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쉼터] - 올림픽 뒷이야기
2016년 08월 17일 22시 58분  조회:4224  추천:0  작성자: 죽림

 

 

2016년 리우 올림픽이 개막했다.
올림픽은 전세계인들의 축제의 장이며

 

선수와 국민들이 함께 울고 웃는 축제이다.

 

올림픽에 관해서 이색적인 이야기들을 알아봅시다.

 

"우리나라 올림픽 메달의 '최초'의 역사"

 

"올림픽 감동 실화"

 

"기대되는 올림픽의 선수들"

 

우리나라 올림픽 메달의 '최초' 역사

 

 


 

 

 

대한민국 최초의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누구인지 아시나요?

 

이 감동적인 이야기는 대한민국 해방 이전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1936년의 독일 베를린 올림픽에서

 

마라톤 손기정 선수와 남승룡 선수는 나란히 금메달과

 

동메달을 목에 걸게 됩니다. 많은 분들이 알다시피

 

두 선수는 올림픽 공식 기록에서 국적이 일본으로

 

되어있습니다. 이유는 일제강점기의 시대였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해방 이후에 대한민국 이라는 국가로

 

올림픽의 최초 메달을 딴 선수는

 

누구일까요? 그때는 1948년 영국 런던 올림픽.

 

복싱의 한수안 선수, 역도의 김성집 선수가

 

최초 메달의 주인공이었습니다.

 

두 선수는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이름을 달고

 

첫 출전했던 런던올림픽에서 나란하게

 

우리나라 최초의 동메달을 선물해주었습니다.

 

[사진=자랑스러운 대한민국 복싱의 한수안 선수 경기중]

 

 

당시 올림픽 경험이 없었던 우리나라 선수단 이었지만,

 

역도의 김성집 선수는 두번째 날의 경기에서

 

동메달을 차지하게 되며 올림픽 무대에서

 

최초로 태극기를 휘날리며 다녔습니다.

 

김성집 선수에 이은 복싱에서도 좋은 메달소식이

 

들렸습니다. 바로 복싱 플라이급에서

 

동메달을 따게 된 한수안 선수, 그리고

 

한수안 선수에게는 웃기고도 슬픈 뒷이야기가

 

숨겨져 있었습니다. 경기내내 한수안 선수는

 

이탈리아 반디넬리 선수와 준결승전을 치르던

 

중이었습니다. 당시 양쪽 고막에 부상을 입은

 

한수안 선수는 경기시간을 잘못 듣고서

 

잠을 자다가 경기 시작 전에 허겁지겁

 

출전하게 되었죠. 결과적으로는 판정패를

 

받게되었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 분투해서

 

감격의 동메달을 따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메달을 알게 되었고

 

이쯤되면 대한민국 최초의 금메달과 은메달의 주인공은

 

누구일지 궁금하시지 않나요?

 

최초의 은메달 먼저 알려드리겠습니다.

 

1956년 호주 멜버른 올림픽에서

 

참가했던 복싱 송순천 선수 입니다.

 

당시에 호주 선수들과 겨룬 스파링에서

 

경량급 밖에 안되는 송순천 선수가

 

헤비급 선수를 다운 시켜버린 것은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만들었었죠.

 

송순천 선수는 결승전에서도 좋은

 

페이스로 월등한 실력을 보이면서 우세를

 

이어갔지만, 편파판정으로 인해서

 

판정패를 당하고 말았습니다. 대회 이후에

 

금메달을 딴 독일의 베렌트 선수는

 

송순천 선수에게 말하길,

 

"그 날의 결승전, 당신이 이긴 게임이다."

 

라는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고 합니다.

 

편파판정을 받은 것은 너무 아쉽지만

 

송순천 선수의 은메달은 대한민국

 

우리나라 최초의 은메달로

 

영광스럽게 기록되었습니다.

 

[사진 = 올림픽 당시 송순천 선수]

 

그리고 기대하시던 대한민국

 

우리나라 최초의 금메달의 주인공은 바로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 참가했던

 

레슬링의 양정모 선수 입니다.

 

양정모 선수는 제베그 오이도프(몽골)와

 

존 데이비스(미국) 선수들과 겨뤄서

 

가장 적은 벌점을 받고 금메달을 따냈습니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금메달인 만큼

 

그때의 감동은 정말 상당했다고 합니다.

 

당시에 각 방송사들은 긴급 뉴스로

 

대한민국 금메달 소식을 전하며

 

신문에서는 호외를 발행해서 모든 국민들이

 

우승의 기쁨을 나누었다고 합니다.

 

 

 

 

 

또, 개인종목의 메달 이외에도

 

'특별'한 최초의 메달을 가진 종목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한국여자배구"입니다. 여자배구 대표팀은

 

1976년에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구기종목 최초로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게 되었습니다. 당시에 한국은

 

조혜정, 유경화, 윤영내, 정순옥, 유정혜, 백명선, 변경자

 

선수 등이 주전이 되어서 구기 종목에서의 최초로

 

값진 동메달을 목에 걸었습니다.

 

[사진= 대한민국 88올림픽]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열렸던 1988 서울 올림픽에서는

 

최초의 메달을 거머쥔 종목이 있습니다.

 

바로 기계체조의 세부종목에 속하는

 

'도마'종목 입니다. 도마의 박종훈 선수는

 

국내에서 최초로 개막한 올림픽에서

 

'도마' 최초로 첫 메달을 획득한

 

영광의 주인공이 되었습니다.

 

 

 

올림픽은 영화보다 영화 같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을 기억하시나요?

 

당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게되었던 명승부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여자핸드볼' 결승전 입니다.

 

결승전에서 맞 붙게 된 대한민국 대표팀과

 

덴마크의 대표팀은 본 경기에서 동점을 기록하면서

 

연장전에 또 재연장전 까지 갔습니다.

 

결국 '승부 던지기'를 하게되고 두시간이 넘어가는

 

긴 시간 동안 접전을 펼치게 됐습니다.

 

[사진= 영화 "우리 생에 최고의 순간" 스틸컷]

 

접전끝에 결국 은메달을 따게 됐지만,

 

그 어떤 경기보다도 치열했고 열정적이었던

 

여자핸드볼 대표팀의 투혼은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뜨겁게 만들었습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당시에 국내 핸드볼

 

실업팀수는 덴마크는 1035개

 

대한민국은 고작 5개 였습니다. 훈련 환경이

 

당연히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었던 상황에도

 

불구하고, 여자핸드볼 대표팀 선수들은

 

최고의 승부를 보여주었고 국민들에게

 

뜨거운 감동을 선물 했습니다.

 

 

 

< 올림픽 비인기 종목, 설움을 이긴 '국가대표' >

 

올림픽이 열릴때마다, 뜨거운 관심을 받게되는 선수가

 

있는 반면에, 비인기 종목의 선수들은

 

메달을 따야만 관심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영화 '국가대표'는 동계올림픽에서 비인기 종목이던

 

'스키점프' 선수단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 영화입니다.

 

2002년 동계 올림픽의 유치가 실패하며 스키점프

 

선수단은 해체 되기도 하며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선수들은

 

꿈을 잃지 않았으며, 영화에 보면 나오듯이

 

아르바이트도 병행하면서 훈련비를 벌며

 

열악한 훈련 환경들을 새로운 훈련법으로

 

대체하면서 훈련했다고 하네요. 오직

 

꿈을 이루기 위해서 끝까지 포기안했던

 

선수들의 열정과 집념은 많은 선수들에게

 

감동을 안겨주었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53 윤동주와 그를 빛내게 해준 <<흰 그림자>>들 2016-02-23 0 5120
352 두번 다시 본 영화 "동주" 2016-02-23 0 4492
351 <<368>>,ㅡ 그는 누구인가... 2016-02-21 0 4257
350 큰 어른이 그립다... 2016-02-21 0 4119
349 어제, 영화 "동주" 보다... 2016-02-21 0 3954
348 말은 사라지지만 글자는 영원히 남는다... 2016-02-20 0 3857
347 <<475>>는 바닷물 주사로 생체실험 당하다... 2016-02-19 0 4921
346 기억해야 할 죽음을 위하여 2016-02-19 0 5245
345 바로 지금, 동주를 기억해야 하는 까닭은... 2016-02-19 0 4120
344 역시 잊지 말아야 할 청년문사 - 송몽규 2016-02-19 0 5007
343 윤동주 친구들... 2016-02-19 0 3914
342 영화 <동주>를 보면서 가슴을 정화하기 2016-02-19 0 4094
341 <동주>, 청춘은 언제나 아파왔다... 2016-02-19 0 5416
340 흑백 저비용 영화 <동주> 는 상업성 영화가 아니다... 2016-02-19 0 4899
339 <동주>를 찍기 위해, 동주 묘소 다녀오다... 2016-02-19 0 6063
338 동주에 다 담지 못한 장면;우리가 맞고 있는 주사가 뭡니까... 2016-02-18 0 4176
337 <동주>가 개봉 되다... 2016-02-18 0 3834
336 2월 16일, 오늘, 윤동주 옥사 70번째 기일... 2016-02-16 0 4259
335 빛나던 미완성의 청춘 우리가 기억해야 할 별... 2016-02-16 0 6507
334 땡- <<우표학교>> - 윤동주 우표에 오르다 2016-02-16 0 5786
333 요즘 청춘들이 아무리 아프다 한들, 윤동주만 하겠나... 2016-02-16 0 4308
332 별을 노래한 영원한 청년 시인 윤동주 2016-02-16 0 5351
331 신화가 된 윤동주 2016-02-16 0 4084
330 땡땡!!- 국어시간; - 아이고 머리가 아찔... 2016-02-16 0 3624
329 땡!- 생활상식 93 2016-02-16 0 4205
328 진정한 친구가 그립다... 2016-02-15 0 4554
327 "등대'같은 친구 그립다... 2016-02-14 0 4066
326 땡~ 미술시간 - 색이미지 2016-02-14 0 5175
325 땡! 땡! 땡!- 축구는 서민 스포츠, 축구를 돌려 달라... 2016-02-12 0 4131
324 땡! 땡!- 생일축하의 노래의 어제와 오늘... 2016-02-11 0 4080
323 땡!- 1억파운드짜리 "피의 다이아몬드" 돌려달라!!! 2016-02-11 0 4173
322 영화로 배우는 윤동주 시인 2016-02-10 0 4841
321 영화 '동주'에 시 13편 흐르다... 2016-02-10 0 4299
320 영화 '동주' 이어, 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 예막... 2016-02-10 0 4963
319 영화 '동주'를 기다리며 2016-02-08 0 5646
318 전라도 사투리모음 2016-02-07 1 6664
317 사투리 만만세 7 2016-02-07 0 3916
316 사투리 만만세 6 2016-02-07 0 4450
315 사투리 만만세 5 2016-02-06 0 3900
314 사투리 만만세 4 2016-02-06 0 4170
‹처음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