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
계영배(戒盈杯)는 '가득참을 경계하는 잔' 이라는 뜻으로, 과음을 경계하기 위해 술이 일정 이상 차오르면 술이 모두 새어나가도록 만든 잔으로 절주배(節酒杯)라고도 불린다. 과유불급(過猶不及), 인간의 끝없는 욕심과 지나침을 경계하는 선조들의 교훈이 담겨 있는 잔이다.
고대 중국의 춘추시대의 춘추오패(春秋五覇)중 하나인 제환공(齊桓公)이 군주의 올바른 처신을 위해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경계하며 늘 곁에 놓아 마음을 가지런이 했던 그릇(欹器)이라 하여 유좌지기(宥坐之器)라 불리었다. 『순자(荀子)』에서 후에 공자(孔子)가 제환공의 사당을 찾았을 때, 그릇에 구멍이 뚫려 있음에도 술이 새지 않다가 어느 정도 이상 채웠을 때 술이 새는 것을 보고 제자들에게 총명하면서도 어리석음을 지키고, 천하에 공을 세우고도 겸양하며, 용맹을 떨치고도 검약하며, 부유하면서도 겸손함을 지켜야한다며 이 그릇의 의미를 가르쳤다고 한다. 현존하는 그릇은 19세기 청(淸)의 광서제(光緖帝)에 만든 것이 전해진다.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과학자인 하백원(河百源, 1781~1845)이 술이 가득채우면 새어나가는 잔을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비슷한 시기 도공 우명옥이 계영배를 만들었다고 강원도 홍천 지방의 전설로 내려오고있다. 우명옥은 당시 설백자기(雪白磁器)를 만들어 명성을 얻은 인물로, 후에 자신의 방탕한 삶을 뉘우치면서 계영배를 만들었다고 하며 이 잔은 후에 조선후기의 거상 임상옥(林尙沃, 1779~1855)에게 전해지며 그는 이 잔을 늘 곁에 두고 인간의 과욕을 경계하면서 조선 역사상 전무후무한 거상으로 거듭났다고 한다.
--------------------------------------------------------------------------------------------------------------------
1700년대 강원도 두메 산골에 우삼돌이란 도공이 있었습니다.
계영배의 구조.
임상옥은 술병을 들어 잔에 술을 따르기 시작했다. 이미 이 잔의 신통력을 알고 있는 임상옥이었기에 그는 술잔의 70퍼센트 정도만 술을 채웠다. 임상옥이 가득 채우지 않자 이를 지켜보던 조상영이 입을 열어 말했다.
"어찌하여 술잔을 가득 채우지 않소이까?" "나리." 임상옥이 대답했다. "나리께서 직접 보시지 않으셨습니가. 술잔을 가득 채우면 술이 없어지는 것을" 조상영이 다시 물었다. "이 정도만 채우면 술이 없어지지 않는 것인가." "그러할 것이나니다." "좋소. 한번 지켜볼 수 밖에." 조상영은 7부 정도만 채운 잔을 지켜보기 시작했다. 이는 조상영뿐만 아니었다. 연회에 참석했던 모든 악사와 모든 기생들도 감히 이 잔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있었다.
깨달음을 얻으려는 사람은 욕심의 불길을 몰아내지 않으면 안된다.
마른 풀을 등에 진 사람이 들불을 보고 도망치듯이 깨달음의 길을 찾는 사람은 반드시 이 욕심의 불에서 멀리 달아나지 않으면 아니되는 것이다. '탐욕'과 '노여움'과 '어리석음'의 세 가지 독이 가득 들어찬 자기 자신의 마음을 믿어서는 아니되고 자신의 마음이 하고 싶어 하는대로 방치해 두어서도 아니된다. 마음을 억눌러서 욕심이 시키는대로 내닫지 않도록 노력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
잔에 7부가 넘는 술은 모두 사라져 버린다는 신비의 술잔 계영배,
계영배라는 단어 한번쯤은 들어보셨지요?
계영배는 위의 잔하고 몸체로 구성되어 있읍니다.
자~~ 먼저 잔에 술을 부어줍니다.
7부정도까지만 부으면 술이 그대로 있읍니다.
하지만 7부를 넘어 가득 술을 따르게 되면 잔 밑에 구멍을 통해 술이 전부 빠져버립니다.
그원리를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위의 그림이 계영배 잔의 단면도입니다. (붉은선을 따라 밑에 뚫린 구멍으로 술이 흘러나온다고 보시면 되요)
자세히 설명드리자면 잔 가운데 기둥같은 파이프 안에 작은 파이프가 또 들어있어요~ (위의 단면도 참고) 겉에 파이프 에 작은 구멍이 나있는거 보이시죠 (위의 왼쪽사진) 술을 부으면 그구멍으로 술이 들어갑니다.
안에 작은파이프 높이까지 부으면 (고높이가 7부정도) 술이 빠져나오지 않고 , 그 이상 부으면 술이 겉에 파이프에 차올라 작은파이로 다시 내려가 잔밑의 구멍으로 흘러 나오는 원리 입니다.
그렇게 잔받침으로 흘러나온 술은 다시 잔에 따라마시면 되는거죠 ^^ 이원리를 ' 사이펀의 원리' 라고 합니다 우리 선조들은 정말 대단하신거 같지 않으세요? 이런 원리를 실제 술잔에 적용하여 만드시고요 ~
.
계영배 (戒盈盃)우리에게 주는 교훈
"자기의 노력에 70%로 만족을 느끼면 정도요 100% 만족 할려면 욕심이다 욕심은 자신을 망치는 근원이다"
돈도 명예도 건강도 70%정도에서 분수를 알고 지나치면 부족함만 못하다는 계영배의 교훈이 어쩜 이렇게 나에게만 적용되는것 같아 항시 머리속에 새기며 살아 갑니다 .
오늘도 조금 부족한 삶으로 살아가려합니다 .
‘과유불급(過猶不及)’이란 말이 있다. 지나침은 모자람과 같다는 뜻이다. 연말연시가 다가올수록 이 고사성어는 수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절절히 파고든다. 이곳저곳에서 각종 송년회로 한해를 마무리하는 사람들. 이때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술이다. 하루가 멀다 하고 이어지는 송년회로 몸이 상해도, 다음번에는 꼭 적당히 마시겠다고 다짐을 해도, 술자리가 무르익을수록 그 다짐은 쉽사리 잊혀진다. 과음(過飮), 과식(過食), 과로(過勞)…, 결국 무엇이든 지나치면 몸을 해치는 독이 된다. 하지만 과연 어느 선까지가 적당한 것일까. 뭐든 '적당히'를 지키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마음 가는 데로 무턱대고 따라가다 보면 금세 넘쳐버리고, 고생했던 기억을 떠올리며 마음을 단단히 다잡으면 너무 인색해지기 쉬우니까. 송년회에서 술을 피할 필요는 없지만 과음은 피해야 할 적(敵)이다. 본인의 의지만으로 술을 절제 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의지가 약하다고 지레 포기하진 말자. 여기 ‘적당히’의 선을 몸소 알려주는 술잔이 있다.
가득 참을 경계하는 잔 계영배. 사진은 국립과천과학관의 전시물.
경계할 계(戒)! 가득 찰 영(盈)! 계영배는 가득 참을 경계하는 잔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일반 술잔과 비슷하지만, 어떤 술이든 이 잔에 7부 선 이상 채우면 밑바닥 구멍으로 술이 모두 새어나간다. 물론 7부가 되기 직전까지만 따르면 술을 온전히 마실 수 있다
서양의 계양배, 피타고라스의 컵.
계영배는 고대 중국에서 하늘에 정성을 드리는 제천의식을 위해 만들었던 ‘의기(儀器)’에서 유래됐다. 이 잔은 상징적으로 인간의 끝없는 욕심을 경계해야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과학자였던 하백원(1781~1845)과 도공 우명옥이 비슷한 시기에 계영배를 발명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잔은 훗날 조선후기의 거상(居常) 임상옥(1779~1855)에게 전해진다. 그는 천재적인 상업수완으로 조선 역사상 전무후무한 거상으로 기록돼 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탐욕스럽게 재산을 모은 것이 아니라 계영배를 곁에 두고 인간의 과욕을 늘 경계했다고 한다.
참고로, 서양에도 계영배와 같은 잔이 존재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 피타고라스(?B.C.580~?B.C.500)가 만들었다고 해 피타고라스의 컵으로 불리는 이 컵은 Greedy(탐욕스러운, 욕심 많은) 컵, Fairness(공정) 컵, Tantalus(탄탈로스)의 컵이라고도 불린다. 이때 탄탈로스는 물이나 액체가 부풀어 오르다가 일정 한계에 이르면 모두 쏟아져 버리는 화학실험기구인 ‘탄탈로스의 접시’에서 유래됐다.
계영배의 단면. 가운데, 잔 높이의 7부쯤 되는 관이 달려있다. 사진은 국립과천과학관의 전시물.
계영배의 원리는 액체의 압력과 대기압, 중력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것이다. 계영배 안쪽을 보면 일반 잔과 다른 점이 있다. 바로 잔 높이의 7부쯤 되는 관이 중심부분에 달려 있는 것이다. 술이 7부 능선을 넘었을 때 바닥의 구멍으로 흘러버리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술이 잔에서 일정 높이만큼 올라와 있다는 것은 그 높이일 때 관 안의 대기압과 (위로 솟아 오르려는) 액체의 압력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다 술의 높이가 관의 높이, 즉 7부 지점을 넘어서게 되면 술이 흘러내리기 시작한다. 정점을 넘어 긴 관으로 술이 이동한 후에는 액체의 압력이 중력의 방향과 같아지면서 계속 아래로 흐르게 된다. 거기에 더해, 일단 물이 빠지기 시작하면 관 내부는 술이 빠져나간 것만큼 진공이 생기고, 바깥과의 기압차가 생기면서 잔 내부의 술이 모두 관 속으로 빨려 들어간다. 때문에 7부를 살짝 넘긴 후 술 따르는 것을 바로 멈추더라도 술은 바닥의 구멍으로 모두 빠져나가 버리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사이펀(siphon)의 원리다. 사이펀은 U자 모양으로 굽은 관으로, 한 쪽은 길고 다른 한 쪽은 짧은 모양이다. 이 관을 이용하면 액체가 들어있는 병이나 통을 직접 움직이지 않고도 높은 곳에 있는 액체를 낮은 곳으로 옮길 수 있다. 액체는 원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지만 사이펀에서는 높은 곳의 물이 더 높은 곳을 지나 낮은 곳으로 내려온다. 높은 곳의 물 액면에 작용하는 대기압으로 인해 액체가 밀어올려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낮은 곳의 물 액면에도 대기압이 작용하고 있으나, 두 액면의 높이 차 만큼 압력이 약하므로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게 된다.
사이펀의 원리. 사이펀은 U자 모양으로 굽은 양쪽 길이가 다른 관으로, 사이펀을 이용하면 대기의 압력과 중력을 이용해 높은 곳의 물을 낮은 곳으로 옮길 수 있다.
위 실험에서 종이컵과 빨대로 간이 계영배를 만들어 보았다. 구부러진 빨대가 사이펀의 역할을 하는데, 짧은 쪽은 종이컵 바닥에서 약 1cm 가량 떨어져 있고 긴 쪽은 바닥 중앙에 구멍을 뚫고 바깥으로 살짝 튀어나와 있다. 음료를 빨대의 맨 윗부분 직전까지 부었을 때는 음료가 그대로 남아있다. 이때는 짧은 빨대의 안쪽과 바깥쪽의 음료 높이가 같다. 이후 빨대가 살짝 잠길 정도로 음료를 붓자, 잠시 후 종이컵 아랫부분의 투명한 컵으로 음료가 모두 흘러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는 음료가 빨대 안쪽의 최고점을 지나 긴 빨대 쪽으로 넘어가면서 빨대 안이 음료로 가득 차, 중력의 영향을 받아 구멍을 통해 계속 새어나오게 된다. 이때 음료가 빠진 만큼 빨대 내부는 진공이 생기면서 바깥쪽과 기압차가 생기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음료를 더 붓지 않아도 짧은 빨대 안으로 컵 내부의 음료가 계속 들어오는 것이다.
계영배 실험의 원리.
액체가 관의 정점에 닿기 전에는 관 안의 대기압과 액체의 압력이 같다. 그러다 관의 액체가 관의 정점을 지나면 액체의 압력이 중력과 방향이 같아지면서 액체가 이동하기 시작한다.
음료가 더 이상 흐르지 않을 때 종이컵 안을 살펴보면, 종이컵 바닥에서 약 1cm가량 높이로 음료가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높이는 구부린 빨대의 짧은 쪽이 컵 바닥에서 떨어져 있는 높이와 동일하다.
우리생활 곳곳에는 사이펀의 원리를 응용한 제품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것이 수세식 변기다. 우리가 변기를 사용 후 밸브를 내리면 물은 항상 같은 위치까지 올라온다. 18세기 영국의 수학자 커밍이 배수 파이프를 위쪽으로 구부려 밑에서 올라오는 냄새를 차단하고 물을 저장하는 방법을 생각해 냈다. 이 역시 사이펀의 원리로, 변기 안에 진공 곡관을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변기 밸브를 누르면 변기 물탱크 속 물이 밀려 내려와 곡관을 넘게 되고, 변기 속 물이 빨려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다시 곡관 높이까지만 물이 차게 되는 것이다.
변기 속 사이펀 관.
밑에서 올라오는 냄새를 차단하면서 물을 저장하는 목적으로 사이펀 관을 적용했다.
물이나 기름을 옮기는 펌프도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펌프를 눌러 손잡이 부분까지 액체를 빨아올리면 액체가 든 통을 기울이지 않아도 다른 통으로 액체를 옮길 수 있다. 세면대와 싱크대 아래 부분에 있는 U자 혹은 P자 배수관에도 사이펀의 원리가 숨어있다. 이 구부러진 부분에는 물이 항상 일정량 담겨 있어 하수구 냄새가 역류하거나 벌레가 올라오는 것을 막아준다.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해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기구도 있다. 하단의 플라스크(Flask) 볼에 물을 넣고 끓여서 증기의 압력에 의해서 진공관을 따라 분쇄된 원두가 들어있는 상단의 볼로 올라가게 된다. 그런 후 불을 끄면 하단의 플라스크(Flask) 속에는 공기가 냉각되면서 진공상태에 의해 윗 플라스크의 커피를 빨아들이게 된다. 이렇게 진공상태로 빨려들어 가는 가운데 필터에 의해 커피만 걸러져 추출된다.
'사이펀 커피 추출기'로 불리는 이 장치는 원형 플라스크 윗부분에 원두를 갈아놓은 용기가 달려 있다. 이때 원두를 갈아놓은 윗부분 용기에는 사이펀 튜브가 장치돼 있다. 하단의 플라스크에 물을 담고 가열을 하면 물이 수증기로 변하며 부피가 커지고, 더불어 압력도 증가하게 된다. 압력 차로 인해 가열된 물이 사이펀 튜브를 따라 중력을 무시하고 위로 올라가게 되고, 원두 용기의 필터를 통과하며 커피와 접촉하게 된다. 가열을 멈추면 하단 플라스크 속 공기가 냉각되면서 진공상태가 돼 원두 용기의 커피를 빨아들이게 된다.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한 사이펀 커피 장치.
0. 실험재료
▶ 구부러지는 빨대, 고무줄, 플라스틱컵, 종이컵
▶ 폼보드, 송곳, 나무송곳, 칼, 본드, 음료수
계영배 만들기 ... 사이펀의 원리
빨대와 플라스틱 컵으로 계영배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계영배는 피타고라스 컵(Pythagorean cup) 이라고도 부르며 탐욕의 컵(Greedy Cup) 이라고도 불립니다.
계영배는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하여 컵에 물이 일정량 이하일때는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지만, 어느 한도 이상이 되면 컵에 담긴 물이 모두 빠져나와버리는 컵 입니다.
보통 구부러진 빨대를 이용하는 일이 많지만, 실제 계영배 모양은 가운데에 기둥이 올라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가운데 기둥이 올라오는 형태로 만들었고, 기둥을 형성하는 빨대는 관찰이 쉽도록 투명한 것을 이용하였습니다.
재료의 사진입니다.
플라스틱 컵3개 (사진에서는 1개 이지만 계영배 실험을 하려면 3개가 필요합니다.), 크기가 같은 동전 2개, 굵기가 다른 빨대 각각 1개, 가위, 라이터, 글루건, CD(사진에는 없습니다만, 작은 구멍이 뚫린 CD가 필요합니다.) 입니다.
먼저 가위를 이용하여 컵 아래쪽에 구멍을 뚫어줍니다. 굵기가 가느다란 빨대가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이면 됩니다.
굵기가 굵은 빨대의 한쪽 부분을 동전으로 감쌉니다. 동전 끝으로 플라스틱 부분이 1~2mm 정도 튀어나도록 해 줍니다.
플라스틱 부분을 라이터를 이용하여 열을 가해줍니다. 그러면 플라스틱 부분이 녹아서 접합되게 되는데, 동전은 열 전달이 잘 되어서 뜨거워지지 않을까 걱정을 할 수도 있지만, 열을 가하는 시간이 짧고, 동전의 열용량이 커서 손에는 열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라이터 불을 끈 다음 플라스틱이 굳을 때 까지 기다려줍니다. 보통 10초 이내입니다.
굵은 빨대를 약간 비스듬하게 잘라준 다음, 가느다란 빨대에 씌워줍니다. 굵은 빨대를 자르는 길이는 큰 빨대를 컵 안에 세웠을 때 3/4 정도 높이가 되도록 하면 적당합니다.
수면이 이 굵은 빨대보다 높아지면 물이 모두 빠져나오게 됩니다. 굵은 빨대와 가느다란 빨대는 글루건을 이용해서 살짝 고정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컵에 뚫린 구멍에 빨대를 장착합니다.
글루건을 이용해서 물이 새지 않도록 고정해 줍니다.
빈 컵에 CD를 올려둔 다음, 방금 제작한 계영배를 올려둡니다. 나머지 컵에는 계영배를 동작시킬 수 있을 정도의 물을 준비합니다.
수면의 높이가 굵은 빨대보다 낮을 때(가운데 가느다란 빨대보다 낮을 때)에는 물이 전혀 빠져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물을 조금 더 부었더니 내부에 있는 물이 빠져나오기 시작합니다.
결국 계영배에 담겨진 물이 전부 다 빠져나와 버렸습니다.
아래의 동영상은 만드는 과정과 테스트하는 과정입니다.
오늘날 계영배의 원리는 좌변기나 자바라펌프 등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은 위키백과에서 가져온 계영배의 원리도 입니다.
그림 :---
계영배의 단면은 그림 A와 같습니다. 마치 구부러진 빨대가 컵 가운데에 있는 형상입니다. 그림 B와 같이 물을 채웠을 때, 기둥보다 높게 채우지 않았다면 물은 전혀 빠져나오지 않습니다. 물을 조금 더 채워서 기둥보다 수면이 높아지면 물이 빠져나오기 시작합니다. (그림 C)
물이 빠져나와서 수면이 기둥의 높이보다 낮아져도 기둥의 가운데 부분에는 물이 차 있기 때문에 사이펀의 원리로 물이 계속 빠져나옵니다. 결국 컵 안의 물은 모두 빠져나옵니다. (그림 D)
계영배의 물이 빠져나오는 것은 대기압이 작용하기 때문이며, 진공에서는 중력이 있어도 계영배의 동작은 불가능하고, 기둥보다 높은 부분의 물만 빠져나오게 됩니다. (사실 진공에서는 상온에서 물이 끓어버리기 때문에 진공에서는 실험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