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겨울
2018년 11월 15일 01시 03분  조회:3223  추천:0  작성자: 죽림
시래기와 말똥으로 그려낸 "쨍한" 겨울

-윤동주 "겨울"

처마 밑에
시래기 다래미
바삭바삭
추워요.

길바닥에
말똥 동그래미
달랑달랑
얼어요.
(1936년. 겨울)

윤동주(1917∼1945)는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진 시인이다. 사후 단 한 권의, 유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48)를 냄으로써 그는 한국을 대표하는 시인이 되었다. 특히 "서시"는 청순하고도 고결한 그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애송시가 되었다. 그럼에도 윤동주가 한 때 동시를 쓴 적이 있었다는 것을 기억하는 이는 드문 것 같다. 
윤동주가 동시를 쓰기 시작한 것은 고향 용정에 있는 은진 중학에 재학할 무렵으로 알려져 있다. 윤동주는 당시 간도 연길에서 발행되던 <카톨릭 소년>에서 "오줌싸개 지도"를 비롯한 수 편의 동시를 발표한다. 이후 연희 전문 재학 중에 <소년>지에 동시 "산울림"를 싣기도 했다. 은진중학 시절의 급우였던 문익환의 회상에 따르면 윤동주는 1,2학년 때 윤석중의 동요 동시에 심취해 있었다고 한다. 당시 소년이었을 윤동주에게, <어린이>지 소년문사에서 출발해 30년대 개성 있는 시인으로 거듭난 윤석중은 훌륭한 귀감이 되고도 남음이 있었을 것이다. 
동시 "겨울"에서 우선 돋보이는 것은 추운 겨울 풍경을 너무나도 실감나고 선명하게 제시해 놓고 있다는 것이다. 실인즉슨 그 추운 풍경은 단 두 개의 사물 "시래기"와 "말똥"에 의지해 있을 뿐이다. 하찮고 천하기만 한 처마 밑 시래기와 길바닥에 떨어진 말똥 말이다. 이 작고 하찮기만 한 사물들은 그러나 시인의 눈에 포착되는 순간 영하 십 몇 도의 겨울 이미지를 대표하는 "선수"로 떠오른다. 처마 밑에 매달려 바삭바삭 추운 시래기 말고, 길바닥에 떨어져 달랑달랑 어는 말똥 말고 그 무엇이 추운 겨울을 더 "춥고 꼬숩게" 그려낼 수 있단 말인가. 얼핏 보면 단순한 시이지만 이 시는 댓구의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는 시다. 처마 밑과 길바닥, 시래기와 말똥, 다래미와 동그래미, 바삭바삭과 달랑달랑, 추워요와 얼어요의 자연스러운 조화는 이 시가 예사로 쓰여진 시가 아니라 상당한 공력을 들인 시라는 것을 증명한다. 
20년대 우리 동요에 나타나는 가을의 정조는 대개 쓸쓸함이었다. 가을이 쓸쓸한 것은 뒤에 올 겨울이 죽음과 이별의 이미지를 품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시에서는 겨울이 "쨍"한 울림으로 오히려 생생하게 살아있다. 바삭바삭 추운 시래기와 달랑달랑 어는 말똥에서 마치 천진난만한 어린이를 대하는 것 같은 생동감이 뿜어져 나온다.
주지하다시피 우리가 윤동주의 대표작으로 거론하는 시들은 대개 그의 생애 막바지에 쓴 것들이다. 상대적으로 청소년기에 쓰여진 그의 동시들을 유년기로의 퇴행이나 습작기의 부산물쯤으로 깎아 내리고자 하는 의식이 아주 없지 않은 것 같다. 그러나 동시 "겨울"을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는 생각이 든다. 그 안에 숨겨진 천진난만함이야말로 이후 그의 시에서 발견되는 청순하고도 참담한 고뇌를 부여안는 따스하고 넉넉한 자산이 되었던 것은 아닐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30 토템시/ 사슴= 남영전, 해설= 현춘산(7) 2020-10-10 0 2519
1529 토템시/ 물= 남영전, 해설= 현춘산(6) 2020-10-10 0 2366
1528 토템시/ 흙= 남영전, 해설= 현춘산(5) 2020-10-10 0 2466
1527 시=흥취 2020-10-09 0 2316
1526 조선족문단 우화시 개척자 - 허두남 2020-09-08 0 2547
1525 토템시/ 백학= 남영전, 해설= 현춘산(4) 2020-09-08 0 2415
1524 토템시/ 신단수= 남영전, 해설= 현춘산(3) 2020-09-08 0 2363
1523 토템시/ 곰= 남영전, 해설= 현춘산(2) 2020-09-08 0 2280
1522 토템시/ 달= 남영전, 해설= 현춘산(1) 2020-09-08 0 2358
1521 토템과 남영전시인 11 2020-09-03 0 2803
1520 [그것이 알고싶다] - "조선어학회" 2020-09-03 0 3797
1519 우아하게 삽시다 / 우상렬 2020-08-24 0 3060
1518 토템과 남영전 시인 10 2020-07-18 0 2873
1517 토템과 남영전 시인 9 2020-07-18 0 3095
1516 토템과 남영전 시인 8 2020-07-18 0 2891
1515 토템과 남영전 시인 7 2020-07-18 0 3443
1514 토템과 남영전 시인 6 2020-07-18 0 3278
1513 토템과 남영전 시인 5 2020-07-18 0 3197
1512 두만강은 알리라... 2020-07-17 0 2987
1511 작가들의 큰 박수를 받은 민족개념/ "길림신문"/ 김승종 2020-07-02 0 3265
1510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524
1509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175
1508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466
1507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258
1506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304
1505 토템과 남영전 시인 4 2020-06-27 0 2956
1504 토템과 남영전 시인 3 2020-06-27 0 3290
1503 토템과 남영전 시인 2 2020-06-27 0 3158
1502 토템과 남영전 시인 1 2020-06-27 0 3128
1501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0 0 3344
1500 친족, 친척 = 토템 2020-06-20 0 2955
1499 [시공부 101] - 38... 2020-05-13 0 3008
1498 [시공부 101] - 37... 2020-05-13 0 3285
1497 [시공부 101] - 36... 2020-05-13 0 4554
1496 [잊혀진 민속] - 다듬이 2020-05-08 0 4814
1495 [그것이 알고싶다] - "토템"연구와 남영전 시인 2020-05-02 0 3383
1494 [그것이 알고싶다] - "단군신화" 2020-04-30 0 3170
1493 [시문학소사전] - 토테미즘 2020-04-30 0 3931
1492 [시공부 101] - 35... 2020-04-04 0 3009
1491 [시공부 101] - 33... 2020-04-04 0 3611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