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써클선생님들께;우리와 다른 알고 넘어가야 할 "두음법칙"
2017년 02월 28일 18시 07분  조회:2741  추천:0  작성자: 죽림
 
 
   
▲ 상형문자인 한문으로 산(山) 자가 뚜렷한 암봉들.



































[제5절] 두음법칙
제10항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여자(女子) 녀자 유대(紐帶) 뉴대
연세(年歲) 년세 이토(泥土) 니토
요소(尿素) 뇨소 익명(匿名) 닉명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 인정한다.

  • 냥(兩)
  • 냥쭝(兩-)
  • 년(年) (몇 년)

[붙임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 남녀(男女)
  • 당뇨(糖尿)
  • 결뉴(結紐)
  • 은닉(隱匿)

[붙임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신여성(新女性)
  • 공염불(空念佛)
  • 남존여비(男尊女卑)

[붙임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에도 붙임 2에 준하여 적는다.

  • 한국여자대학
  • 대한요소비료회사
제11항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양심(良心) 량심 용궁(龍宮) 룡궁
역사(歷史) 력사 유행(流行) 류행
예의(禮儀) 례의 이발(理髮) 리발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는 본음대로 적는다.

  • 리(里) : 몇 리냐?
  • 리(理) : 그럴 리가 없다.

[붙임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 개량(改良)
  • 선량(善良)
  • 수력(水力)
  • 협력(協力)
  • 사례(謝禮)
  • 혼례(婚禮)
  • 와룡(臥龍)
  • 쌍룡(雙龍)
  • 하류(下流)
  • 급류(急流)
  • 도리(道理)
  • 진리(眞理)

다만,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율’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나열(羅列) 나렬
치열(齒列) 치렬
비열(卑劣) 비렬
분열(分裂) 분렬
선열(先烈) 선렬
진열(陳列) 진렬
규율(規律) 규률
비율(比率) 비률
실패율(失敗率) 실패률
선율(旋律) 선률
전율(戰慄) 전률
백분율(百分率) 백분률

[붙임2] 외자로 된 이름을 성에 붙여 쓸 경우에도 본음대로 적을 수 있다.

  • 신립(申砬)
  • 최린(崔麟)
  • 채륜(蔡倫)
  • 하륜(河崙)

[붙임3] 준말에서 본음으로 소리나는4) 것은 본음대로 적는다.

  • 국련(국제연합)
  • 대한교련(대한교육연합회)

[붙임4]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또는 ‘ㄹ’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역이용(逆利用)
  • 연이율(年利率)
  • 열역학(熱力學)
  • 해외여행(海外旅行)

[붙임5]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나 십진법에 따라 쓰는 수(數)도 붙임 4에 준하여 적는다.

  • 서울여관
  • 신흥이발관
  • 육천육백육십육(六千六百六十六)
제12항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나, 내, 노, 뇌, 누, 느’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낙원(樂園) 락원 뇌성(雷聲) 뢰성
내일(來日) 래일 누각(樓閣) 루각
노인(老人) 로인 능묘(陵墓) 릉묘

[붙임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 쾌락(快樂)
  • 극락(極樂)
  • 거래(去來)
  • 왕래(往來)
  • 부로(父老)
  • 연로(年老)
  • 지뢰(地雷)
  • 낙뢰(落雷)
  • 고루(高樓)
  • 광한루(廣寒樓)
  • 동구릉(東九陵)
  • 가정란(家庭欄)

[붙임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는 뒷말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내내월(來來月)
  • 상노인(上老人)
  • 중노동(重勞動)
  • 비논리적(非論理的)

본음이 ‘라, 래, 로, 뢰, 루, 르’인 한자가 첫머리에 놓일 때는 ‘나, 내, 노, 뇌, 누, 느’로 적는다.

붙임 1.단어 첫머리 이외의 경우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본음대로 적는다. ‘릉(陵)’과 ‘란(欄)’은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는 뜻에서 ‘능, 난’으로 써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왕릉(王陵), 정릉(貞陵), 동구릉(東九陵)’처럼 쓰이는 ‘릉’이나, ‘독자란(讀者欄), 비고란(備考欄)’처럼 쓰이는 ‘란’은 한 음절로 된 한자어 형태소로서, 한자어 뒤에 결합할 때에는 통상 하나의 단어로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본음대로 적기로 한 것이다.

  • 강릉(江陵)
  • 태릉(泰陵)
  • 서오릉(西五陵)
  • 공란(空欄)
  • 답란(答欄)
  • 투고란(投稿欄)

다만, 예컨대 ‘어린이-난, 어머니-난, 가십(gossip)-난’과 같이 고유어나 (구미) 외래어 뒤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제11항 붙임 4에서 보인 ‘개-연(蓮), 구름-양(量)’의 경우처럼 두음 법칙을 적용하여 적는다.

붙임 2.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어 형태소가 결합하여 된 단어나, 두 개 단어가 결합하여 된 합성어(또는 이에 준하는 구조)의 경우, 뒤의 단어는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반-나체(半裸體)
  • 실-낙원(失樂園)
  • 중-노인(中老人)
  • 육체-노동(肉體勞動)
  • 부화-뇌동(附和雷同)
  • 사상-누각(砂上樓閣)
  • 평지-낙상(平地落傷)

한편, ‘고랭지(高冷地)’는 ‘표고(標高)가 높고 찬 지방’이란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므로, ‘고-냉지’로 적지 않고 ‘고랭-지’로 적는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30 윤동주 서울 하숙집 가보다... 2017-03-17 0 2522
329 시쓰기는 보석쟁이가 값진 다이아몬드를 세공하는것과 같다 2017-03-17 0 2547
328 윤동주의 시는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있다... 2017-03-17 0 2819
327 윤동주의 친동생 윤일주도 시인이었다... 2017-03-16 0 3718
326 시비(詩碑)가 뭐길래 시비(是非)인거야... 2017-03-16 0 2856
325 한 편의 시에서 시의 1행이 주조행(主調行)이라 할수 있다... 2017-03-16 0 2600
324 윤동주 묘비에는 "詩人尹東柱之墓"라고 워낙 각인되여... 2017-03-16 0 3065
323 시인은 늘 령감의 메시지를 잡을줄 알아야... 2017-03-15 0 2694
322 시의 씨앗은 시인의 몸 안에서 "무자각적"으로 싹터 자란다... 2017-03-14 0 2663
32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골이 나다"의 유래 2017-03-14 0 2232
320 일본 교토 윤동주 마지막 사진 찍은 자리에 詩碑 세우다... 2017-03-13 0 2739
319 시 한편이 태여나는것은 늘 울고 웃는 과정을 그려가는것... 2017-03-13 0 2408
318 있어야 할건 다 있고 없을건 없다는 "화개장터" 2017-03-12 0 2650
317 우리 고향 연변에도 "詩碑자연공원"을 조성해야... 2017-03-12 0 3047
316 일본 문화예술인들 윤동주를 기리다... 2017-03-12 0 4161
315 일본 한 신문사 부장이 윤동주의 "빼앗긴 시혼(詩魂)"다루다... 2017-03-12 0 2882
314 일본 녀류시인 50세부터 한글 배워 시를 번역하다... 2017-03-12 0 3072
313 일본인 = "윤동주 선배가 나와 같은 의자에서 공부했다니"... 2017-03-12 0 2750
312 일본의 중견 시인이 윤동주 시를 일본어로 완역하다... 2017-03-12 0 2974
311 일본 녀류시인 이바라키 노리코가 윤동주 시에 해설을 달다... 2017-03-12 0 2693
310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 "실랑이" = "승강이" 2017-03-11 0 2479
309 조선어의 자멸의 길은 있다?... 없다!!!... 2017-03-11 0 3370
308 시는 짧음속에서 큰 이야기를 보여줘야... 2017-03-11 0 2037
307 독자들도 시를 보고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604
306 시인들이 시가 싫어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269
305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아름다운 순 우리말로 작문짓게 하기... 2017-03-08 1 2766
304 윤동주의 친구 문익환 목사도 시 "동주야"를 썼다... 2017-03-07 0 4550
303 청년문사 송몽규도 시를 썼다... 2017-03-07 0 2731
302 청년문사 송몽규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에 들다... 2017-03-07 0 3935
301 시인과 수석인은 이웃이다... 2017-03-07 0 2292
300 민족시인 윤동주를 연변 룡정 고향에서 모실수 있다는것은... 2017-03-07 0 2375
299 시는 생명의 황금빛이며 진솔한 삶의 몸부림이다... 2017-03-06 0 2527
298 시인은 죽기전 반항하면서 시를 써야... 2017-03-03 0 3180
297 시는 천년을 기다려서 터지는 샘물이여야... 2017-03-03 0 2374
296 시는 이미지 무덤이다... 2017-03-02 0 2744
295 시는 상식, 틀, 표준 등 따위가 깨질 때 탄생해야... 2017-03-01 0 2562
294 시 한수라도 마음속에 깊이 갈무리 해야 함은?!...ㅡ 2017-02-28 0 3409
293 작문써클선생님들께;우리와 다른 알고 넘어가야 할 "두음법칙" 2017-02-28 0 2741
292 시는 "빈 그릇"이다... 2017-02-28 0 2405
291 시문학도들이 알아야 할 시창작원리 12가락 2017-02-27 0 2537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