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의 친동생 윤일주도 시인이었다...
2017년 03월 16일 23시 55분  조회:3733  추천:0  작성자: 죽림

많은 시 독자가 가장 좋아하는 시인을 꼽으라면 윤동주 시인을 꼽는다. 그만큼 우리에게 친숙하고 국민의 사랑을 받는 시인이 윤동주 시인이다. 그런데 그의 친동생 윤일주가 시인이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지 않다. 윤동주 사후에 유고시집으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윤일주도 사후에 시집 "동화"를 남겼다. 윤동주의 시에 아우가 등장하는 시가 두 편이 있는데 '아우의 인상화'와 '오줌싸개 지도'이다.


아우의 인상화

붉은 이마에 싸늘한 달이 서리여
아우의 얼굴은 슬픈 그림이다

발걸음을 멈추어
살그머니 애된 손을 잡으며
<너는 자라 무엇이 되려니>

<사람이 되지>
아우의 설운 진정코 설운 대답이다

슬며시 잡았던 손을 놓고
아우의 얼굴을 다시 들여다본다

싸늘한 달이 붉은 이마에 젖어
아우의 얼굴은 슬픈 그림이다.
         윤동주, '아우의 인상화' 전문, 1938. 9. 15.


여기에 나온 동생이 바로 윤일주의 초상인 것이다. 윤일주는 1927년 요즘 '연변'이라는 지명으로 우리에게 친근한 만주 북간도 명동에서 태어났다. 윤동주는 해방 직전 일본 감옥에서 옥사했지만 윤일주는 해방 직후 진학을 위해 서울에 왔다. 1946년 9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에 입학하여 1953년 3월 졸업했다.

동란 때문에 학업이 늦어진 것이다. 그후 1961년 3월 해군중령으로 예편할 때까지 해군에 복무 했다. 제대한 후에는 부산대학교, 동국대학교, 성균관대학교에서 건축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던 중 1985년 간암으로 58세의 삶을 마감했다.

윤일주는 북간도 명동에서 태어났지만 집안이 옮겨가는 바람에 용정에서 중학교를 다녔는데 거기서 우리말로 시를 쓰기 시작했다. 시집 '동화'에는 65편의 시가 실렸는데 31편이 동시다. 윤동주의 시집에도 115편 중에서 동시가 37편인 걸 보면 이 두 형제 시인의 유사성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그만큼 그들의 시엔 유난히 동심이 많이 드러나 있는데 시심은 동심과 상통하기 때문일 것이다. 시는 심정의 서술만으로는 현대시가 되기 어렵다. 윤일주의 시가 심정의 시이면서도 진부한 서정시가 아니라 세련미를 갖추고 있는 것은 언어의 그림, 즉 시각적 이미지의  제시라는 기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축도(縮圖)

따가운 모랫벌을
모래 투성이 된 개구리 한 마리
톡 톡 톡 뛰어가네

사막(沙漠) 
     -'축도' 전문

위 시에서 마지막 한 행을 이루고 있는 '사막'이라는 단어가 이 소품을 감칠맛 나는 시작품으로 만들고 있다. 그 한 단어로 금세 시의 이미지가 확연히 드러나는 것이다.

윤일주는 1955년 "문학예술"지에 두 차례에 걸쳐 '설조 雪朝'와 '전야 前夜'가 추천되어 정식 시인으로 데뷔했다. 그러나 군에 몸담고 있을 때까지 종종 이어지던 시 창작이 대학 강단으로 옮긴 후 중단됐다. 그의 시작 기간은 20년 정도 되지만 작품 수는 65편에 불과하다. 그의 시에서 특히 두드러진 내용은 고향과 가족에 관한 회상이다. 작품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낡은 맥고모 아래
허어연 수염 바람에 날리며
단을 묶는 할아버지는
진종일 내 반나체(半裸體)의 배경(背景).

곡식을 베고 난 들에
해는 서산에 걸리어

들은
할아버지 손바닥.
      -'들-전문    



파아란 하늘 밑으로새로 일군 이랑들이
끝없이 끝없이 뻗어나간 밭에서
아버지와 어머니는 진종일 바쁘시다.

아버지는 괭이로 이랑을 지으며
나가면 나가는 대로 어머니는
졸졸 따르며 씨앗을 넣으니

괭잇날에 솟쳐나는 
먼 할아버지들의 뼈.

소리 잃은 암탉과 
조는 고양이를 데리고
집에 홀로 남은 나는

새파란 하늘에 송이송이
구름처럼 비낀 할아버지들의 뼈를
진종일 바라보는 것이다.
             -'봄' 전문

망향(望鄕)

푸른 하늘이 멀리 국경을 넘어가고

송이와 송이 서로 부닥치며 휘감겨
눈보래를 일으키던 먼 하늘가,

이제 종달새 울음 넘쳐흐르며

대지의 가슴으로
사래 긴 이랑들
늑골처럼 휘어져 뻗는데

어느 이랑 끝에서
아버지는 또 소를 돌려세우시는가

하늘, 저 깊은 곳에서
아스라이 들아오는 정다운 메아리,

뒷산 어느 바위에 서서
그리운 아이들이 노래부른다
진달래를 꺾으며 흥얼거린다.
           -'망향' 전문

언덕길

여름내 소를 이끈 할아버지와
꼴망태를 맨 손주가
다정스레 오르고 내리던 길.

오늘 
손주는 목메어 흐느끼며
상여에 뒤따라 오르고,

하늘 비낀 눈망울을 꿈벅이며
새김질 하며
황소는 풀밭에 저만치 서 있고-
              -'언덕길'전문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시 몇 편 전문을 옮겼다. 고향과 가족을 그리워 하는 시들이 주류를 이루는가운데 1947년에 쓰여진 '언덕길'은 할아버지의 장례풍경이 나타나 있다. 그의 시엔 소에 대한 내용이 자주 보이는데 소도 가족의 일원처럼 생각했기 때문이다. 망향에 보면 대지나 밭고랑까지도 의인화 돼 표현됐는데 이것은 그 시절 우리들의 생활이 농경과 밀접했기 때문일 것이다. 외의 여러 작품에 고향과 가족을 회상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그의 시중에 기독교에 관 한 시가 몇 편 있기도 한데 윤동주의 시에 '팔복' '십자가'처럼 기독교 관련 시가 있는 것을 생각할 때 윤일주의 기독교 시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시골 목사관(牧使館)

시골목사 목사관은 초가 삼간,
처마 밑에 자전거가 비스듬히 놓이고
동지섣달 추운 밤을 눈이 내린다.

교회당의 불을 끄신 다음
목사관의 불을 켜시고
두터운 성경책을 펴신 목사님은 
돋보기 알에 그윽한 말씀의
사래 긴 이랑을 더듬으신다.

목사관의 불을 끄시고
목사님은 엎드려 기도 하실 제
지붕엔 흰 눈이 소복소복 쌓이고
눈앞에 삼삼이는 교우의 초막들-
세찬 눈보라와 기도의 대목에서
나직이 울리는 도야지 울음에
뉘우쳐 눈을 뜨며 혀를 차신다.

미처 덮지 못한 우리의
지붕을 생각하고 돌아누우며
눈 속에 파묻혀 떨고 잇을
어린 도야지를 근심하여
밤내 잠 이루지 못하시는 목사님.

목사관의 불을 끄신 다음
교회당에 불을 켜시고
목사님은 손수 새벽종을 치실 것이다.
            -'시골 목사관' 전문 

윤일주 시인은 그 심정으로 보아 타고난 시인이다. 게다가 그에게는 타고난 시인이었던 형 윤동주가 있었다. 아버지를 뒤를 이어 성균관대 건축공학고 교수로 있는 그의 장남 윤인석의 말대로 "유고집으로 시를 세상에 알리는 것이 두 분의  운명"이었던지는 모르겠으나, 이 시집은 시인이 작고한 뒤 그의 장남이 김종길 시인에게 맡긴 것을 시인의 20주기에 맞춰'솔'출판사에서 시집으로 편찬한 것이다.
======================

 
시대 현대
출생 1927년
사망 1985년
유형 인물
직업 건축사가, 시인
대표작 한국양식건축80년사
성별
분야 예술·체육/건축
본관 파평(坡平)

요약 1927∼1985. 건축사가·시인.

 

내용

만주 간도성(間島省) 화룡현(和龍縣) 명동촌(明東村) 출생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시인 윤동주(尹東柱)의 동생이며, 만주의 간도성 용정가(龍井街)공립 홍중(弘中)소학교, 만주 광명(光明)영신(永信)중학교를 졸업하고 만주에서 의과대학을 다녔다.

1945년 월남해 피난지 부산에서 서울공대 건축과에 입학했고, 졸업과 동시에 해군에 입대해 시설장교로 근무했다. 군장교 시절에는 시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해 1955년 6월 『문학예술(文學藝術)』에 시 「설조(雪朝)」로 등단했으며, 이어 1959년 1월 『사상계(思想界)』에도 시를 발표해 사상계 출신 문인 반열에 들기도 했다.

제대 후 부산대학교 교수로 취임해 한국근대건축사(韓國近代建築史) 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기 시작해 「1910년 이전의 부산의 양풍건축」과 「부산상품진열관(현 저금관리국) 건축에 대한 사적고찰」이란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연구업적 중 대표라 할 수 있는 『한국양식건축80년사』는 이후 한국 건축계의 가장 훌륭한 저서 중 하나로 꼽히며, 학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대부분의 건축인들이 현대건축을 향해 앞을 다투던 시절, 그는 한국의 근대건축역사를 수집 정리했다. 건축사에 대한 인식이 대체로 전통건축사에 한정되고, 도시가 현대화되고, 개화기 이후의 건축들이 대부분 철거되던 시기에 그는 한국 근대건축뿐만 아니라 개화기와 식민지기의 건축가들에게 관심을 기울여 그들의 업적을 발굴해냈고, 특히 그들이 건축사에 끼친 영향을 부각시켰다.

또 하나의 업적은 한국 근·현대건축의 통사적(1880∼1978) 체계를 수립했다는 것으로, 관련한 여러 논문들을 발표해 후학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건축의장학, 색채학 연구에 이어졌고, 영세적인 1970년대 건축출판계에서 훌륭한 번역서들을 내놓아 한국 건축출판문화의 발판을 이루어 내기도 했다.

한편 건축교육적 측면에서는 부산대학교(1960∼1967)와 동국대학교(1968∼1971), 성균관대학교(1971∼1985)의 건축과 창립에 기여해 많은 제자를 길러냄으로써 건축계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그의 사후, 제자들은 『한국근대건축사연구』를 펴냈으며, 동시집 『민들레피리』를 출판해 그의 업적을 기렸다.



[Daum백과] 윤일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70 시인은 작품속에 삶의 몸부림과 고통을 버무려야 한다... 2017-04-03 0 2572
369 당신은 왜 시인의 험난한 길을 걸어가려 하십니까?... 2017-04-03 0 2251
368 시는 누구나 쓸수 있으나 아무나 시인이 되는것은 아니다... 2017-04-03 0 2404
367 시인은 시상(詩想), 시정(詩情), 시흥(詩興)을 깨울줄 알아야... 2017-04-02 0 2273
366 시인은 시상이라는 "낚시 찌"에 전신전령을 기울려야... 2017-04-02 0 2696
365 시인은 詩나무그루터에 오줌을 싸고 있었다... 2017-04-02 0 2323
364 형이상시에서 이질적인 이미지들을 폭력조합시켜라... 2017-03-29 0 2805
363 형이상시는 불협화음속에서 기상천외의 조화로운 분위기를... 2017-03-29 0 2608
362 시인은 언어를 잘 다룰줄 아는 고급동물이다... 2017-03-29 0 2433
361 형이상시는 즉물시와 사물시를 포괄한 제3류형의 시이다???... 2017-03-29 0 2720
360 형이상시에서 객관적 상관물의 발견으로 통합된 감수성을... 2017-03-29 0 2287
359 형이상詩는 21세기의 시운동의 모델이라고???... 2017-03-29 0 2499
358 시인은 자연과 타인의 생을 기웃거리는 촉매자이다... 2017-03-29 0 2513
357 시에서 아방가르드 정신을 꿈꾸는 자는 늘 고독하다... 2017-03-29 0 2412
356 [시문학소사전] - 시쓰기에서 알아야 할 용어들 2017-03-29 0 2906
355 현대시는 탈관념의 꿈꾸기이며 언어적 해체인것이다... 2017-03-29 0 2531
354 후기산업혁명사회의 현대인들의 병을 시로 치료하라... 2017-03-29 0 2402
353 시란 희노애락을 부르짖는 소리이다... 2017-03-29 0 2812
352 "전통시인"이나 "실험시인"이나 독자를 외면하면 안된다... 2017-03-29 0 2288
351 현대시쓰기 전 련상단어 100개 쓰기부터 하라... 2017-03-29 0 3008
350 현대시의 실험적 정신은 계속 진행형이다... 2017-03-29 0 2294
349 현대시의 흐름을 알고 시작(詩作)을 시작(始作)하자... 2017-03-29 0 2238
348 현대시는 "단절의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2017-03-29 0 2483
347 시는 추상적인 표현과 원쑤지간이다... 2017-03-29 0 2779
346 시심의 모든 밑바탕은 지, 정, 의를 근본으로 한다... 2017-03-29 0 2172
345 시가 "디지털혁명시대"와 맞다들다... 2017-03-27 0 2413
344 프랑스 시인 - 폴 엘뤼다르 2017-03-27 0 3336
343 시어는 삶과 한 덩어리가 된, 육화적인 언어로 련금술해야... 2017-03-27 0 2358
342 시는 한점의 그늘 없이 화창해야 한다... 2017-03-27 0 2510
341 시인아, 어쨌든 있을 때 잘해야지...그리고...상투는 없다... 2017-03-24 0 2085
340 시인의 "적막한 키스"는 이제 어디로 가야 할것인가... 2017-03-23 0 2351
339 시와 련관성이 없는 "무의미시"의 낱말로 제목화할수도 있어... 2017-03-22 0 2482
338 이순신 장군 시 모음 2017-03-21 0 3015
337 저 밑에는 날개도 없는것들이 많단다... 2017-03-21 0 2554
336 류시화 시 모음 2017-03-21 0 5933
335 새가 나무가지를 못떠남은?!ㅡ 2017-03-21 0 2542
334 <새(鳥)> 시 모음 2017-03-21 0 2766
333 시제는 그 시의 얼굴로서 그작품의 질과 수준을 예감할수도... 2017-03-21 0 2837
332 시의 제목을 첫행이나 끝행으로 할수도 있다... 2017-03-20 0 2508
331 시의 제목에 의하여 시의 탄력이 생긴다... 2017-03-18 0 2536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