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池龍과 芝溶
2015년 08월 03일 20시 42분  조회:3625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인 정지용(鄭芝溶)

1902. 5. 15 충북 옥천~?/ 아명은 지용(池龍).
 

 

생애와 활동

한의사인 아버지 태국(泰國)과 어머니 정미하(鄭美河)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12세 때 송재숙(宋在淑)과 결혼했으며, 1914년 아버지의 영향으로 가톨릭에 입문했다. 옥천공립보통학교를 마치고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서 박종화·홍사용·정백 등과 사귀었고, 박팔양 등과 동인지 〈요람〉을 펴내기도 했으며, 신석우 등과 문우회(文友會) 활동에 참가하여 이병기·이일·이윤주 등의 지도를 받았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선근과 함께 '학교를 잘 만드는 운동'으로 반일(半日)수업제를 요구하는 학생대회를 열었고, 이로 인해 무기정학 처분을 받았다가 박종화·홍사용 등의 구명운동으로 풀려났다.

1923년 4월 도쿄에 있는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에 입학했으며, 유학시절인 1926년 6월 유학생 잡지인 〈학조 學潮〉에 시 〈카페 프란스〉 등을 발표했다.

 

1929년 졸업과 함께 귀국하여 이후 8·15해방 때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영어교사로 재직했고, 독립운동가 김도태, 평론가 이헌구, 시조시인 이병기 등과 사귀었다.

 

 1930년 김영랑과 박용철이 창간한 〈시문학〉의 동인으로 참가했으며, 1933년 〈가톨릭 청년〉 편집고문으로 있으면서 이상(李箱)의 시를 세상에 알렸다. 같은 해 모더니즘 운동의 산실이었던 구인회(九人會)에 가담하여 문학 공개강좌 개최와 기관지 〈시와 소설〉 간행에 참여했다.

1939년에는 〈문장〉의 시 추천위원으로 있으면서 박목월·조지훈·박두진 등의 청록파 시인을 등단시켰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이화여자대학으로 옮겨 교수 및 문과과장이 되었고, 1946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의 중앙집행위원 및 가톨릭계 신문인 〈경향신문〉 주간이 되어 고정란인 '여적'(餘適)과 사설을 맡아보았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에 가입했던 이유로 보도연맹에 가입하여 전향강연에 종사했다. 1950년 6·25전쟁 이후의 행적에는 여러 설이 있으나 월북했다가 1953년경 북한에서 사망한 것이 통설로 알려져 있다.


 


문학세계

그의 문학세계는 대략 3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섬세한 이미지 구사와 언어에 대한 각별한 배려를 보여준 것이 특징이다.

 

첫째는 1926~33년으로, 이미지를 중시하면서도 향토적 정서를 보인 모더니즘 계열의 시이다.

그가 시를 쓰기 시작한 것은 1923년경이었다고 하나, 발표되기는 1926년 <학조〉 6월호에 실린 시 〈카페 프란스〉·〈마음의 일기에서〉 등에서 시작된다.

 

이어 이미지 시의 면모를 보여준 〈바다〉(조선지광, 1927. 2)와 〈향수〉(조선지광, 1927. 3) 등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했다. 이런 경향은 〈시문학〉의 향토적 정서, 섬세한 이미지 표현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이 시기의 시들은 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면서도 순수 서정시의 가능성을 아울러 보여준다.

 

 "넓은 벌 동쪽 끝으로/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나가고/얼룩백이 황소가/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그곳이 참아 꿈엔들 잊힐 리야"(〈향수〉 1연)와 같이 곱게 다듬어진 우리말의 언어적 세련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감각적 이미지를 적절히 형상화하고 있다.

 

둘째는 〈가톨릭 청년〉에 관여하던 1933~35년에 보여준 종교적인 시이다.

이 시기에는 절대적인 신에게 관심을 갖고 시대적 상황에 무력한 자신의 정신적 허기와 갈증을 신앙을 통해 메우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갈수록 열악해지는 현실에 대한 절망과 이로부터 벗어나려는 시인의 정신적 방황을 드러내는 것이며, 특히 〈나무〉(가톨릭 청년, 1934. 3)의 "얼굴이 바로 푸른 하늘을 우러렀기에/발이 항상 검은 흙을 향하기 욕되지 않도다"라는 표현에서 보이듯이, 한갖 나무만도 못한 욕되고 부끄러운 삶을 살고 있는 자신에 대한 참회와 나라를 잃은 민족의 정신적 갈등을 표현하고 있다.

 

셋째는 1941년까지 발표한 동양적 전통과 정신에 바탕을 둔 산수시이다.

이 시기에 그는 동양적 정신과 산수의 풍경을 그리는 여행을 떠남으로써, 시적 소재가 〈바다〉(시원, 1935. 12)를 거쳐 〈옥류동〉(조광, 1937. 11)·〈비로봉〉(청색지, 1938. 8)·〈장수산〉(문장, 1939. 3)·〈백록담〉(문장, 1939. 4)으로 바뀐다. 바다를 거쳐 산으로 오르는 이런 시세계의 변모는 즉 일제강점기 말의 암울한 현실에 구애됨이 없이 자연에 몰입하고자 하는 시인의 정신세계를 대변하고 있는 듯하다.

그는 자연을 대상으로 삼아 시어의 조탁(彫琢)과 섬세하고 선명한 이미지로 독특한 시세계를 표현했는데, 이러한 성격은 한국의 서정시를 계승한 것으로서 이후 제자격인 청록파의 시세계로 이어졌다. 100여 편이 넘는 시 외에도 소설 〈3인 三人〉(서광, 1919. 11)과 평론 〈조선시의 반성〉(문장, 1948. 10)·〈문학으로 사는 길〉(세계일보, 1949. 1. 5) 등을 발표했다. 시집으로 〈정지용시집〉(1935)·〈백록담〉(1941)·〈지용시선〉(1946)과, 이론서로 〈문학독본 文學讀本〉(1948)·〈산문 散文〉(1949) 등이 있고, 1988년 민음사에서 〈정지용선집〉을 펴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23 詩작법 휘호호.. 2016-01-09 0 3854
922 詩작법 둥기당... 2016-01-09 0 5249
921 詩작법 닐리리... 2016-01-09 0 4488
920 詩작법 옹헤야... 2016-01-09 0 4003
919 詩작법 지화쟈... 2016-01-09 0 3490
918 詩작법 절씨구... 2016-01-09 0 3670
917 詩작법 얼씨구... 2016-01-09 0 3952
916 詩작법 찌찌찌... 2016-01-09 0 4828
915 좋은 詩를 쓰는 비법 2016-01-09 0 4033
914 詩는 언어에 옷을 입히는 행위 2016-01-09 0 4067
913 詩습작자들을 위한 提言 2016-01-09 0 3864
912 詩공부하지 않고서는 말할것 없다... 2016-01-09 1 4196
911 詩쓰기 그리기... 2016-01-09 0 3520
910 ...해답일뿐, 정답은 아닙니다... 2016-01-09 0 3839
909 詩작법 구구구... 2016-01-09 0 3381
908 詩人되기 힘들다, 詩쓰기는 더더욱 힘들다... 2016-01-09 0 3988
907 詩작법에서 詩를 많이 읽어라 2016-01-09 0 3606
906 만약 詩 한줄이라도 에너지가 있다면... 2016-01-09 0 3213
905 詩에 뭐라고 제목을 붙일가... 2016-01-09 0 3698
904 그러나, 누구나 좋은 詩를 쓰는것은 아니다... 2016-01-09 1 3875
903 현대詩史에 수많은 활구(活句)를 낳다... 2016-01-09 0 4253
902 詩는 몇개의 징검돌로 건너가는 것... 2016-01-09 0 3522
901 詩에서 어떻게 표현할것인가 2016-01-09 0 4108
900 詩에서 새로운 화제 찾기 2016-01-09 0 3775
899 詩에서 어떤 어법으로 말할가 2016-01-09 0 3744
898 詩의 서정적줄거리 만들기 2016-01-09 0 4533
897 자아,- 씁시다... 詩자악!... 2016-01-09 0 4477
896 詩의 정의는 없다... 2016-01-09 0 4574
895 詩는 여러 문학쟝르 中 가장 핵심 쟝르 2016-01-09 0 3913
894 詩짓기에서 수사법 2016-01-09 0 4161
893 詩의 술잔속에는 바다가 출렁출렁... 2016-01-09 0 4085
892 우리 모두 詩와 함께 웃어 버립시다... 2016-01-09 0 3682
891 그녀만은 없었습니다... 2016-01-09 0 3866
890 아름다움이란 모든 것 몫, 몫, 몫... 2016-01-09 0 3643
889 뭇 벗님들의 하늘이 늘 함께 푸르기만을... 2016-01-09 0 3668
888 詩의 旅行을 떠나며... 2016-01-09 0 3913
887 詩적 발견, 그 새로운 눈 2016-01-09 0 3978
886 詩는 묘사로 시작해서 진술로 끝나다... 2016-01-09 0 4251
885 詩야,- 너 어디서 오느냐... 2016-01-08 0 4775
884 詩人을 만드는 9가지 비망록 2016-01-08 0 4699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