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토템과 남영전 시인 6
2020년 07월 18일 00시 03분  조회:3298  추천:0  작성자: 죽림

지상토론(6)인간 존재의 근원 의식의 뿌리를 더듬어

편집/기자: [ 리철수 ]  [ 길림신문 ] [ 2020-07-02 ] 

맑게 개인 밤하늘에서는 수많은 별들이 각자 자기 길을 가면서 서로 인사를 나누며 밤새 이야기꽃을 피운다. 아침이면 사계절에 따라 진달래, 개나리, 라일락, 백일홍, 들국화…들이 다투어 피여서 이 지구의 모퉁이들을 환히 밝혀주고 있다.

그런가 하면 양, 소, 말, 닭, 개 등 가축가금들이 뒤뚱거리며 생명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정글에서는 코뿔소, 표범, 이리 등 야생동물들이 그 신성한 존재를 알리고 있으며 하다 못해 발아래를 잘 살펴보면 개미들도 부지런히 움직이면서 생명의 노래를 힘차게 부르고 있다.

그렇다. 지구라는 이 푸른 별에서는 왕성한 생명활동들이 벌어지고 있으며 그런 생명들은 각자 나름대로의 존재의 리유를 가지고 이 지구촌에 더욱 생기를 북돋아주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문명시대에 접어들면서 인류를 계속 괴롭혀오는 명제가 있다. 그것이 바로 저 유명한 <우리는 어디서 왔으며 우리는 누구이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라는 질문이다. 인간이라면, 지성적인 인간이라면 누구라도 한번쯤 고민해봤을 법한 이 질문은 바로 인간 존재의 근원이자 의식의 뿌리를 찾아보려는 인류의 모지름에 다름아닌 것이다.

문학의 아버지로서 시 역시 이와 같은 질문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와 고민을 숙명적인 숙제로 떠안고 그것을 풀어나가기 위해 어제도 오늘도 앞으로도 계속 탐구에 탐구를 거듭해왔고 하고 있으며 해나가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토템문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필요하며 어쩌면 상기 원색적인 질문에 가장 근접하는 접근법이 아닐가 싶다.

개혁개방과 더불어 신주의 대지에 세차게 불어쳤던 상처문학, 뿌리찾기, 의식의 흐름 등 사조들도 나름 인류의 존재 근원과 의식의 뿌리를 찾기 위한 몸부림이였을 것이고 자아성찰을 위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은 굉장히 자연스러운 일이라 해야겠다.

그러나 남들이 모두 큰 흐름을 따라갈 때 조선족 저명한 시인인 남영전선생은 토템문화연구를 평생의 연구테마로 삼고 토템문화를 연구하는 한편 그에 걸맞는 토템시들을 륙속 펴내 장안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남시인의 토템문화연구는 마침내 중국문단을 놀래웠고 학계를 놀래웠다. 그리하여 남영전현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였고 각종 연구서적들이 출판되였으며 전문세미나들도 줄기차게 열려왔었다.

그렇다. 우리(인류)는 과연 어디서 왔으며 어디로 가고 있으며 우리는 누구란 말인가? 이 명제는 시가 탐구해야 할 영원한 주제일 뿐만 아니라 문학에서도 광범위하게 론의되여야 할 과제이며 문명사회에서는 더욱 보편적으로 거론되고 연구되여야 할 테마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남영전 시인의 토템시 및 토템문화연구는 일독을 권장할만한 연구성과라 할 수 있다.

/한영남(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편집, 《민족문학》상, 연변작가협회 진달래문학상 수상)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70 바다에 뛰여들는 양떼가 되지말기... 2019-01-20 0 3300
136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로수 2019-01-19 0 3414
1368 윤동주의 시 8개국 언어로 번역되다... 2019-01-19 0 3673
1367 윤동주와 "해바라기" 2019-01-17 0 4345
136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바라기 얼굴 2019-01-17 0 4065
1365 윤동주와 "귀뚜라미" 2019-01-14 0 6692
1364 "어린이를 내려다보지 마시고 쳐다보아 주시오" 2019-01-14 0 3567
136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귀뚜라미와 나와 2019-01-14 0 3843
13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빛, 바람 2019-01-13 0 3508
1361 [그것이 알고싶다] - "상어가족"탄생기... 2019-01-13 0 3900
1360 [그것이 알고싶다] - 동요 "아기상어"... 2019-01-13 0 5277
135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애기의 새벽 2019-01-13 0 3604
135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짓부리 2019-01-12 0 3603
1357 윤동주와 "반디불" 2019-01-12 0 4941
1356 리상화 / 반디불 2019-01-12 0 3239
135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반디불 2019-01-11 0 3528
13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만돌이 2019-01-11 0 3278
13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줌싸개지도 2019-01-09 0 3560
1352 우리의 시랑송도 늘 생활속과 함께라면... 2019-01-09 0 3042
1351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랑송"을 어떻게 할가ㅠ... 2019-01-09 0 3457
1350 윤동주와 "참새" 2019-01-08 0 3891
134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참새 2019-01-08 0 3528
134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2) 2019-01-06 0 3011
134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행기 2019-01-06 0 3084
134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자루 2019-01-01 0 3126
134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후의 구장(球場) 2018-12-29 0 2907
1344 만화로 보는 윤동주와 정병욱 2018-12-29 0 3203
1343 윤동주와 백영(白影) 2018-12-29 0 3233
1342 우지강아, 네가 말해다오... 2018-12-26 0 3670
1341 서로 누워있는 자리는 달랐어도 같은 꿈을 꾸었으리... 2018-12-26 0 3468
1340 세계 문호들의 "참회록" 2018-12-24 0 2884
1339 "일본의 윤동주" - 마키무라 고 2018-12-24 0 3001
1338 ... 2018-12-23 0 2802
1337 동주, 그는 죽지 않았다... 2018-12-23 0 2826
1336 ... 2018-12-21 0 3567
1335 윤동주와 영화 "동주" 그리고 그의 시 15편 2018-12-21 0 3101
133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종달새 2018-12-21 0 3789
1333 ... 2018-12-20 0 3132
1332 ... 2018-12-20 0 2822
1331 ... 2018-12-20 0 2965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