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문단소식] - 두만강 역 화룡 로과 호곡령에서 리욱시인 오다...
2019년 12월 10일 21시 49분  조회:2509  추천:0  작성자: 죽림
중국조선족시인의 이름을 딴 문학상...
제1회 리욱문학상 시상식 연길서
(ZOGLO) 2019년12월9일
중국조선족시인의 이름으로 명명한 첫 문학상인 ‘제1회 리욱문학상 시상식’이 지난 12월 7일 오전, 연길시 한성호텔에서 개최되였다.
 
연변동북아문학예술연구회의 주최로 열린 이날 행사는 동북아문학예술연구회 방순애 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연변대학 우상렬교수(차홍화 대독)가 리욱시인 소개를 하였으며 최룡관시인이 심사평을 했으며 연변작가협회 부주석이며 시가창작위원회 김영건 주임, 연변작가협회 허룡석 전임 주석, 단군문학상 리사회  엄철인 사무국장, 연변시인협회  전병칠 회장이 축사를 했다. 



방순애 회장은 환영사에서 리욱문학상을 설치하게 된 계기를 밝히면서 "시인들 모두가 리욱시인처럼 문학을 통해 사회와 력사 속에서 인간의 삶을 노래하고 그의 진취적 정신을 발양하기 위한데 있다."고 말했다.
 
최룡관 시인은 보고에서 강시나의 하이퍼시집 《굴레 씌운 말 탈출기》와 한설매시인의 하이퍼동시집 《애기 바람 꿈》이 각각 리욱문학상 성인시집상과 동시집상을 수상하게 되였다고 하면서 전자는 돌연변이 수법의 령활한 표현으로 시의 본질인 애매성이 짙고 후자는 시에 표현되는 이미지들이 가상적이고 환각적인 동시에 천진란만한 꿈이 넘쳐흘렀다는데 그 수상리유를 밝혔다.
 


강시나 수상자와 함께 
 

 한설매 수상자와 함께.

연변동북아문학예술연구회 박문희 편집국장은 페회사에서 "하이퍼시가 동북아문학예술연구회 회원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시상범위를 확장함으로서 하이퍼시의 영향력을 넓히고 창작을 활성화함으로써 우리 문학의 발전에 벽돌한장이나마 쌓아올리자는 것이 우리의 초심"이라며  "문학상 상금이 많고 적기를 떠나서 그것이 우리 조선족문학의 터전에 밑거름이 된다는 생각에서이다. 더구나 태여난지 얼마 안되는 하이퍼시는 아직 성숙단계와는 거리가 먼 초기단계인만큼 아끼고 정성껏 키워야 하겠다는 사명감이 앞선다."고 말했다.
 


 리욱(1907-1984)시인은은 중국조선족문학의 개척자와 대표자의 한사람이다. 그는 1924년 서정시 "생명의 례물"을 처녀작으로 문단에 데뷔하였으며 해방전후를 이어오며 한시, 소설, 수필, 번역 등 문학창작활동을 연변땅에서 활발하게 진행하면서 중국조선족문학사에 굵직한 한획을 그었다.
 
글 조글로미디어 문야 / 사진 협회 제공 


=============================================///

"구월이라/ 휘영청 푸른 하늘 아래/ 황금 국화 피였네/ 황금 국화에 솟아난/ 나의 고향/ 우리 연변!// 꽃송이에 때오르는/ 자색 노을은/ 지난 시절의 핏빛인가?// 꽃머리에 또오르는/ 꽃구름은/ 밝은 나날의 행운인가?// 고향 사람들/ 삼림으로 묶어져/ 당의 은덕 노래하거니// 황금 국화에 훤히 열린/ 연변의 하늘에/ 번영은 별무리처럼 빛나고// 황금 국화에 당실히 솟은/ 연변의 땅에/ 행복은 꽃떨기처럼 피여났네."

조선족 문단을 대표하는 시인 리욱이 1984년 2월 사망하기 직전에 쓴 '고향'의 전문이다.

조선족 시인 리욱 (해란강닷컴 제공)
조선족 시인 리욱 (해란강닷컴 제공)

 

오는 15일 탄생 110주년을 맞는 리욱은 조선족 시문학의 주춧돌을 놓은 시인으로 불린다. 일제강점기 간도 문학을 대표했으며 해방 이후 중국 조선족 문학의 토대를 일구었다. 암담했던 시절, 인간과 자연, 생명을 노래했으며, 새로운 이상과 민족의 앞날을 제시했다.

그는 서정시와 서사시, 한시를 비롯해 소설, 수필, 문학 이론, 번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하게 집필 활동을 했다.

리욱은 1907년 7월 1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신안촌(고려촌)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이장원. 해방 전까지는 학성, 월촌, 단림, 산금, 월파 등의 필명을 사용하다가 해방 이후 리욱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1910년 지린 성 옌볜 허룽현으로 이주해 유년 시절을 보냈다. 만주 일대에서 저명한 한문학자인 조부와 부친의 영향으로 중국과 조선의 고전을 배우며 자라 어린 나이에 한문에 능통하고 한시를 잘 썼다고 한다. 중학교 2학년에 생활고로 학업을 중단하고 농사일에 매달렸다. 그러나 시 창작에 매진하여 1924년 17세 되던 해에 처음으로 서정시 '생명의 례물'을 간도일보에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그 후 간도 지역의 진보적 신문 민성보의 기자로 일하다가 일제의 탄압이 거세지자 그만두고 야학에서 농민들에게 글을 가르쳤다.

1937년부터 1944년까지 조선일보 간도특파원으로 일하는 한편 신문, 잡지에 부지런히 시를 발표해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리욱은 시인 김조규와 함께 당시 만주에서 활동하던 시인들의 작품을 모아 '재만조선시인집'을 간행하여 조선족 문단의 결집을 도모했다.

해방 이후 간도예문협회 문학부장, 동라문인동맹 시문학분과 책임자, 옌지중소한문회협회 문학국장, 문예지 ‘불꽃’의 편집 등을 맡아 조선족 문단을 새롭게 정비하고 조선족 문학의 기틀을 다지기 위해 노력했다.

1947년 동북군정대학에 들어가 혁명이론을 학습하며 첫 시집 '북두성'을 출간했다. 졸업 후 잡지 '대중'의 주필 겸 옌볜도서관 관장을 맡았다. 1949년에는 두 번째 시집 '북륜의 서정'을 펴냈다.

그는 옌볜대학을 세우는 데 참여했고, 옌볜사범학교에서 교직 생활을 하다가 1951년 말부터 옌볜대학 조문학과 교수를 지냈다. 베이징사범대학에서 소련문학과 마르크스주의 문예이론, 혁명적 사실주의 창작론을 공부하기도 했다.

리욱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시기 새로운 국가체제 안에서 조선족 문학의 발전을 모색했다. 1956년 조선족 작가로는 처음으로 중국작가협회에 가입해 중국작가협회 옌볜분회 이사로 활동했다. 그는 조선족 문학이 중국 문학의 일부로 인정받는 동시에 독자적인 문학을 구축할 수 있도록 중국 문학과의 교류에 힘썼다. 중국어로 된 작품을 창작하기도 했다.

그러나 1966년부터 1976년 문화대혁명 시기에 '반동 문인,' '반동학술권위' 등으로 몰려 탄압을 받았다. 교수자격은 취소됐으며 창작의 권리를 박탈당하고 벽지 농촌으로 추방됐다. 문화대혁명의 혼란이 지나고 복권된 리욱은 다시 시 창작에 힘을 쏟아 1980년 73세의 나이로 '리욱 시선집'을 내놓았다.

리욱은 시집으로 '북두성'(1947), '북륙의 정서'(1949), '고향사람들'(1957), '장백산하'(1959), '연변의 노래'(한문. 1959), '리욱시선집'(1980) 등을 남겼고, 이론서 '현대소설의 구성'을 출판했다. 1982년 항일투사들의 영웅적 투쟁을 담은 장편서사시 '풍운기' 제1부를 펴냈고 이어 제2부를 쓰다가 1984년 2월 6일 77세를 일기로 뇌일혈로 사망했다. '풍운기' 제2부는 유고로 발표됐다.

시집 '고향사람들'은 조선족의 역사와 혁명적 전통을 소재로, 간도 개척 과정에서 발생했던 지주와의 투쟁, 만주사변 이후 장백산을 근거지로 벌였던 유격전, 항일 전쟁 이후 승리의 감격 등을 주 내용으로 하여 조선족들의 긍지와 자부심을 고취했다.

그의 시 세계는 자연물에 대한 순수한 서정에서부터 간도 조선인들이 처한 삶의 현실,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향한 열정, 역사적 항쟁과 혁명적 투지, 그리고 인생을 반추하는 명상적 내용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펼쳐져 있다.

그의 아들 리선호는 2015년 2월 9일 옌볜도서관에서 열린 '다시 읽는 우리 문학' 세미나에서 "아버지는 슬하에 10명의 자녀를 두었다. 어머니가 일자무식이였지만 항상 어머니를 존중해주셨다. 자식들이 책을 사고 싶어 할 때마다 기꺼이 사주셨다. 아버지와 함께 문학상을 받은 적 있다. 모두들 우리 집에 쌍봉황이 날아들어 온다고 기뻐해 주셨다. '너무 틀에만 얽매이지 말고 틀을 벗어나 사는 것도 좋다'는 마지막 말씀을 남기셨다"고 말했다.

리욱의 생애는 일제 치하와 중화인민공화국 정권수립, 문화대혁명 등 격변기에 시련을 겪으면서 이를 극복하고 오늘날 당당한 소수민족으로 정착한 200만 조선족의 삶과 역사를 보여 준다. 일제의 탄압을 피해 고국을 떠나 중국 땅에서 험난한 세월을 보낸 조선족의 피눈물 나는 이민사이며 개척사이다.

/ 김은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10 윤동주는 왜... 2019-09-17 0 2720
1409 에드윈 마크햄 - "원" 2019-09-16 0 3042
1408 [시공부] - ... 2019-08-04 0 2518
1407 [시공부] - ... 2019-08-04 0 2691
1406 시는 무용이다... 2019-07-09 0 2788
1405 [그것이 알고싶다] - 백서 "도덕경" 2019-06-29 0 3837
1404 [문단소식] - 림금산시인 "달을 만나고" 시집 낳다 ... 2019-06-16 0 2741
1403 100년 뒤... 뒤...뒤... 2019-05-26 0 3143
1402 [평, 評, 평, 評] - 작품과 상과 인간과 그리고... 2019-05-13 0 3005
1401 윤동주를 알리는 골수팬 일본인- 야스코 2019-04-23 0 3222
1400 시를 암송하면 삶이 더 즐겁다... 2019-04-23 0 2999
1399 "또 다른 고향"을 찾아가는 미완의 려정... 2019-04-23 0 3527
1398 인도주의는 윤동주 시인이 이 땅에 심은 자산입니다... 2019-03-23 0 3308
1397 윤동주, 그는 절대로 "문약한" 학생이 아니었다... 2019-03-23 0 3284
1396 시인은 떠났어도 희망은 "낡지 않"았다... 2019-03-07 0 3602
1395 [그것이 알고싶다] - "옥중가"와 100여년... 2019-03-02 0 3181
1394 "한글, 이번에는 제가 배울 차례입니다"... 2019-02-16 0 3559
1393 [동네방네] - "윤동주", 실시간 알리기... 2019-02-16 0 3393
1392 [명작 쟁명] - 프랑스 작가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 2019-02-15 0 4551
1391 "풀꽃" 2019-02-06 0 3332
1390 윤동주 시 또 중국어로 번역되다... 2019-01-27 0 4323
1389 윤동주와 "아리랑" 2019-01-27 0 3577
1388 윤동주와 명동, 룡정, 평양, 서울, 도쿄, 교토... 2019-01-24 0 3300
1387 윤동주 시를 지켜준것은 "우정"이였다... 2019-01-24 1 3072
1386 윤동주 유고 시집과 시인 정지용 "서문",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4 0 3406
1385 윤동주 시집과 여러 사람들... 2019-01-24 0 3379
1384 윤동주 시집 원 제목은 "병원"이였다... 2019-01-24 0 3977
1383 정지용과 윤동주 2019-01-24 0 3489
1382 윤동주는 시를 들고 일제와 싸웠다... 2019-01-22 0 3497
1381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3 2019-01-22 0 3119
1380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2 2019-01-22 0 3644
1379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1 2019-01-22 0 2913
1378 "서시" 일본어 번역본에 오류가 있다??? 2019-01-22 1 4458
1377 서시(윤동주)와 서시 영어 번역본 2019-01-22 0 5552
1376 [매일(끝)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2019-01-22 0 3799
1375 윤동주와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0 0 3738
1374 윤동주와 정지용 2019-01-20 0 3368
1373 윤동주, 시 한수가 씌여지기까지... 2019-01-20 0 2959
1372 {자료} - 윤동주 시의 무궁무진한 힘과 그 가치... 2019-01-20 0 3240
1371 연세대의 건물들은 기억하고 있다... 2019-01-20 0 3921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