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임금이 혼자서 민정 시찰을 다니다가 길을 잃고, 깊은 산중에서 어둠을 맞게 되었습니다.
다행히 외딴 집 하나를 발견하고 하룻밤 묵자고 청을 했지만, 집주인이 조금 더 가면 주막이 있다고 거절해서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그런데 돌아져 나오면서 보니 그 집 대문에 붙어 있는 글귀가 임금을 궁금하게 만들었습니다.
"나는 있는데, 개구리가 없어서 한스럽구나?"
무슨 뜻인지 여러모로 궁리를 해봤지만 도저히 해득할 수가 없었습니다. 임금은 주막에 가서 국밥을 청해 먹으며 그 외딴 집 주인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주모의 말에 따르면 그 집 주인은 과거에 여러 번 낙방한 선비인데, 마을에도 잘 안 나오고 집 안에서 책만 읽으며 사는 사람이라는 것이었습니다.
궁금증이 발동한 임금은 다시 그 외딴 집으로 가서 사정사정한 끝에 마침내 하룻밤 묵어 가도록 허락을 받아냈습니다.
잠자리에 누워 잠을 청했지만 집 주인의 글 읽는 소리에 잠은 오지 않고, 대문에 붙은 글 뜻이 더욱 궁금해진 임금은 자리에서 일어나 선비 방으로 찾아가 그 글의 유래를 물었습니다. 선비는 저으기 귀찮은 표정이었지만, 이윽고 말문을 열었습니다.
"옛날, 노래를 아주 잘하는 꾀꼬리와 목소리가 듣기 거북한 까마귀가 있었지요. 하루는 꾀꼬리가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를 하고 있는데 까마귀가 꾀꼬리한테 시합을 청했어요. ‘사흘 뒤에 두루미를 심판으로 청해서 노래 시합을 하자’고. 꾀꼬리는 어이가 없었지만 결국 시합에 응했답니다. 그리고, 사흘 동안 열심히 노래연습을 했지요. 그런데, 까마귀는 노래 연습은 할 염도 않고 개구리를 잡으러 논두렁만 뻔질나게 돌아다니는 것이었습니다. 드디어 시합할 날이 되어 꾀꼬리와 까마귀가 노래를 한곡씩 부르고 두루미의 판정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꾀꼬리는 너무 고운 목소리로 노래를 잘 불렀으므로 승리를 확신했지만, 까마귀가 잡아다 준 개구리를 실컷 얻어먹은 두루미는 마침내 까마귀의 승리로 판정해주었답니다. 너무 화가 난 꾀꼬리는 ’아! 개구리가 없는 게 한스럽구나!’ 하고 탄식을 했더랍니다."
그 글귀는 불의와 불법으로 얼룩진 나라의 실상을 비유한 말이라고 설명하면서 선비는 자신도 실력이나 지식으로는 어디 내놔도 안 지는데, 돈이 없고 빽도 없으니 과거만 보면 번번히 낙방하여 이처럼 초야에 묻혀 살고 있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임금은 선비의 고상한 인격과 박학다식이 마음에 들어, 자기도 과거에 여러번 낙방하고 전국을 떠돌아다니는 중인데, 며칠 후에 임시과거가 있다기에 지금 개성으로 올라가는 길이라고 거짓말을 했습니다.
그리고 궁궐로 돌아와 임시과거를 열 것을 명하였습니다. 과거를 보는 날, 시험장에 도착한 선비가 시제를 바라보니 시험관이 내건 시제는 다름아닌 자기 집 대문에 붙여 두었던 '개구리가 없어서 한스럽구나'라는 글귀였습니다.
그제야 그날 자기 집에 묵고 간 길손이 다름아닌 임금이었음을 알아챈 선비는 임금이 계신 곳을 향해 큰 절을 한 뒤 답을 적어올려 마침내 장원급제를 했습니다.
************************
옛날 고려의 대학자이며 문장가인 이규보의 이야기입니다. 옛이야기지만 실은 요즘 우리 주변에서도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는 우리들 자신의 이야기입니다. 탐오, 수뢰와 매관&매직, 지어 소학교, 아니, 유치원부터 시작되는 교원들의 뒷거래, 수뢰사건에 관한 뉴스들을 접하노라면 끝없이 되풀이되는 돈과 권력의 비극적 드라마를 보는 것 같아 안타깝기 그지 없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돈과 권력은 뗄래야 뗄 수 없는 상관관계였고, 뒷거래와 뇌물과 부정부패도 인류의 역사와 함께 있어 왔습니다. 그런데 인류의 공정사라고 일컫는 교원들의 영혼까지 돈에 병들고 부패해지고 있는 요즘이고 보면, 그들을 질책하기에 앞서 이런 사회적 현실을 만든 데는 어쩌면 우리 매개인의 책임도 있지 않을까 하고 한 번 즈음 반추해볼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