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池龍과 芝溶
2015년 08월 03일 20시 42분  조회:3495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인 정지용(鄭芝溶)

1902. 5. 15 충북 옥천~?/ 아명은 지용(池龍).
 

 

생애와 활동

한의사인 아버지 태국(泰國)과 어머니 정미하(鄭美河)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12세 때 송재숙(宋在淑)과 결혼했으며, 1914년 아버지의 영향으로 가톨릭에 입문했다. 옥천공립보통학교를 마치고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서 박종화·홍사용·정백 등과 사귀었고, 박팔양 등과 동인지 〈요람〉을 펴내기도 했으며, 신석우 등과 문우회(文友會) 활동에 참가하여 이병기·이일·이윤주 등의 지도를 받았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선근과 함께 '학교를 잘 만드는 운동'으로 반일(半日)수업제를 요구하는 학생대회를 열었고, 이로 인해 무기정학 처분을 받았다가 박종화·홍사용 등의 구명운동으로 풀려났다.

1923년 4월 도쿄에 있는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에 입학했으며, 유학시절인 1926년 6월 유학생 잡지인 〈학조 學潮〉에 시 〈카페 프란스〉 등을 발표했다.

 

1929년 졸업과 함께 귀국하여 이후 8·15해방 때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영어교사로 재직했고, 독립운동가 김도태, 평론가 이헌구, 시조시인 이병기 등과 사귀었다.

 

 1930년 김영랑과 박용철이 창간한 〈시문학〉의 동인으로 참가했으며, 1933년 〈가톨릭 청년〉 편집고문으로 있으면서 이상(李箱)의 시를 세상에 알렸다. 같은 해 모더니즘 운동의 산실이었던 구인회(九人會)에 가담하여 문학 공개강좌 개최와 기관지 〈시와 소설〉 간행에 참여했다.

1939년에는 〈문장〉의 시 추천위원으로 있으면서 박목월·조지훈·박두진 등의 청록파 시인을 등단시켰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이화여자대학으로 옮겨 교수 및 문과과장이 되었고, 1946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의 중앙집행위원 및 가톨릭계 신문인 〈경향신문〉 주간이 되어 고정란인 '여적'(餘適)과 사설을 맡아보았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에 가입했던 이유로 보도연맹에 가입하여 전향강연에 종사했다. 1950년 6·25전쟁 이후의 행적에는 여러 설이 있으나 월북했다가 1953년경 북한에서 사망한 것이 통설로 알려져 있다.


 


문학세계

그의 문학세계는 대략 3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섬세한 이미지 구사와 언어에 대한 각별한 배려를 보여준 것이 특징이다.

 

첫째는 1926~33년으로, 이미지를 중시하면서도 향토적 정서를 보인 모더니즘 계열의 시이다.

그가 시를 쓰기 시작한 것은 1923년경이었다고 하나, 발표되기는 1926년 <학조〉 6월호에 실린 시 〈카페 프란스〉·〈마음의 일기에서〉 등에서 시작된다.

 

이어 이미지 시의 면모를 보여준 〈바다〉(조선지광, 1927. 2)와 〈향수〉(조선지광, 1927. 3) 등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했다. 이런 경향은 〈시문학〉의 향토적 정서, 섬세한 이미지 표현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이 시기의 시들은 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면서도 순수 서정시의 가능성을 아울러 보여준다.

 

 "넓은 벌 동쪽 끝으로/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나가고/얼룩백이 황소가/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그곳이 참아 꿈엔들 잊힐 리야"(〈향수〉 1연)와 같이 곱게 다듬어진 우리말의 언어적 세련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감각적 이미지를 적절히 형상화하고 있다.

 

둘째는 〈가톨릭 청년〉에 관여하던 1933~35년에 보여준 종교적인 시이다.

이 시기에는 절대적인 신에게 관심을 갖고 시대적 상황에 무력한 자신의 정신적 허기와 갈증을 신앙을 통해 메우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갈수록 열악해지는 현실에 대한 절망과 이로부터 벗어나려는 시인의 정신적 방황을 드러내는 것이며, 특히 〈나무〉(가톨릭 청년, 1934. 3)의 "얼굴이 바로 푸른 하늘을 우러렀기에/발이 항상 검은 흙을 향하기 욕되지 않도다"라는 표현에서 보이듯이, 한갖 나무만도 못한 욕되고 부끄러운 삶을 살고 있는 자신에 대한 참회와 나라를 잃은 민족의 정신적 갈등을 표현하고 있다.

 

셋째는 1941년까지 발표한 동양적 전통과 정신에 바탕을 둔 산수시이다.

이 시기에 그는 동양적 정신과 산수의 풍경을 그리는 여행을 떠남으로써, 시적 소재가 〈바다〉(시원, 1935. 12)를 거쳐 〈옥류동〉(조광, 1937. 11)·〈비로봉〉(청색지, 1938. 8)·〈장수산〉(문장, 1939. 3)·〈백록담〉(문장, 1939. 4)으로 바뀐다. 바다를 거쳐 산으로 오르는 이런 시세계의 변모는 즉 일제강점기 말의 암울한 현실에 구애됨이 없이 자연에 몰입하고자 하는 시인의 정신세계를 대변하고 있는 듯하다.

그는 자연을 대상으로 삼아 시어의 조탁(彫琢)과 섬세하고 선명한 이미지로 독특한 시세계를 표현했는데, 이러한 성격은 한국의 서정시를 계승한 것으로서 이후 제자격인 청록파의 시세계로 이어졌다. 100여 편이 넘는 시 외에도 소설 〈3인 三人〉(서광, 1919. 11)과 평론 〈조선시의 반성〉(문장, 1948. 10)·〈문학으로 사는 길〉(세계일보, 1949. 1. 5) 등을 발표했다. 시집으로 〈정지용시집〉(1935)·〈백록담〉(1941)·〈지용시선〉(1946)과, 이론서로 〈문학독본 文學讀本〉(1948)·〈산문 散文〉(1949) 등이 있고, 1988년 민음사에서 〈정지용선집〉을 펴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43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대륙의 문학 2016-03-21 0 4831
1242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중국 근대, 현대 문학 2016-03-21 0 4608
1241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元 明 淸 시대 문학 2016-03-21 1 4999
1240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그리스, 로마 문학 2016-03-21 0 5917
1239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프랑스문학 2016-03-21 0 7624
1238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남유럽 문학 2016-03-21 0 5807
1237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독일문학 2016-03-21 0 6993
1236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네덜란드, 벨기 문학 2016-03-21 0 3982
1235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영국문학 2016-03-21 0 6371
1234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러시아 쏘련 문학 2016-03-21 0 8915
1233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북유럽문학 2016-03-20 0 4885
1232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동유럽문학 2016-03-20 0 4928
1231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미국문학 2016-03-20 0 5114
1230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라틴아메리카 문학 2016-03-20 0 4195
1229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문학 2016-03-20 0 3529
1228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唐 宋 시대 문학 2016-03-20 0 5006
1227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漢 魏 六 朝 문학 2016-03-20 0 4424
1226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魏 晋 南 北 朝 시대 문학 2016-03-20 1 4256
1225 [일요일 아침 詩]- 목소리들 2016-03-20 0 3633
1224 [詩공부시간]- 詩는 자기자신의 분신덩어리 2016-03-20 0 4401
1223 [詩作初心]- 현대시론 개요(1,2) 2016-03-19 0 4161
1222 [詩作初心]- 현대시론 개요 2016-03-19 0 4173
1221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 - 폴 베를렌 2016-03-19 0 4868
1220 김혜순 시모음 2016-03-19 0 4766
1219 디카시는 언어 너머의 詩 2016-03-19 0 4388
1218 잊혀져가는 천재 시인 - 이근상 2016-03-19 0 3816
1217 [이 아침 신선한 詩 한잔 드시소잉]- 막돌 2016-03-19 0 3491
1216 정지용시인 산문 쓰다 2016-03-19 0 4197
1215 樹木葬 = "오규원 소나무" 2016-03-18 0 4243
1214 오규원 시모음 2016-03-18 0 4942
1213 <<가령>>과 <<설령>> 2016-03-18 0 3565
1212 [詩作初心]- 詩적 언어를 창조하는 은유 2016-03-18 0 4052
1211 詩쓰기는 텅빈 종이장 피땀같이 들여다보기 2016-03-18 0 3807
1210 현대시론 축소판 2016-03-18 0 4383
1209 [詩공부시간]- 詩속에 複數의 나 만들기 2016-03-18 0 4375
1208 [이 아침 신선한 詩 한잔 드시소잉]- 정식 2016-03-18 0 3612
1207 [詩공부시간]- 詩속에서의 참된 나 없는 나 만들기 2016-03-17 0 3756
1206 [이 아침 따끈한 詩 한잔 드시소예]- 해안선 2016-03-17 0 3846
1205 [詩공부시간]- 詩속에서 나를 찾기 2016-03-16 0 5006
1204 [詩공부시간]- 詩쓰기와 자아찾기 2016-03-16 0 3578
‹처음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