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재미가 있는 한국 방언세계
2015년 08월 27일 22시 20분  조회:7182  추천:1  작성자: 죽림
  • [ 2015년 08월 27일 10시 23분 ]

     

  • 한국에서 크게는 중부방언과 남부방언, 제주방언으로 나뉘고요,

    각각의 방언이 억양은 다르지만 방언권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 매우 비슷합니다.

    중부방언에는 경기도 방언, 강원도 방언, 충청도 방언이 있습니다. 

    경기도 방언은 서울을 기준으로 위와 아래로 나뉩니다.

    하지만 억양은 거의 비슷하고요, 쓰이는 말도 비슷합니다.

    그렇지만 서울 위쪽은 많아(표준어와 같습니다) 라고 말하는데 반해 서울 아래는 많어라고 하죠. 표준어는 서울말이라기보다는 서울 위쪽 말이라고 보는 게 더 타당할 겁니다.
    눈에 띄는 변화는 ~이니까를 ~이니깐으로 발음하는 거죠.
    강원도 방언은 크게 영서 방언과 영동 방언이 있습니다. 북한말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요,

    영서 방언은 경기와 충청 방언의 영향이 매우 강합니다. 그래서 모음조화도 비교적 잘 지켜지고요, 댕기다(다니다) 안직(아직) 이런 어휘 이외에는 억양이 표준어에 비해 훨씬 빠르고 청명하다는 것 말고는 없네요.

    영동 방언은 강릉을 중심으로 강릉 북부와 강릉 남부가 있습니다.

    강릉 북부는 함경도의 영향을 받아 ~해서를 ~하야로 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표준어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죠.
    ex>질가 댕기는데 갈구쳐서마엥이 미안하우야
    길가 다니는데 공사해서 죄송합니다.

    그리고 강릉 남부는 경상도 방언의 영향을 받아 ~했나 로 끝나는 경우가 강합니다.

    그리고 충청도... 충청도 방언은 크게 경기 방언과 비슷한 충북 지방과 전라 방언과 비슷한 충남 지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물론 천안 같은 곳은 경기방언, 옥천같은 곳은 전라 방언에 더 가깝겠지만요. 아,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생긴 영동군 황간면과 단양군(어디인지는 잘 모릅니다만) 은 경상도 방언의 구획입니다.
    충청 이남 지방은 모두 떼다, 펴다, 베다를 띠다, 피다, 비다로 발음합니다. 
    ex>(전라, 충청, 경기 일부) 띠기(달고나 아시죠, 떼기로 하다가 내려와서 띠기가 됐습니다) 그리고 비게... 전라도 방언입니다만 베게입니다.
    또한 인나(일어나) 둔너(드러누워) 데꼬(데리고) 같은 축약 현상도 나타납니다.

    충북 지방은 크게 ~겨, ~랴로 나눌 수 잇습니다. 요즘도 표준어를 쓰는 곳은 경기도 말고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청주 다모임에 가봤는데, 장난이 아니더라고요.
    ex(청주)> 생일 추카햐(다모임에서 퍼옴)
    생일 축하해 입니다. 끝의 ㅐ를 ㅑ로 바꾸는 경향이 있습니다.
    ex>(충주) 너 밥 먹구 뭐할꺼?
    충주는 경기도 방언(특히 남부)의 영향으로 충청도 방언의 보편적인 어미린 ~껴를 쓰지 않고 ~꺼를 사용합니다.
    아 그리고 충청도와 전라도는 ~여(~야)를 공유합니다. 뭐여?(뭐야)

    그리고 충남 지방... 충남 지방은 조금 더 사투리와 억양이 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충청도가 말이 느리다고 하는데 충북은 그렇지 않고요, 충남이 느립니다-_-;;;

    ~것다(~겠다) 기여(맞아) 봉다리(봉지) 근디(그런데) 등등이 있습니다.
    또한 동물의 방언 뒤에 ~락지를 붙이는 것도 하나의 현상입니다.(개고락지)
    아참, ~이니까를 ~이니께로 발음합니다.

    그리고 충북지방과 다른 것은 ㅐ가 ㅑ로 변하지 않고 ㅕ로 변한다는 점입니다. 전라도 방언(특히 전북) 과 비슷하죠.
    그려(그래) 같은 거요. 아, 하다는 충청도와 전라북도 지방에서 "허다" 라고 소리납니다.

    ex(옥천)> 김치부침개 먹으루 갈려
    그려, 잘가라

    이정도로 중부는 끝난 것 같고요, 남부로 가겠습니다.

    남부는 중부와 달리 매우 복잡한 방언권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바로 옆동네만 가도 말이 다르죠.

    먼저 전라도를 보겠습니다.

    충청도가 청주방언권, 충주방언권, 충남방언권, 서해안방언권으로 크게 나뉘는 것과 달리 전라도는 군산,익산방언, 전주방언, 진안,무주방언, 정읍방언, 남원방언으로 나뉩니다(북도만 먼저 할게요)

    군산, 익산은 충청도 방언과 매우 비슷합니다. 그렇게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아, 그리고 전라북도에서 나타나는 변화는 너그 입니다. 너희들, 너네죠. 이와 같이 저그(제네)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버리다는 ~블다 이렇게 하고요, 

    또한 발음상의 변화로, ㅢ를 ㅡ로 발음합니다. 으식주(의식주) 으사(의사)
    그리고 흙이[흙이]=>흙이[흑이]
    시작했다[시자캐따]=>시작했다[시자갰다] 처럼 연음 현상이 없습니다.
    또한 받침의 ㅊ,ㅈ을 ㅅ으로 발음합니다(연음시)(빛이[비시])
    직접 전라도 가서 들어 보시면 됩니다. 애들이든 어른이든 한결같습니다.

    전주방언 볼게요. 전주방언은 ~것지(충남)을 ~것제 까지 나갑니다. 

    ex>(전주) 내가 안한다글믄 안해야제 니가 뭔상관이여.
    내가 하지 않는다고 하면 말아야지 너가 무슨 상관이니.
    그리고 정읍으로 내려오면 ~면서가 ~ㅁ서로 변화합니다. 
    ex>(정읍) 니 어제 피자 먹으러 갔담서 왜 나는 안델꼬갔냐
    너 어제 피자 먹으러 갔다면서 왜 나는 데리고 가지 않았니?
    그리고 또 하나. 전라북도 방언은 충청도에서 ~이니께로 발음했던 ~이니까를 
    ~잉게로 발음합니다

    ex>(전주) 내가 그랬응게 니는 상관 말어.
    내가 그랬으니까 너는 상관 말아라.
    북도도 사투리가 많지만 대략적인 것은 이정도고요.
    다음으로 전라남도를 보겠습니다. 전라남도는 북도보다 더욱 화려한(?) 문체를 자랑합니다. 

    광주 방언, 영광 방언, 목포 방언, 순천및 여수 방언, 구례 방언정도로 나누고 섬은 더 독특합니다.

    먼저 씻어를 씿어로 발음합니다. 해남쪽으로 내려가면 씨꺼로 발음하고요.

    ~잉게인 전북 방언이 여기서는 ~인께가 됩니다.

    ex>(광주) 나는 안그랬당께!!!

    ~그려나 ~혀, 이런 것은 옛날에는 많이 썼습니다만

    요즘 세대(10대)에 와서 흔히 나타난 새로운 전남 방언으로 ~그랬시야, ~그래야, ~해야 등등 끝에 ~야를 붙입니다. 특히 광주 지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나주 목포쪽으로 가면 배워를 배와라고 합니다. 고어의 현상이 두드러지죠.
    가을은 원래 세모모양 반시옷이 을의 이응자리에 있었습니다만 전라도에서는 이게 이응이 아니라 시옷으로 변해 가슬이라고 합니다. 영광에서는 새우도 옛날같이 새비라고 합니다. 다만 이 현상은 요즘은 많이 사라져서 할머니분들께서만 쓰십니다.

    그리고 북도나 충청도에서 허다라는 말을 ㅓ=>ㅡ나 ㅜ의 변화에 따라 흐다 라고 합니다. 

    아, ~뜨리다, ~트리다를 ~치다로 발음합니다. 떨어트리다=> 떨치다 흐트리다=> 흐치다 이게 대표적인 예죠.
    아까는 아까침에 라고 하고요, 그외에 애들이 잘쓰는 사투리로 찌클다(뿌리다, 액체의 경우만 찌클다라 하고 가루는 뿌리다라고 합니다) 쨈매다(묶다) 끌르다(풀다) 등등이 있습니다.

    단어도 다른게 매우 많습니다만 찾아보시고요(여기서는 너무 많아서...)

    ~담서가 ~함씨롱, ~함시로,정도로 더 변화합니다. 광주지방에서는 ~함씨롱, 그 밑은 ~함시로로 하더군요.

    그리고 느그(너네) 가 남도에서는 니기가 됩니다.

    니기 엄니 저그 계신다(너희 어머님 저기 계신다)

    더 자세한 예를 드리기는 힘들 것 같네요.

    또한 구례 쪽은 경상도와 가깝기 때문에 경상도 방언과 전라도 방언이 섞여 있습니다

    ex>(구례) 내는 그리안혔다 니기덜이 한 거 아니가?

    하나 둘 셋 넷은 한나 줄 싯 닛이라고 하고요(전라도) 요즘은 싯이나 닛은 쓰지 않고 한나는 여전히 많이 씁니다.

    그리고 말끝에 ~ㄴ가 가 많이 붙습니다. ~한당가, ~인가 등등이 대표적입니다.
     


     
  • 채택된 답변답변

    크게는 중부방언과 남부방언, 제주방언으로 나뉘고요,

    각각의 방언이 억양은 다르지만 방언권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 매우 비슷합니다.

    중부방언에는 경기도 방언, 강원도 방언, 충청도 방언이 있습니다. 

    경기도 방언은 서울을 기준으로 위와 아래로 나뉩니다.

    하지만 억양은 거의 비슷하고요, 쓰이는 말도 비슷합니다.

    그렇지만 서울 위쪽은 많아(표준어와 같습니다) 라고 말하는데 반해 서울 아래는 많어라고 하죠. 표준어는 서울말이라기보다는 서울 위쪽 말이라고 보는 게 더 타당할 겁니다.
    눈에 띄는 변화는 ~이니까를 ~이니깐으로 발음하는 거죠.
    강원도 방언은 크게 영서 방언과 영동 방언이 있습니다. 북한말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요,

    영서 방언은 경기와 충청 방언의 영향이 매우 강합니다. 그래서 모음조화도 비교적 잘 지켜지고요, 댕기다(다니다) 안직(아직) 이런 어휘 이외에는 억양이 표준어에 비해 훨씬 빠르고 청명하다는 것 말고는 없네요.

    영동 방언은 강릉을 중심으로 강릉 북부와 강릉 남부가 있습니다.

    강릉 북부는 함경도의 영향을 받아 ~해서를 ~하야로 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표준어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죠.
    ex>질가 댕기는데 갈구쳐서마엥이 미안하우야
    길가 다니는데 공사해서 죄송합니다.

    그리고 강릉 남부는 경상도 방언의 영향을 받아 ~했나 로 끝나는 경우가 강합니다.

    그리고 충청도... 충청도 방언은 크게 경기 방언과 비슷한 충북 지방과 전라 방언과 비슷한 충남 지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물론 천안 같은 곳은 경기방언, 옥천같은 곳은 전라 방언에 더 가깝겠지만요. 아,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생긴 영동군 황간면과 단양군(어디인지는 잘 모릅니다만) 은 경상도 방언의 구획입니다.
    충청 이남 지방은 모두 떼다, 펴다, 베다를 띠다, 피다, 비다로 발음합니다. 
    ex>(전라, 충청, 경기 일부) 띠기(달고나 아시죠, 떼기로 하다가 내려와서 띠기가 됐습니다) 그리고 비게... 전라도 방언입니다만 베게입니다.
    또한 인나(일어나) 둔너(드러누워) 데꼬(데리고) 같은 축약 현상도 나타납니다.

    충북 지방은 크게 ~겨, ~랴로 나눌 수 잇습니다. 요즘도 표준어를 쓰는 곳은 경기도 말고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청주 다모임에 가봤는데, 장난이 아니더라고요.
    ex(청주)> 생일 추카햐(다모임에서 퍼옴)
    생일 축하해 입니다. 끝의 ㅐ를 ㅑ로 바꾸는 경향이 있습니다.
    ex>(충주) 너 밥 먹구 뭐할꺼?
    충주는 경기도 방언(특히 남부)의 영향으로 충청도 방언의 보편적인 어미린 ~껴를 쓰지 않고 ~꺼를 사용합니다.
    아 그리고 충청도와 전라도는 ~여(~야)를 공유합니다. 뭐여?(뭐야)

    그리고 충남 지방... 충남 지방은 조금 더 사투리와 억양이 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충청도가 말이 느리다고 하는데 충북은 그렇지 않고요, 충남이 느립니다-_-;;;

    ~것다(~겠다) 기여(맞아) 봉다리(봉지) 근디(그런데) 등등이 있습니다.
    또한 동물의 방언 뒤에 ~락지를 붙이는 것도 하나의 현상입니다.(개고락지)
    아참, ~이니까를 ~이니께로 발음합니다.

    그리고 충북지방과 다른 것은 ㅐ가 ㅑ로 변하지 않고 ㅕ로 변한다는 점입니다. 전라도 방언(특히 전북) 과 비슷하죠.
    그려(그래) 같은 거요. 아, 하다는 충청도와 전라북도 지방에서 "허다" 라고 소리납니다.

    ex(옥천)> 김치부침개 먹으루 갈려
    그려, 잘가라

    이정도로 중부는 끝난 것 같고요, 남부로 가겠습니다.

    남부는 중부와 달리 매우 복잡한 방언권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바로 옆동네만 가도 말이 다르죠.

    먼저 전라도를 보겠습니다.

    충청도가 청주방언권, 충주방언권, 충남방언권, 서해안방언권으로 크게 나뉘는 것과 달리 전라도는 군산,익산방언, 전주방언, 진안,무주방언, 정읍방언, 남원방언으로 나뉩니다(북도만 먼저 할게요)

    군산, 익산은 충청도 방언과 매우 비슷합니다. 그렇게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아, 그리고 전라북도에서 나타나는 변화는 너그 입니다. 너희들, 너네죠. 이와 같이 저그(제네)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버리다는 ~블다 이렇게 하고요, 

    또한 발음상의 변화로, ㅢ를 ㅡ로 발음합니다. 으식주(의식주) 으사(의사)
    그리고 흙이[흙이]=>흙이[흑이]
    시작했다[시자캐따]=>시작했다[시자갰다] 처럼 연음 현상이 없습니다.
    또한 받침의 ㅊ,ㅈ을 ㅅ으로 발음합니다(연음시)(빛이[비시])
    직접 전라도 가서 들어 보시면 됩니다. 애들이든 어른이든 한결같습니다.

    전주방언 볼게요. 전주방언은 ~것지(충남)을 ~것제 까지 나갑니다. 

    ex>(전주) 내가 안한다글믄 안해야제 니가 뭔상관이여.
    내가 하지 않는다고 하면 말아야지 너가 무슨 상관이니.
    그리고 정읍으로 내려오면 ~면서가 ~ㅁ서로 변화합니다. 
    ex>(정읍) 니 어제 피자 먹으러 갔담서 왜 나는 안델꼬갔냐
    너 어제 피자 먹으러 갔다면서 왜 나는 데리고 가지 않았니?
    그리고 또 하나. 전라북도 방언은 충청도에서 ~이니께로 발음했던 ~이니까를 
    ~잉게로 발음합니다

    ex>(전주) 내가 그랬응게 니는 상관 말어.
    내가 그랬으니까 너는 상관 말아라.
    북도도 사투리가 많지만 대략적인 것은 이정도고요.
    다음으로 전라남도를 보겠습니다. 전라남도는 북도보다 더욱 화려한(?) 문체를 자랑합니다. 

    광주 방언, 영광 방언, 목포 방언, 순천및 여수 방언, 구례 방언정도로 나누고 섬은 더 독특합니다.

    먼저 씻어를 씿어로 발음합니다. 해남쪽으로 내려가면 씨꺼로 발음하고요.

    ~잉게인 전북 방언이 여기서는 ~인께가 됩니다.

    ex>(광주) 나는 안그랬당께!!!

    ~그려나 ~혀, 이런 것은 옛날에는 많이 썼습니다만

    요즘 세대(10대)에 와서 흔히 나타난 새로운 전남 방언으로 ~그랬시야, ~그래야, ~해야 등등 끝에 ~야를 붙입니다. 특히 광주 지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나주 목포쪽으로 가면 배워를 배와라고 합니다. 고어의 현상이 두드러지죠.
    가을은 원래 세모모양 반시옷이 을의 이응자리에 있었습니다만 전라도에서는 이게 이응이 아니라 시옷으로 변해 가슬이라고 합니다. 영광에서는 새우도 옛날같이 새비라고 합니다. 다만 이 현상은 요즘은 많이 사라져서 할머니분들께서만 쓰십니다.

    그리고 북도나 충청도에서 허다라는 말을 ㅓ=>ㅡ나 ㅜ의 변화에 따라 흐다 라고 합니다. 

    아, ~뜨리다, ~트리다를 ~치다로 발음합니다. 떨어트리다=> 떨치다 흐트리다=> 흐치다 이게 대표적인 예죠.
    아까는 아까침에 라고 하고요, 그외에 애들이 잘쓰는 사투리로 찌클다(뿌리다, 액체의 경우만 찌클다라 하고 가루는 뿌리다라고 합니다) 쨈매다(묶다) 끌르다(풀다) 등등이 있습니다.

    단어도 다른게 매우 많습니다만 찾아보시고요(여기서는 너무 많아서...)

    ~담서가 ~함씨롱, ~함시로,정도로 더 변화합니다. 광주지방에서는 ~함씨롱, 그 밑은 ~함시로로 하더군요.

    그리고 느그(너네) 가 남도에서는 니기가 됩니다.

    니기 엄니 저그 계신다(너희 어머님 저기 계신다)

    더 자세한 예를 드리기는 힘들 것 같네요.

    또한 구례 쪽은 경상도와 가깝기 때문에 경상도 방언과 전라도 방언이 섞여 있습니다

    ex>(구례) 내는 그리안혔다 니기덜이 한 거 아니가?

    하나 둘 셋 넷은 한나 줄 싯 닛이라고 하고요(전라도) 요즘은 싯이나 닛은 쓰지 않고 한나는 여전히 많이 씁니다.

    그리고 말끝에 ~ㄴ가 가 많이 붙습니다. ~한당가, ~인가 등등이 대표적입니다.

    경상도로 가볼게요.

    경상도도 충청 방언의 영향이 있고, 북도와 남도로 나뉘지만 전라도보다 넓기 때문에 더 다양합니다. 
    강릉 방언(영동) 지방과 함께 중세 지방의 특징인 억양(성조라고 하죠.) 가 남아 있고요, 그마저도 북도와 남도, 작게는 안동, 울진, 대구, 포항, 울산, 부산, 마산, 진주가 다 다릅니다. 여기서는 설명하기 힘드네요...

    북도부터 살필게요. 북도는 안동 방언,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 영주 방언, 안동 방언과 비슷하지만 충청도 방언(특히 제천)과 비슷한 상주,예천 방언, 구미,대구 방언(특수하죠. 대구만 다른 사투리가 많아요.) 포항 방언(남도와 비슷하죠.) 로 나뉩니다.

    ex>(안동) 내 그런다 안캅니껴.(제가 그런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니까를 ~니껴로 발음합니다. 안녕하세요를 가세 평안하시껴라고 하는 것도 그 일종입니다.

    영주 방언은 안동과 비슷하니까 생략할게요. 다만 높임법이 더 구체적이라고 들었어요.
    상주 방언은 ~교(~겨형 어미를 가진 충청도와 비슷하죠) 를 씁니다. 

    ex>(상주) 느 아까 뭔 행동을 그리 한교?

    대충 알아들으실 수 있을 겁니다. 할머니들의 사투리는 아니거든요.

    대구는 다른 경상 지방의 아(애) 라는 말을 얼라라고 합니다. 

    ex>(대구) 내가 그리 하믄 늬는 뭐라칼낀데?

    ~건데는 ~긴데라고 합니다.

     

    이정도면...? 


     
  • 답변
    .제주도 사투리의 특징 
    제주도 방언의 공시적 음운 구획선 설정은 현 재로 보아 어려운 일로 보겠고 어휘나 어법의 분포 양상에 있어서도 제주도 방언의 방언 구획을 몇 개로 잡느냐 하는 문제도 현단계로서는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군다나 공통어계 어휘의 음운이 제주시:한림, 한림:서귀포, 서귀포:제주시, 한림:성산포 사이에서 어떤 특수한 언어지리학적 이질 음운을 찾아 보기 힘들고 가령 /A/ 계에 속하는 공통어계 어휘의 음운이 제주시 - 한림 - 서귀포 - 성산포 - 제주시에 공존하는 실정이고 제주도 중심부로 들어가도 색다른 음운 변동이 일어남을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실정을 참작하여 필자는 본고에서 앞으로 설정하여야 할 음운 구획선의 한계를 잡는 하나의 예비적 시도로서 우선 공통어계 어휘의 음운이 제주도 방언 내에서 어떠한 공식적 음운 양상을 보여 주는가를 세별하여 보려 한 것으로 이러한 세별은 필자가 현지에서 입수한 약 1,350 어휘에 의거하였다. 
    방언 어휘의 음운 표기는 별계 표기법에 의거하며, 모음 자음의 각각에 따른 방법으로 방언 어휘의 음운 양상을 설정하였다. 
    제주도 방언의 명령법 어미 체계는 표준어와 매우 다르다. 
    표준어에 쓰이는 대표적 어미 형태인 `-아라~어라`가 사용되지만 의의와 기능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제주도 방언의 명령법 어미는 하대,평대, 존대의 세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인 형태는 `-라`와 `-아~-어`, `-밑서`,`-십서`이다. 
    `-라`는 하대의 어말어미이다. 어간에 직접 연결되기도 하고 `-어시라/아시라`,`엄시라/암시라`처럼 선어말 어미와 결합된 형으로도 쓰인다. 
    `-어시-~/-아시-`와 `-엄시-~/-암시-`는 동작상을 표현한다. 
    이들은 상호 대립되는 의미 자질을 갖는다. 
    앞 것은 `완료 종속상`이고 뒷 것은 `미완료 존속상`이다. 
    동작상이 체계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제주도 방언에서만 보이는 어미활용의 특징이다. 
    이건지ㅠ...
    ==========================

       

       
      답변 골라보기선택됨선택옵션
      답변 정렬순서선택됨선택옵션
      답변 목
      • 채택된 답변답변
    • 총 획득메달
      전문 분
       
    • 채택된 답변답변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37 인생 황금률 2015-07-25 0 6505
236 姓氏의 비밀 2015-07-17 0 5468
235 특이한 姓氏 2015-07-17 0 5423
234 新體詩란? 2015-07-12 0 5003
233 할만할 때 우리 문학을 살리자... 2015-07-04 0 5529
232 언제면 언어의 규법화가 될런지... 2015-07-01 0 7403
231 愛... 2015-06-28 0 5565
230 퍼포먼스 = 행위예술 2015-06-26 0 5218
229 표절과 모방 2015-06-26 0 5311
228 다시 읽는 우리 문학 3 2015-06-22 0 4903
227 최삼룡 평론가 저서 출간 2015-06-22 0 6232
226 假眞 오랜만에 장편 출간 2015-06-22 0 5458
225 휘파람 작곡가 2015-06-21 0 5532
224 우리 말 어디서 왔지??? 2015-06-20 0 5088
223 단오(端午節) 2015-06-20 0 5069
222 시만들기 프로그램과 현대시 곤혹 / 삼박자 독서법 2015-06-20 0 6612
221 년령명칭 및 결혼기념별 명칭, 나이 명칭... 2015-06-16 0 5288
220 최남선시인 시집부터... 쭈 욱... 2015-06-16 0 10300
219 사투리 시번역 2015-06-14 0 5009
218 시 번역 구글 번역기로... 2015-06-14 0 6443
217 신화 7... 2015-06-10 0 5073
216 단군신화 2015-06-10 0 5484
215 檀君王儉 2015-06-09 0 6231
214 檀君 2015-06-09 0 5069
213 사투리(문경지방) 2015-06-08 0 6780
212 할매 할배 얘기... 2015-06-08 0 4704
211 계영배(戒盈杯) = 절주배(節酒杯) 2015-06-07 0 13344
210 12초 2015-06-07 0 5352
209 세상 다르게 보기 - 자연과 하나되는 자유 2015-05-31 0 5098
208 재밋있는 월남어(베트남어) 2015-05-30 0 5659
207 아름다운 우리 말 잘 알고 쓰기 2015-05-30 0 4872
206 세계 명언 (클릭...) 2015-05-21 0 7144
205 시쓰기에 수사법 리용하기 2015-05-17 1 5728
204 시의 표현법 - 修辭法 2015-05-17 0 7039
203 진짜 수사법 알기 2015-05-17 0 4934
202 시에서 수사법 알기 2015-05-17 0 6904
201 치매를 돕는 명언 한트럭 기억하기 2015-05-16 0 7856
200 중, 고등학교 학생들;- 대학입시 론설문쓸 때 꼭 필요한 명언과 속담들. 2015-05-16 0 5994
199 비속어의 例 2015-05-03 0 6763
198 미국 <<욕>> 종류 2015-05-03 0 6071
‹처음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