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김철호 근작시 시평
2015년 10월 01일 18시 04분  조회:4075  추천:0  작성자: 죽림

평론

기수(旗手)는 바람이 없으면 달려간다
         
ㅡ2014년 장백산 제2기  김철호시인의 근작시를 읽고

                   

                                             /허인
             

머리글
 
요즘 신문잡지를 펼쳐들면 심상찮게 자주 마주치는것이 아마도 김철호시인님의 주옥같은 시작품들인것 같다. 어찌보면 오늘날 줄거리가 없고 한낱 표백된 아픔마저 버젓이 상품이라는 브랜드 마크를 달고서 콩나물이나 숙취나물처럼 슈퍼에 나란히 진렬되는 그런 무병신음의 가짜시가 아니라 읽을수록 알맹이가 꽉 차서 마침내 읽는 이 혼자서는 그 모든것을 감당하고 만끽하기엔 너무 아름차고 또한 즐겁기도 한 ㅡ 그래서 누구라도 상관없이 독자들과 함께 조금이라도 나누고싶은 심정에서 이 글을 쓰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필자가 알건대 김철호시인님은 저명한 아동문학작가님이시다. 그런 그가 최근 들어 이 몇년사이 우리 조선족시단치고는 제일 먼저ㅡ 어쩌면 남들보다는 한발 앞서 파편문체와 포스트모더니즘을 깊이있게 연구를 끝마치고서 마침내 자신의 깔끔한 성미에 알맞게 개성있게 현대시를 쓰고 있는 그런 시인이 아닐가 필자 나름대로 생각해본다. 매번 김시인이 자신있게 내여놓는 한수 또 한수의 무게감이 있고 테마가 굵직한 시작품앞에서는 오래동안 외곬인생을 고집하면서 수십년째 시를 써온 허다한 시인들마저도 손발을 내밀기가 저어되여가고 있는 그런 느낌이 들며 그 신비한 마력은 아마도 앞으로도 계속 쭈욱 이어질것만 같다. 그럼 여기서 2014년 <<장백산>>잡지 제2기에 실린 김철호시인님의 주옥같은 시 7수를 우리함께 손에 손잡고 잠간 즐거운 려행을 다녀와보자
 
링크와 네트워크구축으로 스스로 아름답고 좋은 시
 
동서양 고금을 막론하고 어느 조대, 어느 시대에서나ㅡ 시인의 사상의식은 항상 미래 지향적이였으며 또한 드레시(漂亮, 幽雅)하게 자신만의 독특한 시어들을 창출,  랜덤하고도 더욱 디테일하게 드라이브코스(自驾游线路)를 스스로 구축해왔으며 더우기 새로운 언어조합속에서의 자률, 또한 지극히 러브 시(示好)한 이률배반속에서도 마스터피스(杰作)와 함께 항상 개혁이 동일시되여 왔었다는것을 누구나 쉽게 알수가 있다. 그리하여 그러한 미래 지향적인 행보는 오늘도 조심스러울수밖에 없으며 또한 과감한 개혁의 리론과 그 기능을 불러오는 중요한 단서가 곧바로 시인의 더없이 정확한 의사전달로써 길게 설명자면 멘트(话语, 台词)가 필요없는 기획적인 자아도전과 저돌적인 돌파, 즉 새로운 시어창출과 함께 변화한 자신의 모습을 여러모로 독자들앞에서 검증 받아야 하는 그런 데스트가 아닐가 필자 나름대로 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아직 필자의 좁은 소견일지도 모르겠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을 정석으로, 또는 기초로 하여 단단히 밟고 더욱 높이 올라서려고 하는 기획적인 발전이지 결코 지극히 이률배반적이지는 않다는것이다. 그럼 우리 함께 김철호시인은 링크와 네트워크구축으로 어떻게 이미지즘을 완성해 가고 있는가를 살펴보기로 하자
 
그건 흠결이 아니였다
이중로출도 아니였다
틀림없는 유령의 그림자였다
 
물앉는다
요즘 그녀는 자주 물앉는다
복도에서도 거리에서도
벌렁벌렁 물앉는다
 
회사청사를 어깨에 메였다
19층청사가 어깨를 누른다
벌렁 물앉는다
8촌사진은 하나의 세상이다
그속에 19층청사,그녀의 어깨…
그녀는 어떤 유령에게 업혀있었다
그녀가 어떤 유령을 업고 있었다
 
이승너머에 숨은 삶이 보였다
그곳으로 가는 문이 보였다
 
새들은 보이지 않는 곳에 가서 죽는다고 했다
 
<<고스트현상(gh0st) 1>>전문이다
 
이 시를 읽고나면 김철호시인님은 남달리 수판알을 튕겨가면서 계산적으로ㅡ 혹은 의도적로 독자들을 위한 배려심이 크다는 것을 인츰 알수가 있다. <<고스트(gh0st)1>>란 우리 말로 직역하면 귀혼(鬼魂), 혹은 유령(幽灵)인데 <<유령현상>>ㅡ 즉 <<고스트현상(gh0st)1>>을 읽고나면 마치 산 사람이 허다한 스트레스, 콜플렉스, 혹은 무수한 폴더, 아건강(亚健康)에 짓눌리워 유령처럼 이 세상을 허우적거리면서 살아가는 모습을 방불히 우리들 눈앞에 보이는듯이 그려놓고 있기때문이다. 첫련에서 <<흠결>>과 <<이중로출>>이라는 단단한 부정뒤에 더욱 단단해져가는 긍정어 즉 /틀림없는 유령의 로출이였다/를 재치있게 등장시킨 이 시에서는 이미 전반 시적 흐름의 또렷한 륜곽을 벌써 독자들에게 명확히 잡아주고 있는 그런 특징이 있다. 그리하여 제 2련에서는 마침내 /물앉는다/요즘 그녀는 자주 물앉는다/복도에서도 거리에서도/벌렁벌렁 물앉는다/로 독자들에게 다시한번 암시의 태도를 슬쩍 더 보태주었으며 여기서부터 <<왜서 물앉을가?>>가 시적화두로 대두된 이 시의 흐름 즉 그 루트를ㅡ 의식과 무의식의 딸깍거리는 구두소리를 따라서 조심스레 걸어가노라면 더욱 큰 의식세계와 무의식세계의 이중구조속으로 독자들은 저도모르게 냉큼 빨려 들어가게 된다.
 
왜냐하면 뒤에 더욱 큰 이미지즘이 독자들을 기다리고 있기때문이다. 제3련에서 /회사청사를 어깨에 메였다/19층청사가 어깨를 누른다/에서 볼수 있다싶이 새로운 이미지로 등장한 <<회사청사>>, 정확히 <<19층청사>>를 어깨에 메였고ㅡ또한 /어깨를 누르고 있기때문에/그녀는 벌렁 물앉는다/는것을 누구나 쉽게 알수가 있다. 다음 가상현실속(혹은 영정사진과도 같은)의 클로즈업된 또 다른 하나의 색다른 세계ㅡ 즉 /8촌사진은 하나의 세상이다/그속에 19층청사, 그녀의 어깨…/가 있고 여기에서 다시금 첫련에서부터 강한 힌트를 주었던 그 유령을 재치있게 재등장시키면서 /그녀는 어떤 유령에게 업혀있었다/그녀는 어떤 유령을 업고 있었다/면서 어딘가 19층청사를 소유하고 있음직한 정도면 그냥 보통 인물이 아닌듯한 어떤 녀인의 전쟁과도 같은 치렬한 삶의 한장면뿐만 아니라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인간들의 본능적인 도전정신, 또는 그러한 삶의 애환을 반복구사법, 겹쳐 그리기기법을 동원하여 시어와 시어사이를 재치있게 링크(련결), 또는 의식과 무의식의 조용한 흐름을 통하여 자의도 타의도 아닌 늘쌍 객관적인 립장에서 시종여일하게 한폭ㅡ 또 한폭의 그림을 완성해왔음을 우리는 비로소 알수가 있다.
 
특히 제4련과 제5련에서는 한술을 더 떠서/이승너머에 숨은 삶이 보였다/그곳으로 가는 문이 보였다/새들은 보이지 않는곳에 가서 죽는다/고 했다/면서 결국 삶과 죽음의 사이는 멀지도 가깝지도 않은것이며 또한 종이 한장 차이일뿐ㅡ 어쩌면 죽음마저도 삶의 또다른 연장선일수도 있다는것과 현시대 삶의 치렬한 경쟁의식을 시인은 비관도 긍정도, 부정도 아닌 제3자의 립장에 서서 담담하게 토로하고 있는 그런 양상 보여주고 있다. 이 시의 특징은 다선이 고리이기때문에 시인의 의식은 그 어떠한 관념에도 묶이지 않고 있으며 또한 시인은 연출자인 동시에 제작자이기때문에 읽을수록 호흡이 자유로운  그런 장점이 있는것 같다. 아무튼 김철호시인님의 <<고스트현상>>은 오랜간만에 읽어볼수 있는 속이 꽉 차고 통통 잘 여문 좋은 시라고 필자 나름대로 생각해본다.
 
그럼 아래에 은유의 상징으로 이미지집성을  완성시킨 <<댓글>>이라는 시 한수 더 보고 가자.
 
벽에 기대앉았는데 벽이 무너진다
벽체에 깔려 납죽해진 그를 잡아당긴다
납죽한 다리가 뽑혀나오고
납죽한 팔이 뽑혀나오고
납죽한 가슴, 배 ,머리는 그냥 벽체밑에 깔려있다
두렵지도 않은가보다
누군가 또 벽에 기대인다
벽이 쿵 무너진다
누가 또 벽에 기대인다
벽이 쿵 무너진다
누가 또 벽에 기대인다
벽이 쿵 무너진다
무너진 벽체에 그가 깔려있다
잊어졌던 그가 있다
나도 있다
납죽 깔려 납죽해져 있다
 
<<댓글>>의 전문이다.
 
여기서 <<벽>>은 무엇을 의미할가? 필자가 보건대 그건  아마도 어디엔가에 자꾸 기대고싶어하는 인간의 나약한 요행심리와 껌딱지처럼 다닥다닥 심장에 와붙는 상표도 아닌 무정한 <<댓글>>들을 은유적으로 상징한것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첫련에서 /벽에 기대앉았는데 벽이 무너진다/로부터 시작하여 이 시는 줄곧 /벽이 쿵 무너진다/를 여러차례 반복해가면서 나역시도 피해자가 될수 있임을, 결국 이 세상 그 누구라도 자칫하면 똑같은 피해자가 될수 있음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표현한것 같다. <<시는 언어예술이면서도 또한 언어를 넘어서야 한다. 시의 목적은 텍스트의 조건을 보여주는것이다. 그럼으로 하여 시는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이며 자신의 텍스트적 활동을 자신의 기본주제로 삼는다.>> 조지p 란도의 《하이퍼텍스트3.0>> 말씀중에서의 한마디다. 댓글을 받아본 사람이면 아마 누구라도 쉽게 동감이 가는 그런 좋은시 라는 생각이 저절로 첨부되여가고 있는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예술이란 한 대상이 예술적임을 의식적으로 경험하기 위한 수단일수록 더욱 아름답다.
 
너는 왜 하늘 향해 누워있니?
너는 왜 땅을 보며 누워있니?
 
하늘엔 뭐가 있니?
별이 있다 세상에서 가장 밝은 별 하나 있다
그럼 땅엔 뭐가 있니?
별이 있다 세상에서 가장 은근한 별 하나 있다
 
하늘의 별과 땅의 별이 만나려고
무지개 통로로 마주 달려간다
너무 빨리 달리다보니 그만 서로 부딪쳐 산산조각난다
 
별의 파편 수많은 별이 되여 흩날린다
하늘과 땅 사이에 은하수가 펼쳐진다
별들의 원무가 시작된다
 
<<별들의 원무>>전문이다. 이 시는 브레인스토밍과도 같은 자문자답과 럭셔리한 역설로써 수많은 새로운 <<별>>들의 탄생과정을 그림으로 그려놓고 있으며 더불어 우주의 진면목 즉 시인의 세계관을 독자들로 하여금 엿볼수 있게끔 하고 있는것 같다. 특히 제1련에서 /너는 왜 하늘을 향해 누워있니?/로부터 시작하여 <<하늘의 가장 밝은 별 하나>>와 <<땅우의 가장 은근한 별 하나>>가 서로 만나려고 마주 달려가다가 그만 부딪치면서 산산조각이 나며 <<별의 파편이 수많은 별이 되여 은하수를 이루고>> 드디여 별의 아름다운 원무를 연출자가 아닌 관중이 되여 희망으로 지켜보고 있는 작자의 성숙된 모습을 엿볼수가 있게끔 시야를 넓혀주고 있는상 싶다. 그럼 여기서 <<별>>은 도대체 무엇일가? 그건 희망이래도 좋고 또한 미래라도 좋고 아무튼 독자가 선정하기 나름이니깐 구태여 더 길게 설명하지 않으려고 한다
 
다음 <<수음>>(秀吟)과 <<바다>>는 맥락을 같이하는 그런 파워플한 시라고 해도 아마도 무방할것 같다./정글엔 길이 없다/그러나 그녀는 그곳에 발을 내디뎠다/로부터 시작하여 제일 마지막 결구에서 볼수 있다싶이 /정글에 그녀의 길이 생겼다/로 마무리되였고 <<바다>>에서는 /이제는 녀자가 없는 그, 바다로 간다/로 멋지게 캐릭터를 시작하여 제1련 4행에서 다시금 자연스럽게 /수평선을 베고 누워있는 붉은 녀인/즉 언덕 ,혹은 사막을 떠올리게 하였으며 /그러나 이제는 녀자보다 높은 바다가 있다/그는, 바다는 실패를 모를것이라고 생각했다/로 인생행로의 이러저러한 고달픔과 또한 각근한 노력은 반드시 리상적인 결실을 맺기 마련이라는 작자의 독특한 진리를 이 두수의 시에서는 펼쳐 보이고 있는듯 싶다
 
남자라고 생각해도 틀린다
녀자라고 생각해도 틀린다
 
누에고치가 퍼렇게 익어 헐벗은 떡갈나무
그늘 잃은 큰 나무,뿌리 살아숨쉬는데
태양은 구름우에 숨어 찬 입김 뱉는구나
 
밤, 그 힘찬 몸부림
새벽, 그 벅찬 울부짖음
한낮, 그 거창한 춤…
 
파도는 저 거창한 바다를 만난다
파도는 높은 하늘을 만난다
 
절름발이 양잠인 50원에 황성옛터 잘 팔아먹고
누에고치줏는  계집들의 웃음소리 언덕 허무는데
대석하에 비낀 장수의 그림자파도따라 춤추누나
강물은 날 선 칼이 되여 력사를 두쪽으로 가르누나
 
태양은 언제나 동쪽에서 뜬것만이 아니다
별은 어두운 하늘에서만 반짝인것이 아니다
하늘 만리서 무지개 나래펴고
바람은 손가락 튕기는 사이에 천리땅을 씻는구나
 
그러니 남자라고 생각해도 된다
녀자라고 생각해도 된다
힘과 힘의 만남 숨과 숨의 겨룸
 
푸른 누에 기여온다
 
<<동모산>>전문이다. 다시 봐도 거대하게 느껴지는 아름찬 몸집, 제1련에서 단단한 부정과 함께ㅡ 정물화기법, 모자이크기법으로 씌여진 이 한수의 시가 갖는 함의는 참으로 방대하다는 그런 느낌이 든다. 그럼 우리함께  이 한수의 시에서 링크(련결)와 네트워크(리좀)가 어떻게 이미지즘을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텍스트를 어떻게 조성해가고있는가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첫련에서 이미/ 남자라고 생각해도 틀린다/녀자라고 생각해도 틀린다/는 단단한 부정으로 시작된 이 시에서는 남자, 녀자, 누에고치, 떡갈나무, 그늘, 나무, 뿌리, 태양, 구름, 입김, 밤, 몸부림, 새벽, 울부짖음, 한낮, 거창한 춤, 파도,바다, 하늘, 절름발이, 양잠인, 황성옛터, 계집, 웃음소리, 대석하, 그림자, 강물, 칼, 력사, 동쪽, 별, 무지개, 바람, 손가락, 천리땅, 힘, 만남, 숨, 푸른 누에 등 40여개의 명사뒤에 접사 혹은 동사를 붙여 력사속의 <<동모산>>을 현실속의 <<절름발이 양잠인>>과 그 해학적인 50원, 그리고 <<누에고치 줏는 계집들의 웃음소리>>로 조금은 익살스럽게 완성시킨 그런 느낌이 든다. 앞에서도 이미 말을 했지만 제 1련에서 단단한 부정어/남자라고 생각해도 틀린다/녀자라고 생각해도 틀린다/로 시작된 이 시의 제일 마지막 결구에서는 /그러니 남자라고 생각해도 된다/ 녀자라고 생각해도 된다/로 다시금 재치있게 부정했던것들을 다시금 재긍정해가면서 /힘과 힘의 만남 숨과 숨의 겨룸/ 을/푸른 누에가 기여온다/는 자연현상으로 아이러니하게 마무리하고 있다. 모두 알수가 있듯이 시제가 <<동모산>>이고보니 력사와 현실을 하나 또 하나의 참조물로 관조해가면서 객관적으로 이미지완성을 집대성시킨 한폭의 좋은 그림, 방대한 이미지즘이라는 생각이  든다
 
제일 마지막 시인 <<동지>>(冬至)에서 /하늘에 /수만개의 달/뜨는 날/슬픈 이에겐 /너무너무 긴/기쁜이에게는/길어도 짧은/이런 표현은 참으로 특이하고 기발한 착상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무튼 김철호시인님의 근작시들을 읽노라면 마치 화면이 깨끗한 고화질의 티비를 보는듯한 느낌이 들어서 너무 좋다
 
 마무리하면서
 
오래동안 우리 시단을 지배해온 단선구조의 틀을 과감히 벗어나 다선구조의 틀로, 어젯날 시인의 독백적인 서술을 객관적인 이미지로, 정적인 이미지를 또한 동적인 이미지로, 시의 주체에서 시인자체를 이미지의 편집자로 바꾸어보려는 김철호시인님의 개혁성(改革性)은 그야말로 놀라울만큼 계획적이고 또한 그 기초가 믿음직하게 단단한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우리 이 시대의 개혁은 누가 뭐라해도 언제나 소수의 사람들이 앞장서기 마련이다. 그럼으로 하여 기수는 바람이 없으면 앞장서 달려 가야 하는것이 오늘날 현실이기도 하다. 그래야만 그 기치가 더욱 선명하지 않을가 나름대로 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아무튼 이번 2014년 <<장백산>> 제2기에 실린 김철호시인의 7수의 시작품은 마치 방대한 시리즈가 되여 거대한 이미지즘을 이루고 있는듯한 그런 느낌을 주며 또한 난해한듯하면서도 읽을수록 가슴에 와닿는 그런 공명감이 크고 한수 또 한수의 시가 꼭마치 통통 잘 여문 볍씨와도 같다는 그런 느낌을 주고 있다. 미숙한 점이라면 지나치게 완전무결을 추구하는 느낌이 들며 또한 무엇을 강조하려고 하는데서 부피가 커져가는듯한 그런 양상이 더러 있는것 같다. 아무튼 새로운 한해 새로운 시점에서 김철호시인님이 더욱 좋은 성과를 이룩하여 가시길 심양에서 두손 모아 진심으로 축원해본다
 
 2014년4월5일 심양에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03 詩와 자연의 축복 2016-05-06 0 6013
1402 연변작가협회에서 회원들 작품집 출간 전력 2016-05-05 0 4184
1401 [한밤중 詩 읊다]- 詩 몇쪼가리 2016-05-05 0 4745
1400 정호승 - 별들은 따뜻하다 2016-05-01 0 4614
1399 강은교 - 우리가 물이 되어 2016-05-01 0 4462
1398 박인환 - 목마와 숙녀 2016-05-01 0 3947
1397 문정희 - 한계령을 위한 연가 2016-05-01 0 4359
1396 기형도 - 빈집 2016-05-01 0 4374
1395 박용래 - 저녁눈 2016-05-01 0 4336
1394 최승호 - 대설주의보 2016-05-01 0 4430
1393 노천명 - 사슴 2016-05-01 0 4204
1392 오규원 - 한잎의 여자 2016-05-01 0 4759
1391 곽재구 - 사평역에서 2016-05-01 0 4576
1390 서정주 - 동천 2016-05-01 0 4386
1389 김춘수 - 꽃 2016-05-01 0 4593
1388 황동규 - 즐거운 편지 2016-05-01 0 4644
1387 이성복 - 남해 금산 2016-05-01 0 4302
1386 김수영 - 풀 2016-05-01 0 4226
1385 박두진 - 해 2016-05-01 0 4002
1384 김삿갓 竹詩 2016-05-01 0 3795
1383 나래를 펴는 엉뚱한 상상 2016-05-01 0 3964
1382 詩作은 온몸으로 하는것... 2016-05-01 0 3710
1381 [밤중 詩를 읊다]- 詩 몇토리 2016-05-01 0 4417
1380 소월 시 음미해보기 2016-04-26 0 4697
1379 내 문학의 고향, 어머니의 詩心 2016-04-25 0 4207
1378 [출근족들 왁짝지껄 하는 이 시각, 詩 한컷]- 늦봄 2016-04-25 0 4352
1377 [詩 미치광이]- 메아리 2016-04-25 0 3991
1376 [기온차가 심한 아침, 詩 한컷]- 문신 2016-04-25 0 3589
1375 [詩로 여는 월요일 아침]- 아이의 질문에 답하기 2016-04-25 0 4092
1374 공룡아~ 발자국을 가져가거라... 2016-04-23 0 4003
1373 한 <단어>앞에 문득 멈춰서게 하는... 2016-04-23 0 3452
1372 흑과 백, 문밖과 문안 2016-04-23 0 3669
1371 [詩와 詩評으로 여는 토요일]- 봄 셔츠 2016-04-23 0 3534
1370 김수영 시인 대표작 시모음 2016-04-22 0 6380
1369 다시 떠올리는 전위시인 - 김수영 2016-04-22 0 4168
1368 [밤에 올리는 詩 한컷]- 아이가 무릎에 얼굴을 묻고 있다 2016-04-22 0 4307
1367 [詩로 여는 금요일]- 앞날 2016-04-22 0 3530
1366 [안개 푹 낀 아침, 詩놈팽이 한컷]- 명함 2016-04-22 0 3935
1365 자루는 뭘 담아도 슬픈 무게로 있다... 2016-04-21 0 4071
1364 詩는 쓰는것이 아니라 받는것 2016-04-21 0 4404
‹처음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