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반디불
2019년 01월 11일 22시 51분  조회:3523  추천:0  작성자: 죽림

 

                          

 

반디불  /윤동주

 

가자, 가자, 가자,

숲으로 가자.

달쪼각을 주으러

숲으로 가자.

 

그믐달 반디불은

부서진 달쪼각

 

가자, 가자, 가자,

숲으로 가자.

달쪼각을 주으러

숲으로 가자.

 

 

 

 


맑은 영혼의 시심으로 우리 민족은 물론 일본의 사람들에게까지 널리 사랑받고 있는 윤동주 시인. 그가 본격적인 시를 쓰기에 앞서 여러 편의 동시를 쓰고 발표도 했다고 한다. 윤동주 동시집 『산울림』이 출간되어 그의 동시를 반갑게 읽었다. 동시「반딧불」은 윤동주의 시「또 다른 고향」의 어투를 연상케 하는 작품이다. 여름날 그믐밤의 반딧불이 어둠 속을 날아다니는 풍경을 3연 10행으로 짧게 노래한 이 동시는 간단하다. 그러나 1연과 3연이 단순 반복으로 된 이 동시가 갖는 의미는 그리 간단하지가 않다. 두 번이나 반복된 “달 조각을 주우러/숲으로 가자”는 것이 시의 핵심적인 내용이지만, 시 창작의 시발(始發)은 “그믐밤 반딧불은/부서진 달 조각”이라고 본 2연에 있다. 사물을 새롭게 보는 데서 모든 창작의 첫 출발이 이루어진다. 한 달의 마지막 날인 그믐밤은 달이 없어 깜깜한 밤이다. 깜깜한 밤하늘을 날아다니는 반딧불은 부서진 달 조각이니 동무들아 저 달 조각을 주우러 숲으로 가자, 가자고 시적 화자는 노래한다. 달 없어 깜깜한 그믐밤의 이면적(裏面的) 의미는 무얼까? 또 달 조각을 주우러 숲으로 “가자, 가자, 가자,”는 윤동주 시인의 외침은 무얼 의미하는 것일까? 나는 일제 식민지 시대 순결하게 살아가고자 노력했던, 그리하여 끝내 민족의 식민지 상황을 외면하지 못하여 후쿠오카(福岡) 형무소에서 외롭게 죽어간 윤동주의 삶과 연관지어 이 시를 자꾸 읽게 된다. 어두울수록 더욱 빛나는 밤하늘의 별처럼 식민의 시대에 순결한 삶을 지키려했던 젊은 영혼의 몸부림으로 남은 그의 시편들은 우리 민족의 마음속에 솟아난 별이다.

-이종암(시인)

 

///경북매일신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70 바다에 뛰여들는 양떼가 되지말기... 2019-01-20 0 3286
136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로수 2019-01-19 0 3402
1368 윤동주의 시 8개국 언어로 번역되다... 2019-01-19 0 3664
1367 윤동주와 "해바라기" 2019-01-17 0 4345
136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바라기 얼굴 2019-01-17 0 4056
1365 윤동주와 "귀뚜라미" 2019-01-14 0 6680
1364 "어린이를 내려다보지 마시고 쳐다보아 주시오" 2019-01-14 0 3558
136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귀뚜라미와 나와 2019-01-14 0 3842
13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빛, 바람 2019-01-13 0 3497
1361 [그것이 알고싶다] - "상어가족"탄생기... 2019-01-13 0 3889
1360 [그것이 알고싶다] - 동요 "아기상어"... 2019-01-13 0 5277
135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애기의 새벽 2019-01-13 0 3604
135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짓부리 2019-01-12 0 3594
1357 윤동주와 "반디불" 2019-01-12 0 4941
1356 리상화 / 반디불 2019-01-12 0 3223
135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반디불 2019-01-11 0 3523
13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만돌이 2019-01-11 0 3278
13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줌싸개지도 2019-01-09 0 3559
1352 우리의 시랑송도 늘 생활속과 함께라면... 2019-01-09 0 3032
1351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랑송"을 어떻게 할가ㅠ... 2019-01-09 0 3457
1350 윤동주와 "참새" 2019-01-08 0 3891
134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참새 2019-01-08 0 3528
134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2) 2019-01-06 0 3002
134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행기 2019-01-06 0 3084
134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자루 2019-01-01 0 3116
134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후의 구장(球場) 2018-12-29 0 2901
1344 만화로 보는 윤동주와 정병욱 2018-12-29 0 3193
1343 윤동주와 백영(白影) 2018-12-29 0 3233
1342 우지강아, 네가 말해다오... 2018-12-26 0 3660
1341 서로 누워있는 자리는 달랐어도 같은 꿈을 꾸었으리... 2018-12-26 0 3456
1340 세계 문호들의 "참회록" 2018-12-24 0 2877
1339 "일본의 윤동주" - 마키무라 고 2018-12-24 0 2992
1338 ... 2018-12-23 0 2801
1337 동주, 그는 죽지 않았다... 2018-12-23 0 2826
1336 ... 2018-12-21 0 3561
1335 윤동주와 영화 "동주" 그리고 그의 시 15편 2018-12-21 0 3094
133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종달새 2018-12-21 0 3789
1333 ... 2018-12-20 0 3132
1332 ... 2018-12-20 0 2816
1331 ... 2018-12-20 0 2955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