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양귀비가 려지(茹枝)를 즐겨 먹다...
2018년 01월 24일 01시 35분  조회:3357  추천:0  작성자: 죽림
 
[역사의 베일 벗기기] 당나라 양귀비는 정말 신선한 여지를 즐겨 먹었을까?
양귀비


 
                                                                                  [인민망 한국어판 1월 19일] 중당(中唐)과 만당(晚唐)의 교차 시기에 유명한 시인 두목(杜牧)은 유명한 시 <과화청궁(過華淸宮)>에서 ‘장안에서 돌아보니 비단을 쌓아 놓은 듯하고, 산꼭대기의 수많은 문들이 차례로 열리는구나. 질주하는 말이 일으키는 먼지를 보고 귀비가 웃네, 여지(荔枝)가 실려 온 줄은 아무도 모른다네’라고 썼다. 두목의 시구는 양옥환(楊玉環)이 여지를 즐겨 먹었고, 당현종(玄宗)이 귀비의 환심을 사기 위해 역마를 시켜 여산(驪山) 화청궁으로 여지를 운송하던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사료 기재에 의하면 당현종은 겨울과 봄에 여산의 화청궁에만 머물렀다. 하지만 겨울과 봄은 여지가 아직 익지 않았을 때였다. 진인각(陳寅恪)은 <원백시전정고(元白詩箋証稿)>에서 ‘당대의 신빙성 있는 자료에 의하면 시간, 공간적으로 당현종과 귀비가 여름에 여산에 같이 있기가 쉽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다.

즉 양귀비는 겨울에 여산에서 여지를 먹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녀는 여름에는 신선한 여지를 먹었을까?

<신당서•후비•양귀비전(新唐書•后妃•楊貴妃傳)>의 기록에 의하면 ‘귀비는 여지를 아주 좋아해서 먹고 싶어 할 때는 말들이 수천 리 떨어진 곳에서 맛이 변하기 전에 장안으로 운송해 왔다’라고 적혀 있다. 믿을지 말지는 양귀비가 먹었다는 여지가 어디에서 ‘공수’된 것인지를 보면 된다.

예로부터 조정에 여지를 진상한 산지는 영남(嶺南)과 부주(涪州) 두 곳이라는 설이 있다. 영남은 중국 오령(五嶺) 이남의 지역을 말한다. 당나라 이조(李肇)가 쓴 <국사보(國史補)>에는 ‘촉지[蜀地: 지금의 사천(四川)성 일대]에서 태어난 양귀비는 여지를 좋아했다. 남해(南海)의 여지가 촉지의 것보다 더 맛있었다. 그래서 해마다 진상하게 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 사료에서 말하는 남해란 당시의 남해군, 즉 오늘의 광주(廣州) 경내를 말한다. 하지만 당나라 시대에 빠른 말로 여지를 운송한다 하더라도 영남에서 장안까지는 5-10일은 걸렸을 것이다.

조정에 진상하는 여지는 부주에서 온 것일 가능성도 있다. 부주는 현재의 중경(重慶) 부릉(涪陵)이다. 양귀비는 어릴 때 촉지에서 자랐다. 그녀는 여름에 고향에서 먹던 여지를 먹고 싶어 했을 것이다. 부주에서 장안[長安: 지금의 섬서(陝西)성 서안(西安)시]까지는 약 1,000km로 영남에서 장안까지 거리의 반밖에 되지 않는다. 현지의 지방지에는 ‘양귀비는 여지를 좋아했다. 부릉에서 출발해 달주(達州)를 경유해 서향(西鄉)을 지나고 자오곡(子午谷)으로 가서 장안까지 3일만에 도착해 여지의 색과 향기가 변하지 않았다’고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양귀비가 여름에 신선한 여지를 먹었다면 광주나 중경에서 가져왔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장안에서 더 가까운 중경에서 운반하더라도 족히 3일은 걸린다.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는 ‘여지는 가지를 떠나 하루면 색이 변하고, 이틀이면 향이 변하고, 삼일이면 맛이 변하고, 사오일이 지나면 색, 향, 맛이 다 상한다’라고 적었다. 촉지 지방지에 기재된 ‘장안까지 겨우 3일이 걸렸고, 색과 향이 모두 변하지 않았다’는 상황이 정말 존재했을까?

만약 존재한다면 양귀비가 먹은 여지는 신선도 유지 처리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 당나라 때 여지의 운송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신선도를 유지했을 것으로 보인다.

1. 밀랍처리(waxing)

<수서•오행지(隨書•五行志)>에는 ‘수(隋)나라 문제(文帝)는 귤을 좋아했다. 황귤을 따서 밀랍으로 밀봉해 황제에게 바쳤다. 며칠이 지나도 변함없이 신선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방법은 아직까지 사용되는 과일 보관방법이다. 과일에 밀랍을 바르면 표면에 얇은 막이 형성되면서 과일과 공기의 접촉을 차단해 과일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줄이고 과일의 호흡작용을 낮추므로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당나라 시대의 여지도 수나라 때의 이 방법에 따라 보관했을 가능성이 크다.

2. 죽통에 보관하기

<광군방보(廣群芳譜)>에는 ‘시골 사람들은 늘 신선한 대나무 숲에서 큰 대나무를 잘라 여지를 그 안에 넣고 죽순 껍질로 진흙을 싸서 틈새를 막고 신선하게 보관한다”고 기록돼 있다.

3. 나무 그루 옮겨심기

송(宋)나라 양극가(梁克家)는 <(순희) 삼산지[(淳熙)三山志]>에 송나라 휘종(徽宗) 연간에 진상하는 사람이 복건의 여지 나무를 경성 개봉(開封)으로 옮겨와 심었다고 적었다. 하지만 이는 송나라 시대의 이식기술이다. 당나라 시대에 존재했었는지는 사료 기록에 없다.

따라서 양귀비는 촉지에서 운송해 온 신선 기술로 보존된 신선한 여지를 먹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겨울에 화청궁에서 양귀비가 온천을 하면서 신선한 여지를 먹었다는 것은 존재하지 않았을 공산이 크다. (번역: 이인숙)

///CCTV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33 [별의별] - 개해에 개같이 놀아보쟈... 2018-02-28 0 3024
2032 [말,말,말] - "냅시다" "합시다" "오래 앉으십시오"... 2018-02-28 0 2841
2031 [이런저런] - 술친구와 "저승친구" 2018-02-28 0 2994
2030 [민속놀이] - 쥐불놀이 / 버들강아지 2018-02-28 0 4918
2029 [그것이 알고싶다] - '앉아서 일하기'와 '서서 일하기' 2018-02-28 0 4451
2028 [력사속 숨은 그때 그 사람] - 애국 건축왕 = 鄭世權 2018-02-28 0 3208
2027 [그것이 알고싶다] - "말과 글은 홀로 서는 특별한 빛"... 2018-02-28 1 3143
202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난민" 사자,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2-28 0 4613
202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강변 란개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2-28 0 4717
2024 [쉼터] - 중국 룡춤, 사자춤, 양걸춤... 2018-02-27 0 5435
2023 [쉼터] - 아세아에서 가장 큰 폭포 = 덕천폭포 2018-02-27 0 4938
2022 [타산지석] - 윤동주, 리육사 원고 문화재로... 2018-02-27 0 3377
2021 [쉼터] - 겨울철 백두산 구경 오이소... 2018-02-27 0 3018
202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명태야, 어서 빨리 무럭무럭 자라거라 2018-02-27 0 4299
201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물고기 떼죽음,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2-27 0 4672
201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호랑이야, 맘껏 뛰여놀아라... 2018-02-27 0 4246
2017 [구문뉴우스] - 두만강수석박물관 이모저모 2018-02-27 0 5611
2016 [60청춘 닐리리] - 꿈이 있는 인생, 꿈을 실현하는 인생... 2018-02-26 0 2773
2015 [60청춘 닐리리] - "인품은 수집품보다 더 중하다..." 2018-02-26 0 3057
2014 [쉼터] - *2022 북경에서 만나요... 2018-02-26 0 3019
2013 [통일스포츠]- 눈물 닦아내고 다시 "거북이의 첫걸음"부터... 2018-02-26 0 4654
2012 [쉼터] - 철새들아, 또 언제 오려나... 2018-02-26 0 4678
2011 [록색문학평화주의者]-새들의 방음벽 충돌,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2-26 0 4150
2010 [그것이 알고싶다] - 경기장 하늘가에 뜬 빛그림 어떻게?... 2018-02-26 0 3736
2009 [그것이 알고싶다] - 강아지 우주려행 하다... 2018-02-26 0 4572
2008 [동네방네] - 독수리, "드론 사냥"한다?... 글쎄...?! 2018-02-26 0 4371
2007 동서양을 잇는 중계자 역할을 한 음악가 - 윤이상 2018-02-26 0 5211
2006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 23년만에 고향 오다... 2018-02-26 0 4394
2005 [이런저런] - "평화 + 사랑" = 꽈당... 2018-02-26 0 2961
2004 [동네방네] - 찰떡아, 찰떡아, 나와 놀쟈... 2018-02-26 0 2641
2003 [이런저런] - "8년간 복무"하고 무지개다리를 건느다... 2018-02-26 0 4678
2002 [이런저런] - 개보다 못한 강도들과 개보다 더 이상인 "영웅견" 2018-02-26 0 5012
2001 [이런저런] - 꽁꽁 얼다... 사르르 녹다... 2018-02-26 0 2891
2000 [이런저런] - 10억, 9년, ... 2018-02-25 0 5086
1999 [그것이 알고싶다] - 지신(地神)밟기의 유래?... 2018-02-22 0 5549
1998 [별의별] - 남자와 녀자와 "1000분의 1초" 2018-02-22 0 3225
1997 [그것이 알고싶다] - 초(秒)?... 2018-02-22 0 2999
1996 [동네방네] - 동계올림픽과 20년만에 공동 금메달 2018-02-22 0 4993
1995 [이런저런] - 올림픽과 "찰나"와 시간의 의미 2018-02-22 0 3094
1994 [그것이 알고싶다] - 올림픽과 "1000분의 1초"와 금메달 2018-02-22 0 3613
‹처음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