봉건투쟁                                                     426 1. 천보산광산폭동                                                      426 2. 반관부투쟁                                                          427 3. 반구축투쟁                                                          428 제2절 반일투쟁                                                           429 1. 반일투쟁을 위한 준비                                                429 2. 3․13반일시위                                                       431 3. 15만 원 탈취기                                                      433 4. 봉오동섬멸전                                                        433 5. 청산리대첩                                                          435 제3절 민족반일단체의 통일운동                                            440 1. 삼원포                                                              440 2. 참의부․정의부․신민부                                              442 3. 조선혁명군의 반일무장투쟁                                           443 4. 한국독립군                                                          445 제4절 중공영도하의 반일투쟁                                              446 1. 붉은오월투쟁                                                        446 2. 8․1길돈봉기                                                        447 3. 추수․춘황투쟁                                                      448 4. 연길감옥투쟁                                                        448 5. 항일유격근거지 건설                                                 449 6. 반‘토벌’투쟁                                                         451 7. 동북항일연군                                                        452 제5절 토비숙청에서의 조선인                                              458 제6절 중국 국내해방전쟁에서의 조선인                                     460 제7절 조선공산당만주총국의 활동                                          462   제12장 조선이주민의 민속                                                  466 제1절 가정년중행사                                                       466 1. 용신숭배                                                            466 2. 대회일                                                              467 3. 원  단                                                              467 제2절 출생 결혼 회갑 장례                                               468 1. 출  생                                                              468 2. 결  혼                                                              468 3. 회  갑                                                              470 4. 장  례                                                              470 제3절 사회생활습성                                                       471 1. 전통유희                                                            471 2. 예  의                                                              474 제4절 민간신앙                                                           475   제13장 재만조선이주민의 사회단체                                          477 제1절 친일단체                                                           478 1. 조선인민회                                                          478 2. 기타 단체                                                           478 제2절 조선이주민 민족단체                                                482 1. 간민회(생략)                                                        482 2. 명동학교친목회                                                      482 3. 만국개량회                                                          482 4. 유림계                                                              482 5. 한족회                                                              482 6. 신흥학우단                                                          483 7. 남감리파청년회                                                      483 8. 진성운동부                                                          483 9. 광이청년회                                                          483 제3절 사회주의 단체                                                      484 1. 한족노동당(韩族劳动党)                                             484 2. 북만노력청년총동맹                                                  484 3. 북만조선이주민청년총동맹                                            485 4. 동만청년총연맹                                                      485 5. 왕청현청년연합회                                                    485 [추가부분] 시베리아조선이주민 재이주                                   486       제2편 중국 관내지방     제1장 조선이주민 인구 및 직업                                             489 제1절 인  구                                                            489 1. 화중․화남지방                                                      489 2. 화북지방                                                            491 3. 내몽골신강지구                                                      492 제2절 직  업                                                            492 1. 화중․화남지구                                                      492 2. 화북지구                                                            494   제2장 조선이주민의 문화, 교육, 종교, 금융 및 의료위생                      495 제1절 조선이주민의 문화                                                  495 제2절 조선이주민의 교육                                                  500 1. 화중․화남지역                                                      500 2. 화북지역                                                            501 제3절 조선이주민의 종교                                                  501 제4절 조선이주민의 금융과 기업                                           502 제5절 조선이주민의 의료위생                                              504   제3장 조선이주민 반일독립운동                                             505 제1절 대한민국임시정부                                                   506 제2절 임시정부에 대한 중국국민당정부의 원조                              507 1. 임시정부에 대한 입장                                                508 2. 군사인재 양성                                                       508 제3절 공산주의자의 활동                                                  509 제4절 무정부주의자의 활동                                                510 제5절 당파, 단체                                                         510   제4장 북벌, 광주봉기의 조선이주민                                          516 제1절 황포군관학교의 조선이주민                                          516 제2절 북벌전쟁에서의 조선이주민                                          518 제3절 광주봉기의 조선인                                                  519   제5장 중공영도하의 조선인무장대오                                         522   제6장 조선인항일무장대오                                                  528 제1절 조선의용대                                                         528 제2절 조선의용군                                                         536 제3절 한국광복군                                                         538   제7장 조선인종군위안부                                                     541   부  록                                                                    555 참고표 목록                                                               555 참고사진목록                                                              558 참고서적 목록                                                              561
91    중국조선족이주사 - 일러두기 댓글:  조회:2070  추천:0  2014-02-05
1. 일러두기  1. 만주라는 개념은 순수한 지리적 의미에서 사용하였다. 만주와 동북이 지역 구분에서 적지 않은 차이가 있기에 동북이란 개념을 사용하지 않았다. 2. 사료에 중문으로 표기된 외국인의 이름은 원문대로 옮겼다. 3. 중국인 인명은 중국어 원음으로, 지명은 중국어의 한글로 표시한다. 이미 굳어진 지명은 이해의 편리를 위하여 그대로 옮겼다. 4.재중국 조선인을 “조선이주민”이라고 통칭했다. “한국인”, “조선족”, “조선인” 등 개념은 회피하려 했다. 단 “조선이주민”과 “조선인”을 구분하기 힘든 경우는 “조선인”으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의 사료에서는 “조선족”으로 통칭했다. 5. 면적 단위는 사료 원문대로 적었다. 동일한 단위에도 크기의 차이가 있으나 정확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6. 사료에 똑똑히 밝혀지지 않은 글자 또는 불확정적인 것은 “??”으로 대체했다.
90    중국조선족이주사 - 머리말을 대신하여 댓글:  조회:2026  추천:0  2014-02-05
한국학술진흥재단 [2003] 연구항목 1. 머리말을 대신하여       우연한 기회에 조선인 중국 이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또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연구항목으로 선정되어 그나마 원고가 완수될 수 있게 되었다. 본서는 학술적인 분석, 연구결과에 초점을 둔 것이 아니라 제목에서 보듯이 사적인 자료와 서술에 역점을 두었으며 특히 양적 서술을 표방하고 있어 앞으로 많은 학자들의 진일보로 되는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면 소망을 이룬 셈이다. 또 조선인 이주에 대하여 학계에서는 그 개념의 표현에 대해서도 많은 논쟁이 있는바 본서는 서술의 편의를 위하여 엄격한 “이주”와 “천이”의 개념을 구분하지 않았으며 이 점에 대하여 널리, 편안하게 생각하기 바란다.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신 나의 가족과 선배, 친구 분들께 이 자그마한 지면을 빌려 진심으로 감사의 뜻을 전하는 바이다.   저자로부터 2007년 5월 한국. 춘천에서  
89    연변 건주 60돐, 60년만의 새 기회 댓글:  조회:6824  추천:3  2012-09-07
  오늘은 지나가면 어제가 되고 력사가 된다. 하지만 오늘은 래일이란 미래와 이 어진다. 그리하여 오늘이 중요한 것이다. 연변의 이미지가 변하고있다. 9.3전반 행사과정을 보면 이전의 해란강이 뒤골목으로 사라지고 두만강이 연변의 새로운 이미지로 부상된다. 당연 장백산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우리민족의 상징이다. 단 한가지 전제조건이 있다. 시간이 소실되지 말아야. 두만강은 장백산에 발원지를 두고있으며 최종점은 바다이다. 훈춘 방천을 지나 바다에 들어선다. 연변도 나중에는 바다와 합류해야 할것이다. 바다를 통하여 세계와 더 쉽게 접목될것이고 글로벌 세계와의 대열에 합류할것이다.장백의 천기가 700리 두만강 흐름의 원동력이라면 연변이 세계화와 접목되는 원동력은 무엇일가? 정답은 간단하다. 그 원동력은그 원동력은 동북아지역판도에서의 연변의 지정학적 역할부상과 중국공산당의 민족정책 그리고 연변조선족사회의 건전한 발전이다. 정치, 경제, 문화, 교육, 인구는 조선족사회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생각하면 갈길이 멀다. 19세기 중엽부터 시작된 두만강 대안 조선농민의 자발적인 천입은 연변개척사의 첫 시작으로 기록되고 있으며 청정부와 조선측의 수차의 이민정책의 변경 끝에 두만강 지역에 조선인전문개간지가 형성되였고 이민관리 행정기구가 들어섰고 대량이민의 이주가 현실적으로 가능했다. 조선족은 연변이란 땅에서 황무지를 개간하여 밭을 일구고 집을 짓고 삶의 터전을 만들었고 교육을 발전시키고 벼농사에 성공했다. 20세기 10년대부터 반일의 선봉에 섰고 중국공산당의 령도하에 목숨으로 이땅을 지켜왔고 수만명 아들딸의 생명을 바 치면서 공화국의 창립과 더불와 당의 민족정책의 덕분에 민족자치권리를 향수하며 연변조선민족자치구의 성립을 안아왔다. 그뒤 60년 당의 정책을 충실하게 집행했고 번영을 거듭하면서 오늘의 9.3축제에 이르렀다. 이 땅에 더 큰 번영을 이바지하는것은 오늘날 연변인민의 력사적 사명감이고, 미룰수 없는 시각에 이르렀다. 생각하면 갈길이 멀다. 연변은 어직도 취약한 지방경제기초에 시달리고 있으며 지방기업의 부진으로 고민하고있다. 자원적 우세는 있지만 이를 바탕으로 규모화된 산업을 형성할수 없는 상황이며 제조업의 부진,  IT산업의 불황, 인재자원의 결핍이 하루한시에 해결될수 없는 난제이다. 조선족은 문화민족으로, 연변은 문화의 고장으로 자칭하지만 우리는 아직 문화산업에 무식하고 문화시장에 서먹하며 방송, 신문, 출판, 게임 등 광대한시장이 형성되지 않고있다. 해외진출한 연변의 조선족은 귀국하면 그 대다수가 “실업자”로 되는 잠재적 실업군체이며 단친가족의 증가하고 인생에 대한 가치관념이 혼잡하고 신앙의 위기를 맞이하고있다. 교육의 민족이라 일커왔던 연변의 조선족은 도시화 필연추세라 하는 농촌학교의 황페화에 시달리고있으며 더욱 힘든것은 적극적인 대응책이 많이 못한것이다. 조선언어와 문자의 사용범위가 상대적으로 협소해지고 연변조선족학생들의 대학입시성적은 한족학생들에 대한 뚜렷한 우세를 점차 상실, 더 나아가 뒤지고있다. 연변조선족자치주 창립 당시 조선족은 전체인구의 62%를 점했으나 지금은 40%이하로 내려갔고 장성은 속도를 줄이면서 령성장에 다가서고있다. 로인인구는 늘어나고 사회부담이 가중되면서 로령화에 들어섰고 있는 연변의 조선족사회, 갈길은 멀다. 하지만 기회의 발걸음소리가 다가오고 있음을 우리는 느낀다. 최근 들어 세계대국으로 부상한 중국과 조선의 적극적인 자세로 이 지역의 국제허브로서의 지정학적 위상이 클로즈업 되고있다. 중국은 장길도 개방개발선도구를 국가전략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훈춘국제합작시범구가 국무원의 비준으로 성립됐다. 이제 중국은 두만강을 통하여 바다길을 뚫으려고 하며 연변은 바다와가까워질 기회를 맞이했다. 이웃 조선은 두만강지역에 라선경제무역구관리위원회를 설립, 이 지역을 조선의 선진제조업기지,동북아지구국제물류쎈터와 구역관광쎈터로 건설한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세계적 대환경의 중심에 선 연변은 시골벽지에서 동북아 글로벌 허브로 확고하게 부상될 전망이다. 이제 바다는 멀지않다.천시지리인화라고 했거늘 천혜의 기회가 연변땅에 내려지고 있다. 미래를 계획하고 과감히 실천하는 사명감, 추진력이 돋보여야하는 시점이다. 천년의 기회, 이제 우리가 바다로 나갈 차례이다. 갈길은 멀다. 지체할수 없고 쉼없이 가노라면 리상의 피안에 달할것이다.  
88    85. 중국인 사유의 밑그림 댓글:  조회:2406  추천:51  2011-05-26
중국문화풍경 8585. 중국인 사유의 밑그림: 도광양회 유소작위 韬光养晦 有所作为삼국지의 이야기이다. 류우베이劉備는 조조의 눈을 피해 집에 물러있으면서 터전에서 야채에 물이나 주면서 세상을 등지고 있었다. 관운장과 장비가 형은 왜서 천하대사를 관심하지 않고 이렇게 뒤 구석에서 소인들이 하는 일을 하는가고 하자 그대들이 아는 것처럼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도광양회韬光养晦인 것이다. 조조와 유비 두 사람이 술을 나누면서 천하영웅을 담하였다. 조조가 영웅을 묻는 말에 유비는 이 사람 저 사람을 두로 얼버무리며 열거하자 조조는 다 아니다면서 천하영웅은 너와 나 둘이라 했다. 이 말에 놀란 유비는 들고 있던 젓가락을 떨구었다. 마침 번개가 치는 바람에 유비는 놀라서 젓가락을 떨구었다면서 고비를 넘긴다. 조조가 자기가 영우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면 재앙이 닥치기 때문이다. 영웅은 소견도 비슷하다고 이래서 하는 말이다.도韬는 칼집이라는 뜻으로서 감춘다. 숨긴다는 뜻도 내포한다. 회晦는 음력 그믐을 말한다. 도광양회- 재간을 숨기고 힘을 키우는 뜻이다. 개인으로는 처세의 수단이고 국가로서는 생존의 원리인 것이다. 중국인에게는 이러게 해석이 된다.중국개혁개방의 총설계사로 존경 받았던 덩쇼핑鄧小平은 도광양회 유소작위 韬光养晦 有所作为를 중국외교의 기본사상으로 정했다. 앞장서지 말며 큰 소리 치지 말며 냉정히 관찰하고 진지를 공고히 하며 할 일을 해야 한다.1990년 당시 소련의 해체로 복잡한 국제형세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으며 제3세계국가들은 중국이 앞장에 서서 달려주기를 원하였다. 이에 직면한 중국의 선택은 도광양회였다. 아직은 미국 등 대국과 맞설 힘이 축적되어 있지 않기에 그러한 모험은 절대로 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자기의 발언권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다. 세계정세가 어떻게 변하던가에 중국은 영원한 한 극 극이라는 사상은 동요할 수 없는 것이다. 최근에 와서 중국에 대한 가장 깊은 인상은 루마니아 주재 중국대사관이 미국의 미사일 공격을 받은 사건이다. 그것도 한발이 아니라 여러 발이었으며 대사관 직원까지 폭사당하는 참안이었다. 당시 쟝저민江澤民시기었다. 국내 언론 나아가 군부에서까지 강경한 발언이 나왔으며 국가의 존엄과 민족의 자존심에 큰 타격이라는 공감대가 이미 형성되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중국인은 한발 물러서는 태도로 문제의 해결을 보았으며 상황의 악화를 막았다. 아직까지 중국은 도광양회해야 하기 때문이다. 금년 11월, 미국의 小鹰号 항공모함이 중국측의 거절로 홍콩에 정박하지 못하였다. 감사절을 홍콩에서 지내려고 가족들은 이미 홍콩에 모인 상황에서 8000명 미국 관병들은 해상에 감사절을 지내는 수밖에 없었다. 미국정부 대변인도 홍콩정박은 사전에 협의가 있은 일로서 이번 사건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는 불평을 보이였다. 어떤 사람들은 이 사건으로 중국이 도광양회의 길에서 벗어지고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지금은 중국은 10년 전과는 비교 되지 않는다는 이유이다. 이들은 중국인을 진정 모르고 있는 것이다.
87    84. 중국인의 사치스러운 소비 댓글:  조회:2314  추천:64  2011-05-24
중국문화풍경 8484. 중국인의 사치스러운 소비: 소비가 향수이다.(我消费、我享受)중국인은 돈을 아낀다. 하지만 이들이 돈을 쓰는 것을 보면 우리 조선족은 아예 발뒤축에도 미치지도 못한다, 식사 한때에 수만 위안의 상을 먹어친운다는 소문은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 한국인도 조선족과는 민족으로서 소비심리나 습관이 비슷하기에 중국인들의 이러한 소비에 의아적게 생각할 수가 있을 것이다.중국인들은 해외배낭관광을 자주 가군 한다.  목적은 명확하다. 이색적 문화를 접촉하고 느끼고 배우는 것이다. 관광이 목적이다. 하지만 중국인 해외 관광객의 목적은 쇼핑편이 많다. 파리 유명한 老佛爷 백화점에는 매일 평균 중국관광객 1만 명을 접대한다. 이를 위해 중국관객 전문 서비스 영업부를 내왔다고 한다. 香榭丽舍 거리의 많은 유명브랜드 가게에서는  중어를 아는 점원을 날로 많이 고용하고 있다. 이상한 일이 기도 하다. 중국인의 인구당 GDP는 유럽인의 꼬리숫자도 되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의 뉴스보도가 사실을 숨긴 것일까?중국여성은 돈을 쓸 줄 알뿐만 아니라 돈을 잘 쓴다. 유행제품의 주요한 소비군체이다. 이들의 소비는 남성보다 높은바 작년 여성 유행제품소비는 1만 9909위안이다.많은 사람들의 상상과는 다르게 중국 사치품소비의 주력군은 중산계급이다. 파리 빠이후러(百富勤)회사에서 내린 정의에 따르면 가정자산 30만 위안 이상이고 연수입 10만 위안이상이다. 또 경상적으로 쇼핑을 하려면 월수입이 2만 위안에서 5만 위안을 되어야 할 것이다. 회사 해당인사의 예측에 의하면 2010년 이 부류의 소비자가 2.5억에 달할 것이다. 돈이 있는 사람만이 사치소비를 하는 것 아니다. 상하이 한 광고회사에서 일하는 고양은 5700원 짜리 erragamo 흰색 핸드빽이다. 이 빽을 사기 전 고양은 오래동안 망설이었다. 작년 대졸생으로서 월로임은 4000 위안이었다.  이 빽을 사기 위하여 그녀는 두 개월 동안 옷 한 벌 사지 않고 날마다 회사에서 곽밥으로 지냈다. 하지만 회사의 여자 동사자들은 브랜드를 각별히 중히 여기고 특히 홍콩에서 온 여자들은 눈길이 더욱 높았다. 첫눈에 어떤 신을 신고 있으며 어떤 브랜드의 옷을 입는 가를 따지는 것이다. 중국 ‘시상’ (时尚)잡지는 고양 같은 여성 사치품소비자를 包法利夫人 이라 부른다. 수입이 적으므로 그녀들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브랜드를 착용하면서 자신의 부유층의 일원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비자가 적지 않는 비례를 점한다. 중국인의 사치소비는 옷, 향수, 손목시계 등 개인용품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대부분은 40살 이하 젊은이다. 유럽인의 사치소비가 가옥, 자동차, 가족 관광인데 비하면 아직도 부유하지 못한 것이다.
86    83. 중국인의 저금문화: 연연유유(年年有餘) 댓글:  조회:2308  추천:51  2011-05-23
중국문화풍경 8383. 중국인의 저금문화: 연연유유(年年有餘) 중국인이 손님을 공식적으로 접대할 때 빠지지 않는 요리가 있는데 바로 물고기이다. 중국어로 물고기는 위(魚-어)라 발음한다, 여유, 나머지 여(餘)와 같은 발음이다. 즉 연연유유의 염원을 담고 있다. 중국인민은행에서 작년 상반년에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33.4% 피조사자가 남은 돈을 저금한다고 답했다. 대부분 정기저금이다. 노후와 치료비를 대비해서였다. 중앙정부에서는 여러 가지 정책을 제정하여 소비를 추진하려 했지만 중국인의 저금심리는 그렇게 쉽게 움직여지지 않는 모양이다.신화사에 따르면 2005년 연말 중국 새로 증가 된 저금액은 1.8억 위안이고 저금총액은 14만 억 위안, 약 1.75만 억 달러이다. 중국인이 재부에 대한 집착은 놀라울 정도이다. 특히 현재 중국의 토지가 국가소유인 까닭에 재부는 주로 현찰이다. 즉 저금하는 것이다. 또는 돈을 모은다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20-30년 전까지만 하여도 중국인은 돈을 저금하는 것보다 자신이 직접 보관하고 있는 이가 많았다. 특히 나이 든 층이 더욱 그러했다. 내가 직접 겪은 일들이다. 중국 할머니가 연통 밑에 현찰을 숨겨두었는데 연통에 불이  붙는 탓에 돈의 한 모서리가 많이 타버렸다. 또 돈을 오지단지에 넣어 땅에 깊이 묻기도 한다. 또는 누더기 솜옷 속에 숨겨 놓기도 한다. 지난 일들이지만 중국인의 저금문화의 심리를 그대로 보여주는 장면이다. 중국인이 돈 버는 재간은 우리를 놀릴 정도다. 화상(華商)이 대표적 예로 된다. 세계에는 6000만 명 화상이 170여 개 국가에 널려있는데 대중국 투자의70%가 화상에서 온 것이다. 화상은 독특한 금전관과 경영예술로 하여 동방의 유태인으로 존대 받고 있다.중국인은 현금에 대해 극히 심중하다. 은행에 가면 중국인들이 당면에서 돈을 세는 모습을 늘 볼 수 있는 것이다. 아무리 파악이 있는 거래에서도 중국인은 당장에서 거래를 결정하지 않는다. 돌다리도 두드리며 건니는 유형이다. 그렇게 번 돈이기에 특별이 아끼는지 모르겠다. 한국인과 달리 중국 사람은 빚지고 사는 것을 특히 불편하게 생각한다. 빚이 있으면 최선을 다해서 갚는 것이다. 그리고 돈거래에서도 중간 담보인이 거의 없다. 중국인은 신의를 믿고 있기 때문이다. 재미있는 숫자가 있다. 작년 중국의 저금율은 46%이고 미국인은 -0.5%이다. 즉 중국인은 100원을 벌면 46원을 저금하지만 미국인은 100원을 벌면 105원을 소비하는 것이다. 저금과 소비에서 차이가 있는 것이다.
85    82. 중국인과 세면실 문화: ‘경사무측’(京師無厠) 댓글:  조회:1964  추천:38  2011-05-18
중국문화풍경 8282. 중국인과 세면실 문화: ‘경사무측’(京師無厠)중국을 다녀온 한국인들의 불편 중 하나가 세면실이다. 중국에서는 위생실, 처스워(厠所), 화장실, 변소(便所) 등으로 불리어진다. 여러 가지 소문을 들었다. 중국 어디 시골 가니깐 칸막이가 없이 통칸이었다. 또 칸막이는 있는데 문이 없었다. 하여간 한국인들로 치면 불편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미국에서 온 한 노인 선생님의 이야기이다. 중국 여행길에 급기야 뒤를 보아야 하기에 여러 골목을 뒤지다가 겨우 변소를 찾았다, 급기야 들어가서 그런대로 뒤는 보았으나 불행이도 그 변소에는 화장지가 없었다. 밖에서 기다리는 조카를 불러서 화장지를 가져오라 했거늘, 주변에는 작은 가게도 없는지라 화장지를 사오느라 꽤나 오래 돌아다닌 모양이다. 화장지도 가져오고 뒤처리도 다 되었으나 노인은 너무 오랫동안 쪼그리고 앉아있었던지라 일어날 수가 없었다. 조카의 부축으로 겨우 호텔로 돌아왔으나 관광은 고사하고 온종일 침대에 누워서 앓음 자랑을 해야만 했다.  변소에 대한 기재는 중국에는 옛날부터 거의 없었지만 간혹 문구 사이에서 발견할 수 있다. 옛날 부자들은 변소에 들어가기 전에 옷을 갈아입는다고 한다. 그래서 변소 간다는 것을 갱의(갱의)라고도 불렀다.  ‘경사무측’(京師無厠)라는 말은 들어본 적이 많다. 청나라 말까지 커다란 베이징에는 변소가 몇 개 되지 않았다고 한다. 또 변소 가는데 돈을 받았다고 한다. 지금도 그렇듯이 일부 도시의 변소는 돈을 받는다. 백성들은 밤사이의 오줌이며 대변물의 요강을 새벽이면 길바닥에 그대로 던지는 것이었다. 그 광경은 무척 더러웠을 거다. 청나라 말에 이르러서야 공공변소가 생겨나고 또 인분차가 다니기 시작하였다. 중국은 WTO에 가입한 그해 그달에 세계공공변소조직(W.T.O.)에 가입하였다. 국민의 별다른 주의는 일으키지 못했지만. 작년 연말 통계에 따르면 베이징에는 표준에 부합되는 화장실이 5583개, 그중 2급 이상이 1700여 개다. 2007년에는 1100개 화장실을 신설, 개건할 계획이다. 대부분 베이징 시교의 관광구역 현에 집중되어 있다. 베이징에는 고급스러운 화장실도 등장한다. 최근 새로 준공한 화장실에는 휴게실과 탈의실이 구비되었고 음악도 흐르고 있다. 그리고 뒤처리가 끝나면 자동으로 물이 쏟아진다. 지방에서도 변소혁명을 다그치고 있다. 산수로 유명한 계림에서도 관광구역과 경치 부근에 새로 위생실을 신설하고 있다. 원래 61개 공공변소가 있었지만 합격되는 것은 23개뿐이었다고 한다. 한번은 시장이 변소를 찾느라 2개 거리를 누비었다는 일화도 있다. 나중에 여인숙 주인의 안내로 뒷문으로 들어가서 뒤를 보았다고 한다. 먹을 것을 해결하고 나니 중국인의 위생의식이 깨어나기 시작한 것 같다.
84    81. 중국남성3 : 동서남북 각유각도 댓글:  조회:1934  추천:61  2011-05-16
 중국문화풍경 8181. 중국남성3 : 동서남북 각유각도 (東西南北 各有各道) (2)지난 세기 60년대 중반, 중국대륙에는 문화대혁명이 몰아치면서 도시 중학교, 고등학교 졸업생들은 빈하중농(貧下中農 - 태체로 농촌의 무산자를 가리킴)의 재교육을 받으라는 모우저뚱(모택동-모택동)주석의 지시에 따라 산골로 밀려갔다. 기실은 도시 실업을 해결하는 묘책이었다. 내가 사는 연변에도 상하이 지식청년- 당시 농촌에 내려온 이 부류의 젊은이를 이렇게 불렀다.-들이 왔었다. 깨끗하고 총명하다는 평을 받았다. 한국말도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 빨리 배우군 했다. 지금도 연변에는 당년 상하이 지식청년들이 가정을 이루고 연변에서 생활하고 있다. 상하이는 20년대부터 원앙호접(鸳鸯蝴蝶)파 문인, 숙녀들이 모여든 곳이다. 상하이 남성들은 지취금미(纸醉金迷) - 호화롭고 사치스런 생활에 빠져버리다-의 존재로서 시대의 앞장에는 거의 서지 않으나 글 쓰고 평하기는 좋아한다. 중국의 ‘4인방’이라고 불리어진 반당집단의 일원인 요원왠(姚文元-요문원)은 중국제1필(筆)로 인정받았었다. 상하이에서 출세하였던 것이다. 정면인물로는 위치유위(余秋雨-여추우, 중국당대 산문가, 대표작 ‘문화고여’(文化苦旅)가 있다.상하이 남성들은 집울타리형이다. 남편은 주방에서 요리를 하고 아내는 객실에서 한담한다. 아내의 눈빛 하나가 남편을 좌우지 한다. 또 상하이남자들은 물질형이다. 특히 오늘날 세계금융 중심으로 발돋움 하고 있는 상하이에서 남성은 부지런의 대명사이기도 하다.꽝뚱(광동-광동)은 중국 개혁개방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지역이다. 더욱이 지리상에서 항구를 끼고 있어 중국 최초의 무역인으로 등장하였으며 외부와의 상업거래가 끊어지지 않았고 그래서 광동사람은 장사에 일찍 감치 눈이 트이었다. 게다가 90년대 초에 행운이 또 찾아와 그야말로 돈이 돈을 버는 격이 되었다. 잔머리를 굴리려면 꽝뚱 남자를 상대하지 말아야겠다. 체구가 작은 편이나 속계산은 너무나 빨랐다. 또, 부지런하기로 소문났다. 아침 6시면 거리에 행인이 가득하다. 이 시간대면 다른 도시에는 청소부들만 있을 뿐이다. 꽝뚱에는 하루에 20시간 일할 수 있는 남자들이 있다. 빠른 절주를 즐기고 돈벌이에는 정신이 없다. ‘여자를 남자로 쓰고 남자를 기계로 쓴다. 기계가 고장 나면 고치면 그래도 쓸 수 있다’ 꽝뚱 남자들이 늘 하는 말이다. 하지만 떠도는 글에서 보면 꽝뚱이란 이름과 걸맞지 않게 쭝싼(中山-중산)대학은 전 중국에서 가장 느슨하고 놀기 좋은 대학이라 한다.
83    80. 중국남성3 : 동서남북 각유각도 (東西南北 各有各道) (1) 댓글:  조회:1746  추천:54  2011-05-13
중국문화풍경 8080. 중국남성3 : 동서남북 각유각도 (東西南北 各有各道) (1)대학시절에 영어 교수님이 이런 말을 한 생각이 난다. 전국 각지를 다니노라면 가장 나쁜 사람은 베이징사람이라 한다. 길을 물으면 동쪽으로 가야하는데 서쪽을 가리킨다는 것이다. 또 지방에서 온 사람들을 무척 깔본다 한다. 황제의 발밑에 살고 있으니 ‘근수루대 선득월’(近水楼台先得月)의 뜻이다. 베이징 남자에 대하여 이런 이야기가 있다. 여자에게 사랑을 고백하는데 3시간이 걸린다. 첫 1시간은 국제형세를 말하고 두 번째 1시간은 국내형세를 말하고 세 번째 1시간의 30분은 베이징 형세를 말하고 나머지 30분 중 29분은 인생에 대한 관점을 말하고 나머지 1분은 ‘사랑한다“(我爱你)세 글자를 말한다.베이징에 출신이면 황족 귀족과 혈연관계가 없는 이가 몇 이나 될까? 사돈의 팔촌이래도 걸리겠지. 수도에 있다는 우월감으로 지방에 대한 멸시감을 감추지 않으나 풍운을 휘어잡는 정치인은 불행하게도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중국 군대의 전투영웅 중 쓰촨(사천-사천)출신이 유별하게 많다. 쓰촨 고추는 작지만 맵다고 사천남자 역시 그러하다. 용맹전진하도라면 뒤를 돌보지 않는다. 90년대 중반, 중국프로축구의 쓰촨 쵄씽(全興-전흥)팀에 한때 주장으로 있던 수비수 워이췬(魏群-위군)선수가 있었는데 국가대표팀 선수로 뛰기도 했다. 워이씨에게 치명적인 약점이 있는데 보조공격을 할 때면 제 위치를 버리고 공격에 가담하기에 늘 치명적인 습격을 당하였다. ‘워이췬 공간’이라 불릴 정도였다.  쓰촨 남성은 용맹한 멋과 달리 안이한 맛도 보이고 있다.구름다리 밑으로 내가 흐르고 한잔의 맑은 차물에 마작 한 개, 거기에 오터(奧托) 승용차 한 대면 만사대길이다. 그들은 물질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다. 중국문학계에는 이런 설이 있다. 외부사람이 문학에 성공하려면 사천으로 가야하고 사천사람이 문학에 성공하려면 사천을 떠나야 한다. 스마샹루우(司馬相如-사마상여, 서한시기 위대한 사부(辭賦)가, 중국고대 4대 미인의 한사람  줘원쯔윈(卓文君-탁문군)과의 사랑이야기도 유명하다), 궈머루어(郭沫若-곽말약, 원명 郭开贞, 중국현대 유명작가, 1914년 일본 유학, 중국 신시의 정초인, 정무원 부총리, 중국과학원 원장, 중국과학기술대학 총장, 중국문연 주석 등 요직을 담당, ‘궈머루어문집’(17권), ‘궈머루어전집’ 출간), 빠진(巴金 - 파금; 원명 李尧棠, 소설가, 20세기 중국문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한 사람, 1927년 말 프랑스 유학, 중국작가협회 주석을 수차 담임, 대표작은 ‘집’, ‘빠찐전집’ 출간) 등은 쓰촨 출신의 저명한 문인이다.
82    79. 중국인남성 2: 낭만; 비불능 내불위야 댓글:  조회:2057  추천:53  2011-05-11
중국문화풍경 7979. 중국인남성 2: 낭만; 비불능 내불위야 (非不能,乃不为也)미국영화 ‘魂断蓝桥’의 낭만이 늘 머리에 남아있다. 또 2차 세계대전 승전 소식을 접한 뉴욕(?)의 거리에서 한 해병이 낯모를 처녀와의 낭만의 키스를 남기는 경전으로 꼽히는 사진이 늘 그립다. 낭만은 생각의 차이이지 능력의 차이는 아닌 가 본다. 중국남성은 낭만을 모르기로 정편이 나있다. 그것도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유교의 ‘남존여비’에 우월감이 부푼 남자들이 ‘비천한’ 여인한테 낭만을 베풀 아무런 이유도 없는 것이다. 최근 몇 십 년에 이러한 의식은 많이 퇴색되어 간다하지만 낭만을 즐기기 전에 중국남자의 어깨에 떨어진 것은 재부의 창조와 누적이라는 압력과 스트레스였다. 남보다 더 잘 살지는 못하더라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해야 했다. 집을 마련하고 현금을 저축하고 사업을 펼치고 자녀의 뒷바라지를 해야 하고, 이 모든 것이 낭만을 뒤로 제치게 하였다. 사회에서는 존중을 받아야 했고 그렇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홀로 삼키며 이 눈치 저 눈치를 가늠해야 했고 집안에서는 아내의 눈치를 보느라 구석까지 살펴야겠다. 언제 아내에게, 친구 여성들에게 낭만을 생각하겠는가?또 중국 옛날에는 ‘발호정, 지호예“(发乎情,止乎礼)라 하였다. 정에서 우러러나나 예에서 멈춘다는 뜻이다. 또 표면의 낭만보다 마음속의 진실이 더 났다고 전통파는 우기기도 한다. 과연 그럴까?한 중국여인이 쓴 글을 그대로 옮긴다면, 많은 남성들의 머리에는 권력과 이익으로 가득 차 있다. 그들은 돈이 있으면 모든 것이 있다고 생각하기에 낭만을 생각할 여유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여자가 함께 어려움을 이겨나가기를 바라면서 고생 끝에 낙이 올 것이라 믿는다. 하지만 돈 있는 남자는 미녀들이 찾아와 몸을 바치니 낭만이 필요 없을 것이고 생각하면 남자들은 가련하기 짝이 없다. 나쁜 남자여야 여인들이 와 사랑한다고 말한다. 나쁜 남자가 낭만하지 않다는 말을 거의 못 들어보았다. 나도 나쁜 남자가 나를 사랑하기를 바라기도 한다. 비록 사랑한다고 말한 것이 거짓이고 이튿날이면 변심한다고 하더라도, 한마디 빈말이라 해도 이러한 나쁜 남자가 내 생명에 나타나 한 가닥 낭만의 사랑을 남겼으면 한다. 여자마다 생각이 다르지만 여자는 선천적으로 낭만을 즐기는 종속이라는 것은 거의 부인할 수 없는 생활법칙일 것이다. 또 중국의 남성은 낭만의 세포가 거의 없다는 것도 공인하는 사실이다. 중국남성은 왜 배낭을 어깨에 메고 세계 일주를 할 생각을 하지 않는가? 이들은 왜 사랑한다는 말에 그리도 인색한가?중국남성의 가슴에는 여성의 낭만을 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비불능 내불위야 (非不能,乃不为也)-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는 것이다.- 바로 그것이다. 낭만을 모르는 것이 정답이다.
81    78. 중국남성 1: 사라지는 군자의 위엄 댓글:  조회:2201  추천:59  2011-05-09
중국문화풍경 7878. 중국남성 1: 사라지는 군자의 위엄현재는 남성위주의 사회이다. 한국도 그렇고. 이로 인하여 여성해방과 평등을 주장하는 여성단체와 운동이 20세기 역사의 반짝이는 점이 되었던 것이고 지금도 여성문제는 민간한 문제로 되고 있다. 먼 곳은 말고도 현재 한국 대선에서 여러 대통령 후보들은 특혜다운 여성정책을 역설하고 있다. 장관의 50%를 여성으로 한다는지, 국회의원의 몇 퍼센트 이상으로 여성의원을 확보한다던지, 생육, 보육, 취직 등 사회 여러 면에서 여성에 대한 관심과 보살핌으로 당선의 기회를 더 잡아당기고 있다. 이들의 여성정책이나 작법이 맞고 틀림을 떠나 여성이 사회의 약자임은 시사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웃 중국에서는 상황이 조금은 다르다. 정치 등 분야에서 여전히 남성이 천하인 반면 다른 많은 분야에서 남성은 부득이 다가오는 ‘모씨 사회’의 물결에 신발이 적셔짐을 피부로 느끼고 있다. 베이징대 의학부 후(호)교수는 장기연구 끝에 중국 남성의 생활 질이 여성보다 낮다고 발표한다. 가장 주요한 원인은 남성의 직업화 정도가 여성보다 높은 탓으로 남성이 고혈압 등 15가지 주요한 사인이 여성보다 높으며 남성 자살율이 상승세를 긋고 있다는 것이다. 남성이 85세까지 살수있는 확률은 여성의 절반 수준이다. 남성들은 심리부담과 사회 압력이 크며 남성권익을 보호하는 전문기구가 없는 것이다. 사천(四川-쓰촨)부련회의 소식에 따르면 일년에 약 800명 남성들이 찾아오는데 주요한 문제는 부부가 화목하지 못하고, 아내가 바람피우고, 자녀 DNA 감정을 요구하며, 아내가 남편을 구타하며 심지어 남편이 자살충동까지 있다는 것이다. 호북(湖北-후베이)성 의창(誼昌- 이창)구역에 남자하인(남부)광고가 일어나 한동안 시민들은 들썽거렸다. 광고내용인즉 광범한 범위의 가무이다. 수금표준을 보면 노인을 보살피면 월 1500위안(한화 20만 원), 아이를 보면 월 1000위안(한화 약13만원), 밥을 함께 먹어주면 시간당 20위안(한화 2600원)이다. 중국남성의 전반적인 저항력이 여성보다 낮다는 의학연구결과가 있다. 중국의 남성들은 점차적으로 자신감을 잃어가고 있으며 우울함과 고독의 노예로 되어가고 있다. 광명정대하지 못하며 일처리나 사업에서 결단성과 신뢰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금년(2007) 11월 3일까지 호북(湖北-후뻬이)성 ‘초천풍채(楚天风采)복권은 7개 대상을 뽑았으며 그중 5명은 단독개인이다. 당선금은 500만 위안(한화 약 6억 6천만 원) 이상한 것은 이들은 모두 남성이며 그중 1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4명 남성은 500만 위안 당선된 소식을 아내에게 알려주지 않았던 것이다. 그 원인인 즉 자기가 이 돈을 지배할 수 없을 것이라는 두려움에서였다. 즉 아내를 ’통제‘할 수 없으며 자신감이 없다는 것이다. 조금은 상상외이다.
80    77. 중국남성의 미덕 댓글:  조회:1937  추천:26  2011-05-06
중국문화풍경 7777. 중국남성의 미덕: 치꽌얜 (妻管嚴-처관엄)  중국 대문호 소동파(苏东坡)의 수많은 명시, 명구 중 백성들에게 널리 전해진 ‘하동사후(河东狮吼)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북송시기에 진계상 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용구 선생이라 자칭하였다. 박식하고 또 글재주도 있었고 호랑이도 쏘아 명중하는 활쏘기 명수였다. 하지만 진 씨도 약점이 많아 술과 가무에 빠져있었고 집에는 가기(歌妓)를 두고 있었다. 부인 유 씨는 이에 불만이 컸으며 늘 진 씨와 다투었다. 매번 아내 유 씨가 소리 한번 지르면 진 씨는 사시나무 떨듯 했으며 손에 쥔 지팡이마저도 떨어 드리곤 하였다. 소동파는 이를 시로 써 풍자하였는데 이 시가  하동사후(河东狮吼)의 전고(典故)가 된 것이다. 현대 중국에는 치꽌얜(妻管嚴)-여자가 남편을 엄하게 굴다-이란 유행어가 있는데 곧바로 하동사후의 뜻과 같다. 지난번 인터넷에서 우연하게 중국도시 ‘치꽌얜’ 순위표를 보았는데 재미가 있었다.상하이 남자들이 아내들을 제일 무서워한다. ‘치꽌얜’이 가장 심하단 뜻이다. 오래 역사를 거쳐 날린 명성을 날리었다. 이로 인하여 상하이여성은 중국에서 가장 부러움 받는 여성으로 되었다. 청두(成都-성도)에는 유명한 교통도구가 있다. 자전거 오른편에 휠체어를 다는 것이다. 아내가 편안하게 앉아라고 발기한 아이디어라고 한다. 속칭 ‘퍤싼룬(偏三轮-편삼륜)’이다. 애칭은 ‘빠얼두어(粑耳朵-파이타)이다. 아내의 무엇이라고 말하면 무엇인 것이지, 따르지 않으면 귀는 비틀어지는 것이다. 우한(武漢-무한)의 여자들은 무섭기로 소문이 났다. 그녀들은 칼처럼 날카롭고 고추처럼 매우며 단독직입 적이다. 하지만 그녀들은  출중한 살림꾼이다.조주(潮州)의 남자들은 자고자대하지만 여자들이 남자의 모든 것을 조종한다. 벌어온 돈은 아내가 엄격히 관리하고 있는 것이다.치꽌얜에 대한 유모아도 많이 있다. 남편이 퇴근하여 집에 오니 아내가 말하는 것이었다. ‘오늘 저녁 요리는 마음대로 선택하라’고, 남편이 ‘무슨 반찬을 있는가?’ 물으니 오이 반찬이란 것이다. 반찬 하나를 가지고 선택하라니, 남편의 말에 ‘먹든지 말든지 선택하는 거죠.’라고 태연하게 대꾸하는 아내였다.  중국 민간에서는 1등 남편은 아내를 무서워하고 2등 남편은 아내를 아끼고 3등 남편은 아내를 구타하는 것이다. 많은 중국남편들은 치꽌얜(妻管嚴)을 부끄러움이 아닌 자아만족으로, 심지어 남 앞에서의 자랑거리로 생각하는 것이다. 한국인들이 보기에는 꼴사나울지 모르지만 중국남자들에게는 좋은 일일 수도 있는 것이다.
79    76. 중국인의 미신: 횡재의 또 다른 지름길 댓글:  조회:2499  추천:56  2011-05-03
중국문화풍경 7676. 중국인의 미신: 횡재의 또 다른 지름길중국인은 소문나게 미신적이다. 2002년 2월 2일, 중국에는 결혼열풍이 일었다. ‘맹연(盲年)’을 피해서 구정 전에 결혼식을 올리는 것이다. 이해는 말띠 해였고  말띠 해는 ‘과부년’으로 알려졌기에 사람들은 ‘무춘년(无春年)’이라고도 한다. 또 2002년 2월 2일은 짝수 ‘2’ 가 여러 개 들었기에 성쌍성대(成双成对-서로 짝을 이루다)하여 좋은 징조로 간직되었던 것이다. 또 토요일(周六)에도 짝수가 들어있어 신혼부부는 길조로 생각한다.  구정이 지난 후에도 미신은 계속 된다. 초이튿날 가장 돈벌이가 잘되는 곳은 컴퓨터 손금보기와 컴퓨터 이름 짓기이다.  구정휴가가 끝나면 첫날부터 공장, 가계, 정부(전부가 아님) 정문 앞에서 폭죽을 터뜨린다.  구정 기간 도시에서는 폭죽을 엄금하기에 그 인을 발사하는 듯 했다. 폭죽도 시간을 맞추어 터진다. ‘8시 18분’, ‘8시 28분’의 행운을 잡는 것이다. 괜찮은 직장에서는 직원들에게 훙뽀오(红包-홍보) - 상여금을 준다. 카이먼훙(开门红-개문홍)-첫 시작부터 좋은 운을 기한다. - 이다.중국과학원 권위인사들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인에서 2명 중 1명이 제비 뽑고 부처를  미신하며 4명 중 1명이 성좌를 미신하며 5명 중 1명이 ‘주공해몽’을 미신하며 중국인의 노소를 막론하고 흥취 있는 미신 활동을 하나 정도는 있다. 반대로 50명 중 1명만이 최소의 과학기술 수양 또는 상식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봉건미신으로 몰리며 설자리조차 없었던 운세, 이름 짓기, 풍수는 부동산 시장과 상업시장의 영향으로 하여 중국에서 새로운 부활을 이루며 ‘횡재의 지름길이 되고 있다.베이징 훙밍쐔(宏名轩-굉명헌)회사의 이름을 짓는 것을 예로 보면 전업선생, 전문가, 주지(대표)가 이름 짓는 가격은 198위안, 398위안, 1380위안이다. 기업이름을 지을 때는 보통기업과 대 , 중형 기업으로 나누는데 비용은 800-8000위안과 2-8만 위안이다. 풍수를 조절하면 비용이 높다. 현지조사는 평방미터 당 100위안이다. 보도에 따르면 총 건축면적이 19만 평방미터인 아파트는 1900만 위안의 풍수현지조사비용을 지불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협상하면 200만 위안이 된다. 또 ‘봉황주간’에 따르면 현장조사비용이 소문처럼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100 평방미터 이내는 평방미터 당 10위안이며 주지가 집 풍수를 조절하면 표준의 3배이다. 음기(조상의 묘)풍수를 조절하면 베이징에서는 1만 위안이고, 베이징 외는 2만 위안이다. 부동산회사의 현장풍수조사는 건축면적이 아닌 부지로 계산하는데 수금표준은 건당 1000위안이다. 200만 위안은 과장된 설법이라 한다. 절을 찾아 향을 태우는 사람들도 늘고 있는 가운데 지방 관리들이 더욱 눈에 띠운다. 후난(湖南-호남)성 모 지방에서는 새해 첫 향을 태우려면 10여 만 위안 ‘부조’를 넘어야 한다고 한다. 또 돈만 있어서는 첫 향을 태울 수 없다는 것이다. 산동 한 도시 관리의 부인들은 동아리 비슷한 조직을 만들어 가지고 태산에 가서 향을 태우는데 일 년에 수 만 위안이 “부조”된다는 것이다. 부인들은 남편과 자신이 평안하고 횡재하기를 빈다고 한다. 또 남편이 바람피우지 말게 해달라고도 ‘기도’한다는 것이다
78    75. 중국인 상술 - 기업정치가 댓글:  조회:1973  추천:46  2011-04-27
중국문화풍경 7575. 중국인 상술 - 기업정치가:  이상부관(以商附官) 이신사호(以身饲虎) 이상부관(以商附官) 이신사호(以身饲虎)-상업은 권력에 붙고 몸은 호랑이 먹이 되다.중국의 전통문화는 수천 년의 축적으로 형성된 것이며 그 속에서 자라난 모든 이들은 봉건관념의 물색을 버릴 수 없는 것이다. 옛날의 ‘홍정상인(红顶商人)’들은 상계와 정계의 양다리를 거쳐 관(官)으로 상(商)을 밀고 이(利)를 구하였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이들의 욕심은 관직을 얻는 것이 아니라 관방의 지지를 따는 것이다. 주하이(珠海-주해)시의 스위이주(史玉柱-사옥주)는 처음에 38층 거인빌딩을 지으려 하였다. 후에 한 영도가 거인회사를 참관하게 되었고 빌딩을 좀 더 높게 지면 좋겠다는 건의 하에 70층으로 올려, 주하이시 상징물로 지으려 했다. 모든 자금을 다 투자하였으나 빌딩은 올라서지 않았고 거인은 쓰러졌다. 기업이 투기를 하여 ‘정치’의 빛을 보려고 정치인의 ‘정적(政绩)’에 비우를 맞추는 것이 화근으로 되었다. 뿌씬썽(步鑫生-보흠생)은  셔츠제조 전문가이다. 한 고위층 영도가 양복이 유행이니 한번 해보았으면 좋겠다는 말에 영도의 체면을 지키느라 작은 규모로 시작하였으나 후에 더 큰 영도가 당신은 전국모범이니 무엇하나 모범이 되어야 한다고 하기에 생산규모를 대대적으로 확충하였다. 나중에 하이얜(海盐-해염)셔츠공장은 파산되었다. 중국최대의 ‘기업정치가’는 무우치쭝(牟其中-모기중)이다. 1941년생인 모씨는 중경사람으로서 천진개발구 난더어(南德-남덕)경제그룹 법인대표이다. 1974년 공저로 《중국은 어디로 가야하는가?(中国向何处去?)》를 출간한 탓에 사형을 선고받고 옥고 4년을 치리다가 1979년 누명을 벗고 상업에 발을 들여 놓았다. 1989년 모씨는 ‘가죽으로 구 소련비행기를 바꿔온’ 신화를 성공시켜 하루 밤 사이에 명인으로 탈바꿈하였다. 1995년 2월, 《푸부스(福布斯)》잡지는 모씨를 1994년 세계부호에 이름을 올렸으며 중국대륙 부호 4호인물로 평가하였다. 중국 《차이푸우(财富-재부)》잡지는 모씨를 ‘중국제일 민간 기업가’, ‘대륙 초특급부호 제1호’로 위상을 높이였다.하지만 1999년 11월 1일 우한(武漢-무한)시중급인민법원 대법정에서는 모씨 등 5명이 신용증 위장개설 등 행위로 7500여 만 달러를 사기하였다고 판정, 모씨를 무기형에 언도하였다. 모 국가지도자가 퇴직하면 모신다던 모씨는 과분한 정치열정으로 끝내는 미치광이가 되고 말았다. 정치와 엉켜있거나 개별 관원과 지나치게 밀접하면 종종 정치의 몽둥이에 허리가 잘리는 법, 권력을 이용하여 금전을 모으려던 것이 나중에는 이신사호(以身饲虎)의 결말로 막이 내린다.
77    74. 중국인의 상상 초 상상 댓글:  조회:1916  추천:41  2011-04-25
중국문화풍경 7474. 중국인의 상상 초 상상:  요리의 명물 허우노탕(猴腦湯-후뇌탕)중국인의 상상은 현실적이고 그들의 실용원칙은 초사상적이다. 역사가 길고 지역이 광대하고 인구가 많고  종족이 다양한 것과 정비례 되게 이들은 현실적이고 초상상적이다. 중국인에게서 가장 현실적인 것은 먹고 자는 것이다. 그중 먹는 것이 첫째이다. 현실적이며 또 상상적이다. 상상해서 먹을 수 있는 것은 스쳐 지나지 않으며 그 상상은 또 현실로 돌아온다. 괴상한 논리로 생각된다. 먹는 것에서 야, 미, 향을 빠뜨리지 않는다. 짐승이라면 원숭이에서 오소리까지, 날짐승은 소쩍새, 꿩에서 참새, 제비까지, 나무 타는 다람쥐, 올빼미, 풀숲을 기어 다니는 뱀, 물 위의 오리, 바다의 오징어, 물개, 새우, 자라, 거북, 진품으로 알려진 상어등지느러미, 제비집, 해삼 등은 중국인의 식탁에 이름을 올린 손님들이다. 요리의 재료가 이렇듯 요리 방법도 다양하다. 또 어떤 요리방법에는 잔인무도한 인간의  그림자까지 깔려있다. 허우노탕(猴腦湯)은 명말청초(明末清初)부터 식탁에 올려졌다. 전하는데 의하면 중국 우싼뀌이(吴三桂-오삼계)가 청나라 군대를 이끌고 광동에 진입한 후 그의 무장들은 용맹함을 뽐내며 산 원숭이를 우리에 가두고 몽둥이로 머리를 까고 골을 식용하였다고 한다. 허우노탕은 현재 광동의 유명요리이다. 살아있는 원숭이를 기절시켜 목을 따고 피를 뽑아낸 다음 털을 뽑고 두개골을 쪼개 골을 꺼낸다. 머리가 없는 원숭이 고기는 참새나 올배미의 살과 함께 살이 뼈에서 떨어질 때까지 충분이 고아낸다. 이것이 허우노탕이다. 뇌에서 꺼낸 골을 대접에 담아 돼지 허벅자살과 닭고기, 생강, 화학조미료, 설탕, 소금 등을 첨가한 탕의 한가운데 띄우고 탕이 충분히 고아지도록 끓인다. 골이 익으면 그 골을 다시 원숭이머리에 집어넣고 골이 들어있는 머리를 탕에 넣고 약한 불에 천천히 끓인다. 이 허우노탕을 반드시 자기그릇에 담아 식탁에 올린다. 탕은 황금색으로 입안에 들어가면 맛이 달고 부드러우며 영양이 풍부하다.허우노탕을 먹는 방법도 특이하다. 살이 있는 원숭이 머리를 식탁 중앙에 나오게 장치하고 손님들은 테이블 가장자리에 빙 둘러 앉는다. 다음에 뜨거운 물을 원숭이 머리에 끼얹고 두개골을 뽀개면 물렁물렁한 골이 나온다. 여기게 뜨거운 기름과 갖가지 조미료를 뿌려 숟가락으로 떠먹는다. 한편, 원숭이의 비통한 울음소리를 들으며 한편 맛있게 먹는다. 허우노탕의 높은 영양가가 비명소리와 함께 인간의 욕망에 가접된다. 연민의 반대는 잔인이다 하는데, 우린 이때 부처의 자비가 연민이 아니라 잔인하다는 느낌이 든다. 불심(佛心)의 중국인.
76    73. 중국의 남방인과 북방인 댓글:  조회:3175  추천:45  2011-04-22
중국문화풍경 7373. 중국의 남방인과 북방인: 난쵄뻬이튀이(南拳北腿-남권북퇴)일반적으로 장강 이남이면 남방이라 하고 이북이면 북방이라 한다. 남방인은 운남, 광서, 복건, 호남, 호북 지역이 주되고 북방인은 동북지역이 주된다. 남방인은 쌀을 즐기고 북방인은 밀가루를 즐기며 남방인은 추위를 두려워하고 북방인은 더위를 싫어한다. 또 남방인은 주관적이고 북방이는 객관적이다. 또 중국의 무술도 남북을 나눈다. 난쵄뻬이튀이(南拳北腿-남권북퇴)이다. 남파는 주먹이고 북파는 다리인 것이다. 이러한 설법은 통속적인 의미이다. 중국인은 자신들을 염황자손(炎黃子孫)이라 자칭한다. 염제와 황제는 형제였지만 물불과 같았다. 그럼 염황은 어디로 갔는가? 남방에로 도주했고 자손들은 번식하여 오늘의 남방인으로 되었다고 한다. 황제는 줄곧 중원을 점하고 정통으로 자칭하면서 오늘의 북방인이 된 것이다. “남강북조(南腔北调)”라는 말이 있다. 남과 북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전하는데 의하면 원나라시기 사람을 4등급으로 나누었는데 1등은 몽고인이고 2등은 색목인(色目人) 즉 서방인이고 3등은 한(汉)인이고 4등은 남방인이다. 여기서 말하는 한인은 중국북방의 한족, 즉 한족으로 동화된 외족인이고 ‘남방인‘은 송나라의 유민으로서 한족이라 하지만 한 단계 낮은 하인으로 구분되었다. 남방인은 왜 하등인으로 분류되었는가? 전쟁에서 북방인을 이기지 못하지 때문이다. 역사상 무수한 남정북벌에서 남정이 북벌을 이긴 차수가 너무나 많았던 것이다. 역사적으로 남방은 북방보다 부유하다. 농경시대에서 남방은 농사에 더욱 적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남조는 북조에 의해 북주로 통일되었고 금나라는 북방의 요나라에 멸망되었고 금나라는 더욱 북방에 있는 몽고에 의해 자취를 감추었다. 동북에서 발기한 만족인은 남쪽의 명나라를 밀어냈고 남경의 장개석도 북방에서 숨 돌린 중공당(中共黨)에 의해 쫓겨났다. 역사적으로 볼 때 북방인은 휘황한 전적을 기록하고 있으나 남방인이 자호감을 느낄 수 있는 승리는 너무나 드물다.  북방인이 늘 승자로 되는 원인은 무엇일가? 경제나 문화적 차이가 아니다. 성격의 차이이다. 얼핏 보면 건성하고 무엇이든 마음에 두지 않고 고개를 하늘로 쳐들고 뒷걸음 모르는 기개, 즉 이들이 말하는 남자기개이다. 자신들이 늘 말하는 한자(漢子-한자)-사나이, 대장부이다. 북방인은 감정을 중히 여기고 남방인은 효율을 중히 여긴다. 북방인은 와이프를 위해 천리 밖에서 달려올 수 있고 남방인은 돈을 벌기 위해 천리 길을 떠날 수 있다. 북방인은 직장 동료 앞에서 아내의 자랑을 하지만 남방인은 아내 앞에서 직장 동료의 흉을 본다. 북방인은 낭만적이다. 오리를 보면서 어느 날은 두루미로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남방인은 최악의 경우에서 사물을 생각한다. 종달새를 보면서도 털이 빠지면 한 마리 닭보다 못하다고 생각을 굴린다.남방인과 북방인, 하지만 중원에로 근접하면서 남방과 북방의 융합이 짙어진다. 모든 사물은 상대적이며 호상 전환 가능한 것이다.
75    72. 중국인의 국가적 욕질 타마디 댓글:  조회:2213  추천:39  2011-04-20
중국문화풍경 7272. 중국인의 국가적 욕질 타마디(他媽的) 유럽이나 미국 등 선진국 또는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 후진국을 막론하고 세계 각국에는 욕설이 있다. 사람을 욕한다는 것은 언어로 다른 사람을 모욕, 중상하는 것을 뜻한다. 즉 욕설의 ‘철학’이다. 영, 미인들의 욕설철학은 한마디로 ‘기시’이다. 대방의 인격, 출신, 종족에 대한 모욕이다. 가장 많이 쓰는 욕설은 ‘shit’, 즉 ‘똥오줌’이다. 또 늘 쓰는 욕설은 “sonofabitch”-즉 ‘기녀’란 뜻이다. 일본인은 상대의 재능이나 수양을 비꼰다. ‘바까야로’가 대표적이다. 뜻인즉 말이나 사슴도 구변할 줄 모르는 촌놈이하는 뜻이다. 중국 국가적 욕질의 기원은《전국책. 조책(战国策.赵策)》중 《진위조지한단(秦围赵之邯郸)》일문이라 한다. 이 문장에 제위열왕은 자신을 멸시하는 주열왕을 ‘이모비야(而母婢也)”라고 욕했다. ’이모비야‘는 지금의 말로는 ’너 어미는 천한 여자‘, 또는 ’너 어미는 하인‘이라는 뜻이다. 이 말이 민간에 와서는 ’이모X야(尔母X也)”로 변했으며 구조에서도 ‘너의 어미는..’이  ‘너의 어미의...’로 변신했다. 또 오랫동안 써오면서 맨 끝의 명사를 생략하고 또, 2인칭이 3인칭으로 되어 오늘 중국의 국가적 욕설로 되었다. 중국 당대의 대문호 루쉰(魯迅-노신)도 ‘타마디(他妈的)를 논하여’라는 문장을 쓰기도 했다. 노신은 이 욕설을 중국 국가적 욕설이라고 말했다. 중국 국가적 욕설은 역사가 유구할 뿐만 아니라 사용범위가 극히 넓다. 아마 중국인이 발자국이 찍힌 곳에서는 이 욕설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남녀노소가 거리낌 없이 입 밖으로 내뱉는다. 곰곰이 생각하면 국가적 욕설은 특이한 점이 많다. 나 또는 너를 욕하는 것이 아니라 제3자를 욕하는 것이다. 또 상대의 조상이나 자식들을 욕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를 욕하는 것이다. 또 어머니의 무엇이라 욕하는데 뒷말은 생략하고 있다.중국인의 욕설철학은 ‘체면제일’의 성격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중국인이 욕설을 할 때 목청을 될수록 크게 높인다. 대방보다는 주위사람들이 모두 들으라는 뜻이다. 상대를 면목이 없게 만들려는 심산이다. 중국의 중소도시를 가노라면 길가에서 욕설을 퍼붓는 아낙네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아낙네들은 단번에 몇 시간 욕설할 수 있고 목이 쉴 때까지 그치지 않는다. 손시늉까지 하면서. 이것이 중국인들이 말하는 마아제(罵街-매가)이다. 이런 아낙네를 종종 퍼푸우(泼妇-발부)-막돼먹은 여자-라고 한다.중국의 전통중의학은 화는 신체에 유해하다고 한다. ‘기’란 분노가 속에 쌓이면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어떻게 이러한 ‘기’를 마음속에서 배출하겠는가? 거리에서 욕설을 퍼붓는 것 자체가 울분을 발사하는 가장 좋은 수단의 일종이라 한다. 중국인들 욕설풍경의 원인일 것이다.
중국문화풍경 7171. 중국어의 세허후위: 철로경찰 각관일단(鐵路警察 各管一段)중국어 ‘세허우위(歇后语-헐후어)’라면 한국의 속담과 비슷하다. ‘세허우위’는 앞, 뒷부분으로 나누는데 대체로 앞은 비유어이고 뒤는 그 비유를 설명한다. 통상 앞부분만 말하면 뒷부분을 세(歇-헐)-정지시키다-해도 본뜻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세허우위라고 부르기도 한다, ‘헐후’ 단어는 당나라시기 처음으로 문헌에 나타났지만 이러한 언어현상은 일찍 진나라시기 전에 출현하였다. 《전국책. 초책4(战国策.楚策四)》에는 ‘망양보로, 미위지야(“亡羊补牢,未为迟也)라는 구절이 있는데 오늘날 우리들이 말하는 세허우위와 같다. 세허우위는 문자로 전해진 것보다 민간에서 구두로 전해온 것이 많다. 柴草人救火——自身难保/ 벼짚 허수아비가 불 끄다 - 자신도 보호할 수 없다瞎子吃馄饨——心中有数/ 소경이가 혼돈자 먹다 - 심중 숫자 있다哑子吃黄连——有苦无话处/ 벙어리가 황련을 먹다 - 고통을 하소연 할 곳 없다.猪八戒照镜子——里外不是人/ 저팔계가 겨울 보다 - 안팎으로 사람이 아니다. 兔子尾巴——长不了 /토기 꼬리- 길지 않다 또 어떤 세허우위는 한 개 이상의 뜻으로 풀이 될 수 있다. 大年初一看历书 / 초하루에 달력 보다- 앞날이 길다: 처음부터 시작하다大雨天上房  / 비오는 날 지붕에 올라가다 - 구멍을 찾다; 힘에 부치다小脚女人走路 / 족발여인이 길 가다 - 좌우로 흔들리다: 늘이다老虎头上拍苍蝇 / 호랑이 이마의 파리를 잡다 - 간 큰 사람; 고생을 찾아서 하다杀鸡取蛋 / 닭을 죽여 알을 꺼내다 - 후과를 생각하지 않는다;  본전마저 잃다 鸭子吞筷子 /오리가 젓가락을 삼키다 - 목이 꿋꿋이 서다; 커브를 돌 수 없다. 十五的月亮 /십오의 달 - 원만하다; 광명정대하다孔夫子游列国 /공자가 제국을 돌다 - 도리가 가득하다; 상가 집 개鲁班面前耍大斧 /노반 앞에서 도끼 재간을 부리다 - 자신을 모르다; 노장에 도전장 던지다沙滩上盖房子 /백사장에 집 짓다 - 튼튼하지 못하다; 오래가지 못한다.三九天吃冰棍 /삼구날에 얼음과자 먹다 - 마음이 냉해지다; 춥고 더운 것은 자기가 알다전문가들은 세허우위를 몇 가지 종류로 나누기도 한다. 첫 번째는 해음류, 예로 ‘小葱拌豆腐’- 파로 두부를 무치다-는 <一清(青)二白>, 즉 청백하다는 뜻이다. 두 번째는 사실을 비유하는 종류로서 예로 冷水发面 -냉수로 밀가루를 이기다-는 큰 진전이 없다는 뜻이다.  세 번째는 사물을 비유하는 종류로서 예로 棋盘里的卒子 - 장기판의 졸-은 앞으로만 가지 뒤로는 후퇴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네 번째는 이야기종류로서 예로 曹操吃鸡肋-조조가 닭갈비를 먹다 -는 먹자니 맛없고 버리자니 아깝다는 뜻이다. 다섯 번째는 혼합종류인데 예로   纸糊的琵琶 -  종이로 바른 피바-는 연주할 수 없다는 뜻으로 풀이 된다. 세허우위는 언어예술이기도 하지만 일면 말장난이기도 하며 저속이기도 하다. 하지만 독특한 언어현상으로서 중국문화의 또 다른 점을 반사하는 것이다.  
73    70. 중국여성의 대표복장 치이포 댓글:  조회:2179  추천:47  2011-04-14
중국문화풍경 7070. 중국여성의 대표복장 치이포: 원간색 근간관(远看色,近看款)원간색 근간관(远看色,近看款)-멀리서는 색상을 보고 가까이에서는 스타이를 보라- 치이포 (旗袍-치이포, 중국 여성들이 입는 긴 원피스 형태의 전통 의복)에 대한 찬사의 말이다. 홍콩의 명배우 장만옥이 주연한 영화《화양년화(花样年华)》는 중국에서 치이포의 품을 일으겼다. 극중 장만옥이 선보인 26가지 치이포는 새해 봄바람과 함께 중국의 호화한 거리와 예식장을 단장하였으며 고전과 현대의 멋은 여성들이 추구하는 또 하나의 모범이 되었다. 《사해(辞海)》에 따르면 치이포는 청나라 만주족 여성들의 복장으로서 아래는 열지 않았고 팔소매는 8촌에서 1자이며 옷 변두리에는 수놓았다. 신해혁명(1912년)후 한족여성들도 치이포를 보편적으로 입었다고 한다. ‘치이포’란 ‘기녀의 포’란 글자 뜻이라는 해석도 있다. 청나라 광서, 현통 연간 상해 시체여성들의 사진을 보면 치이포에 서양식 코드를 입은 모습을 종종 보게 된다. 지난 세기 30년대에는 해파의 경전으로 발전되었다. 중국 현대 대소설가 모오뚠(矛盾-모순) 선생의 명작 《자야(子夜)》에는 치이포에 관한 묘사가 있다. 봉건보수통인 고 할아버지는 시골에서 상해로 왔다. 승용차에 앉아 외탄을 지나는데 창밖으로 같은 방향으로 달리는 황색 인력거에 앉은 아가씨가 보였다. 색상이 진한 치이포를 입었는데 바림에 치이포가 들리면서 아가씨의 눈같이 하얀 허벅다리가 보이는 것이었다. 고 할아버지는 놀란 나머지 두 눈을 꼭 감고 “만악(萬惡)에서  음란이 첫째라‘고 입속으로 외우는 것이었다. 방으로 돌아온 할아버지는 병석에 들어 누었는데 끝내 서천으로 가고 말았다. 치이포의 살상력은 보통이 아니었다.20년대 말, 송경령은 꽃무늬 치이포를 입고 열병대에 올랐으며 상해의 광고에 치이포를 입은 여성들의 풍채가 나타났다. 명문아가씨. 마님들은 분분히 모방에 나섰고 치이포의 차림은 사교장에 들어섰다. 서방에 극히 민감한 상해는 서양복장의 몸에 붙는 재단법을 옮겨와서 넓은 치이포의 양식에 변화를 주었으며 이로서 치이포에는 여성의 곡선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30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치이포에 줄무늬를 달았으며 아래 부분을 열기 시작하였고 한때는 거의 둔부까지 펼치었다. 어딘가 유혹의 성분이 다분한 것이다. 하지만 상해의 명문 여성은 필경 신분이 있고 단정함이 요구되었다. 치이포는 다시금 무릅까지 열게 되었으며 길이는 땅을 거의 쓸 정도였다. 훗날 전시가 어지러워지면서 치이포 길이는 다시금 위로 올라갔다. 그리고 넓은 옷소매는 가늘고 섬세하게 변하면서 몸에 붇게 되였다. 여성의 성숙된 몸매와 우아하면서도 노련한 풍도를 다시금 치이포에 담게 되었다.하지만 상해의 명문 여성은 필경 신분이 있고 단정함이 요구되었다. 치이포는 다시금 무릎마디까지 열게 되었으며 길이는 땅을 거의 쓸 정도였다. 훗날 전시가 어지러워지면서 치이포 길이는 다시금 위로 올라갔다. 그리고 넓은 옷소매는 가늘고 섬세하게 변하면서 몸에 붇게 되였다. 여성의 성숙된 몸매와 우아하면서도 노련한 풍도를 다시금 치이포에 담게 되었다.치이포는 중국의 국복(國服)으로 여성들은 간주하고 있었다. 항일시기 송경령은 미국작가 스노 부인 버리에게 치이포를 선물로 드렸으며 버리 여사는 이 치이포를 입고 미국에서 항일강연을 하면서 모금활동을 벌리었다. 임종 시 버리 여사는 이 치이포를 주인에게 되돌려달라는 유언을 하였으며 1998년 이 의미심장한 치이포는 60년 표류하던 중 마침내 ‘송경령옛집(宋庆龄故居)’로 돌아왔다.
‹처음  이전 1 2 3 4 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