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이런저런] - 245g = 엄지공주
2019년 05월 31일 22시 55분  조회:2866  추천:0  작성자: 죽림

사과만큼 작은 아기…245g
엄지공주 무사히 퇴원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2019-05-31 
 
  •  
  •  
갓 태어났을 때의 아이 - BBC 화면 갈무리

5개월 후 아이 - BBC 화면 갈무리

태어날 때 사과무게에 해당하는 245g으로 태어난 아이가 생존에 성공, 세계에서 가장 가벼운 아이로 태어난 기록을 경신했다고 영국의 BBC가 31일 보도했다.

지난 1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샤프 메리 버치 병원에서 한 아이가 태어났다. 그는 임신 23주에 제왕절개 수술로 태어났다. 당시 그의 몸무게는 245g에 불과했다.
 

생후 그는 이 병원의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적정한 체중이 될 때까지 보호를 받았다. 이후 5개월이 지나자 그는 몸무게가 2.5kg까지 불어 최근 퇴원할 수 있게 됐다.
  
병원 의료진은 가장 작게 태어난 인류로 기네스북에 기록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의 이름은 세이비로 여아라고 BBC는 전했다. 
========================///

체중 245g의 세계 최소 미숙아,
다섯달만에 2㎏으로...
 



미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몸무게 245g의 세계에서 가장 작은 미숙아로 추정되는 여자아이가 태어났었다고 샌디에이고의 샤프 메리 버치 산부인과 병원이 29일(현지시간) 밝혔다. 245g은 사과 1개의 무게 정도이다.

이 아이는 임신 23주3일만에 지난해 12월 태어났다. 당시 출산을 도운 의사는 아기 아버지에게 아기가 살지 못하고 1시간을 넘기지 못하고 사망할 것이라고 말했었다.

그러나 아기는 의사의 얘기와 달리 살아남았다. 5개월이 넘게 집중치료실의 인큐베이터에서 지낸 그녀는 지금 몸무게 2㎏의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해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갔다.

병원은 여아의 가족들이 이 같은 사실을 공포하는 것에 동의했지만 익명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 여아는 간호사들이 불렀던 ‘세이비’라는 별명으로 공개됐다.


아이오와 대학의 에드워드 벨 박사는 세이비가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작은 미숙아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알려지지 않은 더 작은 미숙아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AP 통신에 보낸 이메일에서 덧붙였다.

세이비 이전에 가장 작은 미숙아로 기록된 아이는 지난 2015년 독일에서 태어난 252g의 아이로 불과 7g 더 무거웠을 뿐이다.

 
세이비의 어머니는 당시 몸이 좋지 않아 병원을 찾았고 혈압이 급속히 치솟는 자간전증(임신중독의 일종) 진단을 받고 서둘러 아이를 낳아야만 한다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그녀는 또 의사로부터 아기가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는 얘기를 들었지만 아기는 살아남았다고 덧붙였다.

임신 28주가 못 돼 태어나는 초극소미숙아는 대부분 1년을 넘기지 못하고 사망하며 살아남더라도 시력이나 청력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고 산모와 신생아 건강을 지원하는 비영리기구 ‘마치 오브 다임’의 미셸 클링은 말했다. 세이비는 그러나 지금까지는 시력이나 청력 모두 정상적이다.

샤프 메리 버치 산부인과 병원의 간호사 킴 노비는 “세이비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기적”이라고 말했다.

【샌디에이고(미 캘리포니아주)=AP/뉴시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513 [세상만사] - 환경미화원 청소하다 주은 현금 주인을 기다리다 2018-11-15 0 3757
2512 [세상만사] - 1년동안 주어 모은 동전 저금통 8개 10만 = 기부 2018-11-15 0 3394
2511 [세상만사] - 7년간 주은 동전 15kg 20만 = 기부, 기탁, 지원... 2018-11-15 0 2984
2510 [세상만사] - 주웠던 물건 삼키려 해도 법노름 하다... 2018-11-15 0 3775
2509 [동네방네] - 훈민정음 상주본 살리는것 세계적 문화재 보호... 2018-11-14 0 3150
2508 [동네방네] - 117년만에 고향 돌아오는 종(鐘) 2018-11-14 0 3189
2507 [고향자랑] - 사과배엿... 된장술... 그리고 연길... 2018-11-14 0 2656
2506 [민속유산] - 연길에서 장훈아,- 멍훈아,- ... 2018-11-14 0 2915
2505 [문단소식] - 고향 상지인 한춘 ''세상돌이'' 하다 고향 돌아오다 2018-11-14 0 2699
2504 [이런저런] - 불상과 벌집 2018-11-13 0 2630
2503 [민족자랑] - 조선말로 경극 부른 60대 연길 할머니... 2018-11-13 0 3069
2502 [회음벽 회초리] - 조선어, 말보다 "말행동"이 더 앞장서야... 2018-11-13 0 3249
2501 [민족자랑] - 조선족 영화감독 장률 영화에 미치다... 2018-11-13 0 3723
2500 [민족자랑] - "길림신문 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취재 보도하다 2018-11-13 0 2915
2499 "통일의 풍산개", "통일의 송이", "통일의 귤",통일아 어서 오라 2018-11-13 0 3096
2498 [동네방네] - 땔감으로 쓰던 나무가 억대 나무라니... 2018-11-13 0 3438
2497 [민족의 자랑] - "아리랑고개 넘어가고, 넘어오고..." 2018-11-13 0 4063
2496 력사와 세월과 력사과 시간과 그리고 세월이 약,ㅡ 그리고 ... 2018-11-13 0 3688
2495 [동네방네] - "훈민정음 상주본"은 어디에?... 또 어디로?... 2018-10-29 0 3907
2494 [사색의 여울] - 돕는다는것은 마음이며 행동이다... 2018-10-26 0 3174
2493 [고향자랑] - 북경에 "아리랑" 울러퍼진다... 2018-10-26 0 2974
2492 [동네방네] - 기부는 쉽지 않다... 오로지 기부는 행동이다... 2018-10-26 0 2889
2491 [동네방네] - 조선족 민속 무형문화재 얼쑤ㅡ 절쑤ㅡ... 2018-10-24 0 2877
2490 [이런저런] - 싸구려, 싸구려... "슈퍼 돼지" 싸구려... 2018-10-24 0 2871
2489 [이런저건] - 운남 송이버섯왕 2018-10-24 0 2909
2488 [쉼터] - 자작(봇나무)나무숲에 묻히고지고... 2018-10-24 0 3367
2487 [작문써클선생님께] - "곳간"이냐... "곡간"이냐... 2018-10-18 0 3876
2486 {자료} - 사투리는 사투리이고, 방언은 방언이다... 2018-10-15 0 3869
2485 {자료} - 여러 지방의 방언들을 알아보기 2018-10-15 0 3264
2484 [고향문단소식]- 동시인 김득만과 "고드름" 동시비 2018-10-15 0 2801
2483 [세상만사] - "별을 헤는 시인"의 얼굴을 먹칠하는 눔들... 2018-10-14 0 3227
248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해양쓰레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18-10-13 0 3510
2481 룡정.윤동주연구회가 걸어온 길도 벅찼지만 가야 할 길도 멀다 2018-10-13 0 2823
2480 아버지 김철호 "하얀 심장" 쓰다, 아들 김휘 "빨간 심장" 그리다 2018-10-13 0 3154
247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인산인해"란 말 인제야 실감한다... 2018-10-13 0 3307
247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영원히 산이 된 "산사람"들... 2018-10-13 0 3504
2477 국어학자 - 박창해 2018-10-13 0 3171
2476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순 우리말 바람이름 2018-10-11 0 3395
2475 [쉼터] - "곤드레만드레" 2018-10-11 0 3089
247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굴소년" 축구팀, 힘내라...화이팅!!! 2018-10-09 0 3272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