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기침
2015년 07월 20일 20시 40분  조회:3568  추천:0  작성자: 죽림
[ 2015년 07월 16일 10시 07분 ]

 

 

 기침의 현상학 

    - 권혁웅(1967~ )

















할머니가 흉곽에서 오래된 기침 하나를 꺼낸다

물먹은 성냥처럼 까무룩 꺼지는 파찰음이다

질 낮은 담배와의 물물교환이다

이 기침의 연대는 석탄기다

부엌 한쪽에 쌓아두었다가 원천징수하듯

차곡차곡 꺼내어 쓴 그을음이다

할머니는 가만가만 아랫목으로 구들장으로

아궁이로 내려간다 구공탄 구멍마다

폐(廢), 적(寂), 요(寥) 같은 단어가 숨어 있다

(하략)

노인들은 자주 아프다. 기억력도 나빠진다. 한 작가가 얘기했듯 노인의 기억이란 “아무 데서나 드러눕는 개”다. 겁먹을 필요는 없다. 노경(老境)에는 거기 어울리는 삶이 있다. 늙음이 곧 병은 아니지만 병이 오래 머물다 간다. 흉곽에서 기침을 꺼내는 할머니는 오래된 흡연자다. 담배를 피운 지 오래되었으니 기침의 연대도 오래되고, 폐도 온통 까맣겠다. 할머니는 기침을 하며 고적한 나날들을 견딘다. 노경의 뒤안길에 펼쳐진 폐(廢), 적(寂), 요(寥)라는 둥지 속에서 죽음이 부화(孵化)를 기다린다. <장석주·시인>

==================================================
권혁웅 시모음

 

1967년 충북 충주 출생 
고려대 국문과와 대학원 졸업
1996년 중앙일보 신춘문예(평론)
1997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 (시)으로 등단
2000년 제6회 '현대시 동인상' 수상
저서 <한국 현대시의 시작방법 연구> <시적 언어의 기하학>
2001년 시집 <황금나무 아래서>  문학세계사

2005년  <마징가 계보학> 창비

현재 한양여대 문창과 교수

<문예중앙> 편집 동인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그해 여름 정말 돼지가 우물에 빠졌다 멱을 따기 위해 우리에서 끌어낸 중돈이었다 어설프게 쳐낸 목에서 피를 철철 흘리며 돼지는 우아하게 몸을 날렸다 자진하는 슬픔을 아는 돼지였다 사람들이 놀라서 칼을 든 채 달려들었으나 꼬리가 몸을 들어올릴 수는 없는 법이다 일렁이는 물살을 위로하고 돼지는 천천히 가라앉았다

 

 가을이 되어도 우물 속에는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그리고 돼지가 있었다 사람들은 물 속의 제 그림자를 들여다보고는 슬픈 얼굴로 혀를 찼다 틀렸어. 저 퉁퉁 불은 얼굴 좀 봐 겨울이 가기 전에 사람들은 결국 입구를 돌과 흙으로 덮었다 삼겹살처럼 눈이 내리고 쌓이고 다시 내리면서 우물 있던 자리는 창백한 낯빛을 띠어갔다

 

 칼들은 녹이 슬었고 식욕은 사라졌다 사람들은 어디에 우물이 있었는지 기억할 수도 없었다 그러나 봄이 되자 작고 노란 꽃들이 꿀꿀거리며 지천으로 피어났다 초록의 상(床)위에서, 지전을 먹은 듯 꽃들이 웃었다 숨어있던 우물이 선지 같은 냇물을 흘려보내는, 정말 봄이었다

 

 지문

 

  네가 만질 때마다 내 몸에선 회오리바람이 인다 온몸의 돌기들이 초여름 도움닫기 하는 담쟁이처럼 일제히 네게로 건너뛴다 내 손등에 돋은 엽맥(葉脈)은 구석구석을 훑는 네 손의 기억, 혹은 구불구불 흘러간 네 손의 사본이다 이 모래땅을 달구는 대류의 행로를 기록하느라 저 담쟁이에게서도 잎이 돋고 그늘이 번지고 또 잎이 지곤 하는 것이다

 

마징가 계보학

 

 1. 마징가 Z


   기운 센 천하장사가 우리 옆집에 살았다 밤만 되면 갈지자로 걸으며 고래고래 소리를 질렀다 고철을 수집하는 사람이었지만 고철보다는 진로를 더 많이 모았다 아내가 밤마다 우리 집에 도망을 왔는데, 새벽이 되면 계란 프라이를 만들어 돌아가곤 했다 그는 무쇠로 만든 사람, 지칠 줄 모르고 그릇과 프라이팬과 화장품을 창문으로 던졌다 계란 한 판이 금세 없어졌다


   2. 그레이트 마징가


   어느 날 천하장사가 흠씬 얻어맞았다 아내와 가재를 번갈아 두들겨 패는 소란을 참다못해 옆집 남자가 나섰던 것이다 오방떡을 만들어 파는 사내였는데, 오방떡 만드는 무쇠 틀로 천하장사의 얼굴에 타원형 무늬를 여럿 새겨 넣었다고 한다 오방떡 기계로 계란빵도 만든다 그가 옆집의 계란 사용법을 유감스러워 했음에 틀림이 없다


   3. 짱가


   위대한 그 이름도 오래 가지는 못했다 그가 오후에 나가서 한밤에 돌아오는 동안, 그의 아내는 한밤에 나가서 오후에 돌아오더니 마침내 집을 나와 먼 산을 넘어 날아갔다 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겼다 그 일이 사내의 집에서가 아니라 먼 산 너머에서 생겼다는 게 문제였다 사내는 오방떡 장사를 때려치우고, 엄청난 기운으로, 여자를 찾아다녔다 계란으로 먼 산 치기였다


   4. 그랜다이저


   여자는 날아서 어디로 갔을까? 내가 아는 4대 명산은 낙산, 성북산, 개운산 그리고 미아리 고개, 그 너머가 외계였다 수많은 버스가 UFO 군단처럼 고개를 넘어왔다가 고개를 넘어갔다 사내에게 역마(驛馬)가 있었다면 여자에게는 도화( 桃花)가 있었다 말 타고 찾아간 계곡, 복숭아꽃 시냇물에 떠내려 오니… 그들이 거기서 세월과 계란을 잊은 채… 초록빛 자연과 푸른 하늘과… 내내 행복하기를 바란다

 
왕십리

 

새로 두 시에 산등성이를 건너온 비는
내 방 창을 두드린다 창문에
조팝나무 잎이 우표처럼 붙어 있었다
먼 데 있는 것들이 문득 소식을 전하는 때가 있다
지나쳐온 것들이 중국집 스티커나 세금 고지서처럼
문 앞에 부려져 있을 때
그걸 묵은 신문지와 함께 버릴 수 있나?
웃기고 있네. 나는 과금별납처럼 살았어
내 자리 어디선가 조금씩 내가 빠져나간 거지
세 시가 되니 비는 더 심해져서
파도치는 소리를 낸다 창문을 여니
먼 데 불빛이 어렵게 깜박인다
누군가 구조신호를 보내는 게지
구름 뒤에 둥글게 빛나는 달이 있듯이
저곳 어디에 왕십리가 있을 것이다
나는 외도가 지나쳤다,라고 목월은 말했지만
아니다, 나는 처음부터 저 길 너머에 있었다
새로 세시에서 네 시로 지나가는 저 비처럼
나는 세상을 건너갈 수 없었다
왕십리, 십리가 멀다 하고 찾아갔던 곳
하지만 늘 십리는 더 가야 하던 곳
내게도 밤을 디디고 가야 할 곳이 있다
몰론 왕십리에 가기 전에, 왕십리도 못 가서
나는 발병이 날지도 모르지만

  

서울시 신림동 산77 성 김복례의 하루

 

1

 

 부엌 지붕 새로 스며든 빗물이 판자를 휘어놓았다 식기들이 비스듬히 걸터앉아 아침햇살에 이 빠진 웃음을 웃는다 옹기종기 모여 앉아 식구를 계산하는 그릇들도 이 집 식솔들이다

 

2

 

 지나는 곳마다 고개턱이어서 길들도 한숨을 부려놓는 곳 그 길을 091021-2023527 김복례 할머니가 오른다 마을의 수도꼭지들이 할머니를 따라 쇳물을 쿨럭거린다 소리의 음계를 밟으며 할머니 길을 오르신다

 

3

 

 이곳에 시멘트 숲이 얼기설기 솟았을 때 김복례 할머니가 왔다 고려 때도 고려장은 없었다는데 자식들은 끈 떨어진 구슬처럼 흩어졌다 아니 구슬이 끈을 놓아버린 것이다 저녁마다 할머니는 방바닥에 대고 걸레 잡은 손을 휘휘 젓는다 아무도 못 보게 손사래를 치는 것이다

 

4

 

 산 아래는 지금 영구 임대 아파트 공사가 한창이다 포크레인은 술 취한 애비를 닮았다 마구 가산을 부수어 놓는다 레미콘이 임신한 여인네처럼 뒤뚱거리며 뒤를 따라온다 흙발로 여기저기 쿵쾅거리며 뛰어 다니는 트럭들....시끄러운 이웃이다

 

5

 

 바람만 따라오던 넌출 가로등 돌아가고 건너편 산등성이 불빛들도 까무룩 조는 초여름 저녁, 김복례 할머니 형광등 값을 아끼려 일찍 자리에 든다 벌써 눕느냐고 칭얼대며 은초롱꽃들이 등을 켜들고 슬레이트 처마 아래를 들여다본다

 

6

 

 야채나 생선차도 이곳엔 들르지 않는다 해서 이곳엔 기다림이 없다 그저 마른 방구들 풀썩이며 노는 먼지들뿐이다 그 위로 햇살이 부서진다 하늘에 제일 가까운 곳에 세워진 빛의 고딕 성당 서울시 신림동 산 77번지, 거기 김복례 할머니가 산다

     

애마부인 약사(略史)


1대

 고개를 좌우로 꼬며 말을 달리는 고난도 기술을 선보인 안소영(1982)에 관해선 이미 말한 바 있다 침대에 누운 그녀가 말 탄 꿈을 꾸는 것인지, 말을 모는 그녀가 침실 꿈을 꾸는 것인지를 중3이 다 말할 수야 없었지만, 동시상영관은 돌아온 외팔이와 안소영 때문에 후끈 달아올랐다

 

2대

 오수비(1983)는 바다로 갔다 그녀는 젖은 몸으로, 몰려오는 파도를 다리 사이로 받으며, 파도보다 큰 소리를 지르곤 했다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날 어쩌란 말이냐 청마(靑馬)의 시구를 그때 배웠다 고1때 일이다

 

3대

 김부선이 말죽거리 떡볶이 집에서 권상우를 유혹할 때(2004) 나는 기절할 뻔했다 나도 권씨지만 그녀를 피하고 싶은 마음은 조금도 없다 씨름선수 장승화의 들배지기에 자지러지는 그녀(1985)를 본 고3때부터 지금까지, 내내 그렇다

 

4대

 이후의 애마부인(1990∼ )에 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나는 더 이상 연소자가 아니었으니까, 도처에서 여자들이 말 타고 출몰했다는 게 맞는 표현이다 다만 김호진(1990)처럼 ROTC 애마보이가 되고 싶기는 했다 그 후로는 나도 애마도 주마간산이었다

 

9대

 진주희(1993)의 운명처럼 말이다 아, 어찌하여 애마의 도(道)는 일본으로 흘러갔는가? 애견부인(1990)은 또 뭐란 말인가? 드라큘라 애마(1994), 애마와 백수건달(1995), 애마와 변강쇠(1995)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끝없는 연애담과 지리멸렬 속으로 빠져들었다

 

외전(外傳)

 애마는 파리에도 가고(1988) 집시도 되었지만(1990) 정작 애마부인을 가르친 정인엽은 지금 삼겹살집 주인이다 애마 아래 남편, 애마 위에 애마보이, 그 위에 나…… 우리는 그렇게 불판 위에서, 납작하게, 지글거렸다 어마 뜨거라, 소리 지르며 한 시절을 지나왔다


 

 

---2------

 

밀실의 역사


                  집 밖에 나가지 않고도 천하를 안다는 말이
                 참으로 거짓이 아니로구나. (이곡 「소포기」)

  1. 사막

  방에 위도와 경도를 매겨, 지상과 일대일 축척을 실현
한 이모에 관해선 방금 말했다 외할머니가 부를 때마다, 
이모는  고비 사막을 넘어  달아났다  대상도 낙타도 없
이……그곳을 건너가는 데 한 뼘이 걸렸다

  2. 벼랑        
        
  형은 여름 한낮이면  다락에 올라가 오수를 즐겼다  가
끔 벼락 치는 소리가 나서 문을 열어보면 디딤판 위에서 
코피를 흘리며 코를 고는 형이 있었다  거기가 낙화암도
 

아닌데, 형은 삼천 번 정도는 몸을 날렸을 것이다

  3. 전장

  주인집 작은형은 평생을 그늘에서만 산 군주였다 형의 
유일한 적수는 나였다  형은 기병과 포병과 보병과 전차
와 코끼리 부대를 앞세워 내게 쳐들어왔다 나는 자주 말
발굽에 밟히거나 코끼리와 수레바퀴에 깔려 신음했다

  4. 탑

  우리는 주인집 막내를 동장군(冬將軍)이라 불렀다 한밤
에 변소에 갔다가  구멍에 빠졌던 애다  한겨울이어서 그 
애는 똥탑을 기어올라  방으로 돌아왔다  그 후로 우리는 
그 애를 피해다녔다  추위와 똥독을 이겨낸  불굴의 장수
였으므로 

  5. 식당

  주인집 작은누나는 가출한 후에  도루코 면도날 위에서 
위태롭게 청춘을 보냈다 한번은 면도칼을 씹다가 주먹에 
맞아  입 안이 통째로 날아갔다 한다  그래서 삼양라면을 
한 올씩 삼키며 두 달을 살았다 입이 좁은 문이었던 거다

 

 

 

입술 3

한 겹 풍경을 열고 들어가면 촘촘히 심어진 가로수들이 있었습니다 그가 
지나간 쪽으로 나무들이 앞 다퉈 잎을 내곤 했습니다 웃음이거나 울음인 것들 
을 매달고 나무는 지금 무성합니다 거기엔 분절도 단락도 없어서, 물관을 바 
쁘게 오르내리는 홀소리들만 분주했습니다 나는 몇 번이고 그곳을 지나갔습 
니다 그때마다 내 손끝은 생장점을 품은 듯 저려왔지만, 그것이 목측目測을 
가로막는 목책인 줄은 몰랐습니다 그렇게 촘촘하던 이유마저는 몰랐습니다 

현대시 3월호

 

 

지문

내가 모르는 일이 몇 가지 있으니

바위에 뱀 지나간 자리와 물 위에

배 지나간 자리와 하늘에 독수리가 지나간 자리

그리고 여자 위에 남자가 지나간 자리 내가

도무지 알 수 없는 한 가지는,

사람을 사랑하게 되는 일

 

도무지 모르지, 손가락마다

소용돌이를 감추어두고 사는 일

손잡을 때마다 타인의 격정에 휘말리는 일

내 삶의 알리바이가 여기에 없다고

생각할 때마다 개들은 짖고

먼지는 손에 묻고

버스는 떠나고

비행기는 하늘에 실금을 그으며 날아간다

 

나는 개를 먹고 개처럼 짖고

개털은 날리고 나를 따라

먼지는 이 방에서 저 방으로 옮겨다니고

내가 손을 흔들어도

버스는 떠나가고 비행기는 활주로에

길고 긴 타이어자국을 남긴다

 

누웠다 일어난 자리에 흩어진 머리카락,

여기에 내가 아니면

네가 누워 있었을 것이다


 

내게는 느티나무가 있다

느티, 하고 부르면 내 안에 그늘을 드리우는 게 있다

느릿느릿 얼룩이 진다 눈물을 훔치듯

가지는 지상을 슬슬 쓸어 담고 있다

이런 건 아니었다, 느티가 흔드는 건 가지일 뿐

제 둥치는 한 번도 흔들린 적이 없다

느티는 넓은 잎과 주름 많은 껍질을 가졌다

초근목피(草根木皮)를 발음하면

내 안의 어린 것이 칭얼대며 걸어온다

바닥이 닿지 않는 쌀통이나

부엌 한쪽 벽에 쌓아둔 연탄처럼

느티의 안쪽은 어둡다 하지만

이런 것도 아니다, 느티는 밥을 먹지도 않고

온기를 쐬지도 않는다

할머니는 한 번도 동네 노인들과 어울리지 않으셨다

그저 현관 앞에 나와 담배를 태우며

하루종일 앉아 있을 뿐이었다

이런 얘기도 아니다, 느티는 정자나무지만

할머니처럼 집안에 들어와 있지는 않으며

우리 집 가계(家系)는 계통수보다 복잡하다

느티 잎들은 지금도 고개를 젓는다

바람 부는 대로, 좌우로, 들썩이며,

부정의 힘으로 나는 왔다 나는 아니다 나는 아니다

여기에 느티나무 잎 넓은 그늘이 그득하다

(문학사상 5월)

오래 전 사람의 소식이 궁금하다면

파문

 


   어느 집 좁은 처마 아래서 비를 그어 보라, 파문


   부재와 부재 사이에서 당신 발목 아래 피어나는


   작은 동그라미를 바라보라


   당신이 걸어온 동그란 행복 안에서


   당신은 늘 오른쪽 아니면 왼쪽이 젖었을 것인데


   그 사람은 당신과 늘 반대편 세상이 젖었을 것인데


   이제 빗살이 당신과 그 사람 사이에


   어떤 간격을 만들어 놓았는지 궁금하다면


   어느 집 처마 아래 서보라


   동그라미와 동그라미 사이에 촘촘히 꽂히는


   저 부재에 주파수를 맞춰 보라


   그러면 당신은 오래된 라디오처럼 잡음이 많은


   그 사람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파문
 
                                        

                                   -시집, 황금나무 아래서

 

국수

넓은 마당 옆에 국수집이 있다고 내가 말했던가 우리 이모네 집이다 저녁이면 어머니는 나를 그리로 마실 보내곤 했다

우리는 국수보다 삼양라면이 좋았는데 이를테면 꼬불꼬불한 면발을 다 먹고 나서야 아버지는 상을 엎었던 것인데

국수 뽑는 기계는 쉴새없이 국수를 뽑았다 동어반복을 거기서 배웠다 목포는 항구고 흥남은 부두지만

국수는 국수다 국물을 우려내는 멸치처럼 나는 작았고 말랐고 부어 있었다 나는 저녁마다 국물 속을 헤엄쳐 다녔다

어느 날 아버지가 고춧가루를 뿌렸다 좋아요 형님, 다 신 안 와요 보증을 잘못 섰다고 한다 거길 떠난 후에

내가 먹은 국수는 어머니가 반죽해서 식칼로 썰어낸 손칼국수다 면발이 빼뚤빼뚤해서 이모네 국수처럼 가지런하지 않았다 내가 보증한다

그때 내가 좋아한 건 이틀에 한 번씩 오는 번데기 리어카와 솜틀집 문에 치여 죽은 병아리 그리고 전도관의 풍금소리,

결단코 국수는 아니었는데

그 후로도 눈이 내렸다 밀린 연탄재를 한 길에 내다버릴 수 있다고 어머니가 좋아하던 그 눈, 국수가 나올 때

그 위에 뿌리는 밀가루처럼 하얗고 퍽퍽한 그 눈, 우리는 면발처럼 줄줄이 넓은 마당에 나오곤 했던 것인데

아, 이 반가운 것은 무엇인가 진하게 우려낸 하늘은 무엇인가 번데기처럼 구수하고 병아리처럼 노랗고 풍금의 건반처럼 가지런한

이것은 무엇인가

(문예중앙 2003년 겨울호)


 스파이더맨 

  1
  거미인간에 관해 말하자 넓은 마당의 위아래, 전후좌우, 동서남북을 샅샅이 훑던 그의 거미손에는 걸리지 않는 게 없었다 그가 손바닥을 펴면 문짝, 신문지, 고장 난 석유난로, 콜라병 같은게 손에 와서 척척 붙었다 동그랗게 부풀어 오른 리어카를 끌고 그는 수도 없이 골목을 오르내렸다
  
  2
  넓은 마당은 방사형으로 가지를 친 수많은 길과 골목의 중심이다 거기서 동쪽 능선을 넘어가면 보문사가, 남쪽 고갯마루를 타넘으면 배성여상이, 서쪽 산정에 오르면 낙산아파트가 나온다 북쪽 길로 내려가면 삼선초등학교다 거기에 수많은 골목과 골목이 들러붙어 새끼를 쳤다

  3
  사실 내가 말하고 싶었떤 이는 인자仁子다 건너편 등성이에 사는 성신여중 학생이다 좁다란 시멘트 길을 걸어 올라가던 그 아이의 실루엣을 이쪽 건너편에서 볼 때마다, 나는 거미인간이 되고 싶었따 그를 따라 리어카를 따라 소녀의 집까지 가보고 싶었다 다족류多足類의 발하나를 거기 걸쳐두고 싶었다

  4
  거미인간은 넓은 마당 한구석에 모아온 것들을 쌓아두었다 그 아이를 고치처럼 둘둘 말아 종이뭉치와 고철더미와 나무토막 옆에 두었다 이십 년 동안 모아두었다 이십 년 동안 소녀는 나처럼 낡아갔을까 거기서 방문을 드나들고 폐지를 학교에 내고 난로를 쬐고 콜라를 마셨을까

  5
  모든 길은 넓은 마당으로 모이고 넓은 마당에서 갈라졌다 우리는 골목에서 태어나 넓은 마당으로 갔다 우리는 거기서 걸렸다 거미인간만이 보문사와 낙산을, 배성여상과 삼선초등학교를, 나와 안자 시이를 넘나들었따 그는 자유인이었고 독재자였다 그의 많은 재산 가운데 약간을 대출 받아 이렇게 쓴다

 

세상의 끝 

  동도극장을 아십니까?

 

  만약 아신다면 당신은 저 오랜 독재자가 말년을 보낼 즈음에 삼선동과 동소문동 어디쯤에서 살았던 것이 틀림없군요

  넓은 마당을 곧장 내려가면 삼선초등학교가 나오고 초등학교 앞 삼거리에서 오른편으로 가면 경동고등학교가, 왼편으로 가면 한성여고가 나옵니다 삼거리는 어디나 연애담을 담고 있습니다 형들과 누나들이 거기서 만나 동도극장에 가곤 했답니다 학생주임이 몽둥이를 들고 그곳을 급습했지만, 아시다시피 필름은 하루에 다섯 번이나 돌아가고 극장 안은 아주 어둡습니다

  내가 동도극장을 처음 본 건 중학교 1학년 때였습니다 두 번째 독재자의 취임기념우표를 사러 새벽길을 가는데, 머리가 떨어져나간 시체가 소복을 입은 채 으스스하게 서 있는 거였습니다 <목 없는 미녀>란 프로였죠 귀신은 우처국 앞까지 쫓아왔다가 날이 밝아서야 돌아갔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이상하죠 얼굴이 없었는데 미녀인 건 어떻게 알았으며 소복을 입었는데 몸매는 또 어떻게 보았을까요?

  나중에야 그게 세상 끝으로 밀려난 사람들의 운명이란 걸 알았습니다 어슴프레 서 있긴 한데 도무지 얼굴은 보이지 않는 이들 말이죠 동도극장이 꼭 그랬습니다 내가 철이 들 무렵 동도극장은 어디론가 가버렸습니다 내가 연소자 관람불가를 넘어설 때까지 기다리지 못한 거지요 나는 지금 어디든 갈 수 있지만 동도극장엔 갈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나는 아직 세상의 끝까지 가보지 못했답니다 

 

쑥대머리
 

 제가 다니던 삼선교회엔 유난히 숙이 많았죠
  은숙(恩淑)이, 애숙(愛淑)이, 양숙(良淑)이, 현숙(賢淑)이, 경숙(京淑)이, 남숙(南淑)이, 난숙(蘭淑)이, 미숙(美淑)이, 정숙(貞淑)이…… 
  그야말로 쑥밭이었죠제일 믿음이 좋았던 애는 은숙이,
  애숙이는 잠시 나를 사랑했고
  양숙이와 현숙이는 정말로 현모양처가 되었죠
  경숙이는 지금도 서울에 살지만, 남숙이는 
  먼데로 이사 갔답니다
  난숙이는 청초했고 미숙이는 예뻤는데
  지금도 제일 기억나는 애는 정숙이에요
  어렸을 때 귤껍질 넣은 주전자 물을 뒤집어 썼지만
  한 올의 흐트러짐도 없던 아이
  그러던 어느 성탄절에 성극을 하다가
  두건과 함께 가발이 홀랑 벗겨진
  울지도 않고 끝까지 마리아 역할을 하고는
  그 길로 교회를 떠난 아이, 지금도 어디선가
  단정한 자세로 앉아
  거지꼴을 한 동박박사들을 기다리는 거나 아닌지요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82 세상은 좋아보이는것뿐, 나쁘게 보이는것뿐... 2015-09-06 1 3449
681 詩人이란??? 2015-09-06 0 4246
680 <퇴직하는 벗들에게> 시모음 2015-09-06 0 3867
679 중국 몽롱시 창시자의 대표 시인 - 北島 2015-08-31 0 4614
678 중국 현대 최고 10대 시인 2015-08-31 0 4241
677 詩공부를 하며지고... 2015-08-31 0 3651
676 중국 몽롱파시인 - 수팅 2015-08-31 0 4470
675 중국 현대시 류파 2015-08-26 0 4148
674 중국 몽롱파시인 - 우한 2015-08-26 0 3862
673 중국 몽롱파시인 - 고성 2015-08-26 0 4267
672 대만 현대시의 흐름 2015-08-26 0 3754
671 중국 현대시 여러 류파를 중심으로 2015-08-26 0 4439
670 중국문화 - 중국 詩의 발달 2015-08-26 0 5358
669 시론저 소개 - 禪과 아방가르드 2015-08-26 0 3930
668 아방가르드 시의 실험 2015-08-26 0 5128
667 서울 지하철역 <<詩가 흐르는 서울>>을 보고 ...우리 고향 연길의 선로뻐스 정류장마다에도 <<詩香이 풍기는 延吉>>이라는 테마가 있었으면... 2015-08-25 0 3748
666 라틴아메리카 시문학 2015-08-22 0 4878
665 칠월칠석 시모음 2015-08-20 0 4760
664 단편 시모음 2015-08-16 0 4215
663 <국수> 시모음 2015-08-15 0 3908
662 나는 시를 너무 함부로 쓴다... 2015-08-15 0 4457
661 <어머니>시모음 3 2015-08-15 0 4125
660 그리고 또 李箱 2015-08-15 1 4288
659 다시 보는 李箱 2015-08-15 0 5296
658 詩는 農村을 對相하라... 2015-08-07 0 3750
657 詩作을 위한 10가지 방법 2015-08-03 0 4359
656 詩人을 만드는 9가지 2015-08-03 0 3985
655 池龍과 芝溶 2015-08-03 0 3203
654 마음 열기 2015-07-30 0 3749
653 백자 항아리 2015-07-28 0 4331
652 <달력> 시모음 2015-07-26 0 4320
651 서정주와 보들레르 2015-07-21 0 4251
650 어머니의 꽃무늬 팬티 2015-07-20 0 4183
649 우리 詩의 문제점 2015-07-20 0 3793
648 추천하고싶은 詩論書 2015-07-20 0 5463
647 기침 2015-07-20 0 3568
646 한석윤 동시인 = 동시화집 2015-07-20 0 4068
645 되돌아오는 세월... 2015-07-18 0 4794
644 <아내> 시모음 2015-07-18 0 4196
643 이승훈 시모음 2015-07-18 0 3946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