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박꽃
-신대철(1945~)
박꽃이 하얗게 필 동안
밤은 세 걸음 이상 물러나지 않는다
벌떼 같은 사람은 잠 들고
침을 감춘 채
뜬소문도 잠 들고
담비들은 제 집으로 돌아와 있다
박꽃이 핀다
물소리가 물소리로 들린다
니체는 차라투스트라의 입을 빌어 “많은 것을 보려면 자기 자신을 놓아버릴 줄 알아야 한다”고 했다. 박꽃은 소음(“벌떼”)과 “뜬소문”과 공격성(“침”)을 다 내려놓은 상태의 고요함을 상징한다. 내 안의 프리즘이 완벽하게 지워진 상태에서 사물과 만날 때 사물의 속이 들여다보인다. 그제야 “물소리가 물소리로” 들리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얼마나 많은 욕망과 소음으로 어지러운가. 박꽃은 담비들도 다 돌아와 제 집에서 잠든 시간에 피어난다. 검은 밤과 흰 박꽃과 물소리로 단순화한 수묵(水墨)의 공간에서 나를 지우고 없는 듯 있기. 싸우지 않고 그냥 존재하기. 신대철 시집 『무인도를 위하여』 수록. <오민석 시인·단국대 교수>
바닷가에 매어둔
작은 고깃배
날마다 출렁거린다
풍랑에 뒤집힐 때도 있다
화사한 날을 기다리고 있다
머얼리 노를 저어나가서
헤밍웨이의 바다와 노인(老人)이 되어서
중얼거리려고
살아온 기적이 살아갈 기적이 된다고
사노라면
많은 기쁨이 있다고
그 흔한 문학상도 별로 받지 못했고 널리 알려지지도 않았지만, 김종삼은 수많은 시인들로부터 오래도록 ‘내밀한’ 사랑을 받아왔다. 그는 순수하고 소박하고 맑고 따뜻하다. 바닷가에 매어진 채 외로이 출렁이는 작은 배 한 척의 풍경이 그대로 김종삼의 모습이다. 그러나 이 풍경에는 삶의 난제(難題)와 희망이 고즈넉하게 들어가 있다. 존재를 송두리째 뒤집어엎는 “풍랑”도 날을 세우지 않고 잔잔하게 그려져 있다. “머얼리 노를 저어” 나가겠다는 포부도 요란하지 않다. “살아온 기적이 살아갈 기적이 된다”는 생각도 허풍스럽지 않다. 그러니 “사노라면/ 많은 기쁨이 있다”는 중얼거림은 얼마나 따뜻하고 아늑한가. <오민석 시인·단국대 교수>
/////////////////////////////////////////////////
동물의 왕국 1
동물계 척추동물문 소파과 의자속 남자 사람, 52
- 권혁웅(1967~ )
소가 트림의 왕이자 이산화탄소 발생기라면
이 동물은 방귀의 왕이자 암모니아 발생기입니다
넓은 거실에 서식하면서 점점 소파를 닮아가고 있죠
중추신경은 리모컨을 거쳐 TV에 가늘게 이어져 있습니다
배꼽에 땅콩을 모아두고 하나씩 까먹는 습성이 있는데
이렇게 위장하고 있다가 늦은 밤이 되면
진짜 먹잇감을 찾아 나섭니다 치맥이라고 하죠
치맥이란 술 취한 조류인데 날지 못하는 녀석입니다
이 동물의 눈은 카멜레온처럼 서로 다른 곳을 볼 수 있죠
지금 프로야구 하이라이트와 프리미어리그를 번갈아 보며
유생 때 활발했던 손동작, 발동작을 회상하는 중입니다
(......)
시는 새로운 렌즈로 세계를 읽는다. 이 시는 ‘고급 동물’인 “남자 사람”의 하루를 코믹하게 건드린다. 세상에, “치맥”이 “술 취한 조류인데 날지 못하는 녀석”이라니. 낄낄거리며 이 시를 읽다 보면 어느덧 “동물의 왕국”에서 지리멸렬한 생애를 보내고 있는 ‘내’가 보인다.<오민석·시인·단국대 영문학과 교수>
[출처] 박꽃/ 신대철 (시가 있는 아침/ 중앙일보 2015.11.12)|작성자 닳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