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독자들도 알파고의 수를 해독해야 하는가...
2016년 06월 19일 20시 06분  조회:4856  추천:0  작성자: 죽림

2016년의 푸른 아침을 여는 “신작시” 일별

-2016년 연변문학》 1-3기 수록시를 두고

모동필 酕冬

 

1. 들어가는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3”이라는 수자를 무척이나 좋아했고 3을 가장 큰 수자로 여겼다.

이러한 민족적인 오랜 관념을 빌어 조선족 문학 잡지 중 가장 유구한 력사를 자랑하는 연변문학》 2016년 1기부터 3기까지에 실린 신작시들에 대한 옅은 생각을 정리해보려고 한다새해의 아침을 여는 시편들의 모양새를 둘러보면서 올해의 시농사를 류추해볼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동시에 더욱 좋은 시작들이 산출되기를 기대해본다.

 

2. 고향의 부재향수의 불시착: 2016년 1기 신

우리가 정서적으로 느끼는 고향의 모습을 옹근 그대로 느낄수 없는 현대인들은 추억의 수레바퀴를 돌려가면서 마음속의 고향을 추구한다고향에는 옛동산이 있고 아버지가 있고 어머니가 있.

애상적이다고향은 마음속에 있어도 고향 본의 실체는 찾아볼수 없다.

향수를 달래기 위해서는 영탄조로 고향산천의 아름다움을 향토적인 선률로 엮어낸다맛갈나게 그려보는 고향의 모습이건만 애잔한 마음은 달랠수 없이 허전하기만 하다.

대이동의 삶속에서 정체성의 정립과 더 나은 삶을 위한 몸부림에서 부득이하게 떠나야하는 것은 나그네들의 숙명이 아닌가 싶다고향 리탈은 현대인들에게 너무나도 일화된 삶의 양상이다.

향수를 달래보려고 해도 기억속의 고향은 현재의 모습이 아니고 현재의 고향은 추억속의 그것이 아니다고향의 옛모습을 생동한 시어로 복원해보지만 잃어버린 고향은 되찾을 길 없다.

 

…… 터밭의 밭이랑은 빌딩밑에 파묻혀 자취를 감추었지만 엄마 손끝의 밭이랑은 아직도 고이 그 자리를 지키고있다……” (김수연, “엄마의 손” 발췌. 2016/01)

 

안개 걷히면 보이던그림 같은오붓한 마을…… 창밖엔 함박눈이 펑펑참새가 짹짹짹짹-/ 보금자리 어디냐 구슬피 우오” (김응룡, “강변마을” 발췌. 2016/1)

 

한의 민족이라서 고향에 대한 감정도 한스러운지도 모른다영탄으로 향수를 달래보려고 하여도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라는 정지용의 시구처럼 꿈에 잊혀질 수 없어도 고향의 부재와 상실은 우리에게 큰 설음으로 되였.

연변문학》 2016년 1기에 실린 시들은 대체적으로 고향산천과 자연을 노래하거나 인정세태,부모님의 사랑을 시구로 적은 시들이다.

큰 감흥을 불러일으키면서 다시 읽고 또 읽으면서 음미할만한 시들은 아닌것 같다.

비슷한 주제로 일관되였음에도 불구하고 풍격이나 내용표현기법까지 류사하다보니 드라마의 결과를 알아버린 밍밍함이 감돈다언젠가는 읽어 본것 같은 시들이여서 신선함이 없다.

고향 상실에 대해 애잔하게 읊조린 시로는 정지용의 고향을 들수 있겠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 꿩이 알을 품고뻐꾸기 제철에 울건만//마음은 제 고향 지니지 않고머언 항구로 떠도는 구름// 오늘도 뫼 끝에 홀로 오르니흰 점 꽃이 인정스레 웃고//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 나고메마른 입술에 쓰디쓰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정지용, “고향” 전문.)

시각적청각적미각적 심상들을 동원하여 고향 상실에 대한 허탈함에 리듬을 실 수작이다.

웬지 정지용의 고향을 시로써 해석을 한 듯 읽혀.

책을 덮으면 다시 떠오르고 눈 감고 시가 준 정서의 물결에 아늑한 상념을 불러일으키는쓸쓸하게 그리운 여인의 얼굴을 떠올리듯 그리움이 아지랑이처럼 피여오를 수 있을 시를 기대해본다.

 

 

2. 독자들은 알파고의 수를 파헤칠 겨를이 없다: 2016년 2기 신작

난해한 시의 현관을 뗴고 들어갔지만 발걸음은 방향을 잃은듯 어정쩡하기만 하다시인이 읽는 시도 좋지만 독자가 읽을 수 있는 시여야만이 명작으로 남을수 있다독자들은 알파고의 수를 해독해야 하는 이세돌이 아니다.

리듬감이 파괴되여 호흡이 곤란한 시구는 읽을 맛이 없다내용과 형식을 적재적소 다듬어 요리하여 맛있는 시편으로 만들어내길 바란.

 

하늘을 건너는 바람아래잎들이 해살을 흔드는 산모퉁이를돌아가는 뱀꼬리가 시야에 잡혔다// 에덴동산으로또 가는 뱀꼬리나도 먹고싶다 금단의 과일// 꼬리가 길면 꼬리가 잡히는줄/알면서 기어이 산을 넘고 들을 지나강을 건너 꼬리를 기르는 걸음걸음// 기다가지금은 달리지만앞으론 이 되여 하늘 날면아무리 꼬리가 길어도 밟히지 않을거다// 긴긴 꼬리로아담과 이브의 죄를 모두 바가지 씌운세상을 묶어 채찍질하여라하지만 아직 꼬리가 짧다” (박장길, “전문. 2016/02)

 

에덴동산에서 금단의 열매를 따먹은 죄로 벌을 받은 뱀은 다시금 에덴동산으로 기여간다인간의 파괴본능이 뱀처럼 꿈틀거린다룡으로 커가면 적반하장도 가능하.

난해한 시를 마주하고 사색의 입구를 찾지 못한 생각의 갈래들은 뱀꼬리가 되여 에덴동산을 찾아 헤매이다 금단의 열매를 먹고 벌을 기다리고 있.

 

여보소!/ 죽림 시지기야억만겁의 맘속 한 졸가리에구리종 하나를 달아매여둔적 있는가유// 여보소!/ 죽림 시지기야!/ 자애로왔던 어머님을 위해단 한번이라도 그 구리종을 울려본적 있는가유// -/ 늘이여 (김승종, “구리종” .)

 

여보소!/ 죽림 시지기야!/ 억만겁의 맘속 한 구석배기에하늘 한자락을 베여다둔적 있는가유// 여보소!/ 죽림 시지기야!/ 다정다감했던 아버님을 위해단 한번이라도 그 하늘 한자락을 펼쳐드린적 있는가유… // -/ 종이여-” (김승종, “하늘 한자락” .)

 

죽림은 김승종의 아호이다시지기 죽림이 부모님께 다 못다한 효성을 반추하는 두편의 시는 련작시처럼 묶어 읽어보는 것이 충분한 리해에 도움이 될것같.

구리종의 묵직한 울림이 하늘 한자락을 수놓이 할 메아리는 아픈 이랑으로 출렁일것이다.

김승종의 무릎고소장과 아버지의 호롱불도 우의 시처럼 해독해봄이 용이할것 같.


   리기춘의 고향련정과 보름달”, “그날 정오에는 각기 고향과 보름달봄을 기다리는 초겨울에 자리하고 있는 작자의 내면세계를 여러 시어들로 묘사하면서 시인의 감정들을 언어부호로 그려보이고 있.

독자들은 어려운 시를 외면한다는 것을 명기하고 가파로운 예술의 보물찾기가 아닌 싱그러운 예술의 화원으로 독자들을 초대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작자의 내면세계와 독자의 공감대가 극대화되여 형성되는 매치점에서만이 예술의 불꽃 밝게 빛을 낼수 있다.

어려운 시를 쉬운 가락으로 풀어내는 일은 시인의 내공을 가늠하는 기준일수도 있다.

 

3. 찬 겨울에 피오르는 따스한 입김: 2016년 3기 신작시

약속한 듯 제3기에 실른 시들은 겨울과 눈을 소재한 시들이 대부분이다위챗으로 고향눈을 보내주는 로옹누군가를 삶을 소모하면서 애타게 기다리는 호호백발 안로인엄동설한의 밤길에서 진한 알콜로 온기를 찾는 나그네왔다가 가버리는 도적눈과 매정한 님겨울속에 캄캄한 꿈속을 헤매는 깨고싶은 환각

모두가 찬 겨울처럼 처연한 삶의 자락들에서 온기 넘치는 입김으로 피여오르는 애틋함은 우리들이 하고 있는 삶의 모습인듯 싶다.

1기에 실린 고향을 소재로 한 시들과 닮았다.

… 뜨거운 입술끼리 비벼열락의 신음을 흘려언 심장을 덥히고” (주향숙, “불같이” 2.)

언 심장은 덥혀져야만 한다그 어떤 방식이든 덥혀져야만 한다얼어붙은 심장들이 뜀질을 멈추면 꿈속의 고향어머니도 없으리니

 

4. 나오는 말

2016년 연변문학》 1-3기에 실린 시들을 일별하면 대체적으로 향토적인 선률이 주를 이루고 있다.

상실된 고향에는 고향이 없고 추운 고향에는 기다리는 자의 입김만이 온기로 피여난.

고향의 모습은 이렇게 황페해지는 것에 많은 아픔을 느끼는듯 싶다애틋한 정회를 읊조려 보아도 고향이 변해가 일은 저지할수 없다.

호랑이가 포식할 먹이감이 없는 들판이 사무치게 그리운 고향이라면 뛰쳐나가야만 한다.

어덴가에서 본듯한 시구들보다는 참신한 시들이 고프다참신함을 난해함으로 도색하는 일보다는 수월하게 독자의 마음을 노크할수 있을 감동의 메시지가 절실한것 같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43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대륙의 문학 2016-03-21 0 5027
1242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중국 근대, 현대 문학 2016-03-21 0 4865
1241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元 明 淸 시대 문학 2016-03-21 1 5396
1240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그리스, 로마 문학 2016-03-21 0 6387
1239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프랑스문학 2016-03-21 0 7934
1238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남유럽 문학 2016-03-21 0 6129
1237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독일문학 2016-03-21 0 7361
1236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네덜란드, 벨기 문학 2016-03-21 0 4215
1235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영국문학 2016-03-21 0 6679
1234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러시아 쏘련 문학 2016-03-21 0 9341
1233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북유럽문학 2016-03-20 0 5175
1232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동유럽문학 2016-03-20 0 5282
1231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미국문학 2016-03-20 0 5405
1230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라틴아메리카 문학 2016-03-20 0 4446
1229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문학 2016-03-20 0 3928
1228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唐 宋 시대 문학 2016-03-20 0 5269
1227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漢 魏 六 朝 문학 2016-03-20 0 4830
1226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魏 晋 南 北 朝 시대 문학 2016-03-20 1 4567
1225 [일요일 아침 詩]- 목소리들 2016-03-20 0 4048
1224 [詩공부시간]- 詩는 자기자신의 분신덩어리 2016-03-20 0 4838
1223 [詩作初心]- 현대시론 개요(1,2) 2016-03-19 0 4363
1222 [詩作初心]- 현대시론 개요 2016-03-19 0 4484
1221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 - 폴 베를렌 2016-03-19 0 5219
1220 김혜순 시모음 2016-03-19 0 5253
1219 디카시는 언어 너머의 詩 2016-03-19 0 4674
1218 잊혀져가는 천재 시인 - 이근상 2016-03-19 0 4071
1217 [이 아침 신선한 詩 한잔 드시소잉]- 막돌 2016-03-19 0 3794
1216 정지용시인 산문 쓰다 2016-03-19 0 4701
1215 樹木葬 = "오규원 소나무" 2016-03-18 0 4592
1214 오규원 시모음 2016-03-18 0 5280
1213 <<가령>>과 <<설령>> 2016-03-18 0 3779
1212 [詩作初心]- 詩적 언어를 창조하는 은유 2016-03-18 0 4391
1211 詩쓰기는 텅빈 종이장 피땀같이 들여다보기 2016-03-18 0 4074
1210 현대시론 축소판 2016-03-18 0 4678
1209 [詩공부시간]- 詩속에 複數의 나 만들기 2016-03-18 0 4695
1208 [이 아침 신선한 詩 한잔 드시소잉]- 정식 2016-03-18 0 3894
1207 [詩공부시간]- 詩속에서의 참된 나 없는 나 만들기 2016-03-17 0 3962
1206 [이 아침 따끈한 詩 한잔 드시소예]- 해안선 2016-03-17 0 4135
1205 [詩공부시간]- 詩속에서 나를 찾기 2016-03-16 0 5389
1204 [詩공부시간]- 詩쓰기와 자아찾기 2016-03-16 0 4008
‹처음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