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야 나와 놀아보자...
2015년 04월 19일 23시 51분  조회:4488  추천:0  작성자: 죽림
 

@@
시는 언어의 꿈이요, 삶의 증거이다.

시를 읽지 않아도 살 수는 있다. 그러나 시를 읽지 않고 잘 살 수는 없다.

시는 우리의 잃어버린 세계를 보여주고 어느 순간 구원의 손길을 내밀 것이다

그때가 언제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것은 또 다른 자아의 탄생이기 때문이다.

당신은 시를 읽어야 한다.

좋은 시를, 당신을 위로하는 시가 아닌 삶을 직시하는 고통을 주는 시를.

이를테면 거리에 좌판을 펼친 노인의 감은 눈과 벌어진 입이 만들어 준 주름진 노래와 짐 가득 실은 수레를 끄는 아버지와 딸의 뜨거운 노래, 창녀의 찢어진 입술에서 나오는 새의 노래등 시는 밤하늘의 별처럼 수없이 많다.

그러면 당신은 잘 살 수 있다.

왜냐하면 시는 적어도 좋은 시는

삶의 단단한 벽에서 터져 나온 바람의 길이기 때문이다.

바람이 없다면 생도 없다.


 
  • 1. 시의 정의

     시의 어원 같은 것은 우리가 쉽게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시란 무엇인가'라는 정의를 내리기는 그렇게 쉽지 않다. 엘리어트의 '시에 대한 정의의 역사는 오류의 역사'라는 말이 이를 잘 대변해 준다. 이 말은 시대에 따라서, 시인에 따라서, 시의 종류에 따라서 시를 보는 안목이 모두 다름을 말해 준다. 그러므로 지극히 상식적인 시에 대한 정의를 내릴 수밖에 없다.

        " 시는 인간의 사상과 정서를 운율적인 언어로 압축하여 표현한 언어 예술이다"(운문 문학)
        "시란 인간의 사상과 정서를 유기적 구조를 지닌 운율적 언어로 형상화한 운문문학의 한 갈래이다."

    1) 동양의 시관

      동양 일원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詩'라는 한자의 구조를 보면 '言'과 '寺'의 합자(合字)임을 알 수 있다. '言'은 모호한 소리인 '음(音)'이나 말을 나타내는 '담(談)'이 아닌 '분명하고 음조가 고른 말'을 뜻한다. '寺'는 '持'와 '志'의 뜻을 가지고 있다. '持'란 손을 움직여 일하는 것을 말하며 '志'는 '우리의 마음이 어떤 대상을 향해서 곧게 나감'을 일컫는다. 그러므로 시라는 말 속에는 '손을 움직여 일한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서 동양의 시에도 서구와 같은 창작이나 행동의 뜻이 담긴 동일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 詩三百 一言而蔽之曰思無邪(시 3백 수는 한마디로 생각함에 사악함이 없는 것이다.)→孔子
    (2) 詩言志(시는 뜻을 말로 나타낸 것)→書經

     


    * 동양적 시관의 본질 : 흔히 '사무사(思無邪)'를 교훈적인 입장의 표명으로 보고, 동양 시관의 본질을 여기에 한정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공자가 편찬한 시경이 서정시로만 이루어져 있는 점이라든지, 주희가 시를 '좋은 소리와 마디가 있는 말에 의한 성정의 자연스런 발로'라고 본 점을 고려할 때, 서정적인 면이 결코 부차적인 사항이 아님을 알 수 있다.
     

     

    2) 서양의 시관

    (1) 시는 운율적 언어에 의한 모방이다.→Aristoteles
    (2) 시는 힘찬 감정이 자유롭게 분출된 것이다.→ W. Wordsworth
    (3) 시는 체험이다.→ R.M.Rilke
    (4) 시는 미의 운율적 창조이다.→ E.A.Poe
    (5) 시는 감정의 표출이 아니라 감정으로부터의 도피이고, 개성의 표현이 아니라 개성으로부터의 도피이다.→ T.S.Eliot
    (6) 좋은 시는 내포와 외연의 가장 먼 양극에서 의미를 통일한 것이다.→ Allen Tate
    (7) 시는 영원한 진실속에 표현된 삶의 이미지이다.→ P.B.Shelly
    (8) 시는 기본적으로 인생에 대한 비평이다.→ Matthew Arnold

     


    * 서양 시관의 변화 과정 : 아리스토넬레스의 시에 대한 정의는 희곡과 서사시를 염두에 둔 이야기 문학이었다. 이러한 모방론의 전통은 18세기까지 이어져,서정시를 시문학 전체에 있어서 하급의 장르로 생각했었다. 19세기 이후 표현론이 대두하면서 비로소 시가 시인이 도달한 놀라운 정신세계를 보여줌으로써, 독자를 황홀하게 하고, 깊이 감동시키며, 심오한 즐거움을 준다는 주장을 하게되었다.
     

     

    3) 현대의 시관 : 
     *일반적으로, 고양된 시인의 정서에 의해 독자에게 감흥을 줌으로써 사람의 윤리 의식의 밑바탕을 튼튼히 해 준다는 표현론적 효용론에 선다.
     *시를 시인의 내부에 있는 본질과 연결시켜, 구체적인 작품보다 어떤 정신이나 성질로 보는 태도가 있다.

     

    <보충자료>

     시의 정의 : 
    자신의 정신생활이나 자연, 사회의 여러 현상에서 느낀 감동 및 생각을 운율을 지닌 간결한 언어로 나타낸 문학 형태. 한국어로 보통 시라고 할 때에는 그 형식적 측면을 주로 가리켜 문학의 한 장르로서의 시작품(詩作品:poem)을 말할 경우와, 그 작품이 주는 예술적 감동의 내실(內實)이라고 할 수 있는 시정(詩情) 내지 시적 요소(詩的要素:poetry)를 말할 경우가 있다.

    전자는 일정한 형식에 의하여 통합된 언어의 울림·리듬·하모니 등의 음악적 요소와 언어에 의한 이미지·시각(視覺) 등 회화적 요소에 의해 독자의 감각이나 감정에 호소하고 또는 상상력을 자극하여 깊은 감명을 던져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문학작품의 일종으로, 거기에서는 언어의 정동적(情動的)인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언어의 배열과 구성(構成)이 요구된다.

    후자에 관해서는 시작품뿐만 아니라 소설·희곡 등의 문학작품으로부터 미술·음악·영화·건축 등의 예술작품, 더 넓혀서 자연이나 인사(人事)·사회현상 속까지 그 존재를 인정하는 일이 가능하다.

     

    시는 크게 서정시(敍情詩)·서사시(敍事詩)·극시(劇詩)의 세 가지로 구별한다. 서정시는 개인의 내적 감정을 토로하는 것으로 근대시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영어의 lyric poem이나 프랑스어의 po럐e lyrique는 본시 lyre(七絃琴)에 맞추어 노래 불렀던 데서 온 호칭이다. 서사시(epic poem)는 민족·국가의 역사나 영웅의 사적(事蹟)과 사건을 따라가며 소설적으로 기술하는 것인데 그리스의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프랑스의 《롤랑의 노래》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극시(dramatic poem)는 극형식을 취한 운문(韻文) 내지 운문에 의한 극을 말하는데 셰익스피어, 코르네유, 라신, 괴테 등의 희곡이 이에 해당한다. 시에는 그 밖에 흔히 행(行)을 나눠서 쓰는 시와 대조되는 것으로 산문의 형식을 취하면서 그 속에 시적 감명(詩的感銘)을 담은 산문시(prose poem)가 있는데 보들레르의 《파리의 우울》, 로트레아몽의 《마르도롤의 노래》, 투르게네프의 《산문시》 등이 유명하다. 또 정해진 규칙에 따라 시어를 배열·구성하는 정형시(定型詩)가 있는가 하면 그와 같은 형식적인 규칙을 무시하는 자유시가 있으며 또한 그 내용에 따라 생활시(生活詩)·사상시(思想詩)·연애시(戀愛詩)·종교시(宗敎詩)·풍자시(諷刺詩)·전쟁시(戰爭詩) 등의 호칭도 쓰여지고 있다.

    시 관련 어록

    [1]시는 악마의 술이다. 《A.아우구스티누스/반회의파 反懷疑派》    
    [2]시를 쓰는 것을 나쁘게 생각하지 말게. 그건 낚시질하고 똑같네. 아무 소용이 없는 것같이 보이지. 하지만 그래도 그것이 좋은 수확이 되는 법이거든. 《E.크라이더/지붕 밑의 무리들》    
    [3]시는 아름답기만 해서는 모자란다. 사람의 마음을 뒤흔들 필요가 있고, 듣는 이의 영혼을 뜻대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 《호라티우스/시론 詩論》    
    [4]시는 신(神)의 말이다. 그러나 시는 반드시 운문(韻文)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시는 곳곳에 충일(充溢)한다. 미와 생명이 있는 곳에는 시가 있다. 《I.S.투르게네프/루딘》    
    [5]나의 시는 어지럽지만 나의 생활은 바르다. 《M.V.마르티알리스/풍자시집 諷刺詩集》    
    [6]시란 것은 걸작이든가, 아니면 전연 존재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J.W.괴테》    
    [7]위대한 시는 가장 귀중한 국가의 보석이다. 《L.베토벤》    
    [8]시는 거짓말하는 특권을 가진다. 《플리니우스》    
    [9]시란 미(美)의 음악적인 창조이다. 《E.A.포》    
    [10]시는 단지 그 자체를 위해 쓰인다. 《E.A.포》    
    [11]시는 단 하나의 진리이다. ……명백한 사실에 대해서가 아니라 이상에 대해 말하고 있는 건전한 마음의 표현이다. 《R.W.에머슨》    
    [12]시는 최상의 마음의 가장 훌륭하고 행복한 순간의 기록이다. 하나의 시란 그것이 영원한 진리로 표현된 인생의 의미이다. 《P.B.셸리》    
    [13]시란 그 시를 가장 강력하고 유쾌하게 자극하는 방법으로 사상의 심벌들을 선택하고 배열하는 예술이다. 《W.C.브라이언트》    
    [14]즉흥시는 진정 재지(才知)의 시금석(試金石)이다. 《J.B.P.몰리에르》    
    [15]시의 목적은 진리나 도덕을 노래하는 것은 아니다. 시는 다만 시를 위한 표현인 것이다. 《C.P.보들레르》    
    [16]기쁨이든 슬픔이든 시는 항상 그 자체 속에 이상을 좇는 신과 같은 성격을 갖고 있다. 《C.P.보들레르》    
    [17]감옥에서는 시는 폭동이 된다. 병원의 창가에서는 쾌유에의 불타는 희망이다. 시는 단순히 확인만 하는 것이 아니다. 재건하는 것이다. 어디에서나 시는 부정(不正)의 부정(否定)이 된다. 《C.P.보들레르/낭만파(浪漫派) 예술론(藝術論)》    
    [18]시란 영혼의 음악이다. 보다 더욱 위대하고 다감한 영혼들의 음악이다. 《볼테르》    
    [19]한 줄의 글자와 공백으로 구성되는 시구는 인간이 삶을 흡수하고 명확한 말을 되찾아내는 이중의 작용을 한다. 《P.클로델/입장(立場)과 제언(提言)》    
    [20]나는 부재(不在)를 위해서 제기된 언어다. 부재는 모든 나의 재행사(再行使)를 격파한다. 그렇다. 그것은 다만 언어뿐이라는 것의 재빠른 소멸이다. 그리고 그것은 숙명적인 오점이며 헛된 완성이다. 《Y.본푸아》    
    [21]시의 세계는 식물계, 이것은 또한 지상의 사랑과 미의 왕국이다. 《R.기카드》    
    [22]시란 냉랭한 지식의 영역을 통과해선 안 된다. ……시란 심중에서 우러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곧바로 마음으로 통해야 한다. 《J.C.F.실러》    
    [23]과학의 적절하고 직접적인 목적은 진리를 획득하고 전달하는 것이며, 시의 적절하고 직접적인 목적은 즉흥적인 즐거움을 전달하는 것이다. 《S.T.콜리지》    
    [24]내용이 끝나는 것에서 시작되는 것. 황금어의 피안에, 도시 성곽의 외부에, 토론의 형자(形姿)를 뒤로 하고, 사고 체계를 벗어나서 신비로운 장미는 개화한다. 서릿발의 열기(熱氣) 속에, 도배지의 희미한 무늬 속에, 제단의 뒷벽 위에, 피어나지 않는 불꽃 속에 시는 존재한다. 《M.아널드》   
    [25]시란 본질적인 면에서 인생의 비평이다. 《M.아널드》    
    [26]시란 간단히 말해 가장 아름답고, 인상적이고, 다양하게, 효과적으로 사물을 진술하는 방법이다. 《M.아널드》    
    [27]시란 힘찬 감정의 발로이며, 고요로움 속에서 회상되는 정서에 그 기원을 둔다. 《W.워즈워스/서정민요집 抒情民謠集》    
    [28]말은 어느 편이냐 하면, 시의 수면기를 재촉하는 부분이며, 상상(想像)이 시의 생명이다. 《O.펠섬/각오 覺悟》    
    [29]시는 최상의 행복, 최선의 정신, 최량이고 최고의 행복한 순간의 기록이다. 《P.B.셸리/시가옹호론 詩歌擁護論》    
    [30]고대인의 시는 소유의 시며, 우리들의 시는 동경의 시다. 전자는 현재의 지반 위에 굳게 서지만, 후자는 추억과 예감의 사이를 흔들려 움직이고 있다. 《A.W.슐레겔》    
    [31]시란 어휘를 사용하여 상상력 위에서 하나의 환상을 산출해 내는 예술을 의미한다. 《T.B.매콜리》    
    [32]시란 이성의 조력에 상상력을 동원하여 진리와 즐거움을 결합시키는 예술이다. 시의 본질은 발견이다. 예기치 않은 것을 산출함으로써 경이와 환희 같은 것을 발견하는 것이다. 《S.존슨》    
    [33]시인은 그의 예민한 흥분된 눈망울을 하늘에서 땅으로, 땅에서 하늘로 굴리며, 상상은 모르는 사물의 형체를 구체화시켜, 시인의 펜은 그것들에 형태를 부여해 주며 형상 없는 것에 장소와 명칭을 부여해 줍니다. 《W.셰익스피어》    
    [34]시의 언어는 필연적인 것같이 보이는 것이어야 한다. 《W.B.예이츠》    
    [35]시인의 시는 국어처럼 직접적이고 자연스런 것이어야 한다. 《W.B.예이츠》    
    [36]나에게 있어서 시는 목적이 아니고 정열이다. 《E.A.포》    
    [37]시적(詩的)이 아닌 한, 나에게 있어서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A.지드/사전(私錢)꾼》 [38]시는 모든 예술의 장녀(長女)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의 양친이다. 《W.콩그리브》    
    [39]만약 사람이 마력적인 시의 의미를 알게 된다면 그 때부터 그대는 아름다운 생(生)을 알게 된다. 《J.F.아이헨도르프》    
    [40]도덕적인 시라든가 부도덕한 시라든가에 대해서 말할 것은 아니다. 시는 잘 쓰여져 있는가 아니면 시원찮게 쓰여져 있는가, 그것만이 중요하다. 《O.F.O.W.와일드/영국의 르네상스》    
    [41]시는 예술 속의 여왕이다. 《스프라트》    
    [42]시는 마치 손가락 사이에서 빠져 나가는 모래와 같은 것이다. 《R.M.릴케》    
    [43]시는 사람이 생각하는 것처럼 감정은 아니다. 시가 만일 감정이라면 나이 젊어서 이미 남아돌아갈 만큼 가지고 있지 않아서는 안 된다. 시는 정말로 경험인 것이다. 《R.M.릴케/말테의 수기(手記)》    
    [44]나이 어려서 시(詩)를 쓴다는 것처럼 무의미한 것은 없다. 시는 언제까지나 끈기 있게 기다리지 않아서는 안 되는 것이다. 사람은 일생을 두고, 그것도 될 수만 있으면 칠십 년, 혹은 팔십 년을 두고 벌처럼 꿀과 의미(意味)를 모아 두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하여 최후에 가서 서너 줄의 훌륭한 시가 씌어질 것이다. 《R.M.릴케/말테의 수기(手記)》    
    [45]시란 진리며 단순성이다. 그것은 대상에 덮여 있던 상징과 암유(暗喩)의 때를 벗겨서 대상이 눈에 보이지 않고 비정하고 순수하게 될 정도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J.콕토/암살(暗殺)로서의 미술(美術)》    
    [46]열여덟 살 때 나는 시라는 것은 단순히 남에게 환희를 전달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스무 살 때, 시는 연극이라는 걸 깨달았지요. 나는 가끔 시를, 갱도(坑道) 속 함정에 빠져서 미칠 것 같은 불안 속에서 자기를 구출해 줄 다른 갱부들이 오기를 고대하고 있는 사람에게 생기를 주는 희망과 비교해 보았습니다. 시인은 성자여야 합니다. (*장 콕토와의 인터뷰) 《P.토인비》    
    [47]시란 삶을 육성시키고, 그러고 나서 매장시키는 지상의 역설이다. 《C.샌드버그》    
    [48]시는 근본적인 언어방법이다. 그것에 의해 시인은 그의 사상과 정서는 물론 그의 직각적 메커니즘을 포착하고 기록할 수 있다. 《M.C.무어》    
    [49]시는 오직 인간의 능력을 발양(發揚)하기 위해서 우주를 비감성화시킨 것이다. 《T.S.엘리엇/초현실주의(超現實主義) 간략사전(簡略辭典)》    
    [50]시란 감정의 해방이 아니고 감정으로부터의 탈출이며, 인격의 표현이 아니고 인격으로부터의 탈출이다. 《T.S.엘리엇/전통(傳統)과 개인(個人)의 재능(才能)》    
    [51]시의 세계로 들어온 철학이론은 붕괴되는 법이 없다. 왜냐 하면 어떤 의미에서 볼 때 그것이 진리이건 우리가 오류를 범했건 그런 것은 이미 문제가 되지 않으며, 의미하에서는 그 진리가 영속성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T.S.엘리엇/평론선집 評論選集》    
    [52]시의 의미의 주된 효용은 독자의 습성을 만족시키고, 시가 그의 마음에 작용하는 동안 정신에 대해서 위안과 안정감을 주는 데 있다. 《T.S.엘리엇/시(詩)의 효용(效用)과 비평(批評)의 효용(效用)》    
    [53]시란 「무엇은 사실이다」 하고 단언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사실을 우리로 하여금 좀더 리얼하게 느끼도록 해 주는 것이다. 《T.S.엘리엇》    
    [54]리듬과 운율은 시에 있어 인위적이며 외면적인 첨가물이다. 그리하여 다양한 변화가 일어날 때 이들은 점점 더 무미하게 되어 드디어는 경시적이고 방해적 요소가 되고 만다. 《F.S.플린트》    
    [55]나는 정서를 스며들게 하는 것이――사상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의 감각 속에 작자가 느낀 것에 상응하는 하나의 진동을 일으키는 것――시의 특유한 기능이라 생각한다. 《A.E.하우스먼》    
    [56]우리의 일상생활의 정서생활과 시의 소재 사이엔 차이가 없다. 이러한 생활의 언어적 표현은 시의 기교를 사용하게 되어 있다. 이것만이 단지 근본적인 차이일 뿐이다. 《I.A.리처즈》    
    [57]한 편의 시는 하나의 의식(儀式)이다. 따라서, 형식적이고 의식적 성격을 갖춘다. 시가 가지는 언어의 용법은 회화의 용어와는 달리 의식적이며 화려한 꾸밈새가 있다. 시가 회화의 용어나 리듬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것과 대조를 이루게 마련인 규범을 미리 전제로 하고 의식적으로 형식을 피하기 위하여 그렇게 한다. 《W.H.오든》    
    [58]시는 몸을 언어의 세계에 두고 언어를 소재로 하여 창조된다. 《M.하이데거/시론 詩論》    
    [59]시는 우리들이 익숙해서 믿어 버리고 있고 손쉽게 가깝고 명백한 현실에 비해서 무엇인가 비현실적인 꿈 같은 느낌을 일으킨다. 그러나 사실은 이와 뒤바뀐 것으로서, 시인이 말하고 시인이 이렇다고 긍정한 것 그것이야말로 현실인 것이다. 《M.하이데거/횔덜린과 시(詩)의 본질(本質)》 [60]시는 법칙이나 교훈에 의해 완성될 수 없으며, 본질적으로 감각과 신중함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J.키츠》    
    [61]아무리 시시한 시인이 쓴 글이라 할지라도 우리가 정말로 그를 이해한다면 좋은 시를 읽어 버림으로써 받은 인상보다야 훨씬 아름다운 것이 아니겠나. 내가 시를 읽고 싶지 않을 때, 시에 지쳤을 때, 나는 항상 자신에게다 그 시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다고 타이르는 바일세. 또 나는 나도 모르는 사이에 대단히 아름다운 감정이 내 마음속에서 진행중일 것이라고 타이르기도 하네. 그래서 언젠가 어느 순간에 내가 내 마음속을 들여다볼 수가 있어 그 훌륭한 감정을 꺼낼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고 있네. 《B.A.W.러셀/사랑이 있는 기나긴 대화(對話)》    
    [62]시는 보통의 이성의 한계를 지난 신성한 본능이며 비범한 영감이다. 《E.스펜서》    
    [63]시는 어떤 리듬을 선택하여 그것들을 체계화시켜 반복한다. 이것이 운율이다. 《R.S.브리지스》    
    [64]시는 시인의 노고와 연구의 결과이며 열매이다. 《B.존슨》    
    [65]시는 인류에게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법칙과 패턴을 제공해 준다. 《B.존슨》    
    [66]시의 으뜸가는 목적은 즐거움이다. 《J.드라이든》    
    [67]시란 우리에게 다소 정서적 반응을 통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말해 주는 언어이다. 《E.A.로빈슨》    
    [68]한 편의 시는 그 자체의 전제(前提)를 훌륭하게 증명해 놓은 것이다. 《S.H.스펜더/시(詩)를 위한 시(詩)》    
    [69]시는 결국 야회복을 입은 산문은 아니다. 《J.콕토》    
    [70]실러는 어떤 편지에서(괴테에게 쓴 것이었다고 생각되지만) 「시적(詩的)인 기분」에 대하여 언급한 것이 있다. 실러가 무엇을 의미하였는지 나는 알 것 같다. 「시적인 기분」이라는 것은 우리가 자연을 받아들일 때의 기분이고, 사상이 자연과 마찬가지로 생동하고 있다고 느낄 때의 기분일 것이다. 《L.비트겐슈타인/반철학적(反哲學的) 단장(斷章)》    
    [71]시는 자기 속에 가지고 있지 못하면 아무 데에서도 찾지 못한다. 《J.주베르/팡세》    
    [72]미합중국 자체가 본질적으로 가장 위대한 시(詩)이다. 《W.휘트먼/풀잎》    
    [73]위대한 시는 아주 오래오래 공동의 것이고, 모든 계급과 얼굴색을, 모든 부문과 종파를, 남자만큼이나 여자를, 여자만큼이나 남자를 위한 것이다. 위대한 시는 남자나 여자에게 최후가 아니라 오히려 시작이다. 《W.휘트먼/풀잎》    
    [74]언어는 이미 강제적으로 보편화하는 것으로 시는 보편화를 체현(體現)하고 사상에 활기를 주고, 다시 말하자면 우수한 실재(實在), 실제의 세계보다 고귀하고 더 선택된 세계를 낳게 된다. 시는 신자(信者)의 눈으로 볼 때 종교적 신앙이 부활에서 기대하는 효능을 사물에 대해서 부여한다. 시는 사물을 더욱 아름답고 순수하고 위대한 것으로 표현하며, 불멸성의 후광(後光)으로 이것을 둘러싼다. 그러므로 시인은 다른 생활양식의 예언자, 변용을 이루는 자연과 인간의 직관자이지만 산문은 이 세계의 언어이다. 시인은 올림포스의 주민이 한때 하계(下界)에서 생활을 한 자이며, 테살리아의 페레스 왕 아드메도스 곁에서 양을 지키는 아폴론이다. 거기서 시를 신들의 언어라고 부르는 것은 거의 문자 그대로 진실인 것이다. 《H.아미엘/일기 日記》    
    [75]완벽한 아름다움을 지닌 것은 모두가 그렇듯이 시도 경탄을 강요한다. 《S.말라르메/예술(藝術)의 이단(異端)》    
    [76]몇 개의 발성으로 마치 주문(呪文)과도 같이 세속언어와는 별개의 새롭고 온전한 어휘를 재창조하는 시구는 말의 완전한 독립을 이룩한다. 《S.말라르메/예술(藝術)의 이단(異端)》    
    [77]비전의 확장. 《K.지브란/나는 네 행복(幸福)을 기린다》    
    [78]빅토르 위고는 그의 전 작품을 통해서 우리에게 시(詩)에 있어서는 직접적인 표현은 일종의 기이함이 될 수밖에 없으며, 한 작품에 그런 직접적 표현이 범람하고 있으면 그 작품 전체의 시적 아름다움을 말살하고 말 것이라고 증명하고 있다. 《P.발레리/문학론 文學論》    
    [79]시는 이해하기보다도 짓기가 더 쉽다. 《M.E.몽테뉴/수상록 隨想錄》    
    [80]시라는 것은 시적 천재 그 자체로부터 생기는 특성이며, 이와 같은 시적 천재가 곧 시인 자신의 시혼에 비치고 있는 심상(心像)이나 사상 또는 정서를 사로잡아서 이것을 수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S.T.콜리지/시(詩)의 철학적(哲學的) 정의(定義)》    
    [81]시는 모든 지식의 숨결이자 정수(精髓)이다. 《W.워즈워스/서정민요집 抒情民謠集》    
    [82]위대한 시에는 이러저러한 것――깊은 생각, 훌륭한 소리, 또는 생생한 이미저리(imagery)――이 「꼭」 있어야 한다는 일반론은 한낱 무지몽매한 독단에 불과하다. 시는 생각이 없을 경우는 물론이고 의미가 없을 경우에도 거의 성립할 수 있고, 혹는 감각적(또는 형식적) 구조 없이도 「거의」 성립할 수 있으며, 그런 경우에도 시가 도달할 수 있는 극점(極點)까지 도달한다. 《I.A.리처즈/시(詩)의 분석(分析)》    
    [83]시는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것이다. 《맥뤼시/시론 詩論》    
    [84]시(詩)는 순간의 형이상학이다. 하나의 짤막한 시편(詩篇) 속에서 시는 우주의 비전과 영혼의 비밀과 존재와 사물을 동시에 제공해야 한다. 시가 단순히 삶의 시간을 따라가기만 한다면 시는 삶만 못한 것이다. 시는 오로지 삶을 정지시키고 기쁨과 아픔의 변증법을 즉석에서 삶으로써만 삶 이상의 것이 될 수 있다. 그 때서야 시는 가장 산만하고 가장 이완된 존재가 그의 통일을 획득하는 근원적 동시성(同時性)의 원칙이 된다. 다른 모든 형이상학적 경험들은 끝없는 서론(緖論)으로 준비되는 것인 데 비하여 시는 소개말과 원칙과 방법론과 증거 따위를 거부한다. 시는 의혹을 거부한다. 그것이 필요로 하는 것은 기껏해야 어떤 침묵의 서두(序頭) 정도이다. 우선 시는 속이 텅 빈 말을 두드리면서, 독자의 영혼 속에 사고(思考)나 중얼거림의 어떤 계속성을 남기게 될지도 모르는 산문(散文)과 서투른 멜로디를 침묵시킨다. 그러고 나서 진공(眞空)의 울림을 거쳐서 시는 저의 순간을 만들어 낸다. 《G.바슐라르/시적(詩的) 순간(瞬間)과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 순간(瞬間)》 [85]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시경(詩經)에 있는 삼백 편의 시(詩)는 한 마디로 말해 사악함이 없다.」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曰 思無邪 《논어 위정편 論語 爲政篇》    
    [86]고시(古詩)는 충후(忠厚)를 주로 했다. 시라는 것은 언어만 가지고 구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언제나 깊이 그 의도를 관찰해야 한다. 그러므로 한 사람을 기평(譏評)할 때에는 그 소위(所爲)의 악을 얘기하지 아니하고 그 벼슬의 존비와 차안의 미려를 들어 백성의 반응을 주시하여야 하는 것이다. 《소식 蘇軾/동파전집 東坡全集》    
    [87]시란 뜻이 향해 가는 바라, 마음 안에 있으면 뜻이 되고 말로 나타내면 시가 된다. 《모시 서 毛詩 序》    
    [88]시란 천지의 마음이요, 군덕(君德)의 사원이며 만물의 문호다. 《연감류함 淵鑑類函》    
    [89]시부(詩賦)란 선하거나 추한 덕을 칭송하는 길이며, 슬프거나 즐거운 정을 배설하는 길이다. 《왕부 王符/잠부론 潛夫論》    
    [90]시란 정(情)을 뿌리로 하고 말을 싹으로 하며, 소리를 꽃으로 하고 의미를 열매로 한다. 《백거이 白居易》    
    [91]시란 정신의 떠오른 영화(英華)요, 조화의 신비한 생각이다. 《서정경 徐禎卿》    
    [92]시에 아홉 가지 마땅치 않은 체격이 있으니, 이것은 내가 깊이 생각해서 스스로 터득한 것이다. 한 편 안에 고인의 이름을 많이 썼으니, 이것은 한 수레 가득히 귀신을 실은 체격이다. 고인의 뜻을 모조리 앗아다 쓴 것이 있으니, 용한 도적질도 오히려 옳지 못한데 도적질조차 용하지 못하니, 이것은 서툰 도적이 잡히기 쉬운 체격이다. 어려운 운을 달기는 했는데 근거(根據)한 곳이 없다면 이것은 쇠뇌를 당겼으나 힘이 모자란 격식이다. 그 재주는 헤아리지 않고 운을 번드레하게 달았다면 이것은 술을 제 양에 넘도록 먹은 격이다. 어려운 글자를 쓰기 좋아해서 남을 쉽게 현혹하려 했다면 이것은 함정을 파 놓고 장님을 인도하는 체격이다. 사연은 순탄하지 못하면서 끌어다 쓰기를 일삼는다면 이것은 강제로 남을 내게 따르게 하려는 체격이다. 속된 말을 많이 쓴다면 이것은 시골 첨지가 모여 이야기하는 체격이다. 기피해야 할 말을 함부로 쓰기를 좋아한다면 이것은 존귀를 침범하는 체격이다. 사설이 어수선한 대로 두고 다듬지 않았다면 이것은 잡초가 밭에 우거진 체격이니, 이런 마땅치 못한 체격을 다 벗어난 뒤에야 정말 더불어 시를 말할 수 있다. 《이규보 李奎報/동국이상국집 東國李相國集》    
    [93]무릇 시(詩)는 뜻을 주장으로 하는데, 뜻을 갖추기가 제일 어렵고 사연을 엮는 것이 그 다음이다. 뜻은 또한 기(氣)를 주장삼으니 기의 우열(優劣)에 따라 깊고 얕음이 있다. 그러나 기는 하늘에 근본하여 배워서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기가 모자라는 자는 글을 만들기에만 힘쓰고 뜻을 먼저 두려 하지 않는다. 대개 그 글을 새기고 치장함에 있어서, 구절을 단청(丹靑)하면 실로 아름답지만 그 안에 감추어진 깊고 무거운 뜻이 없어서 처음 읽을 때는 잘된 듯하나 두 번째 씹으면 벌써 맛이 없다. 《이규보 李奎報/동국이상국집 東國李相國集》    
    [94]세상에서 말하기를, 시는 문(文)의 쇠약한 것이요 율(律)은 시의 변한 것이라 하지만, 이것은 특별히 아로새기고 엮어 가는 공교함만을 가리킨 것뿐이다. 대체로 성정(性情)을 다스리고 풍속의 교화에 통달하는 일이 시 아니고 어디에 의지하겠는가. 《노수신 盧守愼/소재집 蘇齋集》    
    [95]무릇 남겨 두는 시는, 말은 간단하고 뜻은 극진한 것을 아름답다 한다. 그러므로 반드시 과장하거나 풍부하고 화려할 것은 아니다. 《최자 崔滋/보한집 補閑集》    
    [96]시라는 것은 기(氣)를 주(主)로 한다. 기(氣)는 성(性)에서 나오고 뜻은 기에 의지하며 말은 정(情)에서 나온다. 정이란 것은 즉 뜻이다. 그리고 신기(新奇)한 뜻은 말을 만들기가 더욱 어렵다. 자칫하면 생경하고 난삽하게 된다. 그러나 문순공(文順公) 같은 이는 경사백가(經史百家)를 골고루 열람하고 그 꽃다운 향기에 삶아지고 고운 채색에 물들여졌다. 그런 까닭에 그 말은 자연히 풍부하고 고와서 비록 새로운 뜻의 지극히 미묘하고 어려워서 형상하기 어려운 곳이라도 그 말이 곡진(曲盡)하고 다 정숙(精熟)하다. 대체로 표현하는 재주가 시정(詩情)을 이기면 비록 아름다운 뜻이 없더라도 말은 오히려 원숙하지만, 시정이 표현하는 재주를 이기면 말이 비근(鄙近)하고 산만하여서 아름다운 뜻이 있음을 알지 못하게 된다. 정과 재주가 겸비된 뒤라야 그 시는 볼 만한 것이 있는 것이다. 《최자 崔滋/보한집 補閑集》    
    [97]<시평(詩評)>에 이르기를, 「기(氣)는 싱싱한 것을 숭상하고 말은 원숙(圓熟)코자 하는데, 초학(初學)의 시는 기가 싱싱한 다음이라야 장년(壯年)이 되어서 기가 표일(飄逸)하고, 장년의 기가 표일한 다음이라야 노년(老年)이 되어서 기가 호탕(豪宕)하여진다.」 하였다. 《최자 崔滋/보한집 補閑集》    
    [98]시라는 것은 사상의 표현이다. 사상이 본디 비겁하다면 제아무리 고상한 표현을 하려 해도 이치에 맞지 않으며, 사상이 본디 협애하다면 제아무리 광활한 묘사를 하려 해도 실정에 부합하지 않는다. 때문에 시를 쓰려고 할 때는 그 사상부터 단련하지 않으면 똥무더기 속에서 깨끗한 물을 따라 내려는 것과 같아서 일생토록 애를 써도 이룩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할 것인가? 천인 성명의 법칙을 연구하고 인심 도심의 분별을 살펴 그 때묻은 잔재를 씻어 내고 그 깨끗한 진수를 발전시키면 된다. 《정약용 丁若鏞/증언 贈言》    
    [99]대체로 두보(杜甫)의 시가 모든 시인들의 시보다도 으뜸인 점은 <시경> 삼백 편의 사상을 잘 계승하였기 때문이다. 삼백 편은 모두가 충신·효자·열부·친우들의 측달충후한 사상의 표현이다. 임금을 사랑하고 나라를 걱정하지 않은 것은 시가 아니며, 어지러운 시국을 아파하고 퇴폐한 습속을 통분히 여기지 않은 것은 시가 아니며, 진실을 찬미하고 허위를 풍자하며 선을 전하고 악을 징계하는 사상이 없으면 시가 아니다. 그러므로 의지가 확립되지 못하고 학식이 순정하지 못하며 큰 도를 알지 못하고 임금의 잘못을 바로잡으며 백성을 이롭게 하려는 마음이 없는 자가 시를 지을 수 없다. 《정약용 丁若鏞》    
    [100]보기 좋은 미사여구(美辭麗句)를 모아 놓고 시라고 하는 것이야 비천한 잡배의 장난에 불과하다. 시는 선언이다. 만천하의 현재뿐 아니라 진미래제(盡未來際)까지의 중생에게 보내는 편지요, 선언이요, 유언이다. 《이광수 李光洙》    
    [101]시는 그 시인의 고백이다. 신의 앞에서 하는 속임 없는 고백이다. 구약에 시편만이 아니라 무릇 시는 시인의 심정 토로다. 시인은 시에서 거짓말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그것은 신을 기만하는 것이다. 《이광수 李光洙/문학평론 文學評論》    
    [102]작품에는 그 시상(詩想)의 범위, 리듬의 변화, 또는 그 정조(情調)의 명암에 따라, 비록 같은 한 사람의 시작(詩作)이라고는 할지라도, 물론 이동(異同)은 생기며 또는 읽는 사람에게는 시작 각개의 인상을 주기도 하며, 시작 자신도 역시 어디까지든지 엄연한 각개로 존립될 것입니다. 그것은 또 마치 산색(山色)과 수면(水面)과 월광성휘(月光星輝)가 모두 다 어떤 한때의 음영에 따라 그 형상을 보는 사람에게는 달리 보이도록 함과 같습니다. 물론 그 한때 한때의 광경만은 역시 혼동할 수 없는 각개의 광경으로 존립하는 것도, 시작의 그것과 바로 같습니다. 《김소월 金素月/시혼 詩魂》    
    [103]시란 작렬이다. 시의 생성은 아메바적 분열작용에서만 유래한다. 시와 시인은 같은 조각이다. 《김상용 金尙鎔》    
    [104]시를 직업으로는 못 한다. 정절(貞節)을 직업으로 할 수 있을까. 《김상용 金尙鎔》    
    [105]시란 곧 참이다. 《함석헌 咸錫憲/아름다움에 관하여》    
    [106]시는 언제나 우리의 삶을 새로 출발하도록 고무하며 그 삶의 근원으로 되돌아가게 할 것이다. 《박두진 朴斗鎭/시(詩)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107]뒤집어서 말하자면 시는 새벽에 엄습하는 어두운 그림자, 죽음――그것을 이기는 기도, 삶 자체의 가장 순수한 보람의 사랑보다도 어느 의미에서는 더 충족적이며 순수한 자각과 생명 욕구의 가장 포괄적인 발현일 수 있는 것이다. 시가 더 내적이며 더 구체적이며 더 현실적인 삶의 징표(徵表)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더 구체적인 삶의 내용, 가장 선택된 마지막 낙원, 가장 가능한 아름다움의 세계가 되는 셈이다. 《박두진 朴斗鎭/시(詩)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108]시는 천계(天啓)다. 그러나 그 천계는 스스로가 만든 것이다. 《조지훈 趙芝薰/영원(永遠)과 고독(孤獨)을 위한 단상(斷想)》    
    [109]시란 지·정·의가 합일된 그 무엇을 통하여 최초의 생명의 진실한 아름다움을 영원한 순간에 직관적으로 포착하여 이를 형상화한 것이다. 《조지훈 趙芝薰/영원(永遠)과 고독(孤獨)을 위한 단상(斷想)》    
    [110]시를 쓴다는 것은 생에 대한 불타오르는 시인의 창조적 정신에서 결실되는 것이니, 대상하는 인생을 보다 더 아름답게 영위하려고 의욕하고 그것을 추구·갈망하는 데서 제작된다면 그 시인의 한 분신(分身)이 아닐 수 없다. 《신석정 辛夕汀/나는 시(詩)를 이렇게 생각한다》    
    [111]시에 있어서의 기술이란 필경 언어 사용술을 말하는 것인데, 시상은 언어를 통하여서만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상에는 이미 거기에 해당되는 기술이 저절로 따르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머리 안에서 언어로 형성되는 시상을 그대로 문자로 옮기면 시가 된다. 《오지호 吳之湖》    
    [112]시란 사랑이다. 《김영일 金英一/동심 童心》    
    [113]시 또한 짙은 안개가 아닌가. 답이 없는 세계, 답이 있을 수 없는 세계, 그 안개 같은 실재를 지금 더듬고 있는 거다. 《조병화 趙炳華/인생(人生)은 큰 안개이다》    
    [114]피아노가 음악의 모체라면 시는 문학의 모체이다. 어떠한 산문작품이라 할지라도 시정신이 내포되어 있지 않으면 문학이 될 수 없을 것이다. 《한흑구 韓黑鷗/싸라기 말》    
    [115]시작품(포엠)이란 포에지와 의미와의 차갑고도 뜨거운 긴장에서만 우러나오는 산물이어야 할 것입니다. 포에지와 의미 사이에 벌어지는 알력 갈등의 에너지는 실인즉 전달되어야 할 가장 뜻깊은 시의 에너지인지도 모릅니다. 《신동집 申瞳集/모래성 소감(所感)》    
    [116]시는 여하튼 어떤 양상에 있어서는 산문(散文)의 특징을 피하려는 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것은 기자식(棋子式)의 언어가 아니고 시각적이며, 구체적인 언어이다. 그것은 감각을 그 모양 그대로 옮겨 놓으려는 직각(直覺)의 언어에 대한 하나의 타협이다. 그것은 언제나 우리들의 주의를 끌며, 우리들로 하여금 구상적(具象的)인 사물을 계속적으로 바라보게 하고, 우리들이 추상적 과정 안으로 빠져드는 것을 막으려고 한다. 그것은 청신한 형용사나 청신한 비유를 골라낸다. 딴은, 그것이 새롭고 우리들은 낡은 것에 싫증 났기 때문에서가 아니라, 낡은 것이 구상(具象)의 것을 전달하기를 멈추고 추상적인 기자(棋子)가 되기 때문에서다. 시인은 「배가 범주(帆走)하였다」는 기자식의 말을 쓰는 대신, 「뱃길을 더듬었다」고 하여 구상적인 심상(心象)을 얻게 되는 것이다. 시각적인 의미는 오직 비유의 새 그릇에 의해서만 담을 수 있는 것이다. 산문은 그러한 것이 새어 버리는 낡은 항아리이다. 시에 있어서의 심상은 한낱 장식에 불과한 것이 아니고 직각적 언어의 본질 그 자체인 것이다. 시는 우리들을 데리고 지상(地上)을 걸어가는 보행자이며, 산문은 우리를 목적지로 운반하는 열차인 것이다. 《미상 未詳》    
    [117]시는 현실 이상의 현실, 운명 이상의 운명을 창조할 수 있는 것이고, 이 창조력은 언제나 현세적 속박의 반작용의 힘에서 얻어지는 것이다. 《이어령 李御寧/통금시대(通禁時代)의 문학(文學)》    
    [118]「패러독스」 「아이러니」 「위트」 「메타포」 여러 가지 현대시의 무기는 새로운 신화를 우리 앞에 펼쳐 주고 있다. 《이어령 李御寧/전후문학(戰後文學)의 새 물결》    

    【시·묘사】    
    [119]시는 감촉할 수 있고 묵묵해야 한다    
    구형의 사과처럼    
    무언(無言)이어야 한다    
    엄지손가락에 닿는 낡은 훈장처럼    
    조용해야 한다    
    이끼 자란 창턱의 소맷자락에 붙은 돌처럼    
    시는 말이 없어야 한다    
    새들의 비약처럼    
    시는 시시각각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마치 달이 떠오를 때처럼    
    마치 달이 어둠에 얽힌 나뭇가지를    
    하나씩 하나씩 놓아주듯이    
    겨울 잎사귀에 가린 달처럼    
    기억을 하나하나 일깨우며 마음에서 떠나야 한다    
    시는 시시각각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마치 달이 떠오를 때처럼    
    시는 비등해야 하며    
    진실을 나타내지 않는다    
    슬픔의 모든 역사를 표현함에    
    텅 빈 문간과 단풍잎 하나    
    사랑엔    
    기운 풀과 바다 위의 등대불들    
    시는 의미해선 안 되며    
    존재해야 한다 《A.매클리시/시학 詩學》    
    [120]사람들은 시를    
    조그마한 사슬에 달아    
    내복 밑    
    벌거벗은 피부 위에 달고 있다. 《A.A.숄/시집 詩集》    
    [121]무상하기에 무상하지 않고    
    일시적이기에 결정적이며    
    시간적이기에 무시간적이고    
    단편적이기에 완전하며    
    무방비이기에 강력하며    
    모방할 수 있기에 반복할 수 없고    
    비논리적이기에 현실적이고    
    포착할 수 없기에 포착할 수 있다. 《A.A.숄/시집 詩集》    
    [122]나의 시의 장부(帳簿)는 어디에 있는가    
    이 나의……    
    종이도 없고 펜도 없고    
    시도 없이 나는 무(無) 앞에 있다. 《R.크노/시법(詩法)을 위하여》    
    [123]나의 시(詩)는 싸움이다. 《W.바이라우흐/나의 시(詩)》    
    [124]한 편의 시를 낳기 위해서는    
    우리는 그리운 것을 죽이지 않으면 안 된다. 《전촌융일 田村隆一/사천(四千)의 날과 밤》    
    [125]붓 놓자 풍우가 놀라고    
    시편이 완성되자 귀신이 우는구나.    
    筆落驚風雨    
    詩成泣鬼神 《두보 杜甫》    
    [126]눈 내려 이 해도 늦어 가는데,    
    풍진은 하 번져서 수습 못하네.    
    벗님네 아스라이 서울을 떠나,    
    타향의 나그네로 오랜 세월을.    
    상대하니 문득 기쁜 얼굴이지만,    
    슬픈 노래 흰 머리털 어찌하리오.    
    소매 속에 감춰 놓은 몇 수의 시는,    
    방황하는 인생을 위로해 주네.    
    雨雪歲將晩    
    風塵浩未收    
    故人京國遠    
    久客異鄕遊    
    相對忽靑眼    
    悲歌堪白頭    
    袖中詩幾首    
    聊得慰淹留 《정도전 鄭道傳/삼봉집 三峯集》    
    [127]한 줄기 시의 연간(聯間)을 걸어가면서    
    어디엔가 반짝이고 있을    
    나의 오늘을 나는 짚어야 한다. 《신동집 申瞳集/어떤 시(詩)》    
    [128]이 고운 화병에 무엇을 꽂을 것인가. 옳지 그렇다. 시를 꽂자. 앵도알같이 열린 시를, 백합꽃같이 핀 시를, 난초잎같이 솟은 시를 멋지게 꽂는 것이 좋겠다. 《신동문 辛東門/수정화병(水晶花甁)에 꽂힌 현대시(現代詩)》    
    [129]겨울 하늘은 어떤 불가사의(不可思議)의 깊이에로 사라져 가고,    
    있는 듯 없는 듯 무한(無限)은    
    무성하던 잎과 열매를 떨어뜨리고    
    무화과나무를 나체(裸體)로 서게 하였는데,    
    그 예민한 가지 끝에    
    닿을 듯 닿을 듯 하는 것이    
    시(詩)일까,    
    언어(言語)는 말을 잃고    
    잠자는 순간,    
    무한(無限)은 미소하며 오는데    
    무성하던 잎과 열매는 역사의 사건으로 떨어져 가고,    
    그 예민한 가지 끝에    
    명멸하는 그것이    
    시일까, 《김춘수 金春洙/나목(裸木)과 시(詩) 서장(序章)》    
    [130]문득 한 줄의 시가 일어섰다.    
    작업모를 쓰고    
    장갑을 끼고    
    시는 어둠의 진한 성감대(性感帶)를    
    후볐다.    
    잠시 후 꽃의 기침 소리가 나고    
    텅빈 마당이 다시 조립되는 소리가 나고    
    삽질하는 시의 섬광이 번쩍이고 《이규호 李閨豪/시(詩)가 아침을》    
    [131]더듬거리며 되찾는 한두 마디 말    
    말에 시가 깃드는 아픔이여    
    시(詩) 시시 시줄의 눈발 따라    
    내 어린것보다는    
    쉽사리 익혀 갖는 나의 말법. 《박경용 朴敬用/폭설 暴雪》    
    [132]그러는 시의 주소는 여기에 있다. 지리하고 긴 회임(懷姙), 쉽사리 단안을 못 내리는 사념의 발열, 심층심리 안의 문답, 외롭게 희귀한 개성적 심상(心像), 선명하지도 밝지도 못한 사고의 교착(膠着), 암시, 모든 잠재의식과 꼬리가 긴 여운. 시인이 버리면 영 유실되는 것, 시인이 명명하지 않으면 영 이름이 붙지 못하는 것. 원초의 작업 같은 혼돈에의 투신과 첩첩한 미혹, 그리고 눈물 나는 긴 방황. 《김남조 金南祚/시(詩)의 주소(住所)는 어디인가》    
    【격언·속담】    
    [133]시에는 그림이 있고, 그림에는 시가 있다. 《중국 中國》    
    [134]시(詩)는 낳는 것이지 만드는 것은 아니다. *The poem is born, not made. (*시는 체험에 의해서 우러나오는 것이어야 한다는 말) 《영국 英國》    

    【고사·일화】    
    [135]뮤즈 여신들은 자주 천상 올림포스에 올라가 그 아름다운 노래로 신들의 잔치 자리에 흥을 돋우었으나, 여느 때는 보이오티아 지방의 헬리콘 산에서 살았다. 헬리콘 산의 언덕진 산비탈은 향긋한 나무로 뒤덮여 독사의 독까지 삭아 없어진다는 성역(聖域)으로, 맑은 샘터가 많아 그 중에도 유명한 것이 아가니페 샘터가 있고, 또 천마(天馬) 페가수스가 지나간 발굽 자리에서 솟아나왔다는 히포크레네 샘터가 있다. 이 샘물을 마시면 영묘(靈妙)한 시상(詩想)이 저절로 떠오른다. 여신들은 또한 파르나소스 산을 즐겨 찾아가 아폴론 신과 자리를 같이하곤 했다. 이 산기슭에 키스탈리아라는 샘터가 있었는데, 역시 여신들의 성지(聖地)로, 그 샘물을 마시면 시상이 떠오른다고 한다. 이 샘터는 케페소스 강으로 흘러 들어 황천(黃泉)의 스틱스 강에 통한다는 것이다. 현대시가 메마른 것은 여신들의 이 아가니페 샘, 히포크레네 샘, 그리고 키스탈리아 샘이 말랐다는 뜻인가?    
    [136]어떤 사람이 당나귀를 타고 단테의 시를 읊으면서 길을 가고 있었다. 그런데 그 친구 버릇이 되어 시의 구절 구절의 끝마디마다 「이랴이랴」 하면서 당나귀 궁둥이를 두들겼다. 이것을 보고 있던 시인 단테는 벌컥 화를 내며, 「이놈아, 시 어느 구절에도 '이랴이랴'라고 써 놓지는 않았어[137]후에 존슨 박사의 전기를 쓴 보즈웰이 존슨 박사와 같이 점심을 먹으며, 「선생님, 솜씨 좋은 요리사가 탁월한 시인보다 세상에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까?」라고 물었더니, 존슨 박사가 점잖은 표정으로, 「거리에 있는 개들이라면 그렇게 생각하겠지.」라고 대답하였다.    
    [138]앙드레 비이가 무어를 회견했을 때 무어는 이상한 말을 하였다. 「영국의 작가 토마스 하디는 자꾸 문법에 틀리는 말을 쓰게 되는 것이 싫증이 나서 산문 쓰는 일을 그만두고 시를 쓰게 된 것이오.」 「그렇다면 산문보다도 시를 쓰는 것이 수월하시오?」 이렇게 묻는 비이에게 무어는 대답하기를, 「그렇지요. 왜냐 하면 시에는 여러 가지 제재와 규칙이 있어서 실상 그것들이 시를 쓰는 데 도움이 되거든요.」 하였다.    
    [139]독일에서 나폴레옹과 괴테와의 회견 때의 일이다. 「오늘의 회견 기념으로 시(詩) 한 수를 지어서 나에게 줄 수 없겠는가?」 나폴레옹이 청하자, 괴테는 대답했다. 「나는 누구에게도 시를 바치지 않습니다.」 하였더니, 나폴레옹은 되물었다. 「어떤 이유에서인가?」 「후회하고 싶지 않은 까닭입니다.」 하고 괴테는 그의 독재성을 은근히 비판하는 대답을 했다.    
    [140]어느 여름 괴테는 실러와 같이 드레스덴의 케르나 포도원에 갔다. 케르나는 독일 관리로서 실러의 친구였다. 쓸쓸한 시골에서 두 사람은 당시의 속된 사람들을 욕하는 풍자시를 많이 썼다. 케르나의 집 여인들은 머리맡 다락방에서 시를 짓는 친구들의 소리를 들었다. 다락방에서는 간혹 가다 킥킥거리며 웃기도 하고, 때로는 발 구르는 소리도 들렸다. 그리고, 몇 번이나 되풀이하여 말했다. 「오늘도 그 속된 인간들에게 몹시 화를 내게 했군.」    
    P.발레리/문학론 文學論》  
     [144]구양수(歐陽脩)가 매성유(梅聖兪)에게 말하기를, 「세상에서 흔히 시인들은 거의가 궁하다고 한다. 그러나 시가 사람을 궁하게 만드는 게 아니라 궁한 뒤라야 시가 좋아지는 탓이다.」 또 소동파(蘇東坡)는, 「구양수의 말이 절대 망언이 아니다. 그는 일찍이 시는 사람을 달(達)하게 만들지 시로 인하여 궁한 사람은 못 보았다라고 했는데, 나는 그것을 어떤 다른 격정으로 인한 발언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  

     

     

  •  

     

    시를 한마디로 정의하면-아마추어가 쓴 작문이 아니라 진정 시인의 경지에 도달한-시인의 시란 [운율 중심의 문맥으로 완성 된 문장]이라고 정의 할 수 있지요. 왜냐면 시와 운율의 독특한 관계때문이지요.

     

    시와 운율의 관계는 서로 떨어져서는 존립조차 불가능가한 특별한 관계지요. 그러므로 시인이 시를 쓴다는 행위는 곧 운율을 형상화하는 작업이 되어야 하는 것이거든요. 

     

    흔히 시상 포착을 한다는 말들을 많이 하는데 시와 운율의 독특한 관계상 시상을 포착한다는 뜻은 형상화할 운율을 포착한다는 말이나 다름 없는 것이 되는 셈이고요.

     

    현재 대한민국 교육에서는 현대시의 운율과 음률(리듬)을 동일한 것으로 가르치는데 대단히 잘못된 지식의 오류이지요. 운율과 음률(리듬)은 아무런 연관성조차도 없으니 까요. 국어사전에 등재된 의미만 제대로 숙고해 보아도 해답이 나온 답니다.

     

    운율의 한자는 운치 운(韻) 법 율(律)를 쓰지요.

    국어사전에 등재된 운치의 뜻은 <고아한 품위가 있는 기상>이고요.

    시는 함축적 내포적으로 형상화 된 문장이어야 한다고하는 건 아시지요. 그 이유는 바로 시와 운율의 독특한 관계 때문이지요. 시라는 문장 속에 내재 되는 운율의 정체가 존제하도록 형상화하는 방법이 함축적 내포적 문장 뿐이거든요.

     

    함축적 내포적 문장이란 어떤 형태의 문장일까요?

    현대시 백년 역사를 대표할만큼 훌륭한 대표작을 거론해 본다면 이상님의 "오감도1" 을 비롯해 김영랑님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수영님의 "눈" "풀" 이육사님의 "말" 윤동주님의 "자화상" 공초 오상순님의 "방랑의 마음" 등등이 떠오르네요.

     

    사전을 찾아 함축적 내포적이란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시면 아시겠지만 미당 선생의 "자화상"이나 "동천" 같은 문장은 함축적 내포적 문장이 아니지요.  즉 시인의 시라고 하기에도 창피스러운 작문 수준의 문장에 불과하다는 말이지요.

     

    불행한 것은 이렇게 형편없는 작문 수준의 문장이 교육용 교재에 시로 등재 되어 시인의 작품으로 교육 되는 것도 모자라 현대시 백년 역사를 대표할 시인 열명에 뽑힌 동시에 대표작이 되었다는 것이지요. 이 얼마나 문학적으로 미개한 현실입니까.

     

    운율과 하등 관련도 없는 음률(리듬)을 현대시의 운율과 동일시하는 잘못 된 지식의 결과 습작 단계도 탈피 못한 아마추어 작문 글과 진정 시인의 경지에 도달한 시인의 시와의 변별성도 구분 못하는 실정이거든요.

     

    현대시의 운율이란 시인이 인위적으로 형상화하는 의미가 그 골격이지요. 그러므로 음률(리듬)과는 연관성도 없는 것이고요.

    그러므로 시(작문)는 누구나 쓸수 있지만 누구나 다 진정 시인의 경지에 도달한 시를 쓸 수 있는 것은 아니지요. 한미디로 말하면 시인의 시는-시인의 시로 부끄럽지 않은 시는-운율적으로 형상화한 문장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지요. 다시말하면 초반 부에 말한 것처럼 [운율 중심의 문맥으로 완성 된 문장만을 시인의 시]라고 할 수 있다는 뜻이지요. 그 이유는 시와 운율의 독특한 관계 때문이고요. 즉 시인이 시를 쓴다는 자체가 운율을 형상화하는 작업이 되어야 하므로 산문 문장처럼 문장 중심의 글이 아니라 문장 속에 내재 되어 있는 운율 중심으로 완성 된 문장을 시라고 할 수 있는 것이지요. 

     

    예를 들면 이상님의 "오감도1"처럼 표면적 내용과 상관없이 함축적 내포적 문장 속에 형상화 되어 내재된 운율 중심의 문장으로 완성 된 문장을 지정 시인의 경지에 도달한 시인의 시라-영국 시인들은 구어체 시라고-한다는 거지요. 헌데 우리나라 교육에서는 이렇게 훌륭한 구어체시를 추상적 상징적 시로 왜곡을 하고 있지요.

     

    낫 놓고 기억자도 모른다는 속담처럼 입으로는 시는 구어체로 써야 한다고 하면서도 이상님의 "오감도1" 같은 훌륭한 구어체시를 눈 앞에 놓고도 문학박사니, 비평가니, 선생이니, 시인이니 하는 소위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추상적이니 상징적이니 하지요. 

     

    영국 시인들이 말하는 구어체시란 concrete poetry적 의미로 [운율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한 문장]를 말하는 것인데 우리나라 교육에서는 입구자 口語로 둔갑시켜 왜곡하고 있지요.

     

    현재 대한민국 서점에 진열 된 시집들 중 진정 시인의 시로 부끄럽지 않은 시는 있을 까요? 있다면 어느 누구의 시집에 어떤 작품이며 과연 몇편이나 될까요? 아니 운율의 정체도 왜곡하며 잘못 된 오류의 지식이 오류 인줄도 모르는 채 교육하는 현재 대한민국에는 진정 시인의 경지에 도달한 시인은 있는 것이며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문학 전문가들 중에 시에 대한 정통한 지식을 획득하고 있는 사람이 단 한 사람이라도 있는 걸 까요? 만약 있다면 미당 선생의 "자화상" 같은 아마추어 작문 수준의 글이 교육용 교재에 시로 등재 될 수 없었겠지요.

     

    시는 자기 맘대로 막 쓰는 것이 아니지요. 왜냐면 시는 운율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이 장르적 특성이니 까요. 그러므로 시를 쓰러면 반드시 사전 지식을 필요로 하지요. 즉 시인의 경지에 도달하려면  필히 장르적 특성 같은 기본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는 말이지요. 그뿐만 아니라 용어에 대해서도 정확하 숙지 해야 하지요. 그래야 많이 아마추어 작문과 시인의 경지에 도달한 시 또는 구어체시의 변별성 같은 것을 제시할 수 있으니 까요.

     

    시에 관심이 있으니시면 먼저 시와 운율의 관계상 시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닌 운율의 정체에 대해 알아야 하지요.

    운율이란 시인이 인위적으로 형상화하는 의미가 그 골격으로 그 정체는 운치 운 자에 법 율자를 쓰는 형태라서 정리하면 [운치(고아한 품위가 있는 기상을) 법 율(함축적 내포적으로 형상화하는) 방식]이지요. 그 성격은 [섭리적 논리에 따른 생리적 발산에 의한 정신적 소산을  불러 내는 것들]이라 할 수 있고요.

     

    이렇게 시를 쓰는 방식은 따로 있어 아마추어 수준의 작문과 진정 시인의 경지에 도달한 시인의 시는 극명히 구분되는 동시에 변별성도 뚜렷하답니다. 그러므로 시인이 낸 시집이라 해도 그 수준은 다 들어 나지요. 예로 든 미당 선생의 "자화상"처럼이요.

     

    현재 대한민국 교육에서 가르치는 시에 대한 지식은 오류가 너무 많은 데도 전혀 모르는 듯 하지요.

     

    왜곡된 지식이 왜곡 인 줄도 모르고 잘못된 오류도 오류 인 줄 모르다 보니 오류가 진실처럼 풍토화 되어 오히려 진실을 배격하는 풍토가 되어 버린 듯 하거든요.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43 시인 - 朴龍喆 2015-04-20 0 4831
442 시적 마술(변용) - 알베르 베갱 2015-04-20 0 4463
441 대상의 고유한 특성 잡기와 시적 변용 2015-04-20 0 4267
440 시적 변용과 형상화 2015-04-20 0 3893
439 철학적 사유의 시적 변용 2015-04-20 0 4168
438 박용철 시론을 중심으로 2015-04-20 0 4356
437 詩야 나와 놀아보자... 2015-04-19 0 4488
436 이규보 시론 2015-04-19 0 5078
435 시로 쓴 시론 및 시어의 특성 2015-04-19 1 4355
434 詩로 쓴 詩論 2015-04-19 0 4649
433 현대시의 공감의 문제 2015-04-19 0 4474
432 창조적 시론을 위하여 2015-04-19 0 4363
431 김춘수 / 이승하 2015-04-19 0 4934
430 녀성해방출사표 시인 - 高靜熙 2015-04-19 0 4622
429 민중시인, 옥중시인 - 김남주 2015-04-19 0 4734
428 <길> 시모음 2015-04-19 0 4517
427 고대 그리스 비극시인 - 아이스킬로스 2015-04-19 0 5101
426 고대 그리스 3대 비극시인 2015-04-19 0 5141
425 고대 그리스 비극시인 - 에우리피데스 2015-04-19 0 5238
424 <바보> 시모음 2015-04-19 0 4435
423 <한글> 시모음 2015-04-19 0 4628
422 <소> 시모음 2015-04-19 1 4430
421 꾸바 시인, 혁명가 - 체 게바라 2015-04-19 0 3891
420 <아내> 시모음 2015-04-19 1 4626
419 <자본주의> 시모음 2015-04-19 0 4562
418 <꽃씨> 시모음 2015-04-19 0 3935
417 皮千得 시모음 2015-04-19 0 4646
416 <이름> 시모음 2015-04-19 0 4550
415 청록파시인 -박목월 2015-04-17 0 4641
414 청록파 시인들 시세계 2015-04-17 0 4327
413 청록파시인 - 박두진 2015-04-17 0 4541
412 청록파시인 - 조지훈 2015-04-17 0 4616
411 참여시인 - 김수영 2015-04-17 0 4307
410 저항시인 - 심훈 2015-04-17 0 4517
409 심훈 시모음 2015-04-17 2 5756
408 <등산> 시모음 2015-04-17 0 6277
407 <동그라미> 시모음 2015-04-17 0 4336
406 <자연> 시모음 2015-04-17 0 4364
405 <하루살이> 시모음 2015-04-17 0 4125
404 <흙> 시모음 2015-04-17 0 4174
‹처음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