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의 창으로 넘나드는 시어는 늘 신선해야...
2017년 02월 27일 17시 39분  조회:2283  추천:0  작성자: 죽림

 

 

 

 

돈을 세는 것은 분명 행복한 일일 것이다.
하지만 매일같이 수만 위안어치의 0.1위안~1위안짜리 잔돈을 세야 한다면 과연 행복할까?
쿤밍(昆明, 곤명) 버스회사의 ‘화폐 계수원’들...



 

정호정/수정작품과 단번에 완성한 작품


나는 시를 어림으로 고친다. 무슨 이유로 어떻게 고친다는 이론이나 전문 용어는 잘 모른다.
그러므로 ‘나의 시 이렇게 고쳤다’고 하기보다는 ‘나의 시 이렇게 썼다’고 밝히는 것이 마땅할 것 같다.
시를 완성해 가는 길이라는 동질성에서 감히. 
써 놓은 시에 수정을 가한 것과, 초점이 잘 맞아 단번에 완성할 수 있었던 작품 두 편을 예시하기로 한다.

1
‘능견난사(能見難思)’라는 유기 응기(應器)를 보았다. ‘잘 살펴보고도 보통의 이치로는 추측할 수 없는 일’이라는 뜻을 가진 ‘능견난사’의 정보에 충실하기로 한다.
송광사 박물관 소장. 고려 후기. 전남 유형문화재 제19호. 구경 16.7cm, 높이 4.7cm. 두께 1mm. 송광사 구전에 의하면 금(金)나라의 장종황제의 황후가 쓰러져 기도할 때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사용했던 접시라 한다.
숙종조에 사찰을 중창하며 나라에 진상하였으며, 어떤 대장장이도 그대로 만들어내지 못함에 왕이 어필로 ‘能見難思’라 써 내린 것이 이름이 되었다 한다. 어필은 남아 있지 않다.
송광사 기록에는 500개, 1828년 충청도관찰사 홍석주의 기행문 「여천옹유산록」에서는 50개를 보았다 하나, 지금의 송광사에는 30개가 현존한다.

조계산을 넘어 선암사로 가고 있었다. ‘능견난사’는 내내 나를 따라오고 있었다. 날아갈 듯이 고운 살결에 나의 모습이 어려 있었다. 그것은 나의 별이며 나의 시였다. 조계산의 밤하늘에서 총총히 빛나던, 나의 유년의 별이 아니라, 살아오는 동안에 갈개다 찢긴, 상처자국들 그득한, 빛을 잃은 별이었다. 부득부득 태어나고 있는 나의 시집이 세상에 나와 어떤 수모를 당할지, 많은 좋은 시들 앞에서 얼마나 초라할지 모를 불쌍한 나의 시였다. 

조계산을 넘으며①(초고분) 

능견난사能見難思에서 너를 본다②
(너는 많이 일그러져 있다 
능견난사는 송광사 박물관이 소장한 
방짜유기접시
숙종때 사찰을 중창하며 진상한, 
어떤 장인도 그대로 만들어내지 못해 
왕이 어필로 써서 내렸다는 이름) 
고운 살결에 가장자리를 가는 실금으로 말아올렸다③
(16.7cm의 구경이며 4.7cm의 높이, 1mm의 두께가 
한결같다 차곡차곡 겹쳐진다) 
겹쳐지는 놋쇠덩이를 주무른 망치의 힘을 본다④
스치며 날아앉는 얇은 사의, 
스미는 물소리의, 
깊이 가라앉은 하늘빛의,
유년의 냇가에 구르던 웃음소리의
춤,
춤의 흔적같은 
너의 살결은 뭉쳐 있는가 하면 창이 나려 한다 
돌산이 들판이 아무렇게나 널부러져 있다 

(‘능견난사’에 비치는 나의 너) 
돌각다리 길을 오르며 내릴 때 
내 안에서 이는 물 소리 바람 소리,
갈대의 서걱임마저 나를 깨운다
(누구도 재현하지 못한 신기만이 사랑이 아니라고
잘 생기지 못한 너를 다독인다.) 
쪻괄호는 수정에 필요한 것임.

⑴ ①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지 못하는 제목을 버리고, 구전을 참작하여 ‘누군가 방짜유기접시를 능경난사라 했네’로 개작하였다.
⑵ ②에서 ‘능견난사’를 ‘방짜유기접시’로 수정하였다.
⑶ 구전이나 사실의 서술 또는 군더더기로 여겨지는 괄호 안의 부분을 모두 삭제하였다. 
⑷ ③과 ④의 순서를 바꾸어 놓았다. 

누군가 방짜유기접시를 ‘能見難思’라 했네 (수정분)

방짜유기접시에서 너를 본다 
겹쳐지는 놋쇠덩이를 주무른 망치의 힘을 본다 
고운 살결에 
가장자리를 가는 실금으로 말아올린 
스치며 날아앉는 얇은 사의 
스미는 물소리의 
깊이 가라앉은 하늘빛의 
유년의 냇가에 구르던 웃음소리의 

춤의 흔적같은 
너의 살결은 뭉쳐 있는가 하면 창이 나려 한다 
돌산이 들판이 아무렇게나 널부러져 있다 

돌각다리 길을 오르며 내릴 때 
내 안에서 이는 물소리 바람소리 
갈대의 서걱임마저 나를 깨운다.


고산(孤山)의 세연지(洗然池)는 매우 아름답다. 굴뚝다리로 보(洑)를 삼은 계담(溪潭)으로 물이 소리 없이 스민다. 이리저리 늘어놓은 바위들을 돌며 ㄹ자의 물길을 따라 다시 회수담(回水潭)으로 흐른다. 나는 동산에 떠오르는 달이며, 춤추는 무희의 너울이 잠기는 물을 그려 보기로 하였다. 아무리 그려 보아도 세연지의 아름다움일 뿐 나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나는 세연지의 홍보원이 아니지 않은가.
문득 고요한 물에서 묵묵한 인종이 보였다. 할머니의 할머니로부터 이어온 아름다운, 그것은 바로 나와의 관계였다. 이 여인들의 인종이 고요하게 가라앉아서 모든 힘의 원천이 되고 있었다. 굴뚝다리에서 한바탕씩 갈등이 풀리고 있었다. 울리는 물소리를 즐기고 싶었을지, 물의 갈등을 풀어주고 싶었을지, 굴뚝다리를 놓은 고산의 의도를 내가 헤아릴 필요는 없었다. 나는 다만 물의 입장을 헤아리면 그만이었다.

창으로 넘나드는 자연은 늘 신선하다 

고산은 흐르는 물에 굴뚝다리를 놓아 연못을 만들었습니다
물이 고개를 숙이며 돌틈으로 스며듭니다 
숨을 죽입니다 발뒤꿈치를 듭니다 소리 없이
이리저리 늘어놓은 바위며 배롱나무섬을 돕니다
산에서 흐른 암반 위에서 물은 맑고 고요합니다
맑고 고요한 물의 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으신지요
큰 소리로 외치고 싶은, 서로 얼싸안고 싶은,
목놓아 울고 싶은, 위로받고 싶은,
살아 있음이며 반가움 서러움 고달픔들 

두드리면 통통 소리가 납니다 속이 텅 비어 있습니다
암반 위에 양쪽으로 돌판을 세우고, 다시 돌판으로 덮은,
평소에는 건너다니는 다리가 되고, 물이 넘치면 
폭포가 됩니다

물의 소리에 공명하는, 
모두 다 내어준 이의 가슴입니다
때때로 차오른 나의 갈등이 풀리는 가슴으로 하여 
계담의 물은 늘 아름답습니다.◑

◇정호정 경기 안산 생. 98년 『문학과 창작』 신인상 당선. 시집 『프로스트의 샘』.


====================================================================

 

 

늙는 것의 서러움 ―마광수(1951∼ )

어렸을 때 버스를 타면 길가의 집들이 지나가고
버스는 가만히 서 있는 것처럼 느껴졌었다

어렸을 때 물가에 서면 물은 가만히 있고
내가 흘러가는 것처럼 느껴졌었다

그러나 지금 버스를 타면 집들은 가만히 있고
나만 달려가는 것처럼 느껴진다

지금 물가에 서면 나는 가만히 있고
강물만 흘러가는 것처럼 느껴진다 

 

 

‘인생은 고통과 권태 사이를 오가는 시계추 같다.’ 쇼펜하우어의 이 말을 마광수 에세이에서 처음으로 읽고 크게 공감했던 게 세월을 헤아리기 싫을 만큼 오래전이다. 쇼펜하우어도 그랬을까. 그러니 찰나의 즐거움이나마 악착같이 잡아채자고, 그를 징검돌로 인생의 지겨움을 견뎌 건너자고, 쾌락을 추구했을까. 가장 단순하고 확실한 쾌락은 육체의 쾌감이리라. 마광수가 필화를 겪게 한 성적 판타지를 거침없이 펼친 글들, 말하자면 ‘음란한 묘사’들은 쾌감을 원하는 게 육체의 본성인데 정숙한, 하다못해 정숙한 체하는 게 미덕인 사회에 대한 예의로 그것을 자기 속에 눌러두는 사람들의 숨통을 터주고 싶은 욕망에서 나왔을 테지만, 그의 관능에의 허무적 탐닉을 보여준다. 육체는 즐거워라! 몸뚱이가 닿고 포개짐으로 서로의 체온과 떨림이 스며들고 증폭되는 그 순간만은 존재의 외로움, 허무감이 잊히리.

당신은 숭늉을 좋아하십니까? 나는 달콤하고 짜릿한 ‘환타’를 좋아합니다. 다들 정장 차림인데 혼자 해수욕장인 양 수영팬츠 하나 걸치고 유유해서 점잖은 양반들 입술을 실룩거리게 하던 마광수가 ‘늙는 것의 서러움’이란다. 이제 고통도 쾌락도 덤덤해질 연세이련만 여전히 ‘느끼는’ 그다. 어렸을 때는 세상 이치도 잘 모르고 주의 산만해서 착각과 환상 속에 산다. 그런데 이제 바로 보고 바로 느낀다. 그것이 시인은 도무지 서먹하고 쓸쓸하고 재미없다. 사물과 현상을 곧이곧대로 느끼는 게 영 이물스러운, 이 이상한 감각이 다 늙어서 생긴 거라고 서러워하는 시인이다. 보아하니 나라는 존재에 아랑곳없이 세상 돌아가고 세월이 흘러가누나. 도취도 상상도 멀어진 노년의 우수가 찰랑찰랑 와 닿는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70 바다에 뛰여들는 양떼가 되지말기... 2019-01-20 0 3097
136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로수 2019-01-19 0 3219
1368 윤동주의 시 8개국 언어로 번역되다... 2019-01-19 0 3450
1367 윤동주와 "해바라기" 2019-01-17 0 4109
136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바라기 얼굴 2019-01-17 0 3841
1365 윤동주와 "귀뚜라미" 2019-01-14 0 6428
1364 "어린이를 내려다보지 마시고 쳐다보아 주시오" 2019-01-14 0 3402
136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귀뚜라미와 나와 2019-01-14 0 3648
13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빛, 바람 2019-01-13 0 3385
1361 [그것이 알고싶다] - "상어가족"탄생기... 2019-01-13 0 3739
1360 [그것이 알고싶다] - 동요 "아기상어"... 2019-01-13 0 5066
135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애기의 새벽 2019-01-13 0 3480
135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짓부리 2019-01-12 0 3438
1357 윤동주와 "반디불" 2019-01-12 0 4754
1356 리상화 / 반디불 2019-01-12 0 3098
135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반디불 2019-01-11 0 3368
13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만돌이 2019-01-11 0 3110
13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줌싸개지도 2019-01-09 0 3424
1352 우리의 시랑송도 늘 생활속과 함께라면... 2019-01-09 0 2904
1351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랑송"을 어떻게 할가ㅠ... 2019-01-09 0 3274
1350 윤동주와 "참새" 2019-01-08 0 3699
134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참새 2019-01-08 0 3396
134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2) 2019-01-06 0 2903
134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행기 2019-01-06 0 2947
134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자루 2019-01-01 0 2849
134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후의 구장(球場) 2018-12-29 0 2780
1344 만화로 보는 윤동주와 정병욱 2018-12-29 0 3055
1343 윤동주와 백영(白影) 2018-12-29 0 3061
1342 우지강아, 네가 말해다오... 2018-12-26 0 3541
1341 서로 누워있는 자리는 달랐어도 같은 꿈을 꾸었으리... 2018-12-26 0 3330
1340 세계 문호들의 "참회록" 2018-12-24 0 2775
1339 "일본의 윤동주" - 마키무라 고 2018-12-24 0 2896
1338 ... 2018-12-23 0 2687
1337 동주, 그는 죽지 않았다... 2018-12-23 0 2664
1336 ... 2018-12-21 0 3398
1335 윤동주와 영화 "동주" 그리고 그의 시 15편 2018-12-21 0 2902
133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종달새 2018-12-21 0 3589
1333 ... 2018-12-20 0 2950
1332 ... 2018-12-20 0 2695
1331 ... 2018-12-20 0 2851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