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는 몇개의 징검돌로 건너가는 것...
2016년 01월 09일 04시 35분  조회:3862  추천:0  작성자: 죽림

묵화(墨畵) /  김종삼 

 


물먹는 소 목덜미에 

할머니 손이 얹혀졌다. 

이 하루도 

함께 지났다고, 

서로 발잔등이 부었다고, 

서로 적막하다고, 

(1969년) 



김종삼(1921~1984) 시인의 시는 짧다. 짧고 군살이 없다. 그의 시는 여백을 충분히 사용해 언어가 잔상을 갖도록 배려했다. 그리고 아주 담담하다. 언어를 우겨넣거나 막무가내로 끌고 다닌 흔적이 없다. 사물과 세계를 대면하되 사물과 세계의 목소리를 나직하게 들려준다. 그의 시를 읽고 있으면 물안개가 막 걷히는 새벽 못을 보고 있는 듯하다. 그의 시를 읽고 있으면 작은 여울에 누군가가 정성스레 놓아 둔 몇 개의 징검돌을 보고 있는 것 같다. 

‘묵화(墨畵)’의 목소리도 자분자분하다. 하루의 노동을 끝내고 막 돌아와 쌀 씻은 쌀뜨물을 먹고 있는 소를 보여준다. 그의 시선은 소의 목덜미에 가 있다. 하루 종일 써레나 쟁기를 끌었을, 멍에가 얹혀 있었을 그 목덜미를 보여준다. 목덜미에는 굳은살이 박였을 것이다. 그리곤 소의 목덜미와 할머니의 손을 교차시킨다. 할머니도 노동을 마치고 돌아와 소와 함께 날이 저무는 저녁을 맞고 있다. 할머니는 겹주름처럼 고랑이 나 있는 밭에 쪼그려 앉아 풀을 뽑고 돌을 캐내고 종일 호미질을 했을 것이다. 시인의 시선은 소와 할머니의 부은 발잔등으로 옮아간다. 부은 발잔등을 보여줄 뿐이지만, 우리는 소와 할머니의 하루가 얼마나 고단했을지 짐작할 수 있다. 

시인이 눈여겨본 대목은 소와 할머니의 관계일 것이다. 소는 할머니를, 할머니는 소를 마주하고 있다. 이 둘 사이에 조용하고 평화롭고 안쓰러운 대화와 유대가 오가고 있다. 낮의 소란과 밤의 정적이 합수(合水)하는 성스러운 시간에 마치 삶이란 본래 비곤하고 외롭고 쓸쓸한 것이라는 듯 소와 할머니는 잠시 멈춰 서로를 바라보고 있다. 그리하여 이 둘의 ‘서로 돌봄’은 훈훈하면서도 슬프다. (우리는 얼마나 이 ‘쓸쓸한 돌봄’을 자주 잊고 사는가) 이 시를 다 읽고 나면 우리는 얼굴 가득 흐뭇하게 피어나던 웃음이 천천히 묽어지는 감정의 변화를 겪게 된다. 본래 삶이란 웃음과 슬픔으로 꿰맨 두 겹의 옷감이라는 듯. 

김종삼 시인은 등산모를 곧잘 썼고 파이프 담배를 자주 물었고 술을 좋아했고 고전음악을 즐겨 들었다. 그에게 삶은 ‘방대한 / 공해 속을 걷는’ 일처럼 여겨졌다. 그는 ‘하늘나라 다가올 때마다 /맑은 물가 다가올 때마다 /라산스카 /나 지은 죄 많아 /죽어서도 /영혼이 /없으리’라며 인간의 원죄를, 불구의 영혼을 아프게 노래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순하고 명랑하고 맘 좋고 인정이 있는’ 사람들과 세상을 좋아하고 동경했다. 그의 시는 말이 적었지만 정직했다. 언어의 낭비가 많고 외화(外華)에 골몰하는 시대를 살수록 언어를 지극히 아껴 쓴, 먹그림같이 실박하게 살다 간 김종삼 시인이 그립다. 

(문태준·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63 중국 몽롱파 시인 - 顧城 2016-12-25 0 4616
1962 해학과 풍자의 시인 - 流沙河 2016-12-25 0 4438
1961 루마니아 작가 - 게오르기우(규)와 산문시 "한국찬가" 2016-12-18 0 5245
1960 영국계 미국 시인 - 오든 2016-12-16 1 6359
1959 페미니즘과 모더니즘의 선구자 - 버지니아 울프 2016-12-16 0 5843
1958 러시아 상징주의 시인 - 기피우스 2016-12-16 0 4205
1957 러시아 녀류시인 -안나 아흐마토바 2016-12-14 0 7967
1956 풍자적, 반어적으로 쓴 허무주의 현실 고발서...페루 시인-벨리 2016-12-14 0 4415
1955 로마 방언 作 "소네트" 2천편 소각하라...이탈리아시인-벨리 2016-12-14 0 4361
1954 한국 시인 피천득과 그의 딸 2016-12-14 1 4028
1953 중국 죽림칠현 대표 시인 - 阮籍 2016-12-13 0 3986
1952 러시아 최고 현대 음유시인 - 부라트 오쿠자바 2016-12-13 0 4655
1951 중국 晩唐의 詞人 - 溫庭筠 2016-12-13 0 4713
1950 중국 詩佛 자연시인 - 王維 2016-12-13 0 4253
1949 프랑스 시인 - 알프레드 드 비니 2016-12-13 0 6060
1948 중국 송대 詞人 - 柳永 2016-12-13 0 4573
1947 중국 "문학의 자각"시인 - 陸機 2016-12-13 0 4029
1946 중국 송대 詞人 - 리청조 2016-12-13 1 4060
1945 대만 시인 - 葉維廉 2016-12-13 0 3635
1944 아일랜드 시인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2016-12-11 1 6652
1943 영국 시인 - D.H 로런스 2016-12-11 0 4899
1942 스페인 시인 - 가르시아 로르카 2016-12-11 0 5553
1941 프랑스 실존주의파 시인 - 장 주네 2016-12-11 0 5141
1940 프랑스 "인민의 시인" - 자크 프레베르 2016-12-11 0 5686
1939 오스트리아 표현주의 시인 - 게오르그 트라클 2016-12-10 0 4947
1938 시인,애독자, 딸 그리고 100년... 2016-12-10 0 5717
1937 100여년 잊혀있던 독일 시인 - 프리드리히 횔덜린 2016-12-10 0 6141
1936 사상 최초, 최고 대서사시를 지은 그리스 시인 - 호메로스 2016-12-10 0 6333
1935 서인도제도 영국령 세인트루시아 시인 - 데릭 월컷(월코트) 2016-12-10 2 7044
1934 페르시아 시인 - 잘랄 앗 딘 루미 2016-12-10 0 6379
1933 러시아 시인 - 브류소프 2016-12-08 0 4018
1932 러시아 시인 - 벨리 2016-12-08 0 5025
1931 러시아 시대의 비극적 테너 시인 - 알렉산드르 블로크 2016-12-08 0 5536
1930 러시아 최후의 "천부적인 재능의 농민시인" - 세르게이 예세닌 2016-12-08 0 6265
1929 독일로 한번도 가본적 없는 유대계 독일 시인 - 파울 첼란 2016-12-07 0 6868
1928 문학예술가, 녀인, 그리고 "뮤즈의 삶" 2016-12-05 0 6365
1927 프랑스 시인 - 폴 엘뤼아르 2016-12-05 0 7851
1926 미국 시인 - 로버트 로웰 2016-12-04 0 5377
1925 영국 계관시인 - 로버트 브리지스 2016-12-04 0 6135
1924 미국 최초의 계관시인 - 로버트 워런 2016-12-04 0 5111
‹처음  이전 4 5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