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공부 101] - 13...
2020년 02월 22일 23시 14분  조회:3049  추천:0  작성자: 죽림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음보율만 알아도 시험에서 몇 문제는 더 풀 수 있다고요?

 

 

분야 고전 시가

교과 연계표

교과 연계표
구분 교과 단원

중학교

 

문학의 갈래

고등학교

문학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대입을 마친 형에 의하면 음보율만으로도 대략 고려 가요인지, 시조인지 알 수 있다고 하던데, 정말인가요?

음보율만 알아도 시험에서 몇 문제는 더 풀 수 있다고요?

음보율 : 끊어 읽는, 또는 숨을 쉬는 단위

시에서 리듬은 시를 시답게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시가 산문과 다른 것은 운율이 존재하기 때문이지요. 시의 리듬은 반복을 통해서 만들어집니다. 노래에서도 같은 선율이나 박자가 반복될수록 리듬감이 살아나지요. 우리나라 시의 리듬에는 음절의 숫자가 일정하게 반복되어 형성되는 음수율과, 호흡의 단위가 일정하게 반복되어 리듬이 형성되는 음보율이 있습니다. 그런데 고전 시가를 언급할 때는 음수율보다는 음보율을 통해서 리듬을 설명하는 경향이 더 크지요.

음보란 끊어 읽거나 숨을 쉬는 단위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음보율은 2음보, 3음보, 4음보 등등 다양한 형태를 생각할 수 있는데 전통 시가에서는 3음보와 4음보가 주를 이룹니다. 그렇다면 3음보율과 4음보율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고려 가요는 3음보율

3음보 율격을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은 민요입니다. 우리 민요를 한번 생각해 보세요. <아리랑>만 보아도 “아리랑 ˅ 아리랑 ˅ 아라리요 / 아리랑 ˅ 고개를 ˅ 넘어간다”로 세 번씩 끊어서 부릅니다. “도라지 ˅ 도라지 ˅ 백도라지 / 심심 ˅ 산천에 ˅ 백도라지”에서 보듯이 <도라지 타령>도 3음보로 이루어져 있네요. 3음보율은 4음보율에 비해서 호흡이 빠릅니다. 다시 돌아오는 것이 4번보다 3번이 빠르니까요. 그런 까닭에 3음보 율격은 4음보 율격에 비해 비교적 경쾌하고 발랄한 느낌을 줍니다.

3음보 율격은 고려 가요에도 잘 나타나 있습니다. 「가시리」의 첫 구절 “가시리 ˅ 가시리 ˅ 잇고 / 버리고 ˅ 가시리 ˅ 잇고”와 「청산별곡」의 “살어리 ˅ 살어리 ˅ 랏다 / 청산에 ˅ 살어리 ˅ 랏다”처럼 고려 가요는 3음보 율격이 주를 이룹니다. 고려 가요는 후렴구와 여음구를 빼면 상당수의 작품이 3음보 율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시조는 4음보율

고려 가요가 3음보율 위주인 데 비하여 시조는 4음보율을 지니고 있습니다. 호흡의 단위가 좀 더 긴 4음보율은 때로는 장중하고 때로는 여유로운 느낌을 주지요. 여러분이 잘 알 만한 시조 한 편을 살펴볼까요.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적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이순신의 시조

“한산섬 ˅ 달 밝은 밤에 ˅ 수루에 ˅ 혼자 앉아”. 시조를 읽다 보니 위엄 있고 진지한 느낌이 들지 않습니까. 물론 내용이 진지하기도 하지만 4음보율을 사용하고 있기에 그 느낌이 더욱 묵직하게 다가올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불리는 거의 모든 시조는 4음보율로 되어 있는데 4음보율은 3음보율에 비해서 안정감을 더 많이 주는 것 같습니다. 4음보율은 조선 시대에 발생한 가사 문학에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뜬금있는 질문

우리나라 현대 시에도 전통적인 음보율을 활용한 작품이 있나요?

당연히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시인은 바로 김소월이지요. 「진달래꽃」을 볼까요? 원문의 행 구분에 관계 없이 호흡만 살려 읽어 보겠습니다. “나 보기가 ˅ 역겨워 ˅ 가실 때에는 / 말없이 ˅ 고이 보내 ˅ 드리우리다 / 영변에 ˅ 약산 ˅ 진달래꽃 / 아름 따다 ˅ 가실 길에 ˅ 뿌리우리다”. 자, 잠깐만 봐도 3음보율로 읽히지요? 최근에는 음보율을 활용한 시가 많이 창작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전통적인 리듬이니 앞으로도 살려서 쓰는 게 좋겠지요.

[네이버 지식백과] 음보율만 알아도 시험에서 몇 문제는 더 풀 수 있다고요?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10 윤동주는 왜... 2019-09-17 0 2885
1409 에드윈 마크햄 - "원" 2019-09-16 0 3119
1408 [시공부] - ... 2019-08-04 0 2621
1407 [시공부] - ... 2019-08-04 0 2789
1406 시는 무용이다... 2019-07-09 0 2911
1405 [그것이 알고싶다] - 백서 "도덕경" 2019-06-29 0 4003
1404 [문단소식] - 림금산시인 "달을 만나고" 시집 낳다 ... 2019-06-16 0 2889
1403 100년 뒤... 뒤...뒤... 2019-05-26 0 3314
1402 [평, 評, 평, 評] - 작품과 상과 인간과 그리고... 2019-05-13 0 3223
1401 윤동주를 알리는 골수팬 일본인- 야스코 2019-04-23 0 3378
1400 시를 암송하면 삶이 더 즐겁다... 2019-04-23 0 3142
1399 "또 다른 고향"을 찾아가는 미완의 려정... 2019-04-23 0 3671
1398 인도주의는 윤동주 시인이 이 땅에 심은 자산입니다... 2019-03-23 0 3502
1397 윤동주, 그는 절대로 "문약한" 학생이 아니었다... 2019-03-23 0 3442
1396 시인은 떠났어도 희망은 "낡지 않"았다... 2019-03-07 0 3712
1395 [그것이 알고싶다] - "옥중가"와 100여년... 2019-03-02 0 3294
1394 "한글, 이번에는 제가 배울 차례입니다"... 2019-02-16 0 3728
1393 [동네방네] - "윤동주", 실시간 알리기... 2019-02-16 0 3589
1392 [명작 쟁명] - 프랑스 작가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 2019-02-15 0 4739
1391 "풀꽃" 2019-02-06 0 3509
1390 윤동주 시 또 중국어로 번역되다... 2019-01-27 0 4512
1389 윤동주와 "아리랑" 2019-01-27 0 3763
1388 윤동주와 명동, 룡정, 평양, 서울, 도쿄, 교토... 2019-01-24 0 3489
1387 윤동주 시를 지켜준것은 "우정"이였다... 2019-01-24 1 3257
1386 윤동주 유고 시집과 시인 정지용 "서문",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4 0 3637
1385 윤동주 시집과 여러 사람들... 2019-01-24 0 3604
1384 윤동주 시집 원 제목은 "병원"이였다... 2019-01-24 0 4178
1383 정지용과 윤동주 2019-01-24 0 3706
1382 윤동주는 시를 들고 일제와 싸웠다... 2019-01-22 0 3705
1381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3 2019-01-22 0 3289
1380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2 2019-01-22 0 3834
1379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1 2019-01-22 0 3064
1378 "서시" 일본어 번역본에 오류가 있다??? 2019-01-22 1 4613
1377 서시(윤동주)와 서시 영어 번역본 2019-01-22 0 5677
1376 [매일(끝)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2019-01-22 0 3925
1375 윤동주와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0 0 3843
1374 윤동주와 정지용 2019-01-20 0 3462
1373 윤동주, 시 한수가 씌여지기까지... 2019-01-20 0 3126
1372 {자료} - 윤동주 시의 무궁무진한 힘과 그 가치... 2019-01-20 0 3355
1371 연세대의 건물들은 기억하고 있다... 2019-01-20 0 4066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