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하이퍼시의 도우미 2
2015년 02월 18일 19시 37분  조회:3676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작 노트

<하이퍼 시집을 내면서> 김규화

 

 

 

 

세상의  모든  사물은  의미  없는  것이  하나도  없다그런데  이  의미라는  말은  언어라는  말로  대신할  수  있다.

의미는  언어의  실체이기  때문이다달리  말하면  세상  만물에는  모두  언어가  있다언어는  사물에  붙은  의미이고 

그 의미는 관념으로 성장한다.

위의  말은  완전히  맞는  말이  아닐  수도  있다언어  수의  한계가  모든  사물을  대신하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수학· 과학 기호도  생겼으며언어 예술인  시에서는  비유가  발생하는  계기가  된다.

과거  유아시절의  꿈  같은  아름다운  기억과  철학자의  심오한  사유  등은  언어가  없이는  이루어지지  못한다.

우리가  보고  느낀  것을  언어가  연결시켜 주지  못할  적에는  기억하거나  사유해  낼  수  없기  때문이다이  말은  일

이  프로이트가  하였다.

언어는  언어  자체로는  홀로  설  수  없다어디까지나  사물에  꼭  붙어서야혹은  관계되어서야  비로소  선다세상

이  처음  열릴  때  사물이  있었고후에  언어가   있었다고  구약성서에서는  말한다하느님이  만물을  만들고  아담

이  언어로써  이름 지었다고  한다.

인간 세계에서  언어란  무엇일까. 20세기  전반의  초현실주의  시인  트리스탄 차라는  그의  시에서,  만약 낱말(

 언어)이라는  것이  마치  봉투나  포장지에  붙은  우표처럼  사물에  붙은  딱지에  불과하다면  거기에  남는  것은  먼지

와  몸짓 뿐이며  이  세상에는  기쁨도  슬픔도  없을  것이라고  읊었다사물에  붙은  딱지는  사물  자체도  아니고  사

물의  성질과도 일치할  수  없는  다분히  형식적이고  자의적인  것이기  때문에  떼내버려도  되는  먼지나  몸짓  같은 

하찮은(?) 것이겠다.

먼지나  몸짓은  시니피에(의미)와  시니피앙(소리)으로  이루어진  기호이고  그러한  기호는  언어라고  불린다.

우리는  그  언어로써  시를  쓴다.

언어가  없는  시를   쓴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나는  언어의  두  요소  중의  하나인  시니피앙  즉  소리(청각

영상)를  너무  홀대했던  것  같다과거의  내  시는  무거운  의미로  뒤덮였었다가령  고독,  불안,  생명  같은  관념 

 말이다.

이  세상에는  무가치한  관념의  압력이  너무  많다그러한  의미를  시에서  가급적  빼고  싶다사물의  본래적이고 

 적나라한  이미지는  언어라는  형식을  벗어나야  볼  수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시가  음악의  선율이  아니고  미술의 

 선과  색채가 아니며  오직  언어일진대  그것이  가능하기나  할까그래서  나는  단지  그런  무의미의  상태를  동경하

는  것 만으로  나의  시작 태도는  성과가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십여 년  전  대만의  한  시낭송회에서  중국어 시 낭송을  들을  때뜻은  전혀  알  수  없으나  소리의  사성인  평···

입성과  어조만으로도  나는  큰  감동을  받았다그  후로  나는  가끔씩  틀어 놓고  귀에  익숙한  우리 말의  의미를  빼

리고  소만  듣는  시도를  해보거나  혹은  전혀  알아 듣지  못하는  외국어의  화면을  보면서  소리만  듣는  즐거움

도  맛본다.

나는  될  수만  있으면  모든  존재의  기표로  시를  쓰고  싶다.

언어학자  소쉬르가  말하는  시니피앙즉  소리  이미지로  쓰고  싶다기표의  동일성 (예를 들어  은  등불등꽃,

의  뒷등  등)의  연결은  하이퍼시의  이미지를  만드는  에너지가  된다이  이미지들은  서로  연관성  없이  현실

계와  상상(혹은 가상세계로시간과  공간을  뛰어  넘어서  리좀을  만들고  구절과  구절행과  행연과  연의 

 단위로  다층적 구성을  이루는 (나의하이퍼시가 된다.

멀티미디어  시대의  오늘날사람들은  아날로그적인  자연을  떠나  환상적인  가공세계의  마력에  빠져들어 버렸다.

인터넷이나  TV  등이  보여 주는  하이퍼적 세계에  모두  미혹되어  있다시도  하이퍼적  세계를  벗어날  수  없는  것

은  시대의  탓이라고  하겠지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2 김수영 론, 박치원 론 2015-02-19 0 4051
81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4272
80 포스트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3935
79 현대시의 리해 2015-02-19 1 3843
78 하이퍼시에 관한 고견 2015-02-19 0 4049
77 하이퍼시의 리해 2015-02-19 0 3586
76 의식, 무의식의 징검다리 2015-02-19 0 3854
75 김기림 시론 ( - 한국 현대시의 최초 시론) 2015-02-19 0 3651
74 조향 시론 2015-02-19 0 3729
73 김춘수 시론 2015-02-19 0 3823
72 시와 아이러니 2015-02-19 0 3837
71 디지털시대 시 전망 2015-02-19 0 3686
70 하이퍼와 잡종(?) 2015-02-19 0 3605
69 하이퍼시에서 내면세계 미학 2015-02-19 0 3702
68 하이퍼시에서 사물적, 상상적 가능성 2015-02-19 0 4016
67 하이퍼시의 구조 2015-02-19 0 3843
66 시에서 인식의 혁명 2015-02-19 0 3890
65 언어와 사물, 그리고 시 2015-02-19 0 4082
64 시와 독자와 난해성 문제 2015-02-19 0 3918
63 3.0 2015-02-19 0 3417
62 퍼포먼스 시집 평설 2015-02-18 0 3980
61 하이퍼시와 퍼포먼스시 2015-02-18 0 3595
60 하이퍼시 도무미 4 2015-02-18 0 4140
59 하이퍼모더니즘의 시대는 오는가 2015-02-18 0 4167
58 하이퍼시 도우미 3 2015-02-18 0 3853
57 하이퍼시의 도우미 2 2015-02-18 0 3676
56 탈관념의 꿈꾸기 2015-02-18 0 3735
55 현대시의 길 열기 2015-02-18 0 4158
54 하이퍼시의 도우미 2015-02-18 0 3723
53 하이퍼시의 전환기법 관찰 2015-02-18 0 4038
52 하이퍼시의 리해와 창작 2015-02-18 0 3917
51 하이퍼시와 디카시 2015-02-18 0 3888
50 ...계속 6 2015-02-18 0 3411
49 ...계속 5 2015-02-18 0 3901
48 ...계속 4 2015-02-18 0 3722
47 ...계속 3 2015-02-18 0 3585
46 ...계속 2 2015-02-18 0 3679
45 李箱시의 디지털적 해석 2015-02-18 0 3749
44 탈관념 시의 리해 2015-02-18 0 3600
43 <<네오아방가르드>>--~(아이고나 머리가 뗑...) 2015-02-18 0 3892
‹처음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