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흰 그림자
2018년 07월 06일 04시 41분  조회:3585  추천:0  작성자: 죽림

흰 그림자 

윤동주

 

 

 

황혼이 짙어지는 길모금에서

하루 종일 시들은 귀를 가만히 기울이면

땅거미 옮겨지는 발자취 소리,

1연 : 외부 세계의 응시(배경)

 

발자취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나는 총명했던가요.

2연 : 현실에 대한 무지의 자각(반성)

 

이제 어리석게도 모든 것을 깨달은 다음

오래 마음 깊은 속에

괴로와하던 수많은 나를

하나 둘, 제 고장으로 돌려 보내면

거리 모퉁이 어둠속으로

소리없이 사라지는 흰 그림자,

3연 : 자각을 통한 부정적 요소의 정화

 

흰 그림자들

연연히 사라지는 흰 그림자들,

내 모든 것을 돌려 보낸 뒤

허전히 뒷골목을 돌아

황혼처럼 물드는 내 방으로 돌아오면

4연 : 내면 정리를 통한 긍정적 자아의 회복

 

신념이 깊은 의젓한 양처럼

하루 종일 시름없이 풀포기나 뜯자.

5연 : 순수한 삶의 실천 다짐(의지)

 

 

 

 

 

 

■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고백(독백)적, 의지적, 상징적

•어조 : 내적 성찰의 차분한 의지적 어조

•구성 : 1연 : 외부 세계의 응시(배경)

2연 : 현실에 대한 무지의 자각(반성)

3연 : 자각을 통한 부정적 요소의 정화

4연 : 내면 정리를 통한 긍정적 자아의 회복

5연 : 순수한 삶의 실천 다짐(의지)

•주제 : 순수한 자아의 회복을 통한 순교자적 삶의 실천 의지

 

 

■ 시구 연구

▫ 황혼이 짙어지는 길모금에서 : 자아 성찰의 시간 / 배경 - 압박하여 오는 현실(밤)

▫ 하루 종일 시들은 귀를 가만히 기울이면 : 절망적인 현실에 지친 화자의 모습 비유

▫ 땅거미 옮겨지는 발자취소리,: 시간의 청각적 형상화(어둠 - 부정적 현실의 도래)

▫ 발자취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 시대 현실을 예민하게 파악하지/듣지 못 했던

▫ 나는 총명했던가요.: 현재 자신의 무지에 대한 부끄러운 자성

▫ 이제 어리석게도 모든 것을 깨달은 다음 : 어리석음 → 깨달음(성찰과 확인/총명)

▫ 오래 마음 깊은 속에 /괴로워하던 수많은 나를 : 내적 갈등과 번민의 시간 (과거 → 현재)

▫ 하나, 둘 제 고향으로 돌려보내면 : 부끄러운 과거를 정리하는 자기 정화 행위

▫ 거리 모퉁이 어둠 속으로 /소리 없이 사라지는 흰 그림자, : 어둠(무거움)→정화→흰(가벼움) : 부정적 자아의 소멸

  * 참회록 :(거울을 닦으면)‘어느 운석(隕石)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 슬픈 사람의 뒷모양’과 유사 이미지

 

▫ 흰 그림자들 :‘연(행간) 걸침’을 통해 애착, 미련을 보여 줌

▫ 연연히 사랑하던 흰 그림자들,: 사랑했던 모든 것(별 헤는 밤의 그리운 대상과 유사함으로 이해 가능)

▫ 내 모든 것을 돌려보낸 뒤 : 마음의 정리(정화 의식)

▫ 허전히 뒷골목을 돌아 : 약간의 미련/갈등이 남아 있음(허전히)/뒷골목-어두운 현실의 통로

▫ 황혼처럼 물드는 내 방으로 돌아오면 : 외부와 차단된 내적, 안정적 공간

▫ 신념이 깊은 의젓한 양처럼 : 순수이미지 / 속죄양 이미지(희생의 각오)

▫ 하루 종일 시름없이 풀포기나 뜯자. 신념을 지키고 실천하며 순수하게 살아갈 것을 다짐

→종교적 신앙으로 안정을 찾으며, 다가올 부정적 미래(체포, 죽음 등)를 담담히 기다리겠다는 순교자적 삶의 자세

 

 

 

■이해와 감상

 

▱시간의 이미지

이 시는 ‘황혼’이라는 저녁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이다. 일반적으로 ‘저녁’은 낮과 밤의 사이에 놓인 시간으로 ‘삶’과 ‘죽음’의 경계선을 상징한다. 동경 유학 시절의 끝자락에서 화자는 점점 조여 오는 일경의 감시와 구금의 눈초리를 피하고 있던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러한 ‘황혼의 시간’은 자신의 불안한 운명과 함께 행복했던 과거와 부정적 현실 사이에 놓인 자신을 냉철하게 뒤돌아보게 하는 성찰의 시간으로서 작동한다.

 

 

▱공간의 이미지

‘뒷골목’으로 길게 이어진 통로를 통하여 화자는 ‘내 방’으로 돌아온다. ‘뒷골목’은 ‘가난’의 의미도 있겠지만, 유학생이던 시인에게는 쉽게 동화되지 못하는 일본 동경의 낯선 곳이며(타향, 타국의 속성) 어둡고 냉혹한 부정적 현실, 감시를 피해야하는 불안한 공간의 의미로 다가왔을 것이다. 거기에다가 황혼의 발자취 소리(시간의 청각화)가 겹치면서 ‘쫓기는 자’의 불안과 초조의 심리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심리와 현실에서 단절되면서 오롯이 자아에 침잠할 수 있는 공간이 ‘방’으로 제시되어 있다. 윤동주의 대부분의 작품이 ‘부끄러움’과 ‘내적 성찰’, ‘반성’을 기조로 하고 있다고 말 하듯이, 이 작품에서도 ‘방’은 그러한 기능을 하는 곳으로 형상화 되고 있다.

또한 이 작품에서 ‘방’은 단순한 ‘성찰의 공간’을 넘어서서 ‘부활’의 공간으로 격상되는 의미를 첨가해야 한다. 새로운 ‘나’로 태어나는, 거룩한 순교자적 의지로 ‘부활’하는 종교적 공간이기 때문이다.

 

 

▱‘버림’을 통한 ‘거듭 남’의 종교적 세계 / 정화 의식

이 작품은 ‘황혼’의 ‘땅거미의 발자취’가 들리는 시간에 ‘오래 마음 깊은 속에 /괴로워하던 수많은 나를 /하나, 둘 제 고향으로 돌려보내면’서 ‘거리 모퉁이 어둠 속으로 /소리 없이 사라지는 흰 그림자,’를 바라보며 전송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검은 그림자’가 ‘흰 그림자’로 변화하는 과정에는 ‘버림’이라는 자기 정화 의식이 개재되어 있다. 수많은 외적, 내적 갈등을 관조를 통하여 성찰하고, 심지어 사랑하는 것들까지 이를 정리하고 버림으로서 내적, 정서적 안정을 성취하는 내용을 통해 ‘(무겁고 어두운) 그림자 →(가볍고 밝은) 흰 그림자 →(순수, 종교적)양’으로 승화, 발전되는 단계를 이해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부정적 현실 속의 자아(검은 그림자) →각성된 긍정적 자아(흰 그림자)→세속과의 단절을 통한 종교적 승화(풀포기 뜯는 순수한 자아= 양)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윤동주 시인이 현실의 고통을 종교적 신념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기독교적 신앙을 통해 ‘미성숙(무지’)에서 ‘성숙(총명)’으로, 더 나아가 ‘종교적 실천(순교자)’으로까지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를 담은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


흰 그림자 

                                                                           윤동주

 

황혼이 짙어지는 길모금에서    자아 성찰의 시간 / 배경 - 압박하여 오는 현실(밤)

하루 종일 시들은 귀를 가만히 기울이면  절망적인 현실에 지친 화자의 모습 비유

땅거미 옮겨지는 발자취소리, 시간의 청각적 형상화(어둠 - 부정적 현실의 도래)

 

 

 

발자취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시대 현실을 예민하게 파악하지/듣지 못 했던

나는 총명했던가요.   현재 자신의 무지에 대한 부끄러운 자성

 

 

 

이제 어리석게도 모든 것을 깨달은 다음  어리석음 → 깨달음(성찰과 확인/총명)

오래 마음 깊은 속에 

괴로워하던 수많은 나를  내적 갈등과 번민의 시간 (과거 → 현재)

하나, 둘 제 고향으로 돌려보내면  부끄러운 과거를 정리하는 자기 정화 행위

거리 모퉁이 어둠 속으로 

소리 없이 사라지는 흰 그림자, 어둠(무거움)→정화→흰(가벼움) : 부정적 자아의 소멸

  * 참회록 :(거울을 닦으면)‘어느 운석(隕石)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 슬픈 사람의 뒷모양’과 유사 이미지

 

 

 

흰 그림자들  ‘연(행간) 걸침’을 통해 애착, 미련을 보여 줌

연연히 사랑하던 흰 그림자들, 사랑했던 모든 것(별 헤는 밤의 그리운 대상과 유사함으로 이해 가능)

내 모든 것을 돌려보낸 뒤  마음의 정리(정화 의식)

허전히 뒷골목을 돌아  약간의 미련/갈등이 남아 있음(허전히)/뒷골목-어두운 현실의 통로

황혼처럼 물드는 내 방으로 돌아오면 외부와 차단된 내적, 안정적 공간

 

 

 

신념이 깊은 의젓한 양처럼  순수이미지 / 속죄양 이미지(희생의 각오)

하루 종일 시름없이 풀포기나 뜯자. 신념을 지키고 실천하며 순수하게 살아갈 것을 다짐

                   (1942.4.14)        →종교적 신앙으로 안정을 찾으며, 다가올 부정적 미래(체포, 죽음 등)를

                                                         담담히 기다리겠다는 순교자적 삶의 자세

 

 

 

 

◈<감상과 이해>◈

 

 

* 시간의 이미지

 

이 시는 ‘황혼’이라는 저녁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이다. 일반적으로 ‘저녁’은 낮과 밤의 사이에 놓인 시간으로 ‘삶’과 ‘죽음’의 경계선을 상징한다. 동경 유학 시절의 끝자락에서 화자는 점점 조여 오는 일경의 감시와 구금의 눈초리를 피하고 있던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러한 ‘황혼의 시간’은 자신의 불안한 운명과 함께 행복했던 과거와 부정적 현실 사이에 놓인 자신을 냉철하게 뒤돌아보게 하는 성찰의 시간으로서 작동한다.

 

 

* 공간의 이미지

 

‘뒷골목’으로 길게 이어진 통로를 통하여 화자는 ‘내 방’으로 돌아온다. ‘뒷골목’은 ‘가난’의 의미도 있겠지만, 유학생이던 시인에게는 쉽게 동화되지 못하는 일본 동경의 낯선 곳이며(타향, 타국의 속성) 어둡고 냉혹한 부정적 현실, 감시를 피해야하는 불안한 공간의 의미로 다가왔을 것이다. 거기에다가 황혼의 발자취 소리(시간의 청각화)가 겹치면서 ‘쫓기는 자’의 불안과 초조의 심리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심리와 현실에서 단절되면서 오롯이 자아에 침잠할 수 있는 공간이 ‘방’으로 제시되어 있다. 윤동주의 대부분의 작품이 ‘부끄러움’과 ‘내적 성찰’, ‘반성’을 기조로 하고 있다고 말 하듯이, 이 작품에서도 ‘방’은 그러한 기능을 하는 곳으로 형상화 되고 있다.

 

또한 이 작품에서 ‘방’은 단순한 ‘성찰의 공간’을 넘어서서 ‘부활’의 공간으로 격상되는 의미를 첨가해야 한다. 새로운 ‘나’로 태어나는, 거룩한 순교자적 의지로 ‘부활’하는 종교적 공간이기 때문이다.

 

 

* ‘버림’을 통한 ‘거듭 남’의 종교적 세계 / 정화 의식

 

이 작품은 ‘황혼’의 ‘땅거미의 발자취’가 들리는 시간에 ‘오래 마음 깊은 속에 /괴로워하던 수많은 나를 /하나, 둘 제 고향으로 돌려보내면’서 ‘거리 모퉁이 어둠 속으로 /소리 없이 사라지는 흰 그림자,’를 바라보며 전송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검은 그림자’가 ‘흰 그림자’로 변화하는 과정에는 ‘버림’이라는 자기 정화 의식이 개재되어 있다. 수많은 외적, 내적 갈등을 관조를 통하여 성찰하고, 심지어 사랑하는 것들까지 이를 정리하고 버림으로서 내적, 정서적 안정을 성취하는 내용을 통해 ‘(무겁고 어두운) 그림자 →(가볍고 밝은) 흰 그림자 →(순수, 종교적)양’으로 승화, 발전되는 단계를 이해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부정적 현실 속의 자아(검은 그림자) →각성된 긍정적 자아(흰 그림자)→세속과의 단절을 통한 종교적 승화(풀포기 뜯는 순수한 자아= 양)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윤동주 시인이 현실의 고통을 종교적 신념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기독교적 신앙을 통해 ‘미성숙(무지’)에서 ‘성숙(총명)’으로, 더 나아가 ‘종교적 실천(순교자)’으로까지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를 담은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 사족(蛇足)

 

‘내 모든 것을 돌려보낸 뒤 /허전히 뒷골목을 돌아’와 ‘하루 종일 시름없이 풀포기 뜯자.’에 대하여

 

 

앞에서 모든 것을 버림으로써 정신적 성숙과 순수한 긍정적 자아를 획득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흐름으로 볼 때 ‘허전히’는 완전한 버림을 성취하지 못했음을 드러내고 있다. 약간의 미련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마지막 연의 조사 ‘-나’의 쓰임도 어색하다. 차라리 ‘-를’을 사용했다면, 시의 흐름에 맞게 의지를 강조하면서 더욱 자연스러워졌을 것이다. ‘-나’는 의지보다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거나 ‘체념’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사의 선택 때문에 바로 앞 행의 ‘신념이 깊은 의젓한 양처럼’은 가장(假裝)의 거짓 자세처럼 읽힐 수도 있다. 그래서 체포, 투옥되기 직전에 쓰인 ‘초 한 대’와 함께 이 작품은 자신의 운명을 예감한 ‘불안한 심리’를 내면에 감추고 있으면서도 ‘순교자의 삶’을 살겠다고 마무리하지만, ‘체념, 포기’의 심정이 배면에 깔려 있다는 독법도 가능한 것이다.

 

물론 ‘-나’를 ‘마음 놓고 자유롭게, 평화롭게’의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나는 후자에 방점을 찍고 싶다. 그러나 시는 가능하면 명확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중의성을 띠면서 시어의 함축적 의미가 다양하게 확산되는 것은 시의 특성상 이해할 수 있지만, 이 작품의 조사처럼 정 반대의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여 독자들에게 혼란을 주는 것은 시인의 잘못된 글쓰기 점검의 결과 나타나는 결점이기 때문이다.

 

 

◈ 작품 개관 ◈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고백(독백)적, 의지적, 상징적

* 어조 : 내적 성찰의 차분한 의지적 어조

 

* 구성 : 1연 : 외부 세계의 응시(배경)

            2연 : 현실에 대한 무지의 자각(반성)

            3연 : 자각을 통한 부정적 요소의 정화

            4연 : 내면 정리를 통한 긍정적 자아의 회복

            5연 : 순수한 삶의 실천 다짐(의지)

 

* 주제 : 순수한 자아의 회복을 통한 순교자적 삶의 실천 의지

 


======================


여태까지 읽어본 윤동주의 모든 시에서는 과거에 대한 그리움현재의 자신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과 미래를 대하는 자신의 태도를 발견했었습니다이번에 읽은 [흰 그림자에서도 현실에서의 적막한 느낌과 함께 아름답고 행복했던 과거를 회상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황혼이 짙어지는 길모금하루 종일 시들은 귀발자취소리는 읽는 저로 하여금 이미 현실에 피곤하고 지친 화자를 떠오르게 했습니다자신이 총명했었는지 스스로에게 물으며 모든 것을 깨닫는 화자의 모습은 무척이나 괴롭고 힘들어 보였습니다그렇다면 수많은 화자 자신을 고장으로 돌려보내고 나서야 어둠 속으로 사라지는 흰 그림자는 과연 무엇일까 생각해봤습니다화자의 주변에는 어둠이 다가오기 전 찾아오는 황혼발자취소리와 같이 어두운 것 밖에 없는데화자가 사랑하던 흰 그림자들이라 하니 그것들은 과거에 화자가 사랑해왔던 모든 것들일 것이라고 확신하게 되었습니다그 후 화자가 모든 것을 돌려보내도 화자의 방에는 여전히 황혼이 물듭니다어두움은 쉽게 가시지 않기 때문입니다황혼이 물든 방에서 화자는 신념이 깊은 의젓한 양처럼 하루 종일 시름없이 풀포기를 뜯자고 자신에게 되뇌입니다이것은 아마 화자가 스스로에게 말하는 미래에 대한 다짐일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비록 황혼이 차오르고 어둠이 잠식한 현재일지라도화자는 어둠 속으로 사라진 흰 그림자를 떠올리며 흔들리지 않는 초연한 마음으로 미래를 맞이하겠다고 다짐하는 것 같았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30 윤동주 서울 하숙집 가보다... 2017-03-17 0 2724
329 시쓰기는 보석쟁이가 값진 다이아몬드를 세공하는것과 같다 2017-03-17 0 2688
328 윤동주의 시는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있다... 2017-03-17 0 3154
327 윤동주의 친동생 윤일주도 시인이었다... 2017-03-16 0 3915
326 시비(詩碑)가 뭐길래 시비(是非)인거야... 2017-03-16 0 3032
325 한 편의 시에서 시의 1행이 주조행(主調行)이라 할수 있다... 2017-03-16 0 2790
324 윤동주 묘비에는 "詩人尹東柱之墓"라고 워낙 각인되여... 2017-03-16 0 3295
323 시인은 늘 령감의 메시지를 잡을줄 알아야... 2017-03-15 0 2902
322 시의 씨앗은 시인의 몸 안에서 "무자각적"으로 싹터 자란다... 2017-03-14 0 2809
32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골이 나다"의 유래 2017-03-14 0 2427
320 일본 교토 윤동주 마지막 사진 찍은 자리에 詩碑 세우다... 2017-03-13 0 2983
319 시 한편이 태여나는것은 늘 울고 웃는 과정을 그려가는것... 2017-03-13 0 2553
318 있어야 할건 다 있고 없을건 없다는 "화개장터" 2017-03-12 0 2828
317 우리 고향 연변에도 "詩碑자연공원"을 조성해야... 2017-03-12 0 3266
316 일본 문화예술인들 윤동주를 기리다... 2017-03-12 0 4360
315 일본 한 신문사 부장이 윤동주의 "빼앗긴 시혼(詩魂)"다루다... 2017-03-12 0 3067
314 일본 녀류시인 50세부터 한글 배워 시를 번역하다... 2017-03-12 0 3268
313 일본인 = "윤동주 선배가 나와 같은 의자에서 공부했다니"... 2017-03-12 0 2938
312 일본의 중견 시인이 윤동주 시를 일본어로 완역하다... 2017-03-12 0 3173
311 일본 녀류시인 이바라키 노리코가 윤동주 시에 해설을 달다... 2017-03-12 0 2876
310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 "실랑이" = "승강이" 2017-03-11 0 2687
309 조선어의 자멸의 길은 있다?... 없다!!!... 2017-03-11 0 3582
308 시는 짧음속에서 큰 이야기를 보여줘야... 2017-03-11 0 2185
307 독자들도 시를 보고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801
306 시인들이 시가 싫어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509
305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아름다운 순 우리말로 작문짓게 하기... 2017-03-08 1 2969
304 윤동주의 친구 문익환 목사도 시 "동주야"를 썼다... 2017-03-07 0 4694
303 청년문사 송몽규도 시를 썼다... 2017-03-07 0 2975
302 청년문사 송몽규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에 들다... 2017-03-07 0 4128
301 시인과 수석인은 이웃이다... 2017-03-07 0 2538
300 민족시인 윤동주를 연변 룡정 고향에서 모실수 있다는것은... 2017-03-07 0 2599
299 시는 생명의 황금빛이며 진솔한 삶의 몸부림이다... 2017-03-06 0 2741
298 시인은 죽기전 반항하면서 시를 써야... 2017-03-03 0 3382
297 시는 천년을 기다려서 터지는 샘물이여야... 2017-03-03 0 2528
296 시는 이미지 무덤이다... 2017-03-02 0 2940
295 시는 상식, 틀, 표준 등 따위가 깨질 때 탄생해야... 2017-03-01 0 2884
294 시 한수라도 마음속에 깊이 갈무리 해야 함은?!...ㅡ 2017-02-28 0 3641
293 작문써클선생님들께;우리와 다른 알고 넘어가야 할 "두음법칙" 2017-02-28 0 2918
292 시는 "빈 그릇"이다... 2017-02-28 0 2599
291 시문학도들이 알아야 할 시창작원리 12가락 2017-02-27 0 2757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