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써클선생님들께;우리와 다른 알고 넘어가야 할 "두음법칙"
2017년 02월 28일 18시 07분  조회:2897  추천:0  작성자: 죽림
 
 
   
▲ 상형문자인 한문으로 산(山) 자가 뚜렷한 암봉들.



































[제5절] 두음법칙
제10항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여자(女子) 녀자 유대(紐帶) 뉴대
연세(年歲) 년세 이토(泥土) 니토
요소(尿素) 뇨소 익명(匿名) 닉명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 인정한다.

  • 냥(兩)
  • 냥쭝(兩-)
  • 년(年) (몇 년)

[붙임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 남녀(男女)
  • 당뇨(糖尿)
  • 결뉴(結紐)
  • 은닉(隱匿)

[붙임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신여성(新女性)
  • 공염불(空念佛)
  • 남존여비(男尊女卑)

[붙임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에도 붙임 2에 준하여 적는다.

  • 한국여자대학
  • 대한요소비료회사
제11항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양심(良心) 량심 용궁(龍宮) 룡궁
역사(歷史) 력사 유행(流行) 류행
예의(禮儀) 례의 이발(理髮) 리발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는 본음대로 적는다.

  • 리(里) : 몇 리냐?
  • 리(理) : 그럴 리가 없다.

[붙임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 개량(改良)
  • 선량(善良)
  • 수력(水力)
  • 협력(協力)
  • 사례(謝禮)
  • 혼례(婚禮)
  • 와룡(臥龍)
  • 쌍룡(雙龍)
  • 하류(下流)
  • 급류(急流)
  • 도리(道理)
  • 진리(眞理)

다만,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율’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나열(羅列) 나렬
치열(齒列) 치렬
비열(卑劣) 비렬
분열(分裂) 분렬
선열(先烈) 선렬
진열(陳列) 진렬
규율(規律) 규률
비율(比率) 비률
실패율(失敗率) 실패률
선율(旋律) 선률
전율(戰慄) 전률
백분율(百分率) 백분률

[붙임2] 외자로 된 이름을 성에 붙여 쓸 경우에도 본음대로 적을 수 있다.

  • 신립(申砬)
  • 최린(崔麟)
  • 채륜(蔡倫)
  • 하륜(河崙)

[붙임3] 준말에서 본음으로 소리나는4) 것은 본음대로 적는다.

  • 국련(국제연합)
  • 대한교련(대한교육연합회)

[붙임4]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또는 ‘ㄹ’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역이용(逆利用)
  • 연이율(年利率)
  • 열역학(熱力學)
  • 해외여행(海外旅行)

[붙임5]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나 십진법에 따라 쓰는 수(數)도 붙임 4에 준하여 적는다.

  • 서울여관
  • 신흥이발관
  • 육천육백육십육(六千六百六十六)
제12항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나, 내, 노, 뇌, 누, 느’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낙원(樂園) 락원 뇌성(雷聲) 뢰성
내일(來日) 래일 누각(樓閣) 루각
노인(老人) 로인 능묘(陵墓) 릉묘

[붙임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 쾌락(快樂)
  • 극락(極樂)
  • 거래(去來)
  • 왕래(往來)
  • 부로(父老)
  • 연로(年老)
  • 지뢰(地雷)
  • 낙뢰(落雷)
  • 고루(高樓)
  • 광한루(廣寒樓)
  • 동구릉(東九陵)
  • 가정란(家庭欄)

[붙임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는 뒷말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내내월(來來月)
  • 상노인(上老人)
  • 중노동(重勞動)
  • 비논리적(非論理的)

본음이 ‘라, 래, 로, 뢰, 루, 르’인 한자가 첫머리에 놓일 때는 ‘나, 내, 노, 뇌, 누, 느’로 적는다.

붙임 1.단어 첫머리 이외의 경우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본음대로 적는다. ‘릉(陵)’과 ‘란(欄)’은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는 뜻에서 ‘능, 난’으로 써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왕릉(王陵), 정릉(貞陵), 동구릉(東九陵)’처럼 쓰이는 ‘릉’이나, ‘독자란(讀者欄), 비고란(備考欄)’처럼 쓰이는 ‘란’은 한 음절로 된 한자어 형태소로서, 한자어 뒤에 결합할 때에는 통상 하나의 단어로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본음대로 적기로 한 것이다.

  • 강릉(江陵)
  • 태릉(泰陵)
  • 서오릉(西五陵)
  • 공란(空欄)
  • 답란(答欄)
  • 투고란(投稿欄)

다만, 예컨대 ‘어린이-난, 어머니-난, 가십(gossip)-난’과 같이 고유어나 (구미) 외래어 뒤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제11항 붙임 4에서 보인 ‘개-연(蓮), 구름-양(量)’의 경우처럼 두음 법칙을 적용하여 적는다.

붙임 2.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어 형태소가 결합하여 된 단어나, 두 개 단어가 결합하여 된 합성어(또는 이에 준하는 구조)의 경우, 뒤의 단어는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반-나체(半裸體)
  • 실-낙원(失樂園)
  • 중-노인(中老人)
  • 육체-노동(肉體勞動)
  • 부화-뇌동(附和雷同)
  • 사상-누각(砂上樓閣)
  • 평지-낙상(平地落傷)

한편, ‘고랭지(高冷地)’는 ‘표고(標高)가 높고 찬 지방’이란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므로, ‘고-냉지’로 적지 않고 ‘고랭-지’로 적는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30 토템시/ 사슴= 남영전, 해설= 현춘산(7) 2020-10-10 0 2599
1529 토템시/ 물= 남영전, 해설= 현춘산(6) 2020-10-10 0 2422
1528 토템시/ 흙= 남영전, 해설= 현춘산(5) 2020-10-10 0 2523
1527 시=흥취 2020-10-09 0 2453
1526 조선족문단 우화시 개척자 - 허두남 2020-09-08 0 2634
1525 토템시/ 백학= 남영전, 해설= 현춘산(4) 2020-09-08 0 2473
1524 토템시/ 신단수= 남영전, 해설= 현춘산(3) 2020-09-08 0 2466
1523 토템시/ 곰= 남영전, 해설= 현춘산(2) 2020-09-08 0 2340
1522 토템시/ 달= 남영전, 해설= 현춘산(1) 2020-09-08 0 2449
1521 토템과 남영전시인 11 2020-09-03 0 2834
1520 [그것이 알고싶다] - "조선어학회" 2020-09-03 0 3841
1519 우아하게 삽시다 / 우상렬 2020-08-24 0 3082
1518 토템과 남영전 시인 10 2020-07-18 0 2894
1517 토템과 남영전 시인 9 2020-07-18 0 3152
1516 토템과 남영전 시인 8 2020-07-18 0 2904
1515 토템과 남영전 시인 7 2020-07-18 0 3466
1514 토템과 남영전 시인 6 2020-07-18 0 3323
1513 토템과 남영전 시인 5 2020-07-18 0 3212
1512 두만강은 알리라... 2020-07-17 0 3003
1511 작가들의 큰 박수를 받은 민족개념/ "길림신문"/ 김승종 2020-07-02 0 3298
1510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544
1509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189
1508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508
1507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295
1506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340
1505 토템과 남영전 시인 4 2020-06-27 0 3000
1504 토템과 남영전 시인 3 2020-06-27 0 3320
1503 토템과 남영전 시인 2 2020-06-27 0 3175
1502 토템과 남영전 시인 1 2020-06-27 0 3173
1501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0 0 3400
1500 친족, 친척 = 토템 2020-06-20 0 2965
1499 [시공부 101] - 38... 2020-05-13 0 3022
1498 [시공부 101] - 37... 2020-05-13 0 3330
1497 [시공부 101] - 36... 2020-05-13 0 4614
1496 [잊혀진 민속] - 다듬이 2020-05-08 0 4839
1495 [그것이 알고싶다] - "토템"연구와 남영전 시인 2020-05-02 0 3415
1494 [그것이 알고싶다] - "단군신화" 2020-04-30 0 3190
1493 [시문학소사전] - 토테미즘 2020-04-30 0 3964
1492 [시공부 101] - 35... 2020-04-04 0 3030
1491 [시공부 101] - 33... 2020-04-04 0 3668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