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써클선생님들께;우리와 다른 알고 넘어가야 할 "두음법칙"
2017년 02월 28일 18시 07분  조회:2895  추천:0  작성자: 죽림
 
 
   
▲ 상형문자인 한문으로 산(山) 자가 뚜렷한 암봉들.



































[제5절] 두음법칙
제10항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여자(女子) 녀자 유대(紐帶) 뉴대
연세(年歲) 년세 이토(泥土) 니토
요소(尿素) 뇨소 익명(匿名) 닉명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 인정한다.

  • 냥(兩)
  • 냥쭝(兩-)
  • 년(年) (몇 년)

[붙임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 남녀(男女)
  • 당뇨(糖尿)
  • 결뉴(結紐)
  • 은닉(隱匿)

[붙임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신여성(新女性)
  • 공염불(空念佛)
  • 남존여비(男尊女卑)

[붙임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에도 붙임 2에 준하여 적는다.

  • 한국여자대학
  • 대한요소비료회사
제11항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양심(良心) 량심 용궁(龍宮) 룡궁
역사(歷史) 력사 유행(流行) 류행
예의(禮儀) 례의 이발(理髮) 리발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는 본음대로 적는다.

  • 리(里) : 몇 리냐?
  • 리(理) : 그럴 리가 없다.

[붙임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 개량(改良)
  • 선량(善良)
  • 수력(水力)
  • 협력(協力)
  • 사례(謝禮)
  • 혼례(婚禮)
  • 와룡(臥龍)
  • 쌍룡(雙龍)
  • 하류(下流)
  • 급류(急流)
  • 도리(道理)
  • 진리(眞理)

다만,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율’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나열(羅列) 나렬
치열(齒列) 치렬
비열(卑劣) 비렬
분열(分裂) 분렬
선열(先烈) 선렬
진열(陳列) 진렬
규율(規律) 규률
비율(比率) 비률
실패율(失敗率) 실패률
선율(旋律) 선률
전율(戰慄) 전률
백분율(百分率) 백분률

[붙임2] 외자로 된 이름을 성에 붙여 쓸 경우에도 본음대로 적을 수 있다.

  • 신립(申砬)
  • 최린(崔麟)
  • 채륜(蔡倫)
  • 하륜(河崙)

[붙임3] 준말에서 본음으로 소리나는4) 것은 본음대로 적는다.

  • 국련(국제연합)
  • 대한교련(대한교육연합회)

[붙임4]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또는 ‘ㄹ’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역이용(逆利用)
  • 연이율(年利率)
  • 열역학(熱力學)
  • 해외여행(海外旅行)

[붙임5]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나 십진법에 따라 쓰는 수(數)도 붙임 4에 준하여 적는다.

  • 서울여관
  • 신흥이발관
  • 육천육백육십육(六千六百六十六)
제12항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나, 내, 노, 뇌, 누, 느’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낙원(樂園) 락원 뇌성(雷聲) 뢰성
내일(來日) 래일 누각(樓閣) 루각
노인(老人) 로인 능묘(陵墓) 릉묘

[붙임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 쾌락(快樂)
  • 극락(極樂)
  • 거래(去來)
  • 왕래(往來)
  • 부로(父老)
  • 연로(年老)
  • 지뢰(地雷)
  • 낙뢰(落雷)
  • 고루(高樓)
  • 광한루(廣寒樓)
  • 동구릉(東九陵)
  • 가정란(家庭欄)

[붙임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는 뒷말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내내월(來來月)
  • 상노인(上老人)
  • 중노동(重勞動)
  • 비논리적(非論理的)

본음이 ‘라, 래, 로, 뢰, 루, 르’인 한자가 첫머리에 놓일 때는 ‘나, 내, 노, 뇌, 누, 느’로 적는다.

붙임 1.단어 첫머리 이외의 경우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본음대로 적는다. ‘릉(陵)’과 ‘란(欄)’은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는 뜻에서 ‘능, 난’으로 써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왕릉(王陵), 정릉(貞陵), 동구릉(東九陵)’처럼 쓰이는 ‘릉’이나, ‘독자란(讀者欄), 비고란(備考欄)’처럼 쓰이는 ‘란’은 한 음절로 된 한자어 형태소로서, 한자어 뒤에 결합할 때에는 통상 하나의 단어로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본음대로 적기로 한 것이다.

  • 강릉(江陵)
  • 태릉(泰陵)
  • 서오릉(西五陵)
  • 공란(空欄)
  • 답란(答欄)
  • 투고란(投稿欄)

다만, 예컨대 ‘어린이-난, 어머니-난, 가십(gossip)-난’과 같이 고유어나 (구미) 외래어 뒤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제11항 붙임 4에서 보인 ‘개-연(蓮), 구름-양(量)’의 경우처럼 두음 법칙을 적용하여 적는다.

붙임 2.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어 형태소가 결합하여 된 단어나, 두 개 단어가 결합하여 된 합성어(또는 이에 준하는 구조)의 경우, 뒤의 단어는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반-나체(半裸體)
  • 실-낙원(失樂園)
  • 중-노인(中老人)
  • 육체-노동(肉體勞動)
  • 부화-뇌동(附和雷同)
  • 사상-누각(砂上樓閣)
  • 평지-낙상(平地落傷)

한편, ‘고랭지(高冷地)’는 ‘표고(標高)가 높고 찬 지방’이란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므로, ‘고-냉지’로 적지 않고 ‘고랭-지’로 적는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10 윤동주는 왜... 2019-09-17 0 2885
1409 에드윈 마크햄 - "원" 2019-09-16 0 3119
1408 [시공부] - ... 2019-08-04 0 2621
1407 [시공부] - ... 2019-08-04 0 2790
1406 시는 무용이다... 2019-07-09 0 2911
1405 [그것이 알고싶다] - 백서 "도덕경" 2019-06-29 0 4004
1404 [문단소식] - 림금산시인 "달을 만나고" 시집 낳다 ... 2019-06-16 0 2889
1403 100년 뒤... 뒤...뒤... 2019-05-26 0 3314
1402 [평, 評, 평, 評] - 작품과 상과 인간과 그리고... 2019-05-13 0 3224
1401 윤동주를 알리는 골수팬 일본인- 야스코 2019-04-23 0 3378
1400 시를 암송하면 삶이 더 즐겁다... 2019-04-23 0 3142
1399 "또 다른 고향"을 찾아가는 미완의 려정... 2019-04-23 0 3672
1398 인도주의는 윤동주 시인이 이 땅에 심은 자산입니다... 2019-03-23 0 3503
1397 윤동주, 그는 절대로 "문약한" 학생이 아니었다... 2019-03-23 0 3442
1396 시인은 떠났어도 희망은 "낡지 않"았다... 2019-03-07 0 3713
1395 [그것이 알고싶다] - "옥중가"와 100여년... 2019-03-02 0 3294
1394 "한글, 이번에는 제가 배울 차례입니다"... 2019-02-16 0 3728
1393 [동네방네] - "윤동주", 실시간 알리기... 2019-02-16 0 3589
1392 [명작 쟁명] - 프랑스 작가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 2019-02-15 0 4743
1391 "풀꽃" 2019-02-06 0 3509
1390 윤동주 시 또 중국어로 번역되다... 2019-01-27 0 4512
1389 윤동주와 "아리랑" 2019-01-27 0 3764
1388 윤동주와 명동, 룡정, 평양, 서울, 도쿄, 교토... 2019-01-24 0 3489
1387 윤동주 시를 지켜준것은 "우정"이였다... 2019-01-24 1 3257
1386 윤동주 유고 시집과 시인 정지용 "서문",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4 0 3637
1385 윤동주 시집과 여러 사람들... 2019-01-24 0 3604
1384 윤동주 시집 원 제목은 "병원"이였다... 2019-01-24 0 4179
1383 정지용과 윤동주 2019-01-24 0 3707
1382 윤동주는 시를 들고 일제와 싸웠다... 2019-01-22 0 3705
1381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3 2019-01-22 0 3290
1380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2 2019-01-22 0 3834
1379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1 2019-01-22 0 3064
1378 "서시" 일본어 번역본에 오류가 있다??? 2019-01-22 1 4613
1377 서시(윤동주)와 서시 영어 번역본 2019-01-22 0 5678
1376 [매일(끝)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2019-01-22 0 3926
1375 윤동주와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0 0 3843
1374 윤동주와 정지용 2019-01-20 0 3462
1373 윤동주, 시 한수가 씌여지기까지... 2019-01-20 0 3126
1372 {자료} - 윤동주 시의 무궁무진한 힘과 그 가치... 2019-01-20 0 3355
1371 연세대의 건물들은 기억하고 있다... 2019-01-20 0 4066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