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詩란 심야를 지키는 민간인이다...
2016년 10월 01일 17시 58분  조회:3556  추천:0  작성자: 죽림

 

안녕하십니까?
어제까지 찌푸린 듯한 날씨가 오늘은 아주 화
창하게 개었습니다.
모든 것이 새롭게 시작되는 이 때에 여러분과
함께 시창작 강의를 새로 개설하게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지난 번 제1강부터 42강까지 한번씩 아니면
두번 이상을 강의를 받으신 분들도 많이 계십니
다만, 처음 이 강의를 듣는 분이 계실지도 모
르니 시에 대해 다시 강의를 몇 시간 하겠습
니다. 그러나 전 번에 했던 강의와는 중복되지
않게 새롭게 강의함으로써 지루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우선 옆에 계신 분들과 인사를 나누십
시오. 그리고 오늘 처음 오신 분들은 가실 때
꼭 저에게 들렸다 가시기 바랍니다.

그럼 차 한 잔 마시고 시작하기로 하지요.


아니 누구신가요? 강의실 안나오시고, 편하게 
집에서 인터넷상으로 공부하시는 분은요?

자, 그럼 강의에 들어갈까요?
우선 시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로 합시다.
1.시란 무엇인가

연 전에 제가 섬진강 시인 김용택시인을 찾아간
적이 있습니다. 또 작년엔 목포문협 행사에 와서
아주 짧게 강의를 하고 간 적이 있는데요.
그가 근무하는 학교는 섬진강가 언덕위에 있는
학교인데 아주 작은 미니 초등학교랍니다.
그래서 언젠가는 폐교가 될 위기에 처해 있는데
요즘 학생들이 자꾸만 불어나고 있다합니다.

그 학교 학생들이 전부 시인이 되어서 시집도 
내고 한다는 소문에 글솜씨가 있는 아이들이
도시에서 전학을 오기 때문이지요.
그럼 이 시인은 그 아이들에게 어떤 시 교육을
시키는 것일까요?

그는 결코 아이들게게 따로 시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우선 그 자연을 보는 훈련을 시킨다고
합니다. 시간만 나면 산으로 강으로 아이들을
데리고 다니면서 자연을 보는 훈련을 시킨다는
것이지요. 그러고 나서
그 것들을 본대로 쓰는 것입니다. 
거기에서 훌륭한 시가 나온다는 것이지요.

여기에는 시를 잘 쓰는 세 가지 이론이 들어
있습니다.
그 하나는 많이 보고 많이 생각하라는 것입니다.
자연은 물론이지만 시집도 많이 읽으라는 것입니다.
간접 경험도 중요한 것이니까요.

둘째는 많이 써보는 것입니다. 많이 보았으면 또
본대로 쓴다면 많이 쓸 것은 분명하지요.

셋째는 아이들의 눈을 가지라는 것입니다.
아이들의 눈길은 순수하지요. 
아무런 가식이 없습니다
시는 가식이 있으면 좋지 않은 시가 되기 쉽습니다.

이제 여러분도 좋은 시인이 되려면
많은 경험을 하셔야 합니다. 
물론 지금까지의 많은 경험도 그 경험 중에 들어갑
니다. 그 다음에 그 경험들을 시로 써내는
것입니다. 다만 순수한 마음으로요.

그렇다면 이렇게 우리가 공부를 하며
또 써보고자하는 시란 무엇일까요?
우선 우리 모두는 
나도 시를 쓸 수 있을까요? 이런 질문을 하게
될 것입니다.

안도현님이 금년 새로 발간한 책에 나와 있는
<도둑들>이란 시의 첫 연을 보면

생각해보면, 딱 한 번이었다
내 열두어 살쯤에 기역자 손전등 들고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푸석하고 컴컴해진 초가집 처마 속으
로 잽싸게 손을 밀어넣었던 적이 있었다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이는 아무래도 초가집 지붕 처마 속으로 손을 넣어
참새를 잡던 경험을 그대로 늘어놓고 있습니다.아
무리 읽어보아도 그 경험을 그대로 옮겨 놓는 것
밖에는 없습니다.
이렇게 쓰는 것이 시라면 여러분이 못쓸 것이
무엇입니까?
안도현이라면 지금 제일 잘 팔리는 시인 중에 하나
이거든요. 또 시도 아주 잘 쓰는 시인입니다.
그러나 이 속에는 어렸을 때의 아름다운 추억이 
들어 있습니다. 그는 처음으로 참새의 펄떡이는
심장을 손에 쥐고 하늘의 별을 바라보며 눈물을
흘리고야 말았던 사랑이 들어있기에 시가 되는
것입니다.

김억이란 시인의 시를 한 번 볼까요.

오다 가다 길에서
만난 이라고
그저 보고 그대로
갈 줄 아는가.

이 것의 그의 시 <오다 가다>의 첫 연입니다.
정말 너무 평범하고 일상적인 말입니다.
몇 행으로 구분해놓아서 그렇지 그저 한 줄로
늘어놓으면 누가 시라고 하겠습니까?

그러나 이 말이 시가 되는 것은 오다 가다 길에서
만난 사이지만 사알짝 웃어주고 간다든지
아는 척을 하고 가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기에
그런 사랑을 표현하고 있기에 시가 됩니다.

시는 사랑입니다.
사랑하는 마음이 없으면 시인이 되지 않습니다.
흔히 우리가 젊어서 피가 끓을 때
특히 이성에게 많은 관심을 가질 때는 그 누구 하나
시인이 아닌 사람이 없습니다.
아마 하루에 절반은 시인으로 하루에 절반은 철학자
로 살았던 것이 아닌가 할 정도입니다
여러분도 그랬지요?

그래서 그 나이에 시들을 많이 씁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있으면 누구나 그 절절한 사랑을
옮기기만 하면 시인이 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평생 그렇게 뜨거운 사랑만 하고
있을 수도 없고, 또 그런 감상적인 시만 계속 쓰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그 것은 우리의 사랑의 대상을 한 사람 연인에서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으로, 내 주위의 모든 자연
과 사물을 사랑의 대상으로 삼으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 만큼 시의 소재가 많아지겠지요.
그리고 그들을 뜨겁게 사랑하라는 것입니다.

어떤 분은 난을 사랑해서 난에 관한 연작시를 쓰기
도하고 어떤 분은 바둑이나, 화초, 바다, 도자기,
강, 여행, 등등 자기가 좋아하는 대상에 대한
시들을 많이 쓰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다만 우리가 일상 언어에서 아름다운 말과 추한 
말이 있듯이 우리가 시가 될 말을 골라서 써야 할 
것입니다.
아무 언어나 자기의 관심사를 기록하면 그 것은
시가 아니라 일지나 단순한 기록서가 되고 말 것
이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시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데요.
작은강의실 제1강 시창작 강의를 필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부터 하는 강의는 실제로 시를 쓰실 분들에게
시의 행과 연의 구분이라든지, 제목을 붙이는 방법
이라든지 시의 마무리에 관한 것을 서로 연구해보
려고 합니다.

오늘은 첫 시간이니 이 정도로 강의를 마치구요.
김용택시인을 찾아갔다가 썼던 제 시 한편을 먼저
소개하겠습니다.

** 시인을 찾아서-김용택 **

-김영천

그 작은 운동장도 얼마나 크냐고 대견해하며
몇 명 안되는 아이들과 궁그르며 뛰놀고
끙끙거리며 시도 쓰고
더러 강으로 고기잡이도 가는 시인은
우리더러 너무 어른이라 한다

강이나 들길에서 함부로 만나는
자운영이나 사철쑥이 아니고
쇠똥이나 반딧불이나 개구리가 아니고
우리더러 너무 사람이라 한다

왕방울 같은 눈을 쓰윽 쓱 돌리며 쳐다보더니
아이들이 시를 참 잘 써요
쉽게 쓰거든요

우리를 얼른 보내고 밖에 나가서
너무도 넉넉한 햇살이나
이제 막 물오른 들녘이나 강물하고 뛰놀고 싶을까
사진 찍는 것도 마다하고 서둘러 들어간다

시인을 보러 가서야
아무렇게나 방치된 시골 풍경이나
순한 아이들이나
쉽게 쓰는 시가 다 똑 같다는 것을
겨우 알았다

안도현님의 최근작 <시인>을 올립니다.

나무 속에
보일러가 들어 있다 뜨거운 물이
겨울에도 나무의 몸 속을 그르렁그르렁 돌아다닌다

내 몸의 급수 탱크에도 물이 가득 차면
詩, 그것이 바람난 살구꽃처럼 터지려나
보일러 공장 아저씨는
살구나무에 귀를 갖다대고
몸을 비벼본다 


============================================================

 

김종삼「민간인(民間人)」

 


 

1947년 봄 
심야(深夜) 
황해도 해주 바다 
이남과 이북의 경계선 용당포 

사공은 조심조심 노를 저어가고 있었다 
울음을 터뜨린 한 영아를 삼킨 곳 
스무 몇 해나 지나서도 누구나 그 수심(水深)을 모른다. 



  김종삼 (1921 - 1984)「민간인(民間人)」전문
  
김종삼 시인은 작가의 말을 아끼는 간결한 시를 주로 썼다. 
위 시에서도 간단한 상황만을 그리고 해석은 독자의 몫으로 남긴다. 1947년 심야에 초병을 피해 월남하고 있는 몇 사람 중엔 영아가 끼어있었고 울음을 터뜨린다. 그래서 모두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그 영아를 물에 빠트려 죽이고 만다. 
그 때로부터 스무 몇 해가 아니라 쉰 몇 해가 지났지만 아직도 분단은 여전하다. 아이를 어쩔 수 없이 죽이고 목숨을 구한 사람들의 가슴에 흐르는 강물의 깊이를 누가 알랴. 황해도 해주 앞바다 그 수심을 아무도 알지 못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42 굴레가 되고 싶지 않다... 2016-10-10 0 3619
1641 김수영 시인을 다시 떠올리면서... 2016-10-10 0 3978
1640 풀의 시인 김수영 非발표작 詩 공개되다... 2016-10-10 0 3625
1639 저항시인 이육사 미발표 詩 발굴되다... 2016-10-10 0 4183
1638 윤동주 미발표작 詩 발굴되다... 2016-10-10 0 2831
1637 "윤동주 미발표 詩 더 있다" 2016-10-10 0 3621
1636 詩란 사모곡(思母曲)이다... 2016-10-10 0 3185
1635 詩는 리태백과 두보와 같다...처..ㄹ... 썩... 2016-10-09 0 3413
1634 詩는 무지개의 빛갈과 같다... 아니 같다... 2016-10-09 0 3296
1633 현대시사상 가장 다양한 시형의 개척자 - 김수영 2016-10-06 0 4096
1632 詩란 무구(無垢)한 존재이며 무구한 국가이다... 2016-10-06 0 3799
1631 詩는 추상의 반죽 덩어리... 2016-10-06 0 3386
1630 詩는 시골이다... 2016-10-03 0 3186
1629 詩란 주사위 던지기와 같다... 2016-10-02 0 3343
1628 詩란 100년의 앞을 보는 망원경이다... 2016-10-01 0 3285
1627 詩는 가장 거대한 백일몽 2016-10-01 0 3461
1626 詩人은 존재하지 않는 詩의 마을의 촌장 2016-10-01 0 3565
1625 詩人은 오늘도 詩作을 위해 뻐꾹새처럼 울고지고... 2016-10-01 0 3745
1624 詩作에서 구어체 편지형식을 리용할수도 있다... 2016-10-01 0 3505
1623 詩人은 약초 캐는 감약초군이다... 2016-10-01 0 3724
1622 詩人는 언어란 감옥의 감옥장이다... 2016-10-01 0 3609
1621 詩人은 추상화와 결혼해야... 2016-10-01 0 3670
1620 詩란 섬과 섬을 잇어놓는 섶징검다리이다... 2016-10-01 0 3127
1619 詩란 돌과 물과 바람들의 침묵을 읽는것... 2016-10-01 0 3390
1618 詩란 사라진 시간을 찾아 떠나는 려행객이다... 2016-10-01 0 3688
1617 詩作란 황새의 외다리서기이다... 2016-10-01 0 4288
1616 詩란 한잔 2루피 찻집의 호롱불이다... 2016-10-01 0 3351
1615 詩란 사라진 길을 찾는 광란이다.... 2016-10-01 0 3783
1614 詩는 한해살이풀씨를 퍼뜨리듯 질퍽해야... 2016-10-01 0 3534
1613 나는 다른 시인이 될수 없다... 2016-10-01 0 4559
1612 詩는 국밥집 할매의 맛있는 롱담짓거리이다... 2016-10-01 0 3333
1611 詩란 심야를 지키는 민간인이다... 2016-10-01 0 3556
1610 詩는 한매의 아름다운 수묵화 2016-10-01 0 3821
1609 詩는 신비한 혼혈아이다... 2016-10-01 0 3801
1608 詩作에는 그 어떠한 격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2016-10-01 0 3391
1607 詩는 길위에서 길찾기... 2016-10-01 0 3615
1606 詩에는 정착역이란 없다... 2016-10-01 0 3401
1605 詩와 윤동주 <<서시>> 2016-10-01 0 3330
1604 詩는 리별의 노래 2016-10-01 0 3049
1603 詩人은 풀잎같은 존재이다... 2016-10-01 0 3860
‹처음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