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비는 처절히 처절히... 詩 한컷]- 극빈
2016년 04월 21일 08시 04분  조회:3639  추천:0  작성자: 죽림

<극빈> -문태준

열무를 심어놓고 게을러
뿌리를 놓치고 줄기를 놓치고
가까스로 꽃을 얻었다 공중에
흰 열무꽃이 파다하다
채소밭에 꽃밭을 가꾸었느냐
사람들은 묻고 나는 망설이는데
그 문답 끝에 나비 하나가
나비가 데려온 또 하나의 나비가
흰 열무꽃잎 같은 나비 떼가
흰 열무꽃에 내려앉는 것이었다
가녀린 발을 딛고
3초씩 5초씩 짧게짧게 혹은
그네들에겐 보다 느슨한 시간 동안
날개를 접고 바람을 잠재우고
편편하게 앉아 있는 것이었다
설핏설핏 선잠이 드는 것만 같았다
발 딛고 쉬라고 내줄 곳이
선잠 들라고 내준 무릎이
살아오는 동안 나에겐 없었다
내 열무밭은 꽃밭이지만
나는 비로소 나비에게 꽃마저 잃었다


구례 섬진강 가 폐교 사택을 얻어 2년을 산 적이 있습니다. 제가 원래 농사꾼 출신이라 텃밭에 상추며 열무며 참깨며 채소를 많이 심었습니다. 그런데 열무는 저 혼자 먹고 남아서, 아내에게 보내고, 마을사람들에게 거저 솎아가게 해도 비 한 차례만 내리면 우쭐우쭐 자라버렸습니다. 어느 날 여행을 갔다가 일주일 만에 돌아와 보니 몇 번 먹지도 못한 열무들이 연보랏빛 흰 열무꽃을 온통 피워놓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열무꽃밭엔 나비떼며 벌 떼가 잉잉거리며 즈이들 사는 즐거움을 마음껏 누리고 있었습니다. 내가 미처 거두지 못한 열무밭을 나비며 벌 떼가 차지하고 있던 것입니다. 저는 그걸 바라보며 그 풍경이 너무 아름답고 싱그럽게 느껴졌었습니다.

문태준 시인도 저와 같은 경험을 시로 표현하고 있군요. 사람들이 “채소밭에 꽃밭을 가꾸었느냐”고 놀리는 데서 알 수 있듯, 줄기와 잎 그리고 뿌리를 먹는 열무의 현실적 효용성을 ‘게을러’ 놓쳐버리고, ‘가까스로’ 꽃이라는 비실용적 미적 가치를 얻습니다. 채소밭은 아름다움을 위해 가꾸는 것이 아니라 채소를 재배하여 먹기 위해 있는 공간인데 비실용적이고 엉뚱한 일이 벌어져 있는 것입니다. 참으로 난감하고 망설여지는 일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 꽃밭에 한 마리, 두 마리, 나비 떼가 나타나 앉아서 “그네들에겐 보다 느슨한 시간 동안”을 머뭅니다. 한마디로 열무꽃밭의 쓰임새가 전복되는 순간입니다. 열무꽃밭은 사람들에게 싱싱한 채소를 제공해주진 못하지만 나비 떼에게 깊은 휴식의 시간을 만들어준 것입니다. 결국 나의 열무밭은 나비의 꽃밭이 되어버린 셈이지요. 나는 살아오면서 남에게 편히 쉬라고 내준 ‘무릎’이 한 번도 없었는데, 열무꽃은 나비 떼에게 느슨한 휴식의 자리를 내어주었으니, 어쩜 나는 열무밭에서 잎과 줄기, 뿌리만이 아니라 나비에게 꽃마저 잃은 셈이지요. 그러니 이게 ‘극빈’이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아름다움을 향한 허영과 욕망마저도 비워버린 지독한 가난인 셈이지요.

여기서 ‘설핏설핏’이라는 부사가 나오는데 이는 세 가지 뜻이 있습니다. 첫째 짜거나 엮은 것이 거칠고 성긴 모양입니다. 둘째 잠깐잠깐 나타나거나 떠오르는 모양을 가리킵니다. 셋째 잠깐잠깐 풋잠이나 얕은 잠에 빠져드는 모양을 가리킵니다. 물론 이 시에선 당연히 세 번째 의미를 갖는 첩어입니다. “잠을 자도 설핏설핏 노루잠을 자던 아이가…오랜만에 잠도 달게 자는 것이었다.” (현기영-변방에 우짖는 새)라고 쓸 수 있지요. 한편 거칠고 성기게 짠 피륙을 ‘설피창이’라고 하고, ‘해가 설핏하다’ 하면 해의 밝은 빛이 약해지는 것을 말한다는 것도 알아두셨으면 합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42 {자료}- 김철 시인 / 김응준 시인 2016-05-18 0 6793
1441 시문학 부흥의 묘약은 어디?... 2016-05-18 0 3613
1440 이승의 버스가 씨근거리고... 새가 된 꽃이라며... 2016-05-18 0 4270
1439 [한밤중 詩와 함께]- 배꼽 2016-05-18 0 3681
1438 詩論을 알면 시쓰기 힘들다... 2016-05-17 0 3984
1437 55년만에 발굴된 민족시인 - 심련수 / ... 2016-05-16 0 4752
1436 詩人과 詩 그리고 갱신의 길 / ... 2016-05-16 0 4116
1435 詩의 언어는 과학적 언어가 아니다 2016-05-16 0 4025
1434 순화된 언어속에서 건져 올리는 낯설기라야 가치 있다 2016-05-16 0 3779
1433 [초저녘 詩 읊다]- 초승달 카페 // 송몽규를 다시 떠올리다 2016-05-16 0 4030
1432 詩의 언어는 음악적이여야... 2016-05-16 0 4011
1431 그 새벽, 시인이 서 있는 곳은,ㅡ 2016-05-16 0 4422
1430 동심이라는 이름의 마법 2016-05-16 0 4367
1429 비긋는 아침, 당신의 고해소는 어디?... 2016-05-16 0 3773
1428 교훈조의 詩는 좋은 詩가 아니다 2016-05-15 0 4394
1427 잊혀진 시인 찾아서 - 설창수 시인 2016-05-14 0 4273
1426 잊혀진 시인 찾아서 - 김종한 시인 2016-05-14 0 4954
1425 동시인 김득만 "365밤 동요동시" 출간 2016-05-14 0 4416
1424 사랑의 방정식 2016-05-14 0 4150
1423 울음상점에서 만나다... 2016-05-13 0 3926
1422 시인의 몸에 몇개의 지문이 없다... 있다... 2016-05-13 0 4164
1421 시작의 첫 줄에 마음 써라... 2016-05-12 0 3841
1420 시의 이미지는 진화한다... 2016-05-12 0 4551
1419 [안개 푹 설레이는 아침 시 한컷]- 옛 엽서 2016-05-12 0 4020
1418 왁자지껄한 평화속에서 꽃 피우라... 2016-05-11 0 3529
1417 아이는 삶으로 뛰여든다... 2016-05-10 0 3651
1416 나무들은 때로 불꽃 입술로 말한다... 2016-05-10 0 3788
1415 살구나무에 몸을 비벼본다... 2016-05-10 0 4095
1414 하이쿠 = 17자 2016-05-10 0 3902
1413 구체시 = 구상시 2016-05-10 0 4353
1412 혁명시인 - 김남주 시모음 2016-05-07 1 4556
1411 민족시인- 김남주를 알아보기 2016-05-07 0 5007
1410 [한밤중 詩 읊다]- 우리 엄니 2016-05-07 0 4195
1409 눈(안眼)인가 눈(설雪)인가... 2016-05-07 0 3950
1408 {이것도 詩라고 하는데...} 5월이 시작되다... 2016-05-07 0 3656
1407 詩人은 언어의 마술사이다... 2016-05-06 0 3718
1406 詩人은 현대의 돈키호테이다... 2016-05-06 0 4053
1405 詩人은 쉽게 잠들지 못한다... 2016-05-06 0 6189
1404 詩人은 골목길을 좋아한다... 2016-05-06 0 4924
1403 詩와 자연의 축복 2016-05-06 0 5511
‹처음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