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공부공부공부] - "서캐타령"
2020년 02월 02일 06시 09분  조회:2573  추천:0  작성자: 죽림

향토문화전자대전

「서캐 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야길 56[자산리 613-1]
출처 디지털진안문화대전-「서캐 타령」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에서 부르는 서캐를 소재로 한 유희요.

개설

사람 손에 잡히면 꼼짝없이 죽는 서캐를 해학적으로 표현한 노래이다. 서캐를 잡으면서 부르기도 했고 노래 부르기 자체를 목적으로 하여 유희요로 부르기도 했다. 아이들이나 부녀자들이 주로 가창하였다

채록/수집 상황

「서캐 타령」은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대학교 민속학 연구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 개정·증보 사업’ 전북 조사팀이 2010년 2월 23일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최복순[여, 1936년생]으로부터 채록하였다.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서 지원하는 한국 구비 문학 대계 웹 서비스[http://gubi.aks.ac.kr/web]를 통해서 조사 자료 텍스트와 연동되는 디지털 음원을 들을 수 있다.

구성 및 형식

「서캐 타령」은 4·4조 4음보 율격이다.

내용

「서캐 타령」은 사람 손에 잡혀 손쉽게 죽음을 당하는 서캐의 상황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노래이다. 서캐[시캐]는 이의 알이고, 깔갱니는 갓 태어난 이의 새끼이다. 이가 서캐들에게 사람 손에 잡히면 꼼짝없이 죽을 터이니 어린 깔갱니를 잘 지키라고 당부하는 내용이다. 두 바위가 작신 하면 죽는다는 표현은 사람의 두 엄지손톱에 눌려 죽는다는 뜻이다. 이 노래를 민중의 관점에서 보면 “두 바우가 작신 하면 오도 가도 못하고 죽는다”라는 마지막 구절에서 거대한 폭력 앞에서 한없이 약해질 수밖에 없는 민중의 삶과 애환이 읽힌다.

시캐들아 시캐들아 우리 깔갱니 잘 거쳐내라/ 석석바우 끝이 가먼 두 바우가 작신 하면/ 오도 가도 못하고 죽는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생활이 어렵고 위생 상태도 좋지 않았던 지난날에는 머리나 몸에 이와 서캐가 기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서캐는 오늘날 흔히 볼 수 있는 곤충은 아니지만 지난날 우리 삶의 한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해 준다.

현황

「서캐 타령」을 기억하는 일부 가창자들이 부르고 있다. 「이타령」과 함께 이 노래를 부른 제보자는 언젠가 여럿이 모인 자리에서 「서캐 타령」을 했더니 좌중이 매우 우스워했다고 하면서 이와 서캐에 관한 노래가 추접스러운 것은 아닌지 걱정도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타령」에는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 별로 유익할 것 없는 이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면, 「서캐 타령」은 서캐의 입장에서 사람에게 손쉽게 잡혀 목숨을 잃는 처지가 해학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서캐와 같은 미물에 대한 세심한 관찰력과 해학적 표현력이 잘 어우러진 노래라 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캐 타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0 [시문학소사전] - "블랙리스트"이란?... 2017-01-01 0 4097
89 시인은 모든 리익과 다툼에서 손해보는 사람이다... 2016-12-31 0 3464
88 문학과 비평은 쌍두마차... 2016-12-31 0 2546
87 여보게 친구,분위기가 얼쑤인데 한잔 안할수가 없잖은가... 2016-12-31 0 3207
86 술과 시와 삶은 잘 삭혀야 제맛!~~~ 2016-12-31 0 2487
8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학생들께 론문쓰는법 가르치자 2016-12-31 0 2754
84 "전설의 편집자", 53, 그리고 외길 인생 2016-12-31 0 3037
83 안중근 유묵 106년만에 해빛 보다... 2016-12-30 0 3163
8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뜻뜨미지근", "뜨뜻미지근" 2016-12-30 0 2734
81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임대"냐? "임차"냐?... 2016-12-30 0 2615
80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우리말 애정 표현은?... 2016-12-30 0 2723
79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달이다", "다리다","졸이다", "조리다" 2016-12-30 0 2997
78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치어"를 쓸때, "치여"를 쓸때... 2016-12-30 0 2773
77 소리로 날려 보내던 생각을 그 소리를 붙잡아 시로 남기기... 2016-12-29 0 2301
76 세기의 혁신가 10인 2016-12-29 0 2906
75 [시문학소사전] - 추상표현주의란?... 2016-12-29 0 2850
74 [쉼터] - 작문써클선생님들께; 작문평정과 평어쓰기 2016-12-28 0 2642
73 시는 추상적관능과 비평정신을 고도의 음악성과 결부해야... 2016-12-28 0 2748
72 말안장에서 용사를 가려내고 달빛아래에서 미인을 보다... 2016-12-28 0 2677
71 시를 쓴다는것은 인생의 마지막역을 잘 인테리한다는것... 2016-12-27 0 2884
70 진리를 멀리서 구하지 말고 자기 자신속에서 구하라... 2016-12-27 0 2751
6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소나무와 첫락엽 2016-12-27 0 2278
68 [시문학소사전] - "퓨전"이란?... 2016-12-27 0 2832
67 시의 건초더미에서 겨우겨우 찾을수 있을가말가 하는 시를 쓰라... 2016-12-26 0 2588
66 시인이 시 한수를 빵으로 바꿀수 있을까?... 2016-12-26 0 2628
65 술, 가슴에서 터져나오는 시, 머리에서 짜여져 나오는 시... 2016-12-26 0 2709
64 대만 현대시의 흐름을 알아보다... 2016-12-26 0 2928
63 대만 녀성시인 - 수샤오리엔 2016-12-26 0 2645
62 리백 음주시 관련하여 2016-12-25 0 2612
61 로신과 겨레의 문인들 2016-12-25 0 2743
60 李陸史는 魯迅을 만나 보았을까? 2016-12-25 0 2759
59 력사, 문학, 그리고 미래... 2016-12-25 0 2815
58 영웅이 없는 시대에 그저 하나의 사람이 되고싶을 뿐... 2016-12-25 0 3137
57 몽롱시와 그 "찬란한 빛" 2016-12-25 0 2483
56 시는 최소한의 언어로 최대한의 세계를 담아야... 2016-12-25 0 2672
55 진정으로 뛰여난 담시(譚詩) 한수라도 보고지고... 2016-12-23 0 2625
54 시인은 정화가 된 "저체온의 성스러운 언어"로 시를 써야... 2016-12-22 0 2799
53 시인, 석류, 그리고 파렬, 분출, 문여는 소리... 2016-12-22 0 2761
52 [쉼터] - 작문써클선생님들께; 마구잡이로 쓰는 "~의 대하여" 2016-12-22 0 2560
51 "종소리를 더 멀리 보내기"+"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2016-12-22 0 2493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