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시읽는 방법
2016년 01월 05일 02시 20분  조회:3318  추천:0  작성자: 죽림

 


 

김춘수의 꽃이 새겨진 조각품과 뒤편의 전망대 
김춘수의 꽃이 새겨진 조각품

박목월의 '나그네' 이육사의 '광야 
[윗쪽/아래쪽]박목월의 '나그네' / 이육사의 '광야

 
시속으로
무슨 소리인지 모르는 시도 많아서 시란 어려운 것이라고 지레짐작을 하고 겁을 먹는 초심 독자들도 있다. 시도 사람이 사람에게 하는 말이고 그러한 한에서 의사소통이 잘 안 된다면 그것은 말한 사람의 책임인 경우가 많다. 무슨 소리인지 모르는 반벙어리 소리를 해놓고 못 알아듣는다고 책망하는 것은 주객이 전도된 처사이다. 다만 시의 세계에도 그 나름의 축적된 관습이나 기율 같은 것이 있기 때문에 시를 많이 읽고 친해 두는 것이 시 이해를 굳히고 넓히는 길이 된다.  

 

 

서평

유종호 교수의 시 읽기는 왜 다른가? 

“이 책은 일반 독자에서 이른바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시 읽기의 한 전범이 될 것이다. 가령 시를 어 
려워하는 사람들이나 시를 배우고 가르치는 사람들에게는 시 이해의 길잡이가 될 것이고 또 가령 시를 
‘읽을’ 줄도 모르면서 ‘비평’을 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우선 ‘느끼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도 
넌지시 알려줄 것이다. 
잘 익은 술처럼 술술 흘러나오는 문장은 역시 오랜 기간의 집중된 지적 탐구와 세상살이의 경험과 
심미적인 능력 없이는 도달할 수 없는 경지를 보여준다. 
그리하여 이 책은 그 동안 유행하고 있는 수많은 시 감상 책들 ― 대부분 이해도 안목도 성의도 없이 
아무렇게나 쓴 단평들을 붙여서 내는 시 감상 책들과는 아주 다른 책이라는 것도 덧붙여 말해 두고 싶 
다.” 
― 정현종·시인 

시, 아는 만큼 즐겁다 

몇 년 전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유행한 적이 있었다. 스포츠 경기를 재미있게 보려면 경기 규 
칙이나 선수 기록 등에 대해 잘 알아야 하는 것처럼 그림이든 음악이든 보는 법, 듣는 법을 알게 되면, 
더 이해하기 쉽고 즐겁게 감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많은 사람들이 어렵다고 불평하는 시는 어떨까? “세상 범백사에 이른바 왕도王道나 지름길 
은 없는 법이다”라고 저자가 서문에 밝혔듯 시도 많이 읽는 것이 왕도다. 하지만 많이 읽기 위해서는 
읽는 법을 알아야 하지 않겠는가. 

시는 무조건 어려운 것이다? 

시란 무조건 어려운 것일까? 이 말에 저자는 “무슨 소리인지 모르는 시도 많아서 시란 어려운 것이 
라고 지레짐작을 하고 겁을 먹는 초심 독자들도 있다. 시도 사람이 사람에게 하는 말이고 그러한 한에 
서 의사소통이 잘 안 된다면 그것은 말한 사람의 책임인 경우가 많다. 무슨 소리인지 모르는 반벙어리 
소리를 해놓고 못 알아듣는다고 책망하는 것은 주객이 전도된 처사이다”라며 짐짓 동의한다. 다만 
“시의 세계에도 그 나름의 축적된 관습이나 기율 같은 것이 있기 때문에 시를 많이 읽고 친해 두는 것 
이 시 이해를 굳히고 넓히는 길이 된다”고 덧붙인다. 
한편 “읽어서 모를 데가 없으면 초심 독자들은 안도하는 한편으로 얕잡아 보는 경향이 있다. 그렇지 
만 알기 쉬운 시의 좋은 점을 알아차리는 일도 손쉬운 일은 아니다”라면서 쉬운 시를 얕잡아 보는 것 
을 경계하기도 한다. 

교과서 밖에서 시를 만나다 

“20세기 우리 시를 될수록 많은 사람들에게 친근하게 해주고 싶었다”는 저자의 바람처럼 이 책에 
는 교과서에서 이미 접해 본 친근한 시부터 젊은 독자에게 생소한 우리 쪽 고전, 김소월·박목월·김춘 
수·서정주 등 잘 알려진 시인의 경우엔 비교적 눈에 잘 띄지 않은 작품, 저자가 다른 기회에 다룬 적이 
있는 시인의 경우엔 겹치지 않은 작품 등을 선별해 총 50편의 시를 다루고 있다. 이 중 2편의 시(타고 
르·두보)를 빼고는 모두 우리 시다. 
우리가 흔히 시를 처음 대하게 되는 경로는 교과서다. “그리 어려울 것 없는 작품인데 교과서 지침 
서나 학습서에서 과도한 읽어 넣기 해석을 하는 바람에 공연히 어렵게 만들어놓고 있다. 과유불급이란 
말이 있지만 과해석도 온당한 것이 아니다. 우리는 부질없는 과잉반응을 경계하면서 작품을 일단 있는 
그대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는 저자의 말은 교과서 속의 시를 배우면서 시가 어렵다는 인식을 갖게 되 
고 학교를 졸업함과 동시에 시를 멀리하는 우리에게 시 읽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보여준다. 

스스로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보여주다 

그러면 낱낱의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 편의 그림마다 보는 법이 다르듯, 시 역시 한 편 한 편 
읽는 법이 다르다. 이 책은 50편의 시를 저마다의 방식대로 읽어나가고 있다. 그렇다고 이 책이 요즘 유 
행하는 시 감상 책들처럼 친절하게 시를 읽어주거나 감상 포인트를 일일이 짚어주지는 않는다. 다만 독 
자 스스로 시를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보여줄 뿐이다. 그럼으로써 ‘발견의 즐거움’을 느껴보라고 부 
추긴다. 
“모든 훌륭한 문학 작품은 크건 작건 사람살이와 세상에 대한 독자적인 발견을 보여주고 있고 또 
언어적 세목에서 새로운 발명을 보여주고 있다. 이 새로운 발견과 발명을 알아차리고 공감하고 감탄하 
는 것이 독자의 소임이다.”(「책머리에」) 

시 이해의 길잡이 

“이 책은 일반 독자에서 이른바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시 읽기의 한 전범이 될 것이다. 가령 시를 어 
려워하는 사람들이나 시를 배우고 가르치는 사람들에게는 시 이해의 길잡이가 될 것이고 또 가령 시를 
‘읽을’ 줄도 모르면서 ‘비평’을 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우선 ‘느끼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도 
넌지시 알려줄 것이다.”― 정현종·시인 
이 책은 시를 제대로 읽고 싶은 사람, 시를 공부하고 싶은 사람에게 꼭 필요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또, 무조건 시란 어렵다고 인식해 온 일반 독자도 이 책을 통해 쉽게 시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저자가 
이끄는 대로 한 편 한 편씩 50편의 시 읽기를 따라가다 보면 저도 모르게 시 읽는 힘을 키울 수 있다. 
그래서 저자의 이전 책인 『시란 무엇인가』가 시 입문서라면, 이 책은 시 읽기의 실행서라고 할 만하 
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이 책에서도 저자는 ‘주체적인 시 읽기’와 ‘즐거운 시 읽기’를 강조하며, 
최종적인 시의 감상은 주체적으로 시를 즐길 수 있게 된 독자들의 몫으로 남겨놓고 있다. 남이 읽어주 
는 시가 아닌 자신만의 판단기준과 방법으로 시를 읽고 이해하여 시의 즐거움을 누렸으면 하는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82 세상은 좋아보이는것뿐, 나쁘게 보이는것뿐... 2015-09-06 1 3451
681 詩人이란??? 2015-09-06 0 4250
680 <퇴직하는 벗들에게> 시모음 2015-09-06 0 3871
679 중국 몽롱시 창시자의 대표 시인 - 北島 2015-08-31 0 4619
678 중국 현대 최고 10대 시인 2015-08-31 0 4251
677 詩공부를 하며지고... 2015-08-31 0 3651
676 중국 몽롱파시인 - 수팅 2015-08-31 0 4473
675 중국 현대시 류파 2015-08-26 0 4154
674 중국 몽롱파시인 - 우한 2015-08-26 0 3865
673 중국 몽롱파시인 - 고성 2015-08-26 0 4269
672 대만 현대시의 흐름 2015-08-26 0 3758
671 중국 현대시 여러 류파를 중심으로 2015-08-26 0 4449
670 중국문화 - 중국 詩의 발달 2015-08-26 0 5368
669 시론저 소개 - 禪과 아방가르드 2015-08-26 0 3933
668 아방가르드 시의 실험 2015-08-26 0 5138
667 서울 지하철역 <<詩가 흐르는 서울>>을 보고 ...우리 고향 연길의 선로뻐스 정류장마다에도 <<詩香이 풍기는 延吉>>이라는 테마가 있었으면... 2015-08-25 0 3754
666 라틴아메리카 시문학 2015-08-22 0 4888
665 칠월칠석 시모음 2015-08-20 0 4774
664 단편 시모음 2015-08-16 0 4220
663 <국수> 시모음 2015-08-15 0 3913
662 나는 시를 너무 함부로 쓴다... 2015-08-15 0 4459
661 <어머니>시모음 3 2015-08-15 0 4128
660 그리고 또 李箱 2015-08-15 1 4300
659 다시 보는 李箱 2015-08-15 0 5300
658 詩는 農村을 對相하라... 2015-08-07 0 3754
657 詩作을 위한 10가지 방법 2015-08-03 0 4361
656 詩人을 만드는 9가지 2015-08-03 0 3992
655 池龍과 芝溶 2015-08-03 0 3205
654 마음 열기 2015-07-30 0 3752
653 백자 항아리 2015-07-28 0 4333
652 <달력> 시모음 2015-07-26 0 4323
651 서정주와 보들레르 2015-07-21 0 4257
650 어머니의 꽃무늬 팬티 2015-07-20 0 4189
649 우리 詩의 문제점 2015-07-20 0 3795
648 추천하고싶은 詩論書 2015-07-20 0 5470
647 기침 2015-07-20 0 3571
646 한석윤 동시인 = 동시화집 2015-07-20 0 4074
645 되돌아오는 세월... 2015-07-18 0 4796
644 <아내> 시모음 2015-07-18 0 4201
643 이승훈 시모음 2015-07-18 0 3950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