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에드윈 마크햄 - "원"
2019년 09월 16일 23시 00분  조회:3264  추천:0  작성자: 죽림
에드윈 마크햄

시 = <원>

그는 원을 그려
나를 밖으로 밀어냈다. 
나에게 온갖 비난을 퍼부으면서.
그러나 나에게는  
사랑과 극복할 수 있는 지혜가 있었다.
나는 더 큰 원을 그려
그를 안으로 초대했다.


===============================
박승원의 1분 독서 -
한 수 위 사람이 되자
  •  김민성 미래한국 기자
  •  

 

한 수 위 사람이 되자


계속 밀어내면

원은 점점 작아진다.

더 많이 초대하고 끌어들일수록

원은 넓어진다.

/류시화, <시로 납치하다>에서


 

류시화 시인의 책 <시로 납치하다>에 소개된 에드윈 마크햄의 시 ‘원’을 읽습니다.


 

"그는 원을 그려 나를 밖으로 밀어냈다.

나에게 온갖 비난을 퍼부으면서.

그러나 나에게는

사랑과 극복할 수 있는 지혜가 있었다.

나는 더 큰 원을 그려 그를 안으로 초대했다."


 

이 시의 원제목은 ‘한 수 위’라고 합니다.

작은 원을 그려 미운 사람을 원 바깥으로 밀어내는 사람보다 더 큰 원을 그려 미운 사람도

안으로 끌어들이는 사람이 ‘한 수 위’라는 겁니다.


 

노자의 말이 생각납니다.

‘스스로를 드러내지 않기에 밝아집니다.(不自見故明)

스스로를 옳다고 하지 않기에 돋보입니다.(不自是故彰)

스스로를 뽐내지 않기에 공로를 인정받습니다.(不自伐故有功)

스스로를 자랑하지 않기에 오래 갑니다.(不自矜故長)

싸우려 하지 않기에 천하도 싸우려 하지 않습니다.(不惟不爭 故天下莫能與之爭)’


 

삶의 하수는 

스스로를 드러냅니다.

스스로를 옳다고 합니다.

스스로를 뽐내려고 합니다.

스스로를 훌륭하다고 합니다.

남과 경쟁해서 이기려 합니다.

자신의 원을 작게 그려 놓고 다른 사람들을 원 밖으로 밀어내는 사람입니다.

삶이 빈약해집니다.


 

삶의 고수는

스스로를 드러내지 않습니다.

스스로를 옳다고 하지 않습니다.

스스로를 뽐내려고 하지 않습니다.

스스로를 훌륭하다고 하지 않습니다.

남과 경쟁하지 않고 포용하려 합니다.

자신의 원을 크게 그려 놓고 다른 사람들을 원 안으로 끌어들이는 사람입니다.

삶이 풍족해집니다.


 

다시 원을 그립니다.

내게서 남을 밀어내려고 작게 그렸던 원을 지우고 내게 남이 들어올 수 있도록

보다 크게 원을 그립니다.

 

한 수 위 사람이 됩니다.


======================///
...
...
에드윈 마크햄은 말합니다.
“그는 원을 그려 나를 밖으로 밀어냈다.
나에게 온갖 비난을 퍼부으면서.
그러나 나에게는 사랑과 극복할 수 있는 지혜가 있었다.
나는 더 큰 원을 그려 그를 안으로 초대했다.” 


더 큰 원을 그리는 것이 지혜로운 관계의 비결입니다.
캐나다 로키의 그 산을 만났을 때, 아마도 제 마음의 원은 지름이 쑥 늘어났을 겁니다.
왜 그럴까요? 사람은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위대함을 만날 때
그 위대함을 닮고 싶어지기 때문입니다.
큰 바위 얼굴을 매일 보고 자란 소년이 결국 스스로 큰 바위 얼굴이 되는 것처럼. 


자연과 마주할 때보다 더 위대한 만남은 보이지 않는 가치를 제대로 만나는 순간입니다.
삶의 정수를 제대로 마주하게 해 주는 지혜가 내 얼어붙은 삶에 도끼처럼 내리칠 때
느끼는 전율과 감동은 우리의 원을 백배, 천배로 크게 넓혀줍니다.
그래서 이구동성으로 고전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들을 목소리 높여 외치는가 봅니다. 


///인문고전독서포럼 대표 /조신영

출처 : 경북매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10 윤동주는 왜... 2019-09-17 0 3035
1409 에드윈 마크햄 - "원" 2019-09-16 0 3264
1408 [시공부] - ... 2019-08-04 0 2756
1407 [시공부] - ... 2019-08-04 0 2919
1406 시는 무용이다... 2019-07-09 0 2980
1405 [그것이 알고싶다] - 백서 "도덕경" 2019-06-29 0 4115
1404 [문단소식] - 림금산시인 "달을 만나고" 시집 낳다 ... 2019-06-16 0 2969
1403 100년 뒤... 뒤...뒤... 2019-05-26 0 3428
1402 [평, 評, 평, 評] - 작품과 상과 인간과 그리고... 2019-05-13 0 3329
1401 윤동주를 알리는 골수팬 일본인- 야스코 2019-04-23 0 3503
1400 시를 암송하면 삶이 더 즐겁다... 2019-04-23 0 3217
1399 "또 다른 고향"을 찾아가는 미완의 려정... 2019-04-23 0 3780
1398 인도주의는 윤동주 시인이 이 땅에 심은 자산입니다... 2019-03-23 0 3557
1397 윤동주, 그는 절대로 "문약한" 학생이 아니었다... 2019-03-23 0 3534
1396 시인은 떠났어도 희망은 "낡지 않"았다... 2019-03-07 0 3791
1395 [그것이 알고싶다] - "옥중가"와 100여년... 2019-03-02 0 3358
1394 "한글, 이번에는 제가 배울 차례입니다"... 2019-02-16 0 3771
1393 [동네방네] - "윤동주", 실시간 알리기... 2019-02-16 0 3675
1392 [명작 쟁명] - 프랑스 작가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 2019-02-15 0 4828
1391 "풀꽃" 2019-02-06 0 3558
1390 윤동주 시 또 중국어로 번역되다... 2019-01-27 0 4576
1389 윤동주와 "아리랑" 2019-01-27 0 3857
1388 윤동주와 명동, 룡정, 평양, 서울, 도쿄, 교토... 2019-01-24 0 3546
1387 윤동주 시를 지켜준것은 "우정"이였다... 2019-01-24 1 3355
1386 윤동주 유고 시집과 시인 정지용 "서문",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4 0 3740
1385 윤동주 시집과 여러 사람들... 2019-01-24 0 3707
1384 윤동주 시집 원 제목은 "병원"이였다... 2019-01-24 0 4299
1383 정지용과 윤동주 2019-01-24 0 3789
1382 윤동주는 시를 들고 일제와 싸웠다... 2019-01-22 0 3788
1381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3 2019-01-22 0 3331
1380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2 2019-01-22 0 3911
1379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1 2019-01-22 0 3142
1378 "서시" 일본어 번역본에 오류가 있다??? 2019-01-22 1 4731
1377 서시(윤동주)와 서시 영어 번역본 2019-01-22 0 5786
1376 [매일(끝)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2019-01-22 0 4028
1375 윤동주와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0 0 3906
1374 윤동주와 정지용 2019-01-20 0 3527
1373 윤동주, 시 한수가 씌여지기까지... 2019-01-20 0 3190
1372 {자료} - 윤동주 시의 무궁무진한 힘과 그 가치... 2019-01-20 0 3424
1371 연세대의 건물들은 기억하고 있다... 2019-01-20 0 4117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